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727Y1 - 벽고정용보울트장치 - Google Patents

벽고정용보울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727Y1
KR200282727Y1 KR2019980025907U KR19980025907U KR200282727Y1 KR 200282727 Y1 KR200282727 Y1 KR 200282727Y1 KR 2019980025907 U KR2019980025907 U KR 2019980025907U KR 19980025907 U KR19980025907 U KR 19980025907U KR 200282727 Y1 KR200282727 Y1 KR 2002827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fixing
wedge
fixed
screw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841U (ko
Inventor
윤병섭
Original Assignee
윤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섭 filed Critical 윤병섭
Priority to KR2019980025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727Y1/ko
Publication of KR200000128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8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7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727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 고정용 보울트장치에 관한것으로서,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나사부(11a)(11b)(12)가 형성된 보울트(10)와, 이 보울트(10)의 상부에 나합되는 쐐기(20)와, 이 쐐기(2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보울트(10)가 관통되는 제 1고정관체(30)와, 이 제 1고정관체(3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보울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삽입되는 제 2고정관체(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쐐기(20)는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 1고정관체(3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절개부(31)(32)가 형성되며, 제 1고정관체(30)의 내부 중앙위치에는 나사부(33)가 형성되고, 각 절개부(31)(32)의 종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환홈(34)(35)이 형성되며, 상기 제 2고정관체(40)의 상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절개부(41)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서, 여러가지 형태의 벽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보울트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벽 고정용 보울트장치{Bolt Apparatus for Fixing Wall}
본 고안은 벽 고정용 보울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의 상태에 따라 자유자재로 간편하게 보울트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벽 고정용 보울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가지 내장재가 포함된 각종 벽에 어떤 특별한 용도 예컨데, 각종 물품들을 걸어두고자 하는 경우, 종래에는 드릴등으로 벽을 일정깊이 뚫은 다음, 보울트를 망치등의 공구를 통해 타격하여 삽입한 다음, 구부러뜨려 고정되도록 하거나 또는 납덩어리들을 손으로 일일이 말아서 망치로 타격하여 고정시키도록 하였다. 또는 에폭시등을 뚫은 구멍에 충전시켜 보울트를 고정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고정방식은 벽의 형성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하여 고정시키기 어려웠고, 고정상태가 양호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다 간편하게 설치하면서도 벽의 형태에 따라 적합한 형태로 설치가능하며, 견고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벽 고정용 보울트장치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나사부가 형성된 보울트와, 이 보울트의 상부에 나합되는 쐐기와, 이 쐐기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보울트가 관통되는 제 1고정관체와, 이 제 1고정관체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보울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삽입되는 제 2고정관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쐐기는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 1고정관체의 상부 및 하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절개부가 형성되며, 제 1고정관체의 내부 중앙위치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각 절개부의 종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환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2고정관체의 상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보울트의 상단을 제 1고정관체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합하여 결착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로서, 보울트의 상단과 쐐기가 나합된 상태에서 보울트의 하부에 다른 쐐기를 나합시키고, 그 하부에 제 3고정관체가 삽입하되, 상기 제 3고정관체의 상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절개부가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본 고안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보울트가 제 1고정관체의 내부 중앙에 나합된 상태에서 보울트의 하부에 절개부가 형성된 제 4고정관체를 나합하고, 그 하부에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일측으로 절개부가 형성된 결착부재를 나합하도록 한 구조이다.
또한, 본 고안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보울트와 쐐기가 나합된 상태에서, 보울트의 하부에 쐐기를 나합하고, 그 아래쪽에 제 3고정관체를 삽입하고, 그 하부에 절개부가 형성된 제 4고정관체를 나합하며, 그 아래에 결착부재를 삽입한 구조이다.
또한, 본 고안은 보울트가 제 1고정관체의 내부 중앙에 나합된 상태에서 보울트의 하부에 제 4고정관체를 나합하고, 그 아래에 결착부재를 삽입하고, 그 하부에 쐐기를 나합하며, 그 아래쪽에 제 3고정관체를 순차적으로 삽입한 구조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 4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 5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 6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보울트
11a,11b,12,33,50a,70a : 나사부
20,50 : 쐐기
30 : 제 1고정관체
31,32,41,61,71,81 : 절개부
34,35 : 환홈
40 : 제 2고정관체
60 : 제 3고정관체
70 : 제 4고정관체
80 : 결착부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제 2도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나사부(11a)(11b)(12)가 형성된 보울트(10)와, 이 보울트(10)의 상부에 나합되는 쐐기(20)와, 이 쐐기(2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보울트(10)가 관통되는 제 1고정관체(30)와, 이 제 1고정관체(3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보울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삽입되는 제 2고정관체(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쐐기(20)는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 1고정관체(3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절개부(31)(32)가 형성되며, 제 1고정관체(30)의 내부 중앙위치에는 나사부(33)가 형성되고, 각 절개부(31)(32)의 종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환홈(34)(35)이 형성되며, 상기 제 2고정관체(40)의 상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절개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보울트(10)와 쐐기(20)는 나합되도록 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보울트(10)와 쐐기(20)를 일체로 성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쐐기(20)의 두부는 육각형으로 형성하여 조임시나 해체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울트(10)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부(11b)를 통해 제 1고정관체(3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나사부(33)에 나합하여 결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서, 보울트(10)의 상단 나사부(11a)와 쐐기(20)가 나합된 상태에서 보울트(10)의 하부에 다른 쐐기(50)의 나사부(50a)를 나합시키고, 그 하부에 제 3고정관체(60)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되, 상기 제 3고정관체(60)의 상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절개부(61)가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보울트(10)가 제 1고정관체(30)의 내부 중앙에 나합된 상태에서 보울트(10)의 하부에 절개부(71)가 형성되면서 나합,고정되는 제 4고정관체(70)와, 그 하부에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일측으로 절개부(81)가 형성된 결착부재(80)를 나합하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 제 4고정관체(70)에도 나사부(70a)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나사부(70a)는 절개부(7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까지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보울트(10)와 쐐기(20)가 나합된 상태에서, 보울트(10)의 하부에 쐐기(50)를 나사부(50a)를 통해 나합하고, 그 아래쪽에 제 3고정관체(60)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하고, 그 하부에 절개부(71)가 형성된 제 4고정관체(70)를 나사부(70a)를 통해 나합하며, 그 아래에 결착부재(80)를 삽입한 구조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보울트(10)가 제 1고정관체(30)의 내부 중앙에 나합된 상태에서 보울트(10)의 하부에 제 4고정관체(70)를 나합하고, 그 아래에 결착부재(80)를 삽입하고, 그 하부에 쐐기(50)를 나합하며, 그 아래쪽에 제 3고정관체(60)를 순차적으로 삽입한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0은 벽, 91은 벽에 형성된 구멍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하고자 하는 벽, 예컨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90)의 소정위치에 구멍(91)을 형성한 상태에서, 보울트(10)에 제 1고정관체(30)와 제 2고정관체(40)를 관통·삽입시키는데, 이때, 제 1고정관체(30)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부(33)와 보울트(10)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부(12)와 만나게되면, 제 1고정관체(30)를 돌려서 삽입·이동시키고, 이후 상기 나사부(12)를 지나게되면, 슬라이딩이동가능한 상태가되므로 가볍게 밀어넣으면 된다. 제 2고정관체(40)는 보울트(10)의 내부로 바로 삽입하면 된다.
또한, 보울트(10)의 최상단에 형성된 나사부(11a)와 쐐기(20)를 나합하여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별도의 밀대용 파이프(미도시)를 벽(90)의 구멍(91) 내부로 삽입하면서 밀어넣으면, 밀대용 파이프의 단부가 제 2고정부재(40)의 단부에 접촉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계속하여 밀대파이프를 망치등을 이용하여 타격하여 밀게되면, 제 2고정부재(40)의 상부에 형성된 절개부(41)에 의해 제 2고정부재(40)가 제 1고정부재(30)의 외주면을 타고 이동·삽입된다. 그러면, 제 1고정부재(30)의 하부에 형성된 절개부(32)는 환홈(35)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수축되면서 제 2고정관체(40)는 압입된다.
이후 계속하여 망치등으로 밀대파이프를 타격하면, 제 1고정관체(30)도 밀리면서 상부로 이동하여 보울트(10)와 나합.고정된 쐐기(20)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제 1고정부재(30)의 상부에 형성된 절개부(31)가 쐐기(20)의 경사면을 타고 상승하면서 벌어지게 되고, 이때 절개부(31)의 단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환홈(34)이 형성되어 있어 절개부(31)의 벌어짐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되므로써 보다 견고한 결착상태를 유지하면서 벽(90)의 구멍(91)내부에 압입된 상태를 유지하여 결국, 보울트(10)가 구멍(91)의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것은 벽에 구멍을 뚫은 후 보울트(10)의 삽입시 쐐기(20)가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결착되는 것이다. 또한, 보울트(10)와 쐐기(20)간의 결합상태(나사결합)외에 제 1고정관체(30) 및 제 2고정관체(40)가 압착하고 있으므로 더욱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90)의 구멍(91)을 보다 깊이 뚫어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 1고정관체(3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나사부(33)에 보울트(10)의 상단에 형성돤 나사부(11b)를 나합.고정시키고, 쐐기(20)는 제 1고정관체(30)의 상단에 압입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보울트(10)의 나사부(11a)는제 1고정관체(30)의 내부에서 아무런 결합상태없이 그대로 있게된다.
그러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구조보다 보울트(1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연장되어 벽(90)의 구멍(91)깊이가 깊더라도 이를 수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것은 쐐기(20)가 빠질 염려가 있는 대신에 보울트(10)의 길이를 자유자재로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어 덕트나 천정등의 걸이등에 다양하게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벽구조인 경우, 제일 먼저 벽면에 제 1고정관체(30)의 직경보다 크게 원형구멍을 뚫은후 쐐기(20)과 보울트(10)의 나사부(11a)에 나사결합하고, 제1고정관체(30)을 보울트(10)의 나사부(12)에 돌려서 끼워넣은후 제 2고정관체(40)을 밀어 끼워넣은후 밀대파이프를 넣고 망치로 타격을 가한후 안쪽 구멍에 1차로 고정시킨다.
이때 보울트(10)를 돌려보면 고정유무를 알 수 있으며, 고정이 견고하게 될 경우 보울트(10)가 돌아가지 않아야 한다.
이때, 상기 보울트(10)가 안쪽 벽에 고정된 후 앞쪽벽의 구멍에 보울트(10)의 나사부(12)로부터 나사부(50a)가 형성된 원추형 쐐기(50)를 나사부(12)에 손으로 돌려서 끼운다.
앞쪽벽의 구멍이 제1고정관체(30)의 외경의 크기보다 크지만 더 이상 쐐기(50)를 손으로 돌릴 수 없게 된다. 이때 제3고정관체(60)을 보울트(10)의 나사부(12)에 슬라이딩상태로 돌리면 쐐기(50)의 경사면을 타고 제3고정관체(60)가 약간 올라간 상태가 된다. 즉, 쐐기(50)를 보울트(10)의 나사부(12)를 타고 회전이동가능할 정도의 결합력이 된다.
이 상태에서 제3고정관체(60)의 절개부(61)가 없어질 때까지 쐐기(50)를 돌려 넣고, 밀대파이프를 끼운후 망치로 타격하면 쐐기(50)의 경사면을 타고 제3고정관체(60)의 절개부(61)가 더욱 벌어지면서 구멍에 완전고정되어 매우 견고한 결합상태가 된다.
이는 앞벽과 뒷벽간의 간격으로 인해 보울트(10)을 길게 씀으로 해서 보울트의 전단력을 향상하기 위한 2중벽 고정 방식입니다.
이것은 대리석이나 대형 타일등의 구비된 이중벽이면서 얇은 벽 앞부분에 쐐기(50)의 외주면을 타고 압입된 제 3고정관체(60)를 먼저 회전시키면, 이와 동시에 결합된 쐐기(50)가 회전하게 되면서 전진하여 막아주게되므로 빗물이나 그밖의 불순물이 보울트(10)를 타고 벽으로 스며드는 것을 막아줄 뿐만아니라 얇은 벽에 일체화되어 보울트(10)의 마찰력과 전단력을 증가시켜 강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벽이면서 깊이가 깊은 경우에, 보울트(10)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부(11b)를 제 1고정관체(30)의 중앙 내부에 형성된 나사부(33)에 나합.고정시킨 상태에서 제 2고정관체(40)를 삽입하고, 이어서 제 4고정관체(70)를 제 2고정관체(40)와 소정 간격을 두고 나사부(70a)를 통해 나합.고정한 다음, 그 하부에 절개부(81)가 형성된 결착부재(80)는 보울트(10)와 나사결합이 되어있지 않으므로, 바로 밀어넣어 상기 제 4고정관체(70)의 하부에 형성된 절개부(71)를 벌리면서 압입하여 고정시킨다.
이것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결합구조로 사용할 경우, 제 2고정관체(40)를 잡아주는 보울트(10)의 헛도는 현상을 방지해주기 위하여 제 4고정관체(70)의 절개부(71)로 인해 앞벽을 일체화시킴과 동시에 나사부가 없는 결착부재(80)를 압입하여 보울트(10)를 압착하면서 제 4고정관체(70)와 일체화되어 보울트(10)의 마찰력을 더욱 증가시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서, 이중벽이면서 통상의 깊이를 가지는 구멍인 경우, 보울트(10)의 상부에 먼저 쐐기(20)를 나합고정하고, 이어서 제 1고정관체(30) 및 제 2고정관체(40)를 삽입한 상태에서, 망치등을 이용하여 밀대파이프를 삽입하고 타격하면 제 2고정관체(40)가 밀리면서 제 1고정관체(30)도 동시에 밀려 상부에 위치한 쐐기(20)의 경사면을 타고 상승하여 압입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제 2고정관체(40)도 제 1고정관체(30)의 하단과 결합되어 견고한 고정상태를 이루어 1차 고정작업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쐐기(50)를 보울트(10)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부(12)에 나합하여 일정길이만큼 전진이동시키는데, 통상 작업자의 손을 사용하여 벽구멍깊이내에서 손이 미치지 않는 곳까지 일단 회전시켜 나합고정시킨다. 그런 다음에 제 3고정관체(60)를 밀어넣어 상기 쐐기(50)의 경사면을 타고 약간 압압되도록 밀대파이프를 끼워 망치등으로 약간 타격하여 결착시켜, 그 아래에 제 4고정관체(70)의 삽입공간을 확보한다. 이때 상기 제 4고정관체(70)는 앞벽면과 일치되도록 삽입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이어서 상기 제 4고정관체(70)의 내부에 결착부재(80)를 삽입하여 밀어넣어 절개부(81)가 수축되면서 제 4고정관체(70)의 내부로 압입되어 완전고정되도록 하므로써 보울트(10)가 구멍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이러한 구조는 비교적 무거운 중량물을 설치할 경우, 보다 강한 결합력이 요구될때, 제 2고정관체(40)를 밀대용 파이프로 쳐준후 뒷벽에 보울트(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앞벽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켜할 경우, 먼저 쐐기(50)를 작업자가 손으로 돌려 앞벽 안쪽까지 맞춘 후 제 3고정관체(60)를 밀어넣어 처준다음, 제 4고정관체(70)를 회전시켜 삽입하고, 결착부재(80)를 끼우고 앞벽 끝단까지 맞춘 후 밀대파이프로 쳐서 벽면과 같도록 마무리한다.
여기서, 상기 쐐기(50)와 제 3 고정관체(60)의 역할은 앞벽에 걸려서 더이상 보울트(10)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해주는역할을 해주며, 제 4고정관체(70)와 결착부재(80)는 보울트(10)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더욱 견고하게 해주며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20)를 제 1고정관체(30)의 상부에 압입하여 결합한 상태에서, 보울트(10)의 상단 나사부(11b)를 제 1고정관체(30)의 내부 중앙에 나사결합하고, 제 2고정관체(40)를 삽입 타격하여 제 1고정관체(30)의 하부 외주면을 타고 압입되게하여 1차로 고정시킨다.
이어서 제 4고정관체(70)를 회전시켜 일정간격을 두고 나합.고정시킨 다음, 그 하부에 결착부재(80)를 삽입하여 제 4고정관체(70)의 내부로 압입한 다음, 그 하부에 쐐기(50)를 삽입하여 나합.고정시키고, 이어서 제 3고정관체(60)를 삽입하여 고정된 쐐기(50)의 외부면을 타고 압입되어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이것은 도 6의 결합구조와 관계없이 보울트(10)의 견고한 마찰력이 요구될때, 앞벽이 두꺼운 경우, 결착부재(80)와 제 3고정관체(60)를 반복적으로 타격하여 높은 마찰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예로서 시공시 제 2고정관체(40)의 결착상태가 불량한 상태로 시공되었을때, 다른 구멍을 뚫어서 다시 시공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앞벽에 이러한 구조로 반복해서 결착부재를 사용하므로써 마찰력을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일예로서, 만약 앞벽이나 뒷벽이 상당히 이격된 상태여서 제 2고정관체(40)를 쳐주지 못하는 경우, 앞벽에서 결착부재(80)를 타격하여 쐐기(20)와 제 1고정관체(30)를 고정시키고, 제 2고정관체(40)를 타격하지 못하여 보울트(10)가 좌우로 요동하는 것을 결착부재(80)를 타격하여 보울트(10)를 고정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상황에 따라 자유자재로 사용 가능한 경우로서, 보울트의 길이 및 시공상태에 관계없이 보울트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벽의 내부 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상기 여러가지 실시형태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매우 견고한 결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여러가지 물품들을 보다 간편하게 걸어 사용할 수 있는 등이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6)

  1.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나사부(11a)(11b)(12)가 형성된 보울트(10)와,
    이 보울트(10)의 상부에 나합되는 쐐기(20)와,
    이 쐐기(2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보울트(10)가 관통되는 제 1고정관체(30)와,
    이 제 1고정관체(3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보울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삽입되는 제 2고정관체(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쐐기(20)는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 1고정관체(3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절개부(31)(32)가 형성되며, 제 1고정관체(30)의 내부 중앙위치에는 나사부(33)가 형성되고, 각 절개부(31)(32)의 종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환홈(34)(35)이 형성되며, 상기 제 2고정관체(40)의 상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절개부(4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고정용 보울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트(10)의 상단 나사부(11b)와 제 1고정관체(3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나사부(33)가 나합하여 결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고정용 보울트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트(10)의 상단 나사부(11a)와 쐐기(20)가 나합된 상태에서 보울트(10)의 하부에 나사부(50a)를 통해 나합되는 쐐기(50)와, 그 하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절개부(61)가 형성되면서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3고정관체(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고정용 보울트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트(10)가 제 1고정관체(30)의 내부 중앙에 나합된 상태에서 보울트(10)의 하부에 절개부(71)가 형성되면서 나사부(70a)를 통해 나합되는 제 4고정관체(70)와, 그 하부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일측으로 절개부(81)가 형성되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결착부재(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고정용 보울트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트(10)와 쐐기(20)가 나합된 상태에서, 보울트(10)의 하부에 나사부(50a)를 통해 나합되는 쐐기(50)와, 그 아래쪽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3고정관체(60)와, 그 하부에 절개부(71)가 형성되어 나사부(70a)를 통해 나합,고정되는 제 4고정관체(70)와, 그 하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결착부재(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고정용 보울트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트(10)가 제 1고정관체(30)의 내부 중앙에 나합된 상태에서 보울트(10)의 하부에 나사부(70a)를 통해 나합,고정된 제 4고정관체(70)와, 그 아래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되는 결착부재(80)와, 그 하부에 나사부(50a)를 통해 나합,고정되는 쐐기(50)와, 그 아래쪽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3고정관체(60)로 갖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고정용 보울트 장치.
KR2019980025907U 1998-12-21 1998-12-21 벽고정용보울트장치 KR2002827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907U KR200282727Y1 (ko) 1998-12-21 1998-12-21 벽고정용보울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907U KR200282727Y1 (ko) 1998-12-21 1998-12-21 벽고정용보울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841U KR20000012841U (ko) 2000-07-15
KR200282727Y1 true KR200282727Y1 (ko) 2002-10-31

Family

ID=69504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907U KR200282727Y1 (ko) 1998-12-21 1998-12-21 벽고정용보울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7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841U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7005A (en) Reverse wedge truss-forming wall anchor
AU2007225008B2 (en) A self-drilling masonry bolt
EP1887230A3 (en) An anchor device for anchoring wooden or metal structures to a wall.
JP4813300B2 (ja) 硬い基礎構造用の固定素子
JP6321875B1 (ja) アンカーボルト及びアンカーボルトを用いた固定方法
US20210140459A1 (en) Substrate anchoring device
WO2011117612A1 (en) Fixing element
KR20200093381A (ko) 세트 앵커볼트
US8070405B2 (en) Self drilling bolt with anchor
US9003633B1 (en) Concrete anchor bolt fastener and tool and method for installing
US8915686B2 (en) Unitary, strike, drop-in anchor for concrete and the like
CA2453374C (en) Striking plug
US20050214095A1 (en) Wall and ceiling fastening system and methods therefor
KR200282727Y1 (ko) 벽고정용보울트장치
US4906149A (en) Wall plug anchor assembly for mounting in a preformed hole
US4685847A (en) Postive-locking dowel for concrete
KR20080105665A (ko) 앵커볼트
EP2265778A1 (en) Wall tie
EP0601034B1 (en) Fixing devices
KR200352238Y1 (ko) 셋트 앵커볼트
KR200335784Y1 (ko) 앵커볼트
US20020124371A1 (en) Anchor driver tool for power hammer apparatus
JP4212010B2 (ja) 車止めブロックの固定方法及び車止め装置
KR20070003474A (ko) 고정용 앵커
US4889191A (en) Gooseneck assembly for rock drill and method for inserting friction rock stabil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324

Effective date: 200205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