KR200297236Y1 - 차(茶)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 - Google Patents

차(茶)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236Y1
KR200297236Y1 KR2020020025657U KR20020025657U KR200297236Y1 KR 200297236 Y1 KR200297236 Y1 KR 200297236Y1 KR 2020020025657 U KR2020020025657 U KR 2020020025657U KR 20020025657 U KR20020025657 U KR 20020025657U KR 200297236 Y1 KR200297236 Y1 KR 2002972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ea
coffee
fil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구
Original Assignee
김창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구 filed Critical 김창구
Priority to KR2020020025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2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2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236Y1/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茶)의 추출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뜨거운 물을 부음과 동시에 차 재료에서 차의 고유의 맛과 향을 추출하여 장소와 시간에 관계없이 차를 즐길 수 있도록 한 차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그 지름이 축소되는 상광하협의 컵 또는 종이컵 등의 용기와; 용기의 내측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측에 용기의 내측 상부 지름에 대응되는 원통형상의 고정부가 형성되고, 하측에 용기의 내측 중앙부 지름에 대응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에 잎차 또는 커피 등을 거르기 위한 여과망이 마련된 거름통이 형성되고, 고정부와 거름통이 다수의 지지바에 의해 연결되는 거름부와; 용기의 상부를 밀폐시켜 용기의 내부에 충전된 음료수 및 거름부에 수용되는 잎차 또는 커피가 용기의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용기의 상부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 용기에 충전된 음료수를 마실 수 있는 유통구가 형성된 덮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는, 잎차 또는 커피 등을 마실 때 잎차 또는 커피 등을 마시기 위하여 잎차 또는 커피의 원료와, 물이 섞이지 않도록 하고, 잎차 또는 커피에서 성분을 추출할 때 보다 편리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茶)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receptacl possessed of tea abstraction net}
본 고안은 잎차(茶)의 추출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뜨거운 물을 부음과 동시에 차 재료에서 차의 고유의 맛과 향을 추출하여 장소와 시간에 관계없이 차를 즐길 수 있도록 한 차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잎차(茶)나, 커피 등을 물에 혼합하고자 할 경우 소량의 내용물을 그릇에 넣고 물을 부은 후, 스푼 등을 이용하여 혼합하여야 했으며, 차나 커피 등이 혼합된 다량의 혼합물을 만들어 먼 곳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음료를 만든 후, 용기에 담아야 하는 번거러움이 이었으며, 잎차의 경우에는 차를 만들고 난 후에 잎차의 찌꺼기를 제거한 후에 차를 마셔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잎차나 커피 등을 간단하게 이용하기 위해서 티-백(tea-bag)에 담겨진 일회용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일회용 티-백은 잎차 또는 커피의 고유한 맛이 울어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잎차 또는 커피 등을 마실 때 잎차 또는 커피 등을 마시기 위하여 잎차 또는 커피의 원료와, 물이 섞이지 않도록 하고, 추출할 때 보다 편리함을 줄 수 있도록 한 차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20 : 거름부
22 : 거름통 24 : 지지바
26 : 고정링 28 : 여과망
30 : 덮개 32 : 유통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차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그 지름이 축소되는 상광하협의 컵 또는 종이컵 등의 용기와; 상기 용기의 내측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측에 상기 용기의 내측 상부 지름에 대응되는 원통형상의 고정부가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용기의 내측 중앙부 지름에 대응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에 잎차 또는 커피 등을 거르기 위한 여과망이 마련된 거름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거름통이 다수의 지지바에 의해 연결되는 거름부와; 상기 용기의 상부를 밀폐시켜 상기 용기의 내부에 충전된 음료수 및 상기 거름부에 수용되는 상기 잎차 또는 커피가 상기 용기의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용기의 상부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 상기 용기에 충전된 상기 음료수를 마실 수 있는 유통구가 형성된 덮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본 고안에 따른 차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는, 상단에서하단으로 갈수록 그 지름이 축소되는 상광하협의 컵 또는 종이컵 형상의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상단 내측에 압입되어 거치되고, 잎차 또는 커피 등이 걸러지는 여과망(28)이 형성된 거름부(20)와, 상기 용기(10)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용기(10)의 내용물이 넘쳐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30)로 구성된다.
상기 거름부(20)는, 상기 상광하협의 컵 또는 종이컵 등의 용기(10) 상부에서 하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하측에는 소정 높이의 원통 형상으로 거름통(22)이 형성되고 상기 거름통(22)의 하부에 상기 차 또는 커피 등을 거르기 위한 여과망(28)이 형성되고, 상기 거름통(22)의 상부에는 상기 거름통(22)보다 소정 지름 확장되고, 소정의 높이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링(26)이 다수의 지지바(24)에 의해 상기 거름통(22)과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지지바(24)는 상기 거름통(22)과 상기 고정링(26)의 지름차이에 의해 상광하협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컵 또는 종이컵 등의 용기(10)의 내측면에 접하여 장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덮개(30)는, 상기 컵 또는 종이컵 등의 용기(10)의 내측에 장착된 상기 거름부(20)와, 상기 용기(10)의 상부를 밀폐시켜 상기 용기(10)의 내부에 충전된 음료수 및 상기 거름망(28)에 수용되는 상기 잎차 또는 커피 등의 내용물이 상기 용기(10)의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용기(10)의 상부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용기(10)에 충전된 상기 음료수를 마실 수 있는 유통구(3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차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의 사용상태를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광하협의 컵 또는 종이컵 등의 용기(10)의 내측 상부에 상기 거름부(2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용기(10)의 상부에 삽입되는 상기 거름부(20)는, 상기 거름부(20)의 상기 고정링(26)과 상기 거름통(20)을 연결하는 상기 다수의 지지바(24)가 상기 용기(10)의 상부 내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거름부(20)가 상기 용기(10)에 설치되며, 상기 거름통(22)의 외측 하부의 원주면은 상기 용기(1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에 설치된 상기 거름부(20)의 상기 여과망(28)의 상부에는 소정량의 잎차 또는 커피 등이 놓여지고, 이후 상기 여과망(28)의 상부에서 뜨거운 물을 부으면, 상기 잎차 및 커피 성분 등이 투입되는 뜨거운 물에 녹아 상기 용기(10)의 내부로 흘러 들어간다. 이때, 잎차 또는 커피 등의 내용물은 상기 여과망(28)에 의해 걸러지고, 투입되는 뜨거운 물에 상기 잎차 또는 커피의 성분만 녹아서 용기(10)에 담기게 된다.
이후, 상기 거름부(20)를 상기 용기(10)에서 이탈시키고, 상기 용기(10)에 상기 잎차 또는 커피가 녹은 용액을 마시면 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용기(10)에 부어주는 물의 분량은 상기 여과망(28)을 통과하여 투입되는 물이 모두 용기에 흘러들었을 때 상기 여과망(28)이 잠기지 않을 정도로 투입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는, 잎차 또는 커피 등을 마실 때 잎차 또는 커피 등을 마시기 위하여 잎차 또는 커피의 원료와, 물이 섞이지 않도록 하고, 잎차 또는 커피에서 성분을 추출할 때 보다 편리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그 지름이 축소되는 상광하협의 컵 또는 종이컵 등의 용기와;
    상기 용기의 내측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측에 상기 용기의 내측 상부 지름에 대응되는 원통형상의 고정부가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용기의 내측 중앙부 지름에 대응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에 잎차 또는 커피 등을 거르기 위한 여과망이 마련된 거름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거름통이 다수의 지지바에 의해 연결되는 거름부와;
    상기 용기의 상부를 밀폐시켜 상기 용기의 내부에 충전된 음료수 및 상기 거름부에 수용되는 상기 잎차 또는 커피가 상기 용기의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용기의 상부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 상기 용기에 충전된 상기 음료수를 마실 수 있는 유통구가 형성된 덮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
KR2020020025657U 2002-08-28 2002-08-28 차(茶)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 KR2002972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657U KR200297236Y1 (ko) 2002-08-28 2002-08-28 차(茶)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657U KR200297236Y1 (ko) 2002-08-28 2002-08-28 차(茶)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236Y1 true KR200297236Y1 (ko) 2002-12-11

Family

ID=73078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657U KR200297236Y1 (ko) 2002-08-28 2002-08-28 차(茶)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2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009A (ko) * 2018-06-26 2020-01-06 최창원 잔량 수집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009A (ko) * 2018-06-26 2020-01-06 최창원 잔량 수집기.
KR102110658B1 (ko) * 2018-06-26 2020-05-13 최창원 잔량 수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7238B2 (en) Method for brewing and chilling a beverage
US5746113A (en) Infusion vessel
US5813317A (en) Brewing pot
CN105050458B (zh) 用于冲泡饮料的方法、装置和囊盒
US8734874B1 (en) Beverage brewing lid and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such a lid
CA2992836A1 (en) Disposable coffee filter and cup
AU711276B2 (en) Filter device
JP5668884B2 (ja) 飲料用ポット
CN109619977B (zh) 一种调制饮料的便携式定量滴滤萃取装置及方法
KR200297236Y1 (ko) 차(茶) 추출용 거름망이 구비된 용기
KR100847063B1 (ko)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
JP4476316B2 (ja) 茶漉し付きティーポット
CN110234256B (zh) 用于冲泡饮料的浸泡设备和方法
CN106263929B (zh) 一种茶叶茶汤可分离的茶壶
CN106136777A (zh) 一种可重复使用的胶囊饮品冲调杯
WO2010052111A1 (en) Container assembly for preparing a beverage
CN207071044U (zh) 冲泡饮料的过滤装置
KR20130005318U (ko) 차를 우려내는 컵
CN219594262U (zh) 一种茶水分离水杯
CN210681457U (zh) 一种多口瓶
KR102556040B1 (ko) 찻잔에 설치되는 차잎 거름대의 두껑부재
KR200475781Y1 (ko)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
KR100753218B1 (ko) 차 원료가 내장된 이중컵
KR200334871Y1 (ko) 이중 여과망이 구비된 차 추출 용기
KR200446133Y1 (ko) 차 인퓨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