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918Y1 - A charnel house - Google Patents

A charnel ho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918Y1
KR200291918Y1 KR2020020020940U KR20020020940U KR200291918Y1 KR 200291918 Y1 KR200291918 Y1 KR 200291918Y1 KR 2020020020940 U KR2020020020940 U KR 2020020020940U KR 20020020940 U KR20020020940 U KR 20020020940U KR 200291918 Y1 KR200291918 Y1 KR 2002919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amily
wall
widthwise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94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재혁
Original Assignee
진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재혁 filed Critical 진재혁
Priority to KR2020020020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91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9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918Y1/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한 망자의 유골을 보관하는 가족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풍로와 하향경사면을 형성하여 통풍 및 방습효과가 뛰어나고 외관이 미려한 가족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mily ossuary grave that stores the remains of a cremated dea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mily ossuary grave having excellent ventilation and moisture-proof effect and beautiful appearance by forming a ventilation path and a downward slope.

Description

가족 납골묘{A charnel house}Family Charoid Graveyard {A charnel house}

본 고안은 화장한 망자의 유골을 보관하는 가족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풍로와 하향경사면을 형성하여 통풍 및 방습효과가 뛰어나고 외관이 미려한 가족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mily ossuary grave that stores the remains of a cremated dea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mily ossuary grave having excellent ventilation and moisture-proofing effect and beautiful appearance by forming a ventilation path and a downward slope.

납골묘란 분묘 그밖의 형태로된 것으로 납골당이나 납골탑외의 납골시설을 말하며, 납골탑이란 탑의 형태로 된 납골시설을 말한다.Ossuary is a form of tombs and other forms, which means the ossuary facility other than the ossuary or the ossuary pagoda. The ossuary pagoda is the ossuary facility in the form of a tower.

매장의 경우는 납골시설이 아니며 매장과 납골하는 시설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각각 분리하여 분묘 및 납골시설로 본다.In the case of burial, it is not an ossuary facility, and in the case of a complex of burial and ossuary facilities, each is considered as a graveyard and an ossuary.

납골묘의 종류는 그 설치 주체에 따라 개인 또는 가족납골묘, 종중 ·문중 납골묘, 종교단체에서 설치하는 납골묘, 재단법인이 설치하는 납골묘로 되어있다.The type of ossuary is divided into individual or family ossuary, sculptural and cryptic ossuary, ossuary graves installed by religious organizations, and ossuary graves installed by foundation.

현재 우리나라의 묘지면적은 국토의 1%인 982㎢에 이르고 있는데, 이는 서울시 면적의 1.5배에 달하며 또 매년 20여만기의 분묘가 발생, 여의도 면적의 약 1.2배가 되는 면적이 묘지로 변하고 있다.Currently, Korea's cemetery area is 982㎢, which is 1% of the national territory, which is 1.5 times larger than Seoul's area, and about 200,000 graves are generated every year, which is about 1.2 times larger than Yeouido's area.

따라서 이로 인한 국토의 황폐화와 자연훼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국가적인 차원에서 납골묘를 권장하고 있다.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ossuary graves at the national level to prevent land degradation and natural damage caused by this.

납골묘는 분산되어있는 선조의 묘를 한곳에 이장함으로써 성묘 및 관리가 편리하며, 시한부 매장제도에 저촉을 받지 않고, 또한 한번의 시공으로 기존 묘지 1기의 면적만을 사용하면서도 3-4대(30여기 정도)의 묘지문제가 해결되며, 갑작스럽게 상을 당해도 비용이나 장지문제의 고민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가장 바람직한 장묘문화로 제안되고 있는 것이다.The ossuary is easy to manage and manage by distributing dispersed ancestral tombs in one place. It is not affected by the time limit burial system, and it uses only 3 areas of existing cemetery in one construction. The cemetery problem is solved and it is suggested as the most desirable funeral culture because it can solve the problem of cost and burial problem even if you are suddenly rewarded.

그러나, 이와 같은 많은 장점을 갖고 있는 가족 납골묘는 아직, 초기단계라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However, family ossuary graves with many of these advantages are still at an early stage and have many problems.

그 중에서도 특히 습기나 우수로 인한 피해가 가장 심하며, 그 다음으로 내구성의 문제가 있다.Among them, the damage caused by moisture or rain is the most severe, followed by the problem of durability.

납골묘 내부에 습기가 침습되어 있으면, 골회의 부패, 악취 및 곰팡이 발생이나 유골을 훼손하는 해충번식 등의 심각한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If moisture is infiltrated inside the ossuary, serious problems such as decay of bones, odors and molds, and pest breeding that damage bones may occur.

이와 같은 점에서 종래의 가족 납골묘는 우수등의 침입이나 지중에서 올라오는 습기를 적절하게 차단 및 제거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갖고있는 것이다.In this regard, the conventional family crypts have problems of not properly blocking and removing invasion of rainwater or rising moisture from the groun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족 납골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상하로 자연스럽게 통풍로가 형성되고 우수의 침입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는 가족 납골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family chalcedony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e provision of the family crypts that can be formed naturally ventilated up and down and the infiltration of rainwater can be effectively blocked.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골분의 수납과 납골실의 개폐가 용이하면서도 외관이 미려한 가족 납골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mily ossuary grave, which is easy to store bones and to open and close the ossuary chamber, but has a beautiful appearanc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고안의 일부의 문 및 빗장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state of removing the door and the latch of a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고안의 측면도2 is a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고안의 횡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고안의 종단 측단면도Figure 4 is a longitudinal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은 본 고안의 문의 상태도5 is a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고안의 빗장의 상태도Figure 6 is a state diagram of the l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고안의 문의 설치 상태도7 is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본 고안의 빗장의 설치 상태도8 is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l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본 고안의 문의 정면모습을 보여주는 도면9 is a view showing a front view of the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10 is a sectional view of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꺽쇠 및 엥커볼트의 상태도11 is a state diagram of a clamp and an anchor bolt;

도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부 상태도12 is a main state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바닥석판 20: 하부지지석10: bottom slab 20: lower support stone

30: 지지기둥 40: 측면판30: support pillar 40: side plate

50:중앙분리벽 60: 폭방향 분리벽50: center separation wall 60: widthwise separation wall

70: 상부지지석 80: 덮개70: upper support 80: cover

90: 문 100: 상하구획판90: Moon 100: Up-and-down compartment

130: 빗장130: latch

본 고안은 도1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인 지지대의 역할을 하는 바닥석판(10)과; 상기 바닥석판의 중앙 및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하부지지석(20)과; 상기 하부지지석의 귀퉁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기둥(30)과; 길이방향 양쪽 외측면을 폐쇄시키도록 상기 지지기둥(30) 사이에 설치되는 양쪽의 측면판(40)과; 상기 바닥석판의 중앙의 하부지지석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중앙 분리벽(50)과: 상기 중앙 분리벽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를 다수의 격실(납골실, 개별 골분단지 수납실)로 구획하는 폭방향 분리벽(60)과;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에 지지되어 설치되되 상부의 태두리를 형성하도록 상기 하부지지석과 대응하는 상방향의 위치에 설치되는 상부지지석(70)과; 상기 상부지지석의 상부를 덮는 덮개(80)와; 상기 폭방향 분리벽의 외측 개방단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문(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4, and the bottom slab 10 to serve as an overall support; A lower support stone 20 installed along the center and the edge of the bottom slab; A support pillar 30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corner of the lower support stone; Both side plates (40)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columns (30) to close both outer side surfac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entral dividing wall 50 vertically installed on the lower support stone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lab and installed at right angles to the central dividing wall, the width dividing the interior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ceil chamber, individual bone compartment storage compartment); A directional partition wall 60; An upper support stone 70 supported and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illar, and installed at an upper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pport stone to form an upper edge thereof; A cover 80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stone; It comprises a plurality of doors 90 are installed to close the outer open end of the widthwise separation wall.

상기 폭방향 분리벽(60)은 그 상면과 중앙 분리벽(50)을 서로 고정하도록 꺽쇠(62)에 앵커볼트(61)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즉, 꺽쇠(62)의 일측면을 앵커볼트(61)로 폭방향 분리벽(60)의 일측 가장자리 상면에 고정하고, 꺽쇠(62)의 타측면을 앵커볼트로 중앙 분리벽(50)에 고정함으로써 중앙 분리벽을 고정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dthwise separation wall 60 is fixed by fastening the anchor bolts 61 to the brackets 62 to fix the upper surface and the center separation wall 50 to each other. That is, one side of the clamp 62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edge of the widthwise separation wall 60 by the anchor bolt 61, and the other side of the clamp 62 is fixed to the central separation wall 50 by the anchor bolt. It is preferable to fix the central partition wall.

또한 상기 격실을 상하로 구획하도록 상기 폭방향 분리벽(60)에 상하 구획판(100)이 설치되되 상기 상하 구획판(100)은 상기 폭방향 분리벽(60)에 고정한 앵커볼트(65)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격실의 저부에는 상기 중앙 및 가장자리의 하부지지석(20)에 얹혀져서 그 하부로 하부 통풍로가 형성되게 되는 바닥구획판(11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 plates 100 are installed in the widthwise partition wall 60 so as to partition the compartment up and down, but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 plates 100 are anchor bolts 65 fixed to the widthwise partition wall 60. It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bottom compartment plate 110 which is mounted on the lower support stone 20 of the center and the edge to the bottom of the compartment to form a lower ventilation path below.

상기 상하구획판(100)과 바닥구획판(110)의 상부에는 크기가 절반인 상하구획판(100`) 및 바닥구획판(110`)을 뒷쪽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2단으로 형성하여 골분단지를 전후 2단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upper and lower compartment plate 100 and the bottom compartment plate 110 is formed in two stages by installing the top and bottom compartment plate 100` and the bottom compartment plate 110` which are half in size at the back, respectively, to form a bone partition. It is more preferable to be able to accommodate two stages before and after.

상기 바닥석판(10)의 하부지지석(20)이 얹혀지는 면에는 납골묘 내부의 습기나 물기가 배출될 수 있는 물기 배출홈(11)을 형성하는 더 바람직하다.(도10 참조)The bottom support stone 20 of the bottom slab 10 is more preferable to form a water discharge groove 11 that can be discharged moisture or water inside the crypts (see Figure 10).

상기 물기 배출홈은 작고 길게 형성하되 상기 하부지지석을 따라 그 하방에 다수개를 형성하며, 각각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납골묘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The water discharge groove is formed to be small and long, but a plurality of the lower portion is formed along the lower support stone, each of which may be form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inside from the inside of the ossuary).

상기 중앙분리벽(50)의 상단은 상기 덮개(80)의 하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설치되어 상부 통풍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upper end of the central dividing wall 50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8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to secure an upper ventilation space.

즉, 폭방향 양쪽으로 격실을 구획하는 중앙분리벽(50)의 상단면이 덮개(80)의 하면 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중앙분리벽의 위쪽으로 폭방향 양쪽의 격실이 서로 통하도록 하여 격실 간의 공기가 서로 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central partition wall 50 that partitions the compartments in both width directions is formed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80, so that the compartments in both width directions pass through the center partition walls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air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또한 도3 내지 도9에서와 같이, 상기 문(90)들의 서로 마주하는 여닫히는 쪽의 선단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의 바깥쪽에는 빗장(130)이 상부지지석(70)과 하부지지석(20)에 그 상단부와 하단부가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3 to 9, the front ends of the doors 90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outer side of the space is provided with a latch 130 is an upper support stone ( 70) and the lower support stone 20 is preferably installed so th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are inserted.

즉, 문이 여닫히는 선단부를 빗장을 이용하여 외부 마감하는 동시에 문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front end of the door is closed to the outside by using a latch to protect the door at the same time.

상기 문(90)들의 서로 마주하는 여닫히는 쪽의 선단과 상기 폭방향 분리벽(60)의 바깥쪽 선단에는 서로 대응하는 자물쇠고리(91,67)가 형성되어 이곳에 자물쇠를 채울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doors 90 facing each other and the outer ends of the widthwise separation walls 60 are formed with lock rings 91 and 67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as to fill the locks therein. It is preferable.

즉, 문(90)의 자물쇠고리(91)와 폭방향 분리벽(60)의 자물쇠고리(67)는 서로 포개어 지며, 그 사이 구멍으로 자물쇠(3)를 끼워서 채움으로써, 문을 잠글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That is, the lock ring 91 of the door 90 and the lock ring 67 of the separation wall 60 in the width direction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and the lock ring 3 is inserted into the hole therebetween, so that the door can be locked. will be.

바람직하게는 공간의 효율을 높히기 위해서는 그 여닫히는 쪽 선단이 서로 마주하는 두개의 문에 설치된 자물쇠고리(91)가 함께 포개어져 폭방향 분리벽의 자물쇠고리(67)에 끼워지며 이곳에 자물쇠(3)를 채워 두개의 문을 함께 잠그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또는 문마다 별개로 폭방향 분리벽의 외측 선단면에 설치된 자물쇠고리에 끼워져서 자물쇠로 채울 수 있도록(이 경우는 문마다 하나의 자물쇠가 채워지게 됨)구성할 수 있다.Preferably,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pace, the lock rings 91 installed on the two doors whose opening ends face each other are superimposed together and fitted to the lock rings 67 of the widthwise separation wall, where the locks (3) ) So that the two doors can be locked together, or they can be inserted into a lock ring installed on the outer end of the width-separating wall separately so that it can be filled with a lock (in this case one lock Can be configured).

상기 문(90)의 상하단에는 각각 앵커볼트(93)를 체결하여 각각의 앵커볼트(93)가 상부지지석과 하부지지석의 상면 및 하면에 끼워져서 문이 회전가능토록 고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nchor bolts 93 are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oor 90, respectively, so that the anchor bolts 93 are fitt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upper support seat and the lower support seat so that the door is rotatably fixed.

이때 하부의 앵커볼트에는 와셔를 끼워서 문과 하부지지석이 직접 마찰되지 않도록 할 수 도 있다.At this time, by inserting the washer in the anchor bolt of the lower door may not be directly rubbed with the support stone.

본 고안은 바닥구획판(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통풍로와 중앙분리벽(50)의 상부로 형성된 상부통풍로를 통하여 납골묘 내부의 공기가 격실간 서로 통풍되며, 문 등의 미세한 틈새를 통하여 외기와 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side the crypts is ventilated between compartments through the lower ventilation path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partition plate 110 and the upper ventilation path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central separation wall 50, and a minute gap such as a door is formed. Through the outside can communicate with.

도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석판(10)의 하부지지석(20)과 접하는 바깥쪽의 가장자리부분은 하향경사면(11)으로 형성되어 비바람이 하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 것이다.12 is a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bottom slab 1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pport stone 20 is formed as a downward inclined surface 11 to prevent the rainstorm from flowing into the lower portion.

즉, 상기와 같이 바닥석판의 가장자리를 경사면으로 함으로써, 납골묘 내부의 물기는 배출이 잘 되며, 외부의 우수등은 침입하기 어렵게 된다.That is, by making the edge of the bottom slab as an inclined surface as described above, the moisture inside the crypt is well discharged, and the external rainwater is difficult to invade.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납골묘 내의 통풍이 원할하며, 습기의 배출이 용이하고, 외부의 우수가 침입하지 못하여, 보관된 골분이 양호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될 수 있게되며,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good ventilation in the ossuary gravel, moisture is easy to discharge, the external rainwater does not penetrate, so that the stored bone powder can be stored in a good state for a long time,

또한 빗장을 이용하여 문의 선단부를 마감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갖는다.In addition, by using a latch to close the front end of the door has the advantage of beautiful appearance and excellent durability.

Claims (7)

전체적인 지지대의 역할을 하는 바닥석판과;A bottom slab serving as an overall support; 상기 바닥석판의 중앙 및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하부지지석과;A lower support stone installed along the center and the edge of the bottom slab; 상기 하부지지석의 귀퉁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기둥과;A support column vertically installed at a corner of the lower support stone; 길이방향 양쪽 외측면을 폐쇄시키도록 상기 지지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양쪽의 측면판과;Both side plates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pillars to close both outer side surfac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바닥석판의 중앙의 하부지지석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중앙 분리벽과:A central dividing wall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lower support stone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lab: 상기 중앙 분리벽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를 다수의 격실로 구획하는 폭방향 분리벽과;A widthwise partition wall installed at right angles to the central partition wall and partitioning an interior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에 지지되어 설치되되 상부의 태두리를 형성하도록 상기 하부지지석과 대응하는 상방향의 위치에 설치되는 상부지지석과;An upper support stone which is supported and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illar and is installed at an upper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pport stone to form an upper edge thereof; 상기 상부지지석의 상부를 덮는 덮개와;A cover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stone; 상기 폭방향 분리벽의 외측 개방단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 납골묘.Family ossuary graves comprising a plurality of doors installed to close the outer open end of the widthwise separation wal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격실을 상하로 구획하도록 상기 폭방향 분리벽에 상하 구획판이 설치되되 상기 상하 구획판은 상기 폭방향 분리벽에 고정한 앵커볼트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격실의 저부에는 상기 중앙 및 가장자리의 하부지지석에 얹혀져서 그하부로 하부 통풍로가 형성되게 되는 바닥구획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 납골묘.An upper and lower partition plate is installed in the widthwise partitioning wall so as to partition the compartment up and down, and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ing plates are installed to be supported by anchor bolts fixed to the widthwise partitioning wall. The family cryp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compartment plate is installed on the bottom to form a lower ventilation path.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or 2; 상기 바닥석판의 하부지지석이 얹혀지는 면에는 납골묘 내부의 습기나 물기가 배출될 수 있는 물기 배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 납골묘.Family crypt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surface on which the bottom support stone of the bottom slab is discharged grooves can be discharged moisture or water inside the crypt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중앙분리벽의 상단은 상기 덮개의 하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부 통풍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 납골묘.The upper end of the central dividing wall is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family crypt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secure the upper ventilation spa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문들의 서로 마주하는 여닫히는 쪽의 선단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의 바깥쪽에는 빗장이 상부지지석과 하부지지석에 그 상단부와 하단부가 삽입되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 납골묘.The front ends of the doors facing each oth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space, and the outer side of the space is formed with a clam inserted into the upper support and the lower support by inserting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family. .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문들의 서로 마주하는 여닫히는 쪽의 선단과 상기 폭방향 분리벽의 바깥쪽 선단에는 서로 대응하는 자물쇠고리가 형성되어 이곳에 자물쇠를 채울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 납골묘.A family ossuary grav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doors facing each other and the outer end of the widthwise separating wall are formed with corresponding lock rings to fill the lock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바닥석판의 하부지지석과 접하는 바깥쪽의 가장자리부분은 하향경사면으로 형성되어 비바람이 하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 납골묘.Family crypt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edg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pport stone of the bottom slab is formed with a downward inclined surface to prevent the rain from entering the bottom.
KR2020020020940U 2002-07-12 2002-07-12 A charnel house KR20029191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940U KR200291918Y1 (en) 2002-07-12 2002-07-12 A charnel h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940U KR200291918Y1 (en) 2002-07-12 2002-07-12 A charnel ho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918Y1 true KR200291918Y1 (en) 2002-10-11

Family

ID=73126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940U KR200291918Y1 (en) 2002-07-12 2002-07-12 A charnel ho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918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91918Y1 (en) A charnel house
KR200291919Y1 (en) A charnel house
JPH06117144A (en) Grave equipped with outer fence
KR200163430Y1 (en) Charnel house of tradition round shape graveyard
KR100324996B1 (en) Charnel hous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200392042Y1 (en) the charnel tomb structure by lenth direction underground installation type
KR100272315B1 (en) Collective buial-cast system for relocation of unclaimed burials and niche cluster system for cremated remains utilizing retaining wall
KR200243313Y1 (en) columbarium grave
KR200172570Y1 (en) A family burial ground
KR200392040Y1 (en) the burial type charnel tomb structure
KR100440749B1 (en) A charnel house
KR200304479Y1 (en) A large size charnel
KR200350382Y1 (en) The environmental-friendly charnel house
JP3128630U (en) A memorial tower with a caroten
KR200329554Y1 (en) Apparatus for Keeping a Cinerary Urn
KR100337374B1 (en) A charnel grave of tunnel style
KR100531601B1 (en) A charnel house
KR200179369Y1 (en) Building structure for charnel house
KR200193116Y1 (en) Charnel house
JP4177540B2 (en) Masonry tombstone
KR100402655B1 (en) A charnel house
KR200350395Y1 (en) Charnel house for preventing moisture
KR100337370B1 (en) A charnel grave of mound style
KR200243165Y1 (en) A charnel-grave
KR0133839Y1 (en) Family charnel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