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047Y1 - 마개를 구비한 캔 - Google Patents

마개를 구비한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047Y1
KR200292047Y1 KR2020020020160U KR20020020160U KR200292047Y1 KR 200292047 Y1 KR200292047 Y1 KR 200292047Y1 KR 2020020020160 U KR2020020020160 U KR 2020020020160U KR 20020020160 U KR20020020160 U KR 20020020160U KR 200292047 Y1 KR200292047 Y1 KR 2002920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topper
cover
tab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1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재춘
Original Assignee
허재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재춘 filed Critical 허재춘
Priority to KR2020020020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0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0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047Y1/ko

Links

Landscapes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게 캔의 내용물을 음용하거나 섭취할 수 있고 나머지는 안정적으로 보관한 후 다시 취식할 수 있어 내용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캔을 제공한다. 그 캔은 내용물이 충진되는 본체; 그 본체의 상부를 폐쇄하고 사용시 개구부를 형성하는 개봉부를 구비하는 커버; 그 커버의 개봉부를 가압하여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당길 수 있는 손잡이부와, 개봉부를 가압하기 위한 단부를 일체로 구비하며, 커버의 중앙에 리벳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탭; 및 그 탭의 손잡이부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를 재밀폐하기 위한 마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마개를 구비한 캔{A can with cap}
본 고안은 마개를 구비한 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캔에 수용된내용물의 일부만을 음용하거나 사용한 후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도록 개구부를 임시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마개를 구비한 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한적이진 않지만 음료수, 주류 등과 같은 액체는 유리병, 종이 또는 합성수지팩, 캔 등과 같이 다양한 용기에 담겨져 소비자에게 공급되거나 판매되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성, 재활용성, 보관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알루미늄과 같은 캔이 용기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음료용 캔은 음료수 또는 주류를 담을 수 있는 원통형의 본체(1)와, 그 원통형 본체(1)의 상부를 폐쇄함은 물론 내용물을 배출해낼 수 있는 개봉부(2)가 형성된 커버(3)가 일체로 구비된다. 개봉부(2)는 완전히 절개되지 않은 절취선으로 형성되며, 가압되면 완전 절개되어 완전한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물론, 이 개봉부(2)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커버(3)의 중앙에는 개봉부(2)를 가압하여 개방시키기 위한 탭(4)이 구비된다. 탭(4)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당길 수 있도록 손잡이부(4a)를 구비한다. 탭(4)은 리벳(5)에 의해 지렛대 방식으로 작용되어 개봉부(2)를 가압하기 위한 단부(4b)를 구비된다. 물론, 탭(4)은 리벳(5)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도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탭(4)의 손잡이(4a)를 잡아 당기면 단부(4b)에 의해 개봉부(2)가 하방으로 가압되어 개봉되어 개구부가 형성되며, 이 개구부를 통해 본체(1)내의 내용물을 취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캔들은 다소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먼저, 사용자가 내용물을 모두 음용하지 못하여 본체내에 내용물이 남아있는 경우 이의 보관 또는 휴대가 안전하지 못할 뿐 아니라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무리를 해서 내용물을 모두 섭취하거나 또는 버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봉부를 폐쇄하기 위한 별도의 탭을 구비하거나 또는 커버 전체를 폐쇄하거나 차폐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를 구비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해결책들은 그 구조 또는 구성이 복잡할 뿐 아니라 제조비가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남아있는 내용물을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는 마개를 구비한 캔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 및 사용이 간단하고 제조비가 저렴한 마개를 구비한 캔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캔의 뚜껑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개를 구비한 캔을 보여주는 부분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캔에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캔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4의 선a-a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20 : 커버
22 : 개봉부 30 : 탭
32 : 손잡이부 34 : 단부
40 : 마개 42 : 몸체
이 같은 목적들은, 내용물이 충진되는 본체; 그 본체의 상부를 폐쇄하고 사용시 개구부를 형성하는 개봉부를 구비하는 커버; 그 커버의 개봉부를 가압하여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당길 수 있는 손잡이부와, 커버의 개봉부를 가압하기 위한 단부를 일체로 구비하며, 커버의 중앙에 리벳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탭; 및 그 탭의 손잡이부에 구비되며, 개구부를 재밀폐하기 위한 마개를 포함하는 캔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마개는 개봉부에 대응하게 형성되며 탄성을 지닌다.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마개는 상기 커버의 개구부의 폐쇄시 상기 개구부 내부로 삽입되는 몸체와, 그 몸체의 주변 전체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주변을 포위하는 에지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마개는 탭의 손잡이부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를 일체로 더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마개를 구비한 캔은 전술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음료수 또는 주류를 담을 수 있는 원통형의 본체(10)를 구비한다. 물론, 이 같은 본체는 알루미늄 또는 다른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체(10)의 상부에는 그 본체의 내부를 폐쇄하기 위해 일체로 형성되는 커버(20)가 구비된다. 커버(20)에는 본체(10)에 담겨지거나 충전된 내용물을 배출해낼 수 있는 개봉부(22)가 형성된다. 물론, 개봉부(22)는 완전히 절개되지 않은절취선으로 형성되고, 가압시 본체(10)의 내부로 절곡되어 완전히 개방되는 개구부(22a)를 형성하도록 형성되며, 이 개봉부(22)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20)의 중앙에는 개봉부(22)를 가압하여 개방시키기 위한 탭(30)이 구비된다. 탭(30)에는 물론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당길 수 있도록 손잡이부(32)를 구비한다. 탭(30)은 리벳(34)에 의해 지렛대 방식으로 작용되어 개봉부(22)를 가압하기 위한 단부(36)가 구비된다. 물론, 탭(30)은 리벳(34)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캔의 탭(30)에는 개방된 개봉부(22)를 임시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마개(40)가 제공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마개(40)는 탭(30)의 손잡이부(32)의 배면, 즉, 손잡이부(32)의 커버(20)를 향하는 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일체로 부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마개(40)는 물론 개봉부(22) 또는 개구부(22a)에 대응하게 형성되며, 그 크기는 개봉부(22) 또는 개구부(22a)를 완전하게 밀폐할 수 있도록 그것들 보다 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개(40)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며, 다소의 탄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금속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마개(40)의 상부에 삽입부(40a)가 형성되어 손잡이부(32)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마개(40)가 탭(30)에 구비되도록 구성되었으나, 접착제 또는 다른 부착수단을 이용하여 마개(40)를 탭(30)에 일체화시킬 수 도 있다.
또한, 마개(40)는 주변이 다소의 깊이로 개봉부(22)의 내부로 삽입되는몸체(42)와 그 몸체(42)의 주변 전체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에지(4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마개를 구비한 캔의 사용방법 및 작용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캔에 담겨진 내용물을 음용하거나 취식하려 하는 경우 탭(30)의 손잡이부(32)를 잡아 당기면 탭(30)의 단부(36)가 개봉부(22)를 가압하게 된다. 개봉부(22)가 가압되면 절취부가 완전히 절취됨과 동시에 그 개봉부(22)가 본체(10)의 내부로 절곡되어 완전히 개방된 개구부(22a)를 형성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개구부(22a)를 통해 내용물을 음용하거나 섭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 또는 음용자가 캔의 내용물을 모두 섭취하지 않고 일부만을 섭취하고 추후에 섭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탭(30)을 회전시켜 손잡이부(32)를 개구부(22a)의 상부에 위치시켜, 결국 마개(40)를 개구부(22a)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부(32)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마개(40)의 몸체(42)가 개구부(22a)로 삽입되어 개구부가 폐쇄된다. 이때, 몸체(42)의 주변에 일체로 형성된 에지(44)는 개구부(22a)의 주변을 포위하는 방식으로 개구부(22a)를 밀폐함으로써 더욱 완전한 재밀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개구부가 재밀봉되면, 사용자는 캔을 임의로 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개구부의 거의 완전한 밀봉이 이루어져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을 뿐 아니라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캔의 내용물을 다시 섭취하거나 음용하는 경우에는 탭(30)의 손잡이부(32) 또는 마개(40)를 잡아당기면, 마개(40)의 몸체(42)가 개구부(22a)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에지(44)와 개구부의 주변과의 접촉이 해제되어 개구부(22a)가 재개봉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탭(30)의 손잡이(32)를 잡고 리벳(34)을 중심축으로 하여 다시 회전시켜 원위치로 복귀 시키면 개구부(22a)가 완전히 개방되게 되므로 본체(10)내의 내용물을 다시 취식하거나 음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 또는 음용자는 캔의 내용물을 자신의 기호에 적합하게 적당량을 선택적으로 정하여 취식하거나 음용할 수 있으며, 나머지는 변질 또는 누출을 방지하는 상태로 안정적으로 보관된 후 추후에 다시 음용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마개를 구비한 캔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게 캔의 내용물을 음용하거나 섭취할 수 있고 나머지는 안정적으로 보관한 후 다시 취식할 수 있어 내용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개는 구조 및 사용이 간단하고 제조비가 저렴하며 다양한 용기에 용이하게 채택할 수 있어 적용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4)

  1. 내용물이 충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를 폐쇄하고 사용시 개구부를 형성하는 개봉부를 구비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개봉부를 가압하여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당길 수 있는 손잡이부와, 상기 개봉부를 가압하기 위한 단부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커버의 중앙에 리벳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탭; 및
    상기 탭의 손잡이부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를 재밀폐하기 위한 마개를 포함하는 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개봉부에 대응하게 형성되며 탄성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커버의 개구부의 폐쇄시 상기 개구부 내부로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주변 전체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주변을 포위하는 에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탭의 손잡이부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를 일체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KR2020020020160U 2002-07-05 2002-07-05 마개를 구비한 캔 KR2002920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160U KR200292047Y1 (ko) 2002-07-05 2002-07-05 마개를 구비한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160U KR200292047Y1 (ko) 2002-07-05 2002-07-05 마개를 구비한 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047Y1 true KR200292047Y1 (ko) 2002-10-18

Family

ID=73125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160U KR200292047Y1 (ko) 2002-07-05 2002-07-05 마개를 구비한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0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801A (ko) * 2019-03-14 2020-09-23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캔뚜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801A (ko) * 2019-03-14 2020-09-23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캔뚜껑
KR102177422B1 (ko) * 2019-03-14 2020-11-1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캔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9207A (en) Lidded insulator for a beverage container
CA2662232A1 (en) Portable food dispenser
GB2426970A (en) Reclosable container such as a drink can
US5346088A (en) Reusable beverage can cap
US9821936B1 (en) Bottle cap with integrated bottle opener
KR200292047Y1 (ko) 마개를 구비한 캔
US5221020A (en) Reusable beverage can cap
US10562665B2 (en) Resealable beverage can lid
AU2015236984B2 (en) Overcap having means which facilitate the opening of a container and the subsequent direct consumption of the content thereof
KR20220084491A (ko) 밀폐용 용기커버
US10597192B2 (en) Resealable beverage can lid
EP1228981A1 (fr) Recipient muni d'un dispositif d'extraction automatique d'une paille
US11273952B1 (en) Safely SIP TM anti-cut seal
US10676237B2 (en) Resealable beverage can lid
KR200319828Y1 (ko) 캔용기용 마개
US7757889B1 (en) Sealing and reopening device for opened aluminum beverage cans
KR200292087Y1 (ko) 맥주캔
KR200345971Y1 (ko) 개봉탭이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음료수 캔
JP2019018886A (ja) 蓋取り機能付簡易開閉キャップ
WO2006054322A1 (en) Plastic bottles and containers with cups incorporated
KR20120000314A (ko) 원터치 개봉수단이 구비된 병뚜껑
JPH10264931A (ja) リシールキャップ付飲料缶
KR200381445Y1 (ko) 음료유도부재가 내장된 음료용 캔
JP2008133018A (ja) 包装容器
JP2001106250A (ja) シール用フィルム付ヒンジ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