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585Y1 - Complete combustion apparatus for fireplace - Google Patents

Complete combustion apparatus for firepl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585Y1
KR200294585Y1 KR2020020023519U KR20020023519U KR200294585Y1 KR 200294585 Y1 KR200294585 Y1 KR 200294585Y1 KR 2020020023519 U KR2020020023519 U KR 2020020023519U KR 20020023519 U KR20020023519 U KR 20020023519U KR 200294585 Y1 KR200294585 Y1 KR 2002945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combustion
fireplace
combustion material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51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한태
Original Assignee
김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태 filed Critical 김한태
Priority to KR2020020023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58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5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585Y1/en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면에 외부의 공기가 선택적으로 유입 가능한 그릴이 설치되고 상단에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도가 관통 형성된 연소실과, 상기 화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도어를 가지고 연소실의 외측벽을 둘러싼 본체부를 구비하는 벽난로에 적용 가능한 완전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그릴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슬롯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유동상태를 원활하게 하여 그릴 위에 놓여진 소정 연소재를 실질적으로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 상기 연소재를 그릴의 상면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되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그릴의 상면에 설치된 서포트부재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mbustion chamber having a grill which can selectively enter external air on the bottom surface and a combustion chamber formed therethrough with flue for discharging combustion gas to the outside, and an opening / closing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ebal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lete combustion apparatus applicable to a fireplace having a body portion surrounding an outer wall, wherein the complete combustion of a predetermined combustion material placed on the grill is performed by smoothing the flow of outside air flowing through a plurality of slot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grill. In order to support the combustion material, the support member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to support the combustion material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by a predetermined interval.

Description

벽난로용 완전 연소장치 {Complete combustion apparatus for fireplace}Complete combustion apparatus for fireplaces

본 고안은 그릴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슬롯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유동상태를 원활하게 하여 그릴 위에 놓여진 연소재를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 그 연소재를 그릴의 상면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되게 지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벽난로용 완전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moothly support the combustion material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in order to smoothly burn the combustion material placed on the grill by smoothly flowing the flow of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a plurality of slot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A complete combustion device for a fireplace having a structure.

일반적으로, 벽난로는 건물이나 가옥의 실내 분위기를 한층 돋보이게 하는 인테리어의 목적 외에 장작이나 기타 연료를 연소시켜 그 연소열에 의해 실내를 따뜻하게 하는 난방장치로서 이용된다. 이러한 벽난로는 실내의 벽면에 연소실을 설치하고 벽 속으로 연도를 통하게 한 구조를 가지며, 벽면에 직접 벽돌을 쌓아 설치하던 형태에서 일반 난로와 같이 벽면과 분리시킨 형태로 변모되면서 벽면을 통한 열손실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In general, the fireplace is used as a heating device that burns firewood or other fuel to warm the room by the heat of combustion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the interior to further enhance the indoor atmosphere of a building or a house. Such a fireplace has a structure in which a combustion chamber is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room and the flue flows into the wall, and a brick is directly stacked on the wall to be separated from the wall like a normal stove, thereby reducing heat loss through the wall. It is developing in the direction of reduction.

일예에 따른 종래의 벽난로는 전면이 개방된 화구를 가진 일정 용적의 연소실이 구비되며 연소실의 화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도어를 가진 본체와, 장작 등의 고체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도록 연소실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 가능한 다수의 슬롯이 형성된 그릴과, 고체연료가 연소될 때 그릴을 통해 하방으로 떨어지는 고체연료의 재를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연소실의 하측에서 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재받이와, 고체연료가 발화될 때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연소실과 관통되도록 본체의 천정면에 설치된 연도를 구비한다. 따라서, 고체연료를 그릴의 상면에 올려 놓고 발화시킨 상태에서 그릴의 슬롯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게 되면, 외부로부터 공급된 공기에 의해 고체연료가 자연스럽게 연소된다. 그리고, 고체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는 연도를 통해 배출되고, 재는 그릴의 슬롯을 통해 재받이에 수거된다.Conventional firep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constant volume of the combustion chamber having an open crater, the body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rater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to burn solid fuel such as firewood Sliding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t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to facilitate the collection of a grill having a plurality of slots installed on the surface and selectively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ash of the solid fuel falling downward through the grill when the solid fuel is burned. And a flue installed in the ceiling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penetrate the combustion chamber to discharge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when the solid fuel is ignit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when the external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slot of the grill in the state where the solid fuel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and ignited, the solid fuel is naturally burned by the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while burning the solid fuel is discharged through the flue, the ash is collected in the ash collection through the slot of the grill.

그런데, 종래에 따른 벽난로는 고체연료를 그릴의 상면 위에 올려 놓게 되면 고체연료에 의해 슬롯의 일부분이 폐쇄되므로, 외기의 흐름이 고체연료에 의해 차단되어 원활한 유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바, 고체연료가 불완전하게 연소되어 결과적으로 연소 효율 및 난방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체연료가 불완전하게 연소되면서 연소가스와 그을음이 심하게 발생될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the firepla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the solid fuel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is closed a portion of the slot by the solid fuel, the flow of the outside air is blocked by the solid fuel to prevent the smooth flow, the solid fuel is There is a problem that incomplete combustion and consequently the combustion efficiency and heating efficiency is lower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mbustion gas and soot is generated severely while the solid fuel is incompletely burne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 그릴의 슬롯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유동상태를 원활하게 하여 그릴 위에 놓여진 연소재를 완전 연소시킴으로써 연소재의 연소 효율 및 난방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그 연소재를 그릴의 상면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되게 지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벽난로용 완전 연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to maximize the combustion efficiency and heating efficiency of the combustion material by the complete combustion of the combustion material placed on the grill by smoothing the flow of external air flowing through the slot of the gril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lete combustion device for a firepla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combustion materia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난로용 완전 연소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plete combustion device for a firepla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정면 구성도.2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연소실 10a,10b... 연소실의 내벽10 ... Combustion chamber 10a, 10b ... Inner wall of combustion chamber

11... 화구 13... 그릴11 ... crater 13 ... grill

13a... 슬롯 15... 연도13a ... Slot 15 ... Year

17... 내화벽돌 20... 본체부17. Firebrick 20.Main body

21... 공기 통로 23... 재받이부21.Air passage 23 ... Receiver

25... 개폐도어 27... 공기 공급부25 ... opening door 27 ... air supply

30... 서포트부재 31... 지지대30 ... Support member 31 ... Support

32... 레그 M... 연소재32 ... Leg M ... Combus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닥면에 외부의 공기가 선택적으로 유입 가능한 그릴이 설치되고 상단에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도가 관통 형성된 연소실과, 상기 화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도어를 가지고 연소실의 외측벽을 둘러싼 본체부를 구비하는 벽난로에 있어서, 상기 그릴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슬롯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유동상태를 원활하게 하여 그릴 위에 놓여진 소정 연소재를 실질적으로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 상기 연소재를 그릴의 상면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되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그릴의 상면에 설치된 서포트부재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grill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to selectively enter the outside air and the combustion chamber formed through the flue for discharging the combustion gas to the outside, and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rater A fireplace having an open / close door and a main body portion surrounding an outer wall of a combustion chamber, the fireplace being configured to smoothly burn a predetermined combustion material placed on the grill by smoothly flowing the air flow flowing through a plurality of slot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In order to support the combustion material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s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본 고안에 따른 벽난로용 완전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재는: 소정 높이를 갖도록 상기 슬롯의 외측 영역에 각각 직립되게 설치되며,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의 지지대를 구비한다.In the complete combustion device for a firepl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is provided in each of the upright area of the slot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nd has a plurality of supports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in a diagonal direction.

따라서, 본 고안은 연소재를 그릴의 상면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되게 지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그릴의 슬롯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유동상태를 원활하게 하여 그릴 위에 놓여진 연소재를 완전 연소시킴으로써 연소재의 연소 효율 및 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종래와 달리 서포트부재에 의해 연소재가 불완전하게 연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연소재의 연소시 연소가스와 그을음이 심하게 발생될 염려가 없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combustion material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by a predetermined interval, by smoothly burning the combustion material placed on the grill by smoothing the flow of external air flowing through the slot of the grill. The combustion efficiency and heating efficiency of the combustion material can be improved, and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the combustion material and the soo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completely burned by the support member, so that combustion gas and soot are not seriously generated when the combustion material is burned. It has its features.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난로용 완전 연소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complete combustion device for a firepla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난로용 완전 연소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 구성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plete combustion device for a firepla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난로용 완전 연소장치(100)는 그릴(13)의 슬롯(13a)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유동상태를 원활하게 하여 그릴(13) 위에 놓여진 연소재(M)를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 그 연소재(M)를 그릴(13)의 상면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되게 지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1 and 2, the complete combustion device 100 for a firep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moothes the flow of the outside air flowing through the slot 13a of the grill 13, the grill 13 In order to completely burn the combustion material M placed thereon, the combustion material M has a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combustion material M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13.

이를 위한 상기 벽난로용 완전 연소장치(100)는, 기본적으로 화구(11),그릴(13), 연도(15)를 가진 연소실(10)과, 화구(1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개폐도어(25)를 가지고 연소실(10)의 외벽을 따라 형성된 소정 공기 통로(21)를 갖도록 그 외벽을 둘러싸고 있는 본체부(20)를 가진 벽난로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그릴(13)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슬롯(13a)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유동상태를 원활하게 하여 그릴(13) 위에 놓여진 소정 연소재(M)를 실질적으로 완전 연소시킬 수 있는 서포트부재(30)를 구비한다.The complete combustion device for the fireplace (100) for this purpose, the combustion chamber 10 having a fireball 11, grill 13, the flue (15) and an opening and closing door that can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ireball (11) Applied to a fireplace having a main body portion 20 surrounding the outer wall to have a predetermined air passage 21 formed along the outer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with a plurality of (25), a plurality of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13) It is provided with the support member 30 which can make the flow state of the external air which flows in through the slot 13a smoothly and completely burn the predetermined | combustion material M put on the grill 13 substantially.

상기 연소실(10)은 장작과 같은 연소재(M)를 투입 가능한 내부 공간과 전면이 개방된 화구(11)를 가진 사각 함체의 구조로서, 그 내부 공간에 외부의 공기가 바닥면을 통해 선택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바닥면에 다수의 슬롯(13a)이 형성된 그릴(13)이 설치되고, 연소재(M)의 연소시 연소가스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연도(15)가 천정면의 대략 중앙 부분에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소실(10)에는 화구(11), 바닥면 및 천정면을 제외한 3면의 내벽(10a,10b)에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직립되게 배치된 내화벽돌(17)이 마련된다. 상기 내화벽돌(17)은 연소실(10)에서 연소재(M)가 연소될 때 발생되는 연소열을 실질적으로 축열시켜 후술할 본체부(20)를 통한 열손실을 감소시킴은 물론 연소가 종료되더라도 그 연소열을 실내로 서서히 방출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The combustion chamber 10 is a rectangular housing structure having an internal space into which a combustion material M such as firewood can be injected and a crater 11 with an open front surface, and external air selectively enters the internal space through a bottom surface. The grill 1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lots (13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o be introduced, the flue 15 for easily discharging the combustion gas to the outside during the combustion of the combustion material (M) is approximately of the ceiling surface It is formed through the central part. In addition, the combustion chamber 10 is provided with a refractory brick 17 disposed uprigh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n the inner wall (10a, 10b) of the three surfaces except the crater 11, the bottom surface and the ceiling surface. The refractory brick 17 substantially accumulates the heat of combustion generated when the combustion material M is combus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0, thereby reducing heat loss through the main body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plays a role of slowly emitting combustion heat into the room.

상기 본체부(20)는 소정 내부 공간을 가진 사각 함체의 구조로서, 연소실(10)의 화구(1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그 내부 공간에 연소실(10)이 내재되며, 그 내측벽이 연소실(10)의 전면, 바닥면 및 천정면을 제외한 3면의 외벽과 소정 간격 이격됨으로써 전술한 바 있는 공기 통로(21)를 형성시킨 구조를 가진다.The main body 20 is a rectangular enclosure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the combustion chamber 10 is embedded in the internal space so that the crater 11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inner wall is the combustion chamber ( 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air passage 21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s of the three surfaces except for the front, bottom and ceiling surfaces by a predetermined interval.

또한, 상기 본체부(20)에는 연소재(M)가 연소될 때 그릴(13)의 슬롯(13a)을 통해 하방으로 떨어지는 연소재(M)의 재를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그릴(13)의 슬롯(13a)과 상호 연통 가능하며, 연소실(10)의 하측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재받이부(23)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20 has a grill 13 so as to easily collect ash of the combustion material M falling downward through the slot 13a of the grill 13 when the combustion material M is burned.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slot (13a) of the, and has a backrest 23 is provided slidably install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그리고, 상기 본체부(20)에는 연소실(10)의 화구(1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그 전면에 힌지 결합된 개폐도어(25)를 구비한다. 상기 개폐도어(25)는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연소열과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한 재질 예컨대,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개폐도어(25)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연소재(M)가 연소되는 모습을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연소실 내의 연소열이 실내로 방출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20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door 25 hing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0 so a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crater 11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The opening / closing door 25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 example, a ceramic material, in which the remaining region except for the edge portion can transmit combustion heat and light. Therefore, the user can directly visually confirm that the combustion material M is burned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door 25, and the heat of combust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is substantially discharged to the room.

아울러, 상기 본체부(20)에는 연소재(M)의 발화시 외부의 공기를 그릴(13)의 슬롯(13a)을 통해 연소실(10)의 내부 공간으로 선택적으로 유입시켜 연소재(M)의 발화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외부와 재받이부(23)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는 공기 공급부(27)를 구비한다. 상기 공기 공급부(27)는 그 회전 위치에 따라 외부와 재받이부(23)의 연통 경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재받이부(23)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고, 공기 유입량의 조절에 의해 화염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는 통상적인 공기 조절노브의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 공급부(27)는 외부와 재받이부(23)의 연통 경로에 체결된 나사체로서, 그 나사체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체가 풀리면서 외부와 재받이부(23)의 연통 경로를 개방시키게 되고, 나사체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되면 나사체가 조여지면서 외부와 재받이부(23)의 연통 경로를 폐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In addition, the main body 20 selectively flows external air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through the slot 13a of the grill 13 when the combustion material M is ignited. In order to promote ignition, an air supply unit 27 capable of selectively communicating the outside with the back receiving unit 23 by a rotational operation of the user is provided. The air supply unit 27 can adjust the flow rate of the air supplied to the receiving unit 23 by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outside and the receiving unit 23 according to the rotational position thereof, It has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air regulating knob that can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flame. Specifically, the air supply part 27 is a screw body fastened to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outside and the receiving portion 23, and when the screw body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screw body is loosened and the outside and the receiving portion 23 The communication path is opened, and when the screw body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screw body is tightened to close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outside and the receiving part 23.

상기 서포트부재(30)는 연소재(M)를 그릴(13)의 상면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되게 지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서포트부재(30)는 그릴(13)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소정 높이를 갖도록 그릴(13)의 슬롯(13a)의 외측 영역에 각각 직립되게 설치되며, 전체적인 형상이 마름모 형상을 취하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4개의 지지대(31)를 구비한다. 즉, 상기 서포트부재(30)는 그릴(13)의 센터라인을 기준으로 일측에 삼각 형상을 이루도록 두 개의 지지대(31)가 각각 배치되고, 타측에 역삼각 형상을 이루도록 두 개의 지지대(31)가 각각 배치된다. 상기 각각의 지지대(31)는 소정 길이를 가진 한 쌍의 레그(32)와 각각의 레그(32)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 "ㄷ"자 형상을 취하며, 각각의 레그(32)가 슬롯(13a)의 외측 영역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거나 용접식으로 융착되어 직립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소정 연소재(M)를 지지대(31) 위에 올려 놓고 그 연소재(M)를 발화시킨 상태에서 외부의 공기를 그릴(13)의 슬롯(13a)을 통해 유입시키게 되면, 연소재(M)가 지지대(31)에 의해 그릴(13)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외기의 유동상태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연소재(M)를 완전 연소시킬 수 있게 된다.The support member 30 is for supporting the combustion material (M)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13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upport member 30 for this purpose is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13, are installed upright in the outer region of the slot (13a) of the grill 13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the overall shape takes a rhombus shape. And four support members 31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in a diagonal direction. That is, the support member 30 has two support members 31 arranged on one side to form a triangular shape on the basis of the center line of the grill 13, and two support members 31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to form an inverted triangle shape. Each is arranged. Each support 31 has a "c" shape in which a pair of legs 3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each leg 32 are integrally extended, and each leg 32 is a slot 13a. It has a structure that is integrally projected to the outer region of the) or welded fusion welded upright. Therefore, when a predetermined combustion material (M) is placed on the support 31 and the combustion material (M) is ignited,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slot (13a) of the grill 13, the combustion material (M) ) Is supported by the support 31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13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flow state of the outside air is smooth,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burn the combustion material (M).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난로용 완전 연소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mplete combustion device for a firepla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개폐도어(25)를 개방시킨 상태에서,화구(11)를 통해 장작과 같은 다수의 연소재(M)를 연소실(10)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시켜 지지대(31) 위에 올려 놓는다. 그러면, 연소재(M)는, 서포트부재(30)의 지지대(31)가 그릴(13)의 상면에 소정 높이로 직립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지지대(31)에 의해 그릴(13)의 상면 즉, 슬롯(13a)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가 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first, in the state in which the opening / closing door 25 is opened, a plurality of combustion materials M such as firewood are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through the crater 11. (31) put on. Then, since the support material 31 of the support member 30 is installed upr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13 at predetermined height, the combustion material M is provided by the support 31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13 may be made. That is, it becomes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slot 13a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이어서, 연소재(M)를 발화시킨 다음, 개폐도어(25)를 닫고, 공기 공급부(27)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외부와 재받이부(23)의 연통 경로를 개방시킨다. 그러면, 연소재(M)가 발화됨에 따라 연소에 연소재(M)의 연소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받기 위해 외부의 공기는 외부와 재받이부(23)의 연통 경로를 통해 자연스럽게 유입되고 그릴(13)의 슬롯(13a)을 통해 연소재(M)측으로 공급되는데, 연소재(M)가 지지대(31)에 의해 그릴(13)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연소재(M)에 의해 슬롯(13a)이 막히지 않게 됨으로써 외기의 흐름을 연소재(M) 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소재(M) 측으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동상태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실질적으로 연소재(M)를 완전 연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염의 세기는 공기 공급부(27)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외부와 재받이부(23)의 연통 경로를 통한 공기의 유입량을 제어함으로써 조절된다.Subsequently, after the combustion material M is ignited, the opening / closing door 25 is closed, and the air supply part 27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o open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outside and the receiving part 23. Then, as the combustion material M is ignited, the outside air naturally flows in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outside and the receiving part 23 so as to receive oxygen necessary for combustion of the combustion material M for combustion, and the grill 13 The combustion material (M) is supplied to the combustion material (M) side through the slot (13a) of the), because the combustion material (M) is supported by a support 31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13 by a predetermined interval, unlike the conventional Since the slot 13a is not blocked by the combustion material M, the flow of outside air can be naturally induced to the combustion material M side. Therefore, the flow state of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combustion material M side is made smooth, and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burn the combustion material M substantially. In this state, the intensity of the flame is controlled by selectively rotating the air supply unit 27 to control the inflow of air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outside and the receiving unit 23.

한편, 연소재(M)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는 연소실(10)의 내부 공간을 순환하다가 연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연소재(M)의 재는 그릴(13)의 슬롯(13a)를 통해 재받이부(23)로 수거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the combustion material (M) is circulated through the internal sp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lue. The ash of the combustion material M is collected by the ash receiving unit 23 through the slot 13a of the grill 13.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난로용 완전 연소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complete combustion device for a firepla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연소재를 그릴의 상면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되게 지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그릴의 슬롯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유동상태를 원활하게 하여 그릴 위에 놓여진 연소재를 완전 연소시킴으로써 연소재의 연소 효율 및 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since it has a structure that can support the combustion material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by a predetermined interval, by smoothly burning the combustion material placed on the grill to smooth the flow state of the outside air flowing through the slot of the grill of the combustion material The combustion efficiency and heat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둘째, 종래와 달리 서포트부재에 의해 연소재가 불완전하게 연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연소재의 연소시 연소가스와 그을음이 심하게 발생될 염려가 없다.Second, unlike the prior art, the support member can prevent the combustion material from being incompletely burned, so that combustion gas and soot are not seriously generated when the combustion material is burned.

Claims (2)

바닥면에 외부의 공기가 선택적으로 유입 가능한 그릴이 설치되고 상단에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도가 관통 형성된 연소실과, 상기 화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도어를 가지고 연소실의 외측벽을 둘러싼 본체부를 구비하는 벽난로에 있어서,A main body surrounding the outer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having a grill having a grill which allows selective introduction of external air on the bottom surface and a flue through which flue gase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n opening / closing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eball. In the fireplace with a wealth, 상기 그릴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슬롯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유동상태를 원활하게 하여 그릴 위에 놓여진 소정 연소재를 실질적으로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 상기 연소재를 그릴의 상면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되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그릴의 상면에 설치된 서포트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용 완전 연소장치.In order to smoothly completely burn a predetermined combustion material placed on the grill by smoothly flowing the external air flowing through the plurality of slot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the combustion material may be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Complete support device for a firepla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l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포트부재는:The support member is: 소정 높이를 갖도록 상기 슬롯의 외측 영역에 각각 직립되게 설치되며,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의 지지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용 완전 연소장치.And a plurality of supports which are installed upright in the outer region of the slot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a diagonal direction.
KR2020020023519U 2002-08-06 2002-08-06 Complete combustion apparatus for fireplace KR20029458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519U KR200294585Y1 (en) 2002-08-06 2002-08-06 Complete combustion apparatus for firepl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519U KR200294585Y1 (en) 2002-08-06 2002-08-06 Complete combustion apparatus for firepl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585Y1 true KR200294585Y1 (en) 2002-11-13

Family

ID=73084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519U KR200294585Y1 (en) 2002-08-06 2002-08-06 Complete combustion apparatus for firepl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585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872U (en) * 2016-12-14 2018-06-22 박성국 Stove with dual-combustion chamber
KR20190023534A (en) 2017-08-29 2019-03-08 (주) 한성스틸 Firepla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872U (en) * 2016-12-14 2018-06-22 박성국 Stove with dual-combustion chamber
KR200487239Y1 (en) * 2016-12-14 2018-08-27 박성국 Stove with dual-combustion chamber
KR20190023534A (en) 2017-08-29 2019-03-08 (주) 한성스틸 Firepl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6491A (en) High efficiency solid fuel burning stove
KR20130035264A (en) Firewood stove
KR200486674Y1 (en) Stove
US4347831A (en) Fuel burning stove
US20080035137A1 (en) Combustion apparatus
JP2004077060A (en) Firewood stove
US5722390A (en) Fireplace wood holder
KR20190104701A (en) A Firewood Stove
KR200294585Y1 (en) Complete combustion apparatus for fireplace
KR100977012B1 (en) Combustion unit combined boiler using barometric pressure difference
KR200294584Y1 (en) Air-curtain apparatus for fireplace
KR101469802B1 (en) Heating apparatus for moving house
KR200475650Y1 (en) Fireplace
JP2004061102A (en) Refuse incinerator
KR100852910B1 (en) A stove
KR20180001236A (en) Stove
KR200294583Y1 (en) Multiple combustion apparatus for fireplace
KR102011676B1 (en) Fireplace
KR100582735B1 (en) the indoorair forced circulation hearth of outdoorair combustion type, which a spark-plug is attached to
KR200249584Y1 (en) multi-burning type fireplace
KR20140135353A (en) Firewood fireplace
KR100495670B1 (en) Burner for gas rice cooker
KR20150049703A (en) Clean device for glass fireplace doors opening and closing
KR20060134634A (en) Fireplace
JP3907591B2 (en) Pottery kil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