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339Y1 - 복대가 부설된 의자 - Google Patents

복대가 부설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339Y1
KR200274339Y1 KR2020020004437U KR20020004437U KR200274339Y1 KR 200274339 Y1 KR200274339 Y1 KR 200274339Y1 KR 2020020004437 U KR2020020004437 U KR 2020020004437U KR 20020004437 U KR20020004437 U KR 20020004437U KR 200274339 Y1 KR200274339 Y1 KR 2002743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chair
abdomen
cover
arm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석
Original Assignee
이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석 filed Critical 이해석
Priority to KR2020020004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3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3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339Y1/ko

Links

Landscapes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대가 부설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 의자의 지지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된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에 일측이 고정되고 착석자의 복부를 덮을 수 있도록 된 복대 및 상기 복대의 반대측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걸침대 등이 의자에 일체 구성된 것으로서, 장시간 의자에 앉아있을 때 발생하기 쉬운 복부냉증이나 복부의 처짐 또는 등허리의 굽음 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복대가 부설된 의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대가 부설된 의자{Health-band attached Chair}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석자의 복부를 덮을 수 있는 복대를 의자에 일체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복대의 내부에 자석이나 세라믹 또는 진동모터 등을 내장시킨 의자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사용이나 공부 등으로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는 경우에는 대부분 척추 측만증 등과 같은 잘못된 자세로 인한 문제를 염려하게 된다. 그러나, 자세에 대한 문제 뿐 아니라 복부의 냉증(체질적이거나, 여름에는 에어컨으로 겨울에는 주로 등쪽이나 다리 쪽으로만 받게 되는 난방의 불균형으로 인한)과 복부의 처짐(복부비만이 있는 사람이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는 것은 복부를 더욱 아래로 처지게 하고 이로 인해 자세가 더욱 나빠지는...)의 문제 또한 무시할 수 없는 것이다.
의자에 앉았을 때의 자세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56492호와 같이 시트부와 등받이부에 스위치를 매설하여 착석자의 자세가 잘못될 경우 각각의 스위치가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 등이 있으나, 이는 단순히 자세가 기울었을 때 경보하는 기능만 있을 뿐이다.
또한, 의자 전방 하측에 무릎을 받쳐주는 무릎 쿠션 지지대를 설치하여 그 각도에 의하여 허리를 곧게 펴서 앉도록 하는 자세교정용 의자 등이 등록(20-0207216호)되어 있다. 이것은 자세교정에는 효과가 있으나 복부를 보온해주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인체에 유익하다는 세라믹이나 한방약재 등을 매설하거나 진동 맛사지 효과를 얻는 것 또는 지압구가 설치된 것 등이 있으나, 모두 의자의 등받이에 구성된 것이어서 복부를 보온하거나 안정시켜주는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또한, 의자 등받이 부분에 착탈이 가능하며 착석자의 복부를 맛사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으로 등록된(제20-0246874호) 벨트 맛사지 기구가 있으나, 이는 의자 등받이 배면에 설치된 전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착석자의 복부에 걸쳐진 벨트가 요동되어 맛사지 효과를 얻도록 한 것으로서 이 역시 복부의 보온/안정과는 무관하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착석자의 복부를 보온하는 동시에 안정감 있게 당겨주어 복부의 처짐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등허리를 의자 등반이 쪽으로 당겨주게 되어 허리를 곧게 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의자 프레임의 일단에 고정점을 갖는 복대를 의자에 일체 구성하였다.
그리고, 복대 내에 세라믹/ 영구자석/ 한약재 또는 진동모터 등을 내장하여, 복부의 혈행을 이롭게 하거나 복부 지방을 분해하는 운동효과를 부차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
도2a, 도2b는 고정대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3은 복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4는 복대커버의 일례
도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6은 A-A부 확대단면도
* 도면에 인용된 부호의 설명 *
1; 좌석 2; 프레임 3; 너트
4; 등받이 5; 복대 6; 고정대
7; 복대커버 8; 브래킷 9; 걸고리
10; 라이너 11; 체결부 12; 보호커버
13; 전구 14; 진동모터 15; 외피
16; 영구자석 17; 옥 18; 건강보조물질
19; 마감재 20; 탄성부 21; 벨크로테잎
22; 회동축 23; 보강판 24; 영구자석
25; 충진재 26; 벨크로테잎 27; 지지축
28; 외피 29; 와셔 30; 팔걸이
31; 쿠션부 32; 심재 33; 볼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좌석과 등받이 및 이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으로 구성된 통상의 사무용 또는 거실용 의자에서, 등받이 프레임의 일측에 브래킷 등을 이용한 고정대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대에 직물로 된 복대를 한쪽만 부착 고정시킨다. 상기 복대는 착석자의 복부를 가릴 수 있을 정도의 너비와 좌우를 충분히 감쌀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복대로 착석자의 복부를 횡방향으로 가린 후 복대의 다른 한쪽(고정되지 아니한)을 별도 고정시키기 위한 또 다른 고정대를 반대측 적절한 위치에 설치한다.
그리고, 복대에 복대커버를 덧씌우고 상기 복대커버에 세라믹 / 자석/ 진동모터/ 적외선램프 등을 내장시켜 그 효과를 높이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인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기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부호1은 '좌석'이며 부호 2는 지지체인 '프레임'이다. 도1에 보인 의자는 사무용 의자의 하나로서 등받이부 하단이 개방된 것 중의 하나이다.
프레임(2)은 의자의 등받이(4) 등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철제 파이프 또는 목재로 된 것이며, 의자의 형상에 따라 도1에서와 같이 등받이(4)의 좌우측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기도 하고 등받이 배면에 형성되기도 한다.
부호 6은 '고정대'로, 복대(5)를 의자에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다.
고정대(6)는 대략 ' [ '형으로 생긴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 성형물로서 그 높이는 복대(5)의 상하 너비보다 길어야 하며, 또 그 상하측의 꺾임부에는 의자 프레임(2)에 고정대(6)를 고착시키기 위한 적당한 수단이 강구되어야 한다. 즉 도1에서 원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8)을 보조재로 하여 볼트 체결을 하거나, 또는 아예 프레임(2)과 일체된 형태로 성형할 수도 있다. 부호 10은 합성고무로 된 라이너이다.
또한, 설명되지 않은 부호 110은 '보조걸고리'이며, 이의 용도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보조걸고리(110)는 1개 내지 2개를 설치한다.
고정대(6)는 좌/우측 프레임(2)에 모두 동일한 높이로 부착한다.
프레임(2)이 등받이(4)에 매설되었거나 등받이가 그 역할을 하는 의자에 고정대(6)를 설치한 예를 도2a, 및 도2b에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프레임(2)은 의자의 형태에 따라 그 형상이나 부착방법을 적절히 택하면 된다.
복대(5)는 상하 너비가 12 내지 18cm 범위이며 전체 길이는 40 내지 60cm 범위인 견실하게 직조된 직물로, 그 길이 전체 혹은 일부 구간에 신축성 있는 소재로서 탄성부(20)를 형성시킨다. 도 1에서는 탄성부(20)로서 일부구간에 탄력밴드가 봉재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복대(5) 전체를 신축성 있는 직물로 적용해도 무방하다.
도3에 복대(5)의 구성을 나타낸 바, 복대(5)의 양단에는 합성수지나 견고한 직물로 된 마감재(19)를 접착 또는 봉재로 결합하며, 일측 끝단에 걸고리(9)를 견고하게 부착한다.
걸고리(9)는 필요한 경우 복대(5)를 고정대(6)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도록 탄성편으로 된 형태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걸고리(9)가 부착되지 않은 쪽 끝단에서부터 일정구간에 걸쳐 복대(5)의 외측(착용자의 복부에 닿지않는 쪽)면에 벨크로테잎(21)을 봉재 부착한다. 상기 벨크로테잎(21)은 복대(5) 착용 후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므로 그 부착범위는 적어도 암/수 각각 10㎝ 이상 여유있게 연설시킴이 좋다. 도3에서 화살표는 벨크로테잎(21)의 암/수가 상호 부착된다는 것을 설명한 것이다. 또한, 내측(착용자의 복부에 닿는 쪽)면은 적당한 구간에 순면 재질로 된 쿠션부(31)를 접착 또는 봉재 등의 방법으로 다수개 부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쿠션부(31)는 보온성과 통기성을 고려하고 압박감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대략 반구형으로 별도 제작된 것이다.
그리고, 복대(5)를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복대커버(7)를 사용하는데, 복대커버(7)는 상하가 개방된 포대와 같은 형태로서 도3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복대(5)에 외삽하여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복대커버(7)는 튼튼한 직물로 제작하되, 일측면에는 옥 등의 세라믹 종류나 영구자석 또는 숯이나 건재(쑥 등의 한약재) 등 인체에 접촉시켰을 때 다소 유익한 효과를 발휘한다고 알려져 있는 건강보조물질(18)을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복합으로 내장시킨다. 도3에서는 옥(17)과 영구자석(16)을 교번 접착한 뒤 망사 형태의 외피(15)를 덧대어 봉착한 복대커버(7)를 도시하였다. 한약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외피(15)의 일측변에 파스너 등을 설치하여 한약재를 넣은 팩을 넣고 또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도3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 100은 간이 수납주머니이다.
또한, 복대커버(7)의 응용예로서, 상기 보조물질(18) 대신 진동모터(14)를내장시킬 수도 있다. 도4a에 복대커버(7)의 다른 응용예를 도시하였다.
진동모터(14)의 전원은 건전지를 쓸 수 있으며, 상기 건전지를 수장하기 위한 케이스는 프레임(2)에 부착하거나 등받이(4)의 배면 등 적절한 위치에 설치 가능하다. 상기 진동모터(14)와 관련한 스위치 등의 전기적 회로는 간단한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부호 32는 모터보호커버이다.
또한, 복대커버(7)의 또 다른 응용예로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의 전구(13)를 부설케 할 수도 있는데, 이는 보다 적극적인 온열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상기 전구(13)는 적외선램프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어느 경우에나 도4b에서와 같이 보호커버(12)를 복대커버(7) 내측면에 설치하여야 한다. 상기 보호커버(12)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성형하며, 복대커버(7)에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11) 및 전구 조립 소켓과 상기 전구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형상 설계 등에 충분히 주의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30은 '전선'이며, 120은 과열 방지용의 '냉각창'이다.
또한, 복대커버(7)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복대(5) 내 수평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연결된 공기주머니를 형성시키고 이와 연결된 호스와 공기압축기로서 공기를 주입하여 복대(5)를 팽창시켜서 복부를 압박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공기주머니는 통상적인 튜브제작 방식으로 하며, 복대는 이중으로 구성하여 상기 공기주머니의 좌우측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공기압축기는 손으로 펌핑할 수 있는 소형 압축기로 하며, 고정대(6) 등에 이를 수납해둘 수 있는 수납부를 마련하는 것이 좋다.
이를 적용할 경우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손으로 적절히 공기를 압축시켜 복부를 압박하여 허리를 곧게 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성은 단순한 것이므로 별도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5는 팔걸이(30)가 있는 의자에 본 고안을 적용할 경우의 일례이다.
팔걸이가 있는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으나, 팔걸이를 활용하고 외관미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자의 팔걸이(30)는 그 지지축(27)의 단면이 ''형으로 되도록 하고 그 내측 모서리부 전 구간에 복대(5')가 설치되도록 하되, 팔걸이(30)의 안쪽(대략 사용자의 팔꿈치가 놓이는 부근) 일점에 세로방향의 회동축(22)을 입설하여 상기 회동축(22)이 복대(5') 내에 삽설된 보강판(23)을 관통하여 견고히 체결되도록 한다. 보강판(23)은 회동축(22)과 체결되어 복대(5')가 팔걸이(30) 하측에 안정되게 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회동축(22)은 전술한 고정대(6) 등과 같이 복대를 의자에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인 동시에 복대(5')의 회전지지점이 된다.
상기 보강판(23)은 단면이 ' [ ' 형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그 크기는 회동축(22)과 충분히 체결될 수 있는 정도면 된다.
복대(5')는 내부에 해면이나 섬유 등의 충진재(25)로 채워 다소 팽팽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복대(5')의 내측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쿠션부(31)나 옥/ 자석/등을 직접 부착시킬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한 바와 동일한 구성의 '복대커버(7)'를 추가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복대(5')의 선단(회동축에 의해 고정된 쪽의 반대편)에는 복대(5')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상기 복대를 팔걸이(30)에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적절한 고정수단을 설치한다. 도5의 예에서는 복대(5')의 외측면 일점과 그에 대응되는 팔걸이의 하단 일점에 상기 고정수단으로서 자석(24)을 부착하였다. 그러나, 걸고리 방식 또는 걸림턱을 형성시키는 방식 등 상기의 고정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통상의 기술은 많으므로 제조에 유리한 쪽을 택하면 된다.
또한, 상기 팔걸이(30) 있는 의자에 적용하는 복대(5')의 경우, 팔걸이의 길이 등을 고려하여 양쪽 모두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좌우의 복대가 겹쳐지는 대략의 범위의 좌/우측 복대 내/외측면에 벨크로테잎(26)을 부착시키는 동시에 좌/우측 복대의 선단을 도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점차 세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도6에서 부호 29는 와셔이며, 부호 3은 너트, 부호 32는 복대의 형상을 보조하기 위한 심재이다. 상기 심재(32)는 고무판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판으로 하며, 복대(5')의 길이 전 구간에 걸쳐 매설한다. 부호 28은 팔걸이의 외피이다. 상기 외피(28)는 편안함을 주기 위한 쿠션재를 포함한다.
도5는 복대(5')를 대략의 거리만큼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5에 도시된 것은 일례에 불과하다. 팔걸이를 이용하여 복대를 거치시키며 또 사용시에 복대를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할 수 있는 것이면, 의자의 종류에 따라 그 형상은 얼마든지 달리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의자 지지프레임의 일단에 고정대(6)와 같은 복대 고정수단을 설치하고 복대(5)를 부착시킬 수 있는 본 고안의 기본구성은 어느 종류의 의자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등받이가 후방으로 완전히 눕혀져서 수평이 되도록 된 의자-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된 형태의 의자에 본 고안을 적용할 경우에는 누운 상태에서 복대를 사용하여 그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브래킷(8) 등으로 의자 프레임(2)에 견고히 부착된 고정대(6)에 복대(5)의 걸고리(9)를 걸어 복대(5)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복대커버(7)가 있을 경우에는 복대커버(7) 면의 방향을 확인한 뒤 복대(5)에 외삽시킨다. 그리고, 의자에 앉은 뒤, 복대(5)를 적절히 탄성부(20)가 신장되도록 당겨 그 선단을 반대측 고정대 틈에 넣고 도3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으로 꺾어 벨크로테잎(21)을 이용하여 부착 고정시킨다. 그리고, 복대커버(7)를 움직여 복부 전면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복대커버(7) 내에 진동모터(14)나 전구(13) 등이 부설된 경우에는 별도의 스위치를 조작하면 된다.
복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복대(5)를 반대측 고정대 틈에 넣고 걸고리(9)가 걸린 고정대(6) 쪽으로 되돌린 뒤 보조걸고리(110)를 고정대(6)에 걸어둔다. 또는 아예 걸고리(9)를 풀어 복대(5)를 의자로부터 분리시킨다. 팔걸이가 있는 의자의 경우,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팔걸이(30) 앞쪽의 복대(5')를 당기면 자석(24)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밀착되어 있던 복대(5')가 팔걸이(30)로부터 이탈되게 되며, 상기 복대는 회동축(22)을 중심으로 대략 90도 범위 내의 수평회전운동을 한다. 반대측 팔걸이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복대를 이탈시켜서 상기 양 복대가 적절하게 복부를 압박할 수 있도록 교차시킨 후 벨크로테입(26)을 이용하여 두 복대를 부착한다. 이때에도 복대커버가 있을 경우에는 복대커버를 적절히 조정한다. 그리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복대를 복귀시켜 대응되는 자석(24)끼리 부착시키면 된다.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복대를 착용할 수 있음으로 해서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을 때 복부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대의 탄성부를 이용하여 적절히 복부를 압박시켰을 경우에는 의자에 앉았을 때의 자세를 바로 잡아주는 효과도 있으며, 등허리를 곧게 펼 수 있게 되어 학습할 때에도 집중이 잘되고 기의 순환이 원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체질적으로 장이 약하거나 복부가 냉한 사람의 경우에는 냉방시에도 편안하게 장시간이라도 의자에 앉아 있을 수가 있으며, 온열효과를 위한 전구 등을 활용할 경우에는 탁월한 효과를 볼 수가 있다.
또한, 복대커버(7)에 한약재나 자석 등 인체에 가깝게 했을 때에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알려진 건강보조물질을 내설 적용하였을 경우에는 장기간에 걸친 지속적인 건강증진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진동모터 등을 복대 내에 적용하였을 경우에는 의자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장운동을 도와주는 진동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 이로 인한 복부지방의 분해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복대를 의자에 일체로 부착함으로써 자세교정 및 복부냉증의 예방에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복대커버를 보조수단으로 활용할 경우에는 더욱 적극적인 복부온열효과 및 장운동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좌석 및 등받이가 있는 통상의 의자에 있어서; 착석자의 복부를 가로 덮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인 동시에 일정구간에 가로방향으로 신축되는 탄성부(20)가 형성되어 있는 직물제의 복대(5)가 의자에 설치되되, 상기 복대를 의자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프레임(2)과 같은 의자 지지체의 좌/우 양측 일단에 고정대(6)가 각기 설치되고, 상기 복대(5)의 일단에 부착된 걸고리(9)가 상기 고정대(6)의 어느 일측에 체결됨으로써 복대가 설치되며, 상기 복대(5)의 타단에는 일정구간 벨크로테잎(21)이 부착되어 있어 복대(5) 사용시 상기 고정대(6)의 다른 일측을 경유하여 되꺾인 복대(5)를 임의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특징이 있는, 복대가 부설된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지지체'는 단면이 ''형인 의자 팔걸이(30)이며, 상기 '의자에 고정시키는 수단'은 상기 팔걸이(30)의 안쪽 일점에 수직으로 입설된 회동축(22)인 동시에, 복대(5')는 상기 팔걸이(30)의 내측 모서리에 밀착되고 그 일단이 상기 회동축(22)에 체결 설치되며, 상기 회동축(22)을 회전지지점으로 하여 복대(5')가 수평방향으로 대략 직각인 회전운동을 하도록 된 것으로서, 상기 회동축(22) 및 복대(5')가 양측 팔걸이(30) 모두에 설치된 특징이 있는, 복대가 부설된 의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하가 개방된 포대상의 직물제인 동시에 그 일측에 숯/ 옥과 같은 세라믹 종류/ 건재(한약재)/ 영구자석 등과 같이 인체에 가까이하면 유익하다고 알려진 건강보조물질이 한종류 이상 내설되어 있는 복대커버(7)가 상기 복대(5)에 외삽되어 사용되는 특징이 있는 복대가 부설된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하가 개방된 포대상의 직물제인 동시에, 그 일측에 진동모터(14) 또는 온열효과용 전구(13) 등과 같이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부설체를 보호하기 위한 모터보호커버(32) 또는 보호커버(12)와 같은 별도 성형된 커버가 설치되고 전선(130)이 접속되어 있는 복대커버(7)가 상기 복대에 외삽되어 사용되어지는 특징이 있는, 복대가 부설된 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공기압축기 및 호스와 연결된 공기주머니가 복대(5)내에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공기주머니 내에 공기가 채워짐으로써 복대착용자의 복부를 압박하는 효과를 얻는 특징이 있는, 복대가 부설된 의자.
  6. 삭제
  7. 삭제
KR2020020004437U 2002-02-14 2002-02-14 복대가 부설된 의자 KR2002743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437U KR200274339Y1 (ko) 2002-02-14 2002-02-14 복대가 부설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437U KR200274339Y1 (ko) 2002-02-14 2002-02-14 복대가 부설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339Y1 true KR200274339Y1 (ko) 2002-05-04

Family

ID=73117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437U KR200274339Y1 (ko) 2002-02-14 2002-02-14 복대가 부설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33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981B1 (ko) * 2006-03-03 2007-06-12 박종혁 복근 강화용 의자
WO2008016275A1 (en) * 2006-08-04 2008-02-07 Jong Hyouk Park Abdominal muscles exercise chair
KR101436747B1 (ko) 2013-06-28 2014-09-11 진광복 자세교정 의자
KR20220146055A (ko) * 2021-04-23 2022-11-01 탐탐케어주식회사 보조 시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981B1 (ko) * 2006-03-03 2007-06-12 박종혁 복근 강화용 의자
WO2008016275A1 (en) * 2006-08-04 2008-02-07 Jong Hyouk Park Abdominal muscles exercise chair
KR101436747B1 (ko) 2013-06-28 2014-09-11 진광복 자세교정 의자
KR20220146055A (ko) * 2021-04-23 2022-11-01 탐탐케어주식회사 보조 시트
KR102527014B1 (ko) * 2021-04-23 2023-04-28 범진전자 주식회사 보조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4845B2 (en) Adjustable body support cushions
US8007343B1 (en) Bust support
CN107708646A (zh) 使用形状记忆合金部件的身体按摩器
WO2006042285A1 (en) Nursing aid device, system and method
KR200274339Y1 (ko) 복대가 부설된 의자
JP4102259B2 (ja) 伏臥位用の枕及び腹部マットレス
US10842285B1 (en) Leg pillow
JP2006517116A (ja) 超長波温熱肩マッサージ器および超長波温熱肩マッサージ器が装着された温熱按摩マットレス
KR100524660B1 (ko) 사우나겸 안마기능을 갖는 안락의자
CN113208377B (zh) 一种可柔性调节的医疗康复用枕头
KR20120079593A (ko) 허리 보조기
JP2002238930A (ja) 姿勢矯正具及び姿勢矯正方法
CN215081990U (zh) 一种风湿免疫性关节康复理疗装置
CN212788979U (zh) 一种可调式腰垫
JP2006304824A (ja) 下肢安定用具
KR20060128702A (ko) 각 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굴절형 좌식 의자
CN207604683U (zh) 人体模型躺摇椅
JP2003169836A (ja) 姿勢矯正用身体押し当て装置
CN216933935U (zh) 一种带腹部按摩与热敷功能的按摩椅
JP3069745U (ja) マッサ―ジ具
CN217525658U (zh) 一种翻身枕
KR20100000640U (ko) 허리받침대
CN212118575U (zh) 一种多功能脑病康复装置
KR200416085Y1 (ko) 허리 받침구
CN210096134U (zh) 一种深静脉血栓重症患者护理用翻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