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089Y1 - Door locker - Google Patents

Door loc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089Y1
KR200287089Y1 KR2020020017113U KR20020017113U KR200287089Y1 KR 200287089 Y1 KR200287089 Y1 KR 200287089Y1 KR 2020020017113 U KR2020020017113 U KR 2020020017113U KR 20020017113 U KR20020017113 U KR 20020017113U KR 200287089 Y1 KR200287089 Y1 KR 2002870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door
fastener
locking
clas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11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근
정영경
Original Assignee
(주)광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성 filed Critical (주)광성
Priority to KR20200200171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08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0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089Y1/en

Links

Landscapes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위해물품이 보관되어 있는 수납실의 도어를 개방할 수 없게 하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잠금장치는 양쪽의 도어 손잡이를 수용시킬 수 있는 수용홈(12)이 형성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뻗어있는 제 1로드(14)와 제 2로드(16)를 갖는 걸쇠(10)와; 걸쇠(10)의 수용홈(12)에 수용된 도어 손잡이들을 조여줄 수 있도록 제 1로드(14)와 제 2로드(16)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조임쇠(20)와; 도어 손잡이들을 조여준 걸쇠(10)와 조임쇠(20)를 서로 록킹시키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걸쇠를 통해 양쪽의 도어 손잡이를 걸어 수용시킨 상태에서 조임쇠를 통해 양쪽의 손잡이를 서로 조여 록킹시킴으로써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위해물품이 수납되어 있는 수납실 도어를 쉽게 개방할 수 없게 한다. 특히, 별도의 열쇠를 사용하지 않고도 수납실의 도어를 록킹시키거나 록킹해제시킴으로써 사용하기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that prevents an infant or child from opening a door of a storage compartment in which an object is stored. Th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tch 10 having a first rod 14 and a second rod 16 that extend side by side so as to form a receiving groove 12 for accommodating both door handles. )Wow; A fastener 20 movably assembled to the first rod 14 and the second rod 16 so as to tighten the door handle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2 of the clasp 10; And locking means for locking the latch 10 and the fastener 20 which tighten the door handles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door handles are held through the latches, and both door handles are locked by the fasteners so that infants or children cannot easily open the door in which the goods are stored. . In particula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nvenient to use by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of the storage compartment without using a separate key.

Description

도어 잠금장치{DOOR LOCKER}Door locks {DOOR LOCKER}

본 고안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위해(危害)물품이 보관되어 있는 수납실의 도어를 개방할 수 없게 하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lock that prevents infants or children from opening the door of the storage compartment where the goods are stored.

유아 또는 어린이들은 소유한 물건을 무엇이든지 빨고 삼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유아 또는 어린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크기가 작고 끝이 뾰족하며 날카로운 물건은 반드시 유아 또는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해야 한다. 특히, 칼이나 가위 등과 같이 위해(危害)를 가할 수 있는 물품(이하, "위해물품"이라 한다.)은 유아 또는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는 수납실에 보관해야 하며, 위해물품이 보관된 수납실은 반드시 잠금장치를 통하여 도어를 록킹시킴으로써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손쉽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없도록 해야 한다.Infants or children tend to suck and swallow anything they own. Therefore, in families with infants or children, small, pointed and sharp objects must be kept out of reach of infants or children. In particular, items that can cause harm, such as knives or scisso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hazard goods"), should be stored in a storage room out of reach of infants and children. Locking the door through the locking device must not allow infants or children to easily open the door.

한편, 잠금장치가 설치된 도어의 경우에는, 잠금장치를 통하여 수납실의 도어를 록킹시키면 되지만, 잠금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도어의 경우에는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수납실의 도어를 손쉽게 열어 위해물품을 꺼내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door lock is installed, the lock of the door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rough the lock device, but in the case of the door is not installed lock or infants and children easily open the door of the storage compartment to take out goods for the problem There is this.

그리고 잠금장치가 설치된 도어의 경우라도, 수납실의 물품을 꺼내기 위해 매번 열쇠를 통하여 도어의 잠금장치를 풀고 잠궈야 하는 바, 일반적으로 도어를 록킹시키지 않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수납실의 도어를 쉽게 열어 위해물품을 꺼내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And even in the case of the door lock is installed, the door must be unlocked and locked with a key every time in order to take out the goods in the storage room, the door does not generally lock the door, so that the infant or children It is pointed out that the problem of taking out goods for easy opening of the door.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위해물품이 수납되어 있는 수납실의 도어를 쉽게 개방할 수 없게 하는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lock device for the infant or children can not easily open the door of the storage compartment in which the goods are stored.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열쇠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도어를 록킹시키거나 록킹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locking device that can lock or unlock the door in a simpler way without using a separate ke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

10: 걸쇠 12: 수용홈10: clasp 12: receiving groove

14: 제 1로드 16: 제 2로드14: first load 16: second load

20: 조임쇠 22: 제 1끼움구멍20: fastener 22: the first fitting hole

24: 제 2끼움구멍 30: 록킹수단24: second fitting hole 30: locking means

32: 걸림홈 34: 스토퍼32: engaging groove 34: stopper

36: 스프링 38: 해제노브36: spring 38: release knob

40: 분리방지수단40: separation prevention mean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양쪽의 도어 손잡이를 수용시킬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뻗어있는 제 1로드(14)와 제 2로드를 갖는 걸쇠와; 상기 걸쇠의 수용홈에 수용된 도어 손잡이들을 조여줄 수 있도록 상기 제 1로드와 제 2로드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조임쇠와; 도어 손잡이들을 조여준 상기 걸쇠와 조임쇠를 서로 록킹시키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asp having a first rod 14 and a second rod extending side by side so as to form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both door handles; A fastener movably assembled to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to tighten the door handle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clasp; And locking means for locking the latch and the fastener which fasten the door handles to each other.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살펴보면, 본 고안의 도어 잠금장치는 양쪽의 도어(D) 손잡이(K)를 수용시킬 수 있도록 수용홈(12)을 갖는 걸쇠(10)와, 수용된 양쪽의 도어(D) 손잡이(K)를 조여줄 수 있도록 걸쇠(10)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조임쇠(20)와, 손잡이(K)를 조여준 걸쇠 (10)와 조임쇠(20)를 서로 록킹시키는 록킹수단(30)으로 구성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First, referring to Figure 1, the door lo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tch 10 having a receiving groove 12 to accommodate the door (D) handle (K) of both sides, and the door (D) handle of both sides accommodated Consists of a fastener 20, which is assembled to the clasp 10 so as to tighten (K), and a locking means 30 for locking the clasp 10 and the fastener 20, which tighten the handle K, to each other. do.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 고안의 잠금장치는 걸쇠(10)를 갖는다. 걸쇠 (10)는 양쪽의 도어(D) 손잡이(K)를 수용시킬 수 있는 수용홈(12)을 갖추고 있다.수용홈(12)은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뻗어있는 제 1로드(14)와 제 2로드(16)의 사이에 형성되는데, 이렇게 형성된 수용홈(12)은 트인 입구(12a)를 갖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 2로드(16)는 제 1로드(14)보다 길게 형성된다.Looking at this in detail, th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tch (10). The clasp 10 has a receiving groove 12 for receiving the door K handles K on both sides. The receiving groove 12 is formed with a first rod 14 extending side by side at intervals. It is formed between the two rods 16, the receiving groove 12 is formed so as to have an open inlet (12a). Here, the second rod 16 is formed longer than the first rod 14.

다시, 도 1을 살펴보면, 본 고안의 잠금장치는 조임쇠(20)를 갖는다. 조임쇠 (20)는 걸쇠(10)에 조립되는 것으로, 걸쇠(10)의 제 1로드(14)와 제 2로드(16)가 끼워지는 한쌍의 제 1 및 제 2끼움구멍(22, 24)을 갖추고 있다. 한쌍의 제 1 및 제 2끼움구멍(22, 24)은, 끼워지는 제 1로드(14)와 제 2로드(16)가 조임쇠(2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관통된다. 이러한 조임쇠(20)는 걸쇠(10)의 제 1로드(14)와 제 2로드(16)를 따라 운동하면서 걸쇠(10)의 수용홈(12)에 수용된 도어(D)의 손잡이(K)를 가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걸쇠(10)와 함께 양쪽의 도어(D) 손잡이(K)를 서로 조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Referring back to Figure 1, th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astener (20). The fastener 20 is assembled to the clasp 10, and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fitting holes 22 and 24 into which the first rod 14 and the second rod 16 of the clasp 10 are fitted. Equipped.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fitting holes 22 and 24 penetrate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first rod 14 and the second rod 16 to be fitted can pass through the fastener 20. The fastener 20 moves along the first rod 14 and the second rod 16 of the clasp 10 while lifting the handle K of the door 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2 of the clasp 10. It serves to support the pressure. In particular, the clasp 10 serves to tighten the doors K of both doors D together with each other.

한편,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잠금장치는 조여진 걸쇠(10)와 조임쇠(20)를 서로 록킹시키는 록킹수단(30)을 갖는다. 록킹수단(30)은 걸쇠(10)의 제 1로드(14)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삼각형 걸림홈(32)들과, 걸림홈(32)에 끼워져 걸릴 수 있도록 조임쇠(20)의 내부에 직선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34)와, 스토퍼(34)와 걸림홈(32)이 서로 결합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34)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36)과, 사용자로 하여금 스토퍼(34)를 눌러서 걸림홈(32)으로부터 스토퍼(34)를 해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34)로부터 조임쇠(2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해제노브(38)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cking means 30 for locking the fastened clasp 10 and the fastener 20 to each other. The locking means 30 has a plurality of triangular locking grooves 32 formed along the first rod 14 of the clasp 10 and a straight line inside the fastener 20 so that the locking means 30 can be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 32. A stopper 34 which is movably installed, a spring 36 which elastically supports the stopper 34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topper 34 and the locking groove 32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llows the user to It is composed of a release knob 38 protruding from the stopper 34 toward the outside of the fastener 20 so as to release the stopper 34 from the locking groove 32 by pressing.

여기서, 걸림홈(32)들은 제 1로드(14)에 대해 수직한 수직면(32a)과, 수직면(32a)으로부터 제 1로드(14)의 내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면서 연결되는 경사면(32b)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스토퍼(34)는 삼각형상의 걸림홈(32)과 맞춰지는 형상을 갖는다. 이는 스토퍼(34)로 하여금 제 1끼움구멍(22)으로 제 1로드 (14)가 진입하는 것은 허용하고, 제 1끼움구멍(22)으로부터 제 1로드(14)가 이탈되는 것은 제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임쇠(20)를 통하여 양쪽의 도어(D) 손잡이(K)를 서로 조여줄 때, 조임쇠(2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Here, the locking grooves 32 are inclined surface 32b connected to the vertical surface 32a perpendicular to the first rod 14 an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rod 14 from the vertical surface 32a. ) In addition, the stopper 34 has a shape that is matched with the triangular engaging groove 32. This allows the stopper 34 to allow the first rod 14 to enter the first fitting hole 22 and restricts the departure of the first rod 14 from the first fitting hole 22. When tightening the doors (K) K on both sides through the fastener 20, the fastener 20 is to be made to move smoothly.

이러한 구성의 록킹수단(30)은 걸림홈(32)과 스토퍼(34)를 통하여 걸쇠(10)와 조임쇠(20)를 서로 록킹시킴으로써, 양쪽의 도어(D) 손잡이(K)를 조여준 걸쇠 (10)와 조임쇠(20)를 위치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물론, 록킹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해제노브(38)를 눌러 걸림홈(32)으로부터 스토퍼(34)를 해방시키면 된다.The locking means 30 of this configuration locks the clasp 10 and the fastener 20 to each other through the locking groove 32 and the stopper 34, thereby locking the handles K on both doors D. ) And fasteners 20 can be fixed. Of course, when the locking is to be released, the release knob 38 may be pressed to release the stopper 34 from the locking groove 32.

한편, 본 고안의 잠금장치는 걸쇠(10)과 조임쇠(20)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방지수단(40)을 갖추고 있다. 분리방지수단(40)은 도 2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쇠(20)의 제 2끼움구멍(24) 양쪽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턱(42)과, 이 걸림턱(42)에 간섭될 수 있도록 걸쇠(10)의 제 2로드(16) 단부로부터 양쪽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44)로 구성된다. 이러한 분리방지수단(40)은 서로 간섭되는 걸림턱(42)과 걸림돌기(44)를 통하여 조임쇠(20)의 제 2끼움구멍(24)으로부터 걸쇠(10)의 제 2로드(16)가 이탈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걸쇠(10)와 조임쇠(20)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paration preventing means 40 for preventing the clasp 10 and the fastener 20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S. 2, 3, and 4, the separation preventing means 40 includes a locking jaw 42 protruding from both side walls of the second fitting hole 24 of the fastener 20, and the locking jaw 42. It consists of a locking protrusion 44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rod 16 of the clasp 10 so as to interfere with. The separation preventing means 40 is the second rod 16 of the clasp 10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fitting hole 24 of the fastener 20 through the engaging jaw 42 and the engaging projection 44 interfere with each other. By restricting the separation, the clasp 10 and the fastener 20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그리고 본 고안의 조임쇠(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쇠(10)의 제 1로드(14)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제 2로드(16)의 걸림돌기(44)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걸쇠(10)의 수용홈(12)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수용홈(12)의 입구(12a)를 개방시킴으로써, 개방된 입구(12a)를 통하여 도어(D)의 손잡이(K)를 걸쇠(10)의 수용홈(12)에 수용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조임쇠 (20)의 회전을 위하여, 조임쇠(20)의 제 2끼움구멍(24)에는 제 2로드(16)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절취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절취부(24a)는 조임쇠(20)의 회전시, 제 2로드(16)와 제 2끼움구멍(24)의 측벽과의 간섭을 방지하여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And the fasten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the locking projection 44 of the second rod 16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rod 14 of the clasp 10 as shown in FIG. It is configured to open the receiving groove 12 of the clasp 10. This is to open the inlet 12a of the receiving groove 12 so that the handle K of the door D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2 of the clasp 10 through the open inlet 12a. to be.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otate the fastener 20, the cutout 24a for avoiding the interference with the 2nd rod 16 is formed in the 2nd fitting hole 24 of the fastener 20. As shown in FIG. The cutout 24a prevents interference between the second rod 16 and the side wall of the second fitting hole 24 when the fastener 20 rotates to smooth the rotation.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임쇠(20)를 걸쇠(10)의 제 1 및 제 2로드(14, 16)의 단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1로드(14)로부터 분리시키고, 동시에 제 2로드(16)로부터 회전시켜 걸쇠 (10)의 수용홈(12)을 개방시킨다. 그런 다음, 개방된 걸쇠(10)의 수용홈(12)에 양쪽의 도어(D) 손잡이(K)를 수용시킨다. 그리고 조임쇠(20)를 제 2로드(16)로부터 원래대로 회전시키고, 제 1로드(14)를 제 1끼움구멍(22)에 끼워 조립함으로써 걸쇠 (10)의 수용홈(12)을 폐쇄시킨다.Next, look at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First, the fastener 20 is disengaged from the first rod 14 by moving it to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ods 14, 16 of the clasp 10, and at the same time rotated from the second rod 16 to Open the receiving groove 12 of 10). Then, the two doors (D) handle (K)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2 of the open latch (10). Then, the fastener 20 is rotated as originally from the second rod 16 and the first groove 14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hole 22 to be assembled to close the receiving groove 12 of the clasp 10.

그리고 수용홈(12)의 폐쇄가 완료되면, 조임쇠(20)를 걸쇠(10)의 제 1로드 (14)와 제 2로드(16)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수용홈(12)에 수용된 양쪽의 도어(D) 손잡이(K)를 걸쇠(10)와 함께 조여준다. 이때, 조임쇠(20)의 스토퍼(34)는 제 1로드 (14)의 걸림홈(32)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 1로드(14)의 이동을 허용한다. 그리고 걸쇠(10)와 조임쇠(20)가 도어(D) 손잡이(K)들을 완전히 조여주면, 선택된 걸림홈(32)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걸쇠(10)와 조임쇠(20)를 서로 록킹시킨다.When the closing of the receiving groove 12 is completed, both door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2 while moving the fastener 20 along the first rod 14 and the second rod 16 of the clasp 10 ( D) Tighten the handle (K) with the clasp (10). At this time, the stopper 34 of the fastener 20 allows the movement of the first rod 14 while moving along the locking groove 32 of the first rod 14. And when the clasp 10 and the fastener 20 fully tighten the door K handles K, the clasp 10 and the fastener 20 are fitted into the selected locking groove 32, thereby locking the clasp 10 and the fastener 20 to each other.

이와 같은 상태에서 걸쇠(10)와 조임쇠(20)는 양쪽의 도어(D) 손잡이(K)를 견고하게 조여준 채 서로 록킹되며, 이에 따라 양쪽의 도어(D)는 개방할 수 없도록 록킹될 수 있는 것이다.In such a state, the clasp 10 and the fastener 20 are locked to each other while firmly tightening the door K handles K on both sides, whereby both doors D can be locked so that they cannot be opened. will be.

한편, 록킹된 양쪽의 도어(D)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조임쇠(20)의 일측으로 노출된 해제노브(38)를 아래로 가압한다. 그러면, 제 1로드(14)의 걸림홈 (32)으로부터 스토퍼(34)가 이격되고, 걸림홈(32)으로부터 스토퍼(34)가 이격됨에 따라 조임쇠(20)는 걸쇠(10)의 제 1로드(14)와 제 2로드(16)에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임쇠(20)를 제 1로드(14)와 제 2로드(16)의 단부로 이동시킨 후, 제 1로드(14)로부터 분리시키고, 동시에 제 2로드(16)로부터 회전시켜 걸쇠(10)의 수용홈(12)을 개방시킨다. 그런 다음, 개방된 걸쇠(10)의 수용홈(12)으로부터 양쪽의 도어(D) 손잡이(K)를 이탈시키면 된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release both of the locked door (D), first press the release knob 38 exposed to one side of the fastener 20 down. Then, as the stopper 34 is spaced apart from the locking groove 32 of the first rod 14, and the stopper 34 is spaced apart from the locking groove 32, the fastener 20 is connected to the first rod of the clasp 10. It becomes a state movable in 14 and the 2nd rod 16. FIG. In this state, the fastener 20 is moved to the ends of the first rod 14 and the second rod 16, and then separated from the first rod 14, and at the same time rotated from the second rod 16 to latch the Open the receiving groove 12 of 10). Then, the door D handles K on both sides may be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12 of the open clasp 10.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In the abov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is specific embodiment, it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도어 잠금장치는 걸쇠를 통해 양쪽의 도어 손잡이를 걸어 수용시킨 상태에서 조임쇠를 통해 양쪽의 손잡이를 서로 조여 록킹시킴으로써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위해물품이 수납되어 있는 수납실 도어를 쉽게 개방할 수 없게 한다. 특히, 별도의 열쇠를 사용하지 않고도 수납실의 도어를록킹시키거나 록킹해제시킴으로써 사용하기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door lo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locks the handles on both sides of each other through the fastener in the state that the door handles of both sides through the clasp to accommodate the locker door in which the goods are stored for infants or children Do not open easily. In particula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nvenient to use by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of the storage compartment without using a separate key.

Claims (3)

양쪽의 도어 손잡이를 수용시킬 수 있는 수용홈(12)이 형성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뻗어있는 제 1로드(14)와 제 2로드(16)를 갖는 걸쇠(10)와;A clasp 10 having a first rod 14 and a second rod 16 extending side by side so as to form a receiving groove 12 for accommodating both door handles; 상기 걸쇠(10)의 수용홈(12)에 수용된 도어 손잡이들을 조여줄 수 있도록 상기 제 1로드(14)와 제 2로드(16)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조임쇠(20)와;A fastener 20 movably assembled to the first rod 14 and the second rod 16 so as to tighten the door handle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2 of the clasp 10; 도어 손잡이들을 조여준 상기 걸쇠(10)와 조임쇠(20)를 서로 록킹시키는 록킹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And a locking means (30) for locking the latch (10) and the fastener (20) which tighten the door handl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30)은 상기 걸쇠(10)의 제 1로드(14)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홈(32)들과, 상기 걸림홈(32)에 끼워져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조임쇠(20)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34)와, 상기 스토퍼(34)를 걸림홈 (32)에 걸리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36)과, 상기 스토퍼(34)를 걸림홈 (32)으로부터 해방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34)로부터 돌출되는 해제노브(3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means 30 is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32 formed along the first rod 14 of the clasp 10, so that the locking groove 32 can be fitted to catch A stopper 34 movably mounted to the fastener 20, a spring 36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topper 34 in a direction to be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32, and a locking groove for engaging the stopper 34 ( And a release knob (38) protruding from the stopper (34) so as to pressurize in the direction to be released from the (3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쇠(20)는 상기 걸쇠(10)의 제 1로드(14)로부터는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2로드(16)로부터는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걸쇠(10)의 수용홈(12)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The fastener (20) of claim 1, wherein the fastener (20) is detachably assembled from the first rod (14) of the clasp (10) and rotatably assembled from the second rod (16). Door lo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open the receiving groove (12) of.
KR2020020017113U 2002-06-04 2002-06-04 Door locker KR20028708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113U KR200287089Y1 (en) 2002-06-04 2002-06-04 Door loc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113U KR200287089Y1 (en) 2002-06-04 2002-06-04 Door loc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089Y1 true KR200287089Y1 (en) 2002-08-27

Family

ID=73124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113U KR200287089Y1 (en) 2002-06-04 2002-06-04 Door loc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089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031B1 (en) * 2011-01-12 2013-05-08 한복환 Safety locking apparatus
KR200486926Y1 (en) * 2017-03-15 2018-07-16 고영도 Safety fastening device for furni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031B1 (en) * 2011-01-12 2013-05-08 한복환 Safety locking apparatus
KR200486926Y1 (en) * 2017-03-15 2018-07-16 고영도 Safety fastening device for furni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4745B1 (en) Lunchbox with safety lock
US3912055A (en) Luggage case having hinged lid with auxiliary access door to file compartment therein
US7866713B2 (en) Locker structure
US6962375B2 (en) Rotary latches
US6857298B2 (en) Double action push button locking system
US5470115A (en) Recessed three-point latching mechanism and method for a storage locker
US8453278B2 (en) Infant support structure with accessibility feature
US7497102B2 (en) Woven strap lock structure
US20230136626A1 (en) Stacked toolbox system
US4718259A (en) Keysafe
US20140123715A1 (en) Locking System for Storage Container
US5230231A (en) Padlock
US4306431A (en) Chest safety lock
KR200287089Y1 (en) Door locker
US10954696B2 (en) Storage assembly with a drawer having a drawer pull assembly and a method for locking a drawer
US4228666A (en) Safety latches for portfolios, bags, suitcases and the like
JP2007186934A (en) Door locking device
KR101359303B1 (en) Locker for box
KR200287090Y1 (en) Door locker
JP2923234B2 (en) Push button latch device
JP4156425B2 (en) Locking device
JPH0754509Y2 (en) Locking device
JP7085916B2 (en) Box confinement prevention device
JP3214189U (en) Locking device with unlocking button
KR200175232Y1 (en) A locking device provided with for burglarpro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