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591Y1 -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 - Google Patents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591Y1
KR200292591Y1 KR2020020022661U KR20020022661U KR200292591Y1 KR 200292591 Y1 KR200292591 Y1 KR 200292591Y1 KR 2020020022661 U KR2020020022661 U KR 2020020022661U KR 20020022661 U KR20020022661 U KR 20020022661U KR 200292591 Y1 KR200292591 Y1 KR 200292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haft
locking
coupled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6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호
이세환
Original Assignee
이세환
신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환, 신성호 filed Critical 이세환
Priority to KR20200200226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5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591Y1/ko

Link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판의 저면부에 고정되고, 상판에 다수의 고정공이 형성되며 전면에 제2회동축이 형성되어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좌판고정틀; 저면에는 승강축이 입설되고, 후단에는 등받이 브라켓이 제4회동축에 의해 회동되게 결합되며, 전단에는 회동간이 제3회동축에 결합되고, 측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측의 수용부 일측에 걸림구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 상면에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면에 고정되는 전면커버; 상하측 양단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부측 통공에는 제2회동축이 축설되고, 하부측 통공에는 제3회동축이 축설된 회동간; 전면의 회동리브에는 상기 제1회동축과 제4회동축 및 고정스프링의 일단이 걸리는 홀딩축이 축설되고, 후면에는 등받이 프레임과 결합되는 끼움공이 형성된 등받이 브라켓; 후단은 홀딩축에 축설되고 전단에는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걸림구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걸림쇠와, 이 걸림쇠의 하단에 접하며 끝단이 회동구에 고정된 작동편과, 상기 걸림쇠의 상단에 접하는 절곡편을 갖는 록킹레버로 구성되는 록킹부재; 끝단에는 실린더부의 작동축에 접하는 평판부를 가지며 하부프레임 내측벽의 회동구에 끼워지는 누름쇠와, 이의 타단에 구비된 승강레버로 구성되는 승강부재; 상기 고정스프링의 타단부와 결합된 고정편체의 일측 경사면과 접하는 경사면이 내부 일측면에 형성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편체의 타측 경사면에 접하게 한 밀편이 부착된 고정레버가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어 구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부품을 최소화하여 외관상 미려함을 증대시킬 수 있고, 고정부재와 록킹부재에 의해 등받이와 좌판의 경사각도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정된 자세로 편안한 착석감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 { an easy chair's back is linked with seat plate and it's locking structure }
본 고안은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수단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회전의자에 있어서 등받이를 뒤로 젖히면 이에 연동되어 좌판의 후방이 동시에 내려가도록 하고, 이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한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회전의자 또는 안락의자에는 착석자의 무게를 지탱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높이 조절장치가 적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의자높이 조절장치로는 통상적으로 내부에 가스를 충진하여 작동케 하는 가스 실린더식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에 더불어 착석감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등받이를 뒤로 젖힐 수 있게 하고 이와 연동되어 좌판의 후방이 동시에 내려가도록 한 후 고정시킴으로써 보다 안락하게 착석할 수 있는 의자가 제안되었다.
이렇게 좌판과 등받이가 연동되도록 한 의자의 한 예로 국내실용신안공보 20-0250654호(2001.10.04)에 보면 의자의 등판 각도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편리하고 자유롭게 조절하고 록킹시킬 수 있는 '의자의 각도조절용 록킹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 8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의자의 각도조절용 록킹장치는 좌판(93')의 저면부에 고정되고, 하방으로 돌출되고 관통홀(13')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리브(11')를 구비하는 좌판프레임(10');
상기 좌판프레임(10')의 양측부에 선회축(8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프레임(80');
상기 회동프레임(80')에 일체로 고정되고, 멈춤편(33')에 의해 길이가 한정된 중심로드(17')가 중앙을 가로질러 연결되고,상기 멈춤편(33')이 설치된 일측면에 상기 멈춤편(33')을 그들 사이에 개재시키도록 형성된 한 쌍의 슬롯(73')이 형성된 지지부재(70');
상기 좌판의 선회운동에 따라 수직왕복운동을 하기 위해 일측이 상기 고정리브(11')의 관통홀(13')에 제 1결합편(15')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부재(70')의 중심로드(17')에 지지되는 수직운동수단(20');
상기 중심로드(17')와 동축상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운동수단(20')과 연계하여 의자의 기울기를 잠그거나 해제하기 위한 잠금 및 해제수단(30'); 및
상기 잠금 및 해제수단(30')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잠금 및 해제수단(30)과 동축상에 위치하여 캠운동을 하는 캠운동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출원된 '의자의 각도조절용 록킹장치'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등판을 뒤로 밀어 각도를 적절히 조절한 후에, 도 5b에서 보이듯이 사용자가 상기 록킹레버(60')를 하방으로 내리면(잠금위치), 상기 돌출결합부(61')가 상기 제 2결합편(55')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이격거리가 짧은 상기 제 1캠면(65')이 상기 멈춤편(33')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결합편(55')에 의해 상기 돌출결합부(61')에 결합된 이동부재(41')가 상기 원형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21')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원형 보강부재(27')와 원형스페이서(25')가 그들 사이에 개재된 다수의판스프링(21')을가압하여 밀착시킴으로써 판스프링(21')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결국, 상기 의자본체가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사용자가 의자본체를 원상태로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도 5a에 보이듯이 상기 록킹레버(60')를 상방으로 올리면(해제위치), 상기 돌출결합부(61')가 상기 제 2결합편(55')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이격거리가 긴 상기 제 2캠면(67')이 상기 멈춤편(33')에 접하게 된다.따라서, 상기 제 2결합편(55')에 의해 상기 돌출결합부(61')에 결합된 이동부재(41')가 상기 록킹레버(6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의 작용력은 상기 원형스프링(35')의 탄성력보다 크게 작용하게 된다. 그로 인해, 상기 원형 보강부재(27')및 원형스페이서(25')들이 이격되게 되고, 상기 다수의 판스프링(21')도 상호간에 이격됨으로써 상기 중심로드(17')에 대해 자유롭게 상하 수직왕복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상기 수직운동수단이 입설됨에 따라 차지하는 부피가 증대되므로 좌판하부에 설치되었을 때 외관상 미려함을 해할 우려가 있고, 또한 상기 캠운동수단의 조작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힘이 들어가므로 여성이나 어린이, 노약자가 사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등판이 기울어지게 고정된 상태에서 예기치 않은 외력에 의해 상기 캠운동수단의 록킹레버가 젖혀지면 즉시 록킹상태가 해제되면서 등판이 원상태로 복귀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승강수단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회전의자에 있어서 록킹레버를 조작하여 등받이를 뒤로 젖히면 이에 연동되어 좌판의 후방이 동시에 내려가도록 하여 안락감을 향상시키도록 하되 부피를 최소화하여 외관상 미려함을 증대시킬 수 있고, 복수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등받이와 좌판이 기울어진 상태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정된 자세로 편안한 착석감을 얻을 수 있는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결합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서 록킹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4a와 도 4b 및 도 4c는 본 고안에서 등받이와 좌판이 연동되는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절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고정부재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6a와 도 6b는 고정부재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서 좌판의 승강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종래 기술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9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10a는 종래 기술에서 각도조절용 록킹장치가 해제상태에 있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10b는 종래 기술에서 각도조절용 록킹장치가 잠금상태에 있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좌판고정틀 3 ; 하부프레임 4 : 전면커버
5 : 회동간 6 : 등받이 브라켓 7 ; 록킹부재
8 : 승강부재 9 : 고정부재 22 : 측판
24 : 제2회동축 26 ; 상판 32 : 수용부
50 : 고정스프링 52, 54 : 통공 62 : 홀딩축
63 : 회동리브 64 : 제1회동축 72 : 걸림쇠
74 : 록킹레버 82 : 승강레버 92 : 고정레버
94 : 레버축 95 : 고정브라켓 96 : 하우징
97 : 밀편 98 : 고정편체 100 : 고정볼트
150 : 등받이 156 : 등받이 프레임 160 : 좌판
200 : 실린더부 202 : 작동축 204 : 승강축
220 : 관통공 300 : 하부다리 350 : 단턱
352 : 장공 400 : 회동구 402 : 고정홈
404 : 결합부 942 : 끼움턱 952 : 리브
968 : 제1경사면 974 : 제3경사면 980 : 제2경사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등받이와 좌판이 연동되며 하부에 설치된 실린더부의 작동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회전의자에 있어서
좌판의 저면부에 고정되고, 상판에 다수의 고정공이 형성되며 전면에 제2회동축이 형성되어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좌판고정틀; 저면에는 승강축이 입설되고, 후단에는 등받이 브라켓이 제4회동축에 의해 회동되게 결합되며, 전단에는 회동간이 제3회동축에 결합되고, 측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측의 수용부 일측에 걸림구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 상면에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면에 고정되는 전면커버; 상하측 양단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부측 통공에는 제2회동축이 축설되고, 하부측 통공에는 제3회동축이 축설된 회동간; 전면의 회동리브에는 상기 제1회동축과 제4회동축 및 고정스프링의 일단이 걸리는 홀딩축이 축설되고, 후면에는 등받이 프레임과 결합되는 끼움공이 형성된 등받이 브라켓; 후단은 홀딩축에 축설되고 전단에는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걸림구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걸림쇠와, 이 걸림쇠의 하단에 접하며 끝단이 회동구에 고정된 작동편과, 상기 걸림쇠의 상단에 접하는 절곡편을 갖는 록킹레버로 구성되는 록킹부재; 끝단에는 실린더부의 작동축에 접하는 평판부를 가지며 하부프레임 내측벽의 회동구에 끼워지는 누름쇠와, 이의 타단에 구비된 승강레버로 구성되는 승강부재; 상기 고정스프링의 타단부와 결합된 고정편체의 일측 경사면과 접하는 경사면이 내부 일측면에 형성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편체의 타측 경사면에 접하게 한 밀편이 부착된 고정레버가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어 구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에 대한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결합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서 록킹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4a와 도 4b 및 도 4c는 본 고안에서 등받이와 좌판이 연동되는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절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고정부재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6a와 도 6b는 고정부재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서 좌판의 승강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A)를 살펴보면,
상기 좌판고정틀(2)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측판(22) 상부에 좌판(160)의 저면부에 나사로 체결시켜 고정되도록 다수의 고정공(260)이 형성된 상판(26)이 설치되어 있고, 측판(22)의 후단에는 관통공(220)이 각각 형성되며 전단에는 제2회동축(24)이 끼워져 결합된 것으로, 하부프레임(3)의 상부에 덮혀지되 상기 관통공(220)에는 제1회동축(64)이 결합되고, 상기 제2회동축(24)에는 회동간(5)의 상부 통공(52)이 결합된다.
상기 하부프레임(3)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측에 일정 크기의 수용부(32)가 형성되되 이 수용부(32)의 전단에는 제3회동축(34)이 횡으로 설치되고, 후단 하부에는 제4회동축(36)이 각각 횡으로 설치되어 있는 사각통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용부(32)의 내부 일측에는 횡단면이 대략 'ㄴ'자 형상을 가지며 전면과 측면에 각각 단턱(350)을 갖는 장공(352)이 형성된 걸림구(35)가 입설되며, 저면 일측에는 하부다리(300)와 연결되고 실린더부(200)를 갖는 승강축(204)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후단에는 등받이 브라켓(6)이 제4회동축(36)과 회동되게 결합되며, 전단에는 회동간(5)이 제3회동축(34)에 결합되어지고, 양측벽에는 록킹레버(74) 및 승강레버(82)가 끼워지는 관통공(33)(3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승강레버(82)의 관통공(35)이 형성된 측벽에는 상기 록킹레버(74)와 승강레버(82)가 회동하도록 지지해주는 회동구(400)가 설치되는 데, 이 회동구(400)는 도 7에 보이듯이, 일측에는 록킹부재(7)의 작동편(740) 끝단이 끼워지는 고정홈(402)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승강레버(82)의 누름쇠(86)가 관통되는끼움공(도시되지 않음)을 갖는 결합부(404)가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축(204)에 구비된 실린더부(200)의 작동축(202)은 상기 수용부(32) 내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어 누름쇠(86)의 평판부(860)와 접하도록 하였다.
상기 회동간(5)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의 양쪽 끝단에 통공(52)(54)이 형성된 장방형의 편체로써, 상부측 통공(52)에는 상기 제2회동축(24)이 끼워져 결합되고, 하부측 통공(54)에는 제3회동축(34)이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상기 등받이 브라켓(6)이 회동되면 이에 연동되어 좌판고정틀(2)이 회동되도록 하는 연결부재의 역할을 한다.
상기 등받이 브라켓(6)은 전단에는 고정스프링(50)의 일단이 걸리는 홀딩축(62)이 횡으로 설치되고, 그 하부의 회동리브(63)에는 상기 제1회동축(64)과 제4회동축(36)이 각각 횡으로 설치되며, 후방 양측벽에는 등받이(150)의 하측에 설치된 등받이 프레임(156)과 볼트로 결합되도록 다수의 끼움공(6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부재(7)의 걸림쇠(72)는 일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금속편체를 중첩시킨 것으로, 그 후단은 상기 홀딩축(62)에 회동되게 설치되고, 전단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홈(720)이 상기 걸림구(35)의 장공(352)에 관통되도록 설치하되, 걸림쇠(72)의 하단에는 록킹레버(74)의 작동편(740)이 접하도록 하며, 걸림쇠(72)의 상단에는 절곡편(76)이 접하도록 함으로써 도 1 및 도 3a와 도 3b에서 보이듯이, 상기 록킹레버(74)를 내리면 작동편(740)이 하강함과 동시에 절곡편(76)이 걸림쇠(72)를 누르게 하여 걸림홈(720)이 장공(352)의 단턱(350)과 이격되도록 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록킹레버(74)를 올리면 작동편(740)이 걸림쇠(72)를 밀어올리면서 걸림홈(720)이 단턱(350)에 걸리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걸림구(35)의 상단과 작동편(740)에 보조스프링(351)을 설치하여 작동편(740)의 승하강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였다.
상기 승강부재(8)는 끝단에는 실린더부(200)의 작동축(202)에 접하는 평판부(860)를 가지며 하부프레임(3) 내측벽의 회동구(400)에 결합되는 누름쇠(86)가 구비된 승강레버(8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 7에 보이듯이 상기 승강레버(82)를 상방으로 젖히면 상기 누름쇠(86)가 회동구(400)를 통해 회동함으로써, 그 끝단의 평판부(860)가 하강하면서 작동축(202)을 누르도록 하여 실린더부(200)가 승하강 동작을 하도록 하였다.
상기 고정부재(9)는 도 5에 보이듯이, 일단에 끼움턱(942)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나사부(940)가 형성되어 하우징(96) 내에 삽입된 후 사각너트(964)로 고정되는 레버축(94)을 갖는 고정레버(92)와;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경사각이 넓어지도록 한 제1경사면(968)이 내부 일측벽에 형성되고, 그 타측벽에는 가이드홈(962)과 끼움공(960)이 형성되며, 후면의 중심부에 통공(961)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된 사각통체의 하우징(96)과; 판상의 중앙에 통공(950)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삽입공(954)을 갖는 리브(952)가 형성된 고정브라켓(95)과; 중심부에 관통공(982)이 구비되고 양측면에는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각도가 넓어지는 제2경사면(980)이 형성되어, 고정볼트(100)가 상기 관통공(982)에 끼워져 고정스프링(50)의 결합부(502)에 고정됨으로써 하우징(96)에 삽입되는 고정편체(98)와; 일측면에는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각도가 넓어지는 제3경사면(974)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끼움턱(942)이 끼워지는 끼움홈(972)을 갖는 돌기부(970)를 형성하되 이 돌기부(970)가 상기 가이드홈(962)에 삽입되게 하여 하우징(96) 내로 끼워지는 밀편(97);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a 및 도 3b는 록킹부재(7)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록킹레버(74)를 하방으로 내리면 작동편(740)이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절곡편(76)이 걸림쇠(72)를 하방으로 눌러주어 걸림홈(720)이 장공의 단턱(350)과 분리된다.
이후 등받이(150)를 후방으로 밀면 상기 등받이 브라켓(6)이 상기 제4회동축(36)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동되면서 등받이(150)가 뒤로 젖혀지게 되며, 이에 연동되어 상기 제1회동축(64)이 내려가면서 상기 좌판고정틀(2)의 후단을 당기게되므로, 이에 의해 좌판(160)의 후방이 내려감과 동시에 전방은 상부로 들려지게 된다.
이렇게 등받이(150)와 좌판(160)이 연동되고 난 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다시 록킹레버(74)를 상방으로 올려주면 작동편(740)이 상승하면서 걸림쇠(72)를 상방으로 밀어올려주게 되어 상기 걸림홈(720)이 장공(352)의 단턱(350)과 결합됨으로써 고정된다.
상기 고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고정부재(9)의 고정레버(92)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도 6b에서 보이듯이, 레버축(94)이 전진함에 따라 그 끝단의 밀편(97)도 전진하게 되고, 밀편(97)의 제3경사면(974)이 고정편체(98)의 제2경사면(980)을 밀게되므로 결국 고정편체(98)가 외측으로 밀려남과 동시에 고정스프링(50)이 인장되면서 상기 등받이 브라켓(6)의 홀딩축(62)을 당겨주게 된다.
이렇게 홀딩축(62)이 당겨지면 이의 일측에 설치된 걸림쇠(72)도 당겨지게 되므로 그 끝단의 걸림홈(720)이 장공(352)의 단턱(350)과 더욱 강하게 밀착됨으로써 외부에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절대로 상기 걸림쇠(72)와 걸림구(35)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지 않아 부주의로 록킹레버(74)를 내리더라도 고정상태는 여전히 지속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역으로 등받이(150)의 각도를 변경하고자 할 때는 상기 고정레버(92)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밀편(97)이 후진하면서 고정편체(98)와 이격되며, 동시에 고정스프링(50)의 수축장력에 의해 상기 고정편체(98)가 하우징(96)의 내측으로 유입되어지고, 고정스프링(50)의 수축됨으로써 홀딩축(62)이 원래 상태로 복귀됨에 따라 걸림쇠(72)를 당기고 있는 힘이 없어지게 된다.
이렇게 고정스프링(50)의 인장력이 제거되었더라도 상기 걸림홈(720)은 여전히 고정스프링(50)의 장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단턱(350)에 걸려있으므로 불시에 록킹레버(74)및 작동편(740)이 하강하더라도 걸림쇠(72)와 걸림구(35)의 고정상태는 그대로 유지되므로 등받이가 회동되는 폐단은 배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등받이(150)를 다시 회동시키기 위해서는 록킹레버(74)를 하방으로 내린 상태에서 등받이(150)를 뒤로 살짝 밀었다가 놓으면 순간적으로 고정스프링(50)이 인장되면서 상기 걸림홈(720)과 단턱(350)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걸림쇠(72)가 하강하게 되어 비로소 등받이(15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승강레버(82)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누름쇠(86)가 회동구(400) 내에서 회동하면서, 그 끝단의 평판부(860)가 작동축(202)을 누르게 되므로 실린더부(200)의 승하강동작이 이루어지게 한 것으로, 이는 통상의 가스실린더식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원리와 구조를 따른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에 의하면 승강수단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통상의 회전의자에 있어서 록킹레버를 조작하여 등받이를 뒤로 젖히면 이에 연동되어 좌판의 후방이 동시에 내려가도록 하여 안락감을 향상시키도록 하되 구성부품을 최소화하여 외관상 미려함을 증대시킬 수 있고, 고정부재와 록킹부재에 의해 등받이와 좌판의 경사각도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정된 자세로 편안한 착석감을 얻을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등받이와 좌판이 연동되며 하부에 설치된 실린더부의 작동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회전의자에 있어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측판(22)의 상부에는 좌판(160)의 저면부에 나사로 체결시켜 고정되도록 다수의 고정공(260)이 형성된 상판(26)이 설치되어 있고, 측판(22)의 후단에는 관통공(220)이 각각 형성되며 전단에는 제2회동축(24)이 끼워져 결합된 것으로, 하부프레임(3)의 상부에 덮혀지되 상기 관통공(220)은 제1회동축(64)과 결합되고, 상기 제2회동축(24)에는 회동간(5)의 상부 통공(52)이 결합되어 하부프레임(3)의 상부에 설치되어 등받이 브라켓(6)과 연동되어 회동되는 좌판고정틀(2);
    내측에 수용부(32)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사각통체로써 수용부(32)의 내부 일측에는 전면과 측면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장공(352)이 형성된 걸림구(35)가 입설되며, 저면 후방에는 실린더부(200)의 작동편(740)이 돌출되어져 있고, 상기 작동편(740)의 하부에는 하부다리(300)와 연결된 승강축(204)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후단에는 등받이 브라켓(6)과 결합되는 제4회동축(36)이 설치되며, 전단에는 회동간(5)의 하부 통공(54)과 결합되는 제3회동축(34)이 설치되고, 양측벽에는 록킹레버(74) 및 승강레버(82)가 관통되게 끼워지는 관통공(33)(35)이 형성되며, 일측벽에는 상기 록킹레버(74)와 승강레버(82)가 회동하도록 지지해주는 회동구(400)가 설치된 것으로, 승강축(204)의 상단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3);
    상면에 다수의 결합공(42)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3)의 전면에 고정되는 전면커버(4);
    상하부의 양쪽 끝단에 통공(52)(54)이 형성된 장방형의 편체로써, 상부측 통공(52)에는 제2회동축(24)이 끼워져 결합되고, 하부측 통공(54)에는 제3회동축(34)이 끼워져 결합되어 있어, 등받이 브라켓(6)이 회동되면 이에 연동되어 좌판고정틀(2)이 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회동간(5);
    전단에는 고정스프링(50)의 일단이 걸리는 홀딩축(62)이 설치되고, 그 하부의 회동리브(63)에는 제1회동축(64)과 제4회동축(36)이 설치되어, 등받이 프레임(156)이 결합되는 등받이 브라켓(6);
    일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금속편체를 중첩시킨 것으로, 후단부는 상기 홀딩축(62)에 회동되게 설치되고, 전단부에는 다수의 걸림홈(720)이 형성된 걸림쇠(72)가 상기 걸림구(35)의 장공(352)에 관통되도록 설치하되, 걸림쇠(72)의 하단에는 록킹레버(74)의 작동편(740)이 접하도록 하며, 걸림쇠(72)의 상단에는 절곡편(76)이 접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걸림구(35)의 상단과 작동편(740) 간에 보조스프링(351)이 탄설되어 된 록킹부재(7);
    끝단에는 실린더부(200)의 작동축(202)에 접하는 평판부(860)를 가지며 하부프레임(3) 내측벽의 회동구(400)에 끼워져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쇠(86)가 구비된 승강레버(82)로 이루어져 실린더부(200)을 작동을 제어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 승강부재(8);
    일단에 끼움턱(942)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나사부(940)가 형성되어하우징(96) 내에 삽입된 후 사각너트(964)로 고정되는 레버축(94)을 갖는 고정레버(92)와,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경사각이 넓어지도록 한 제1경사면(968)이 내부 일측벽에 형성되고, 그 타측벽에는 가이드홈(962)과 끼움공(960)이 형성되며, 후면의 중심부에 통공(961)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된 사각통체의 하우징(96)과,
    판상의 중앙에 통공(950)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삽입공(954)을 갖는 리브(952)가 형성된 고정브라켓(95)과,
    중심부에 관통공(982)이 구비되고 양측면에는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각도가 넓어지는 제2경사면(980)이 형성되어, 고정볼트(100)가 상기 관통공(982)에 끼워져 고정스프링(50)의 결합부(502)에 고정됨으로써 하우징(96)에 삽입되는 고정편체(98)와,
    일측면에는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각도가 넓어지는 제3경사면(974)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끼움턱(942)이 끼워지는 끼움홈(972)을 갖는 돌기부(970)를 형성하되 이 돌기부(970)가 상기 가이드홈(962)에 삽입되게 하여 하우징(96) 내로 끼워지는 밀편(97)으로 구성되는 고정부재(9);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구(400)는 일측에는 록킹부재(7)의 작동편(740) 끝단이 끼워지는 고정홈(402)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승강레버(82)의 누름쇠(86)가 관통되는 끼움공을 갖는 결합부(404)가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35)는 걸림쇠(72)의 전단부가 끼워진 채 걸림홈(720)과 결합, 분리가 가능하도록 전면과 측면에 각각 단턱(350)을 갖는 장공(352)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
KR2020020022661U 2002-07-29 2002-07-29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 KR2002925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661U KR200292591Y1 (ko) 2002-07-29 2002-07-29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661U KR200292591Y1 (ko) 2002-07-29 2002-07-29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591Y1 true KR200292591Y1 (ko) 2002-10-28

Family

ID=73126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661U KR200292591Y1 (ko) 2002-07-29 2002-07-29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591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653B1 (ko) 2005-05-16 2007-02-05 기 석 우 다기능 의자
KR100791451B1 (ko) 2007-10-05 2008-01-04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어셈블리
KR101028731B1 (ko) 2010-11-30 2011-04-14 주식회사 대하정공 다기능 의자 어셈블리
KR101473649B1 (ko) 2013-07-15 2014-12-17 박보인 등받이 의자의 높낮이 겸용 틸팅장치
KR101560750B1 (ko) * 2015-01-30 2015-10-14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CN109864480A (zh) * 2019-03-08 2019-06-11 浙江粤强家具科技有限公司 转椅及其靠背和坐板的联动机构
KR102217014B1 (ko) * 2020-07-30 2021-02-19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의 틸팅 자세 조절기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653B1 (ko) 2005-05-16 2007-02-05 기 석 우 다기능 의자
KR100791451B1 (ko) 2007-10-05 2008-01-04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어셈블리
KR101028731B1 (ko) 2010-11-30 2011-04-14 주식회사 대하정공 다기능 의자 어셈블리
KR101473649B1 (ko) 2013-07-15 2014-12-17 박보인 등받이 의자의 높낮이 겸용 틸팅장치
KR101560750B1 (ko) * 2015-01-30 2015-10-14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CN109864480A (zh) * 2019-03-08 2019-06-11 浙江粤强家具科技有限公司 转椅及其靠背和坐板的联动机构
CN109864480B (zh) * 2019-03-08 2023-12-22 浙江粤强家具科技有限公司 转椅及其靠背和坐板的联动机构
KR102217014B1 (ko) * 2020-07-30 2021-02-19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의 틸팅 자세 조절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7445A (en) Chair
US5244253A (en) Height adjustment control for a chair
JP4133067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KR200292591Y1 (ko)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
CS322391A3 (en) Stool seat adjustable mechanism
JP4160742B2 (ja) ロッキング椅子
US5197781A (en) Reclining apparatus
JP4153740B2 (ja) 椅子における座の前後摺動装置
JPH0224527B2 (ko)
JPH0221964Y2 (ko)
KR200411915Y1 (ko) 의자용 팔걸이 높이 조절 장치
KR200292593Y1 (ko) 의자용 팔걸이
KR200250654Y1 (ko) 의자의 각도조절용 록킹장치
JPH11253264A (ja) 椅子の支持機構
KR200227021Y1 (ko) 낚시용 의자
JP3244406U (ja) ドライブ・バイ・ワイヤートレイ及びチェア
JP3118362U (ja) 椅子の調整式背もたれの連動調整構造
KR200170711Y1 (ko) 어깨받침대와 허리받침대의 젖힘각이 상이하게 작동되는 의자
JPH0440530Y2 (ko)
KR200342419Y1 (ko) 의자용 승강 팔걸이
US20240138572A1 (en) Interlocking mechanism for seat and back of chair
JP4199965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JPH0450841Y2 (ko)
KR102104759B1 (ko) 요추전만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각도조절식 의자용 좌판
CN220369738U (zh) 一种重力自适应靠背连动机构及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