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109Y1 - 비강·비염 세척기 - Google Patents

비강·비염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109Y1
KR200273109Y1 KR2020020003275U KR20020003275U KR200273109Y1 KR 200273109 Y1 KR200273109 Y1 KR 200273109Y1 KR 2020020003275 U KR2020020003275 U KR 2020020003275U KR 20020003275 U KR20020003275 U KR 20020003275U KR 200273109 Y1 KR200273109 Y1 KR 2002731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nasal
solenoid valve
nozzle
rhinit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2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현수
박종연
양요창
권용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텍
Priority to KR20200200032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1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1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109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강·비염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비강·비염 세척기는 본체;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약물이 저장된 수조; 수조 내부의 약물을 가열하는 히터; 수조 내부의 약물을 강제 펌핑하는 펌핑 모터; 펌핑 모터에 의하여 펌핑되는 약물을 외부로 분무하는 노즐; 펌핑 모터와 노즐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어 노즐로 약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 1솔레노이드 밸브; 제 1솔레노이드 밸브와 수조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어 제 1솔레노이드 밸브가 닫혔을 때 펌핑 모터에 의하여 펌핑되는 약물을 수조 내부로 강제 순환시키는 제 2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가 닫혔을 때 상기 노즐에 남아 있는 잔류 식염수를 빼주는 제3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비강·비염 세척기는 수조 내부에 저장된 약물의 온도상태를 항상 사용에 최적의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초기 사용시에 냉수가 분무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또한 가열된 약물을 상당한 시간동안 보온 가능하게 하여 사용 소비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며, 하나의 노즐로 분무와 흡입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즐의 사용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강·비염 세척기{Nasal cleaner}
본 고안은 비강·비염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비인후과 및 의원에서 환자의 코, 창상, 수술부위에 인체온도에 맞게 자동 온도조절로 약물(예컨대, 식염수)을 분무하여 세정하도록 하는 비강·비염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인체중의 코는 호흡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코의 질환은 대부분 만성화되기 쉽고, 재발이 많다. 그리고 만성적 코질환이 심각해지면 코와 인접한 부비동에 염증이 파급되어 축농증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하게 되고, 궁극에는 수술과 함께 장기적인 치료를 요하게 된다. 이러한 코 질환시 이비인후과 및 의원에서 주로 사용하는 것이 비강·비염 세척기이다.
이 비강·비염 세척기는 일반적으로 염증으로 인해 코속비강·비염, 비인두, 부비동 이관부위에 생성된 화농성 점액이나, 고형화된 분비물들을 간편하게 소독 세척하여 코 내부를 청결하게 하는 기기이다.
종래의 비강·비염 세척기는 대부분이 인체의 온도에 가깝게 약물을 가열하여 노즐을 통하여 인체의 코 내부로 분무하도록 되어 있는데, 초기 동작시에는 약물이 제대로 가열되지 않아 냉수가 분무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초기 동작시 온도가 낮은 약물은 대부분 폐기처분되고, 이후 온도가 적당히 상승한 약물을 분무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그만큼 약물의 사용효율이 낮다.
그리고 종래의 비강·비염 세척기 내부에는 분무를 위한 별도의 수조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수조에 대한 온도감지는 통상적으로 하나의 온도센서로 수행하고 있다. 그러므로 수조 내부에서의 온도편차가 심하여 사용에 적당한 온도의 약물을 제대로 분무시키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비강·비염세척을 위한 노즐과 흡입팁(suction tip)이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세정시에는 노즐을 사용하고, 이물질의 흡입시에는 흡입팁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그 사용효율 및 편의성이 떨어진다.
한편, 종래의 비강·비염세척기에 설치된 노즐은 약물의 분무방향이 대부분 직선 방향으로 이루어져 비강·비염 내 깊은 곳까지 직선으로 분무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때의 분무된 약물에 의하여 환자에게 거부감 및 재채기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비강·비염 세척기의 경우는 수조 내부의 약물을 설정온도까지 가열하는데 최초 히터가 작동한 후 수십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고, 또한 보온을 위한 구조가 불비하여 가열된 약물의 온도가 제대로 유지되지 못하여 그 소비전력이 과다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압에 의해 약물을 분무하는 비강·비염세척기는 약물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수동으로 사용자가 공급해야만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열된 약물을 순환시켜 저장된 약물 전체가 소정의 사용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비강·비염 세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과 관련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세척을 위한 약물의 분무와 코 내부에 존재하는 오물의 흡입이 하나의 노즐장치에서 360°홈을 만들어 어떠한 위치에서라도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한 비강·비염 세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과 관련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약물의 공급을 자동으로 할 수 있도록 한 비강·비염 세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강·비염 세척기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강·비염 세척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강·비염 세척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강·비염 세척기에 설치된 노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강·비염 세척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도 6의 분무수단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차폐부재(38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본체 110...수조
140...공급펌프 240...흡입펌프
260...노즐 300 : 분무수단
310 : 제2펌핑모터 320 : 약물저장통
330 : 오염물수거통 340 : 에어토출관
350 : 에어노즐 360 : 내부덮개
361 : 분사구 370 : 외부덮개
371 : 토출구 373 : 환형홈
375 : 수거홀 380 : 차폐부재
381 : 가로막 391,393 : 상,하한감지스위치
394 : 위치알림기 395 : 부상부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비강·비염 세척기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약물이 저장된 수조; 상기 수조 내부의 약물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수조 내부의 약물을 강제 펌핑하는 펌핑 모터; 상기 펌핑 모터에 의하여 펌핑되는 약물을 외부로 분무하는 노즐; 상기 펌핑 모터와 상기 노즐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로 약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 1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제 1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수조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솔레노이드 밸브가 닫혔을 때 상기 펌핑 모터에 의하여 펌핑되는 약물을 상기 수조 내부로 강제 순환시키는 제 2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가 닫혔을 때 상기 노즐사이에 남아 잇는 잔류 식염수를 자동으로 빼주는 제3솔레오니드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노즐에는 약물을 분무하도록 상기 제 1솔레노이드 밸브로부터 연장된 유로와 연결된 분무로와; 청소부위에 대한 이물질 흡입을 위한 흡입로가 함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흡입로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흡입통이 설치되고, 상기 흡입통의 일측에는 상기 흡입로로 흡입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흡입펌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통에는 넘침 감지를 위한 넘침감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 내부에는 오물통이 설치되고, 상기 제 1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노즐 사이에는 상기 오물통으로 연장된 분기로가 형성되고, 상기 분기로에는 제 3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오물통에는 상기 오물통 내부의 넘침 감지를 위한 넘침감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수조에는 상기 수조 내부에 잔존하는 약물의 양을 감지하는 수위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수조의 상기 히터의 외측면에는 보온을 위한 보온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수조 내부의 하부와 상부에는 하부 온도감지센서와 상부 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조의 약물을 공급받아 에어에 의해 분무동작을 실시하는 분무수단이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무수단은 상기 수조 내부의 약물을 강제 펌핑하는 제2펌핑모터와; 상기 제2펌핑모터로부터 공급되는 약물을 저장하는 약물저장통과; 상기 약물저장통의 외부측에 설치되어 세척을 마친 오염물을 수거하는 오염물수거통과; 상기 약물저장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에어펌프의 펌핑력에 의해 공급되는 에어를 통과시키는 에어토출관과; 상기 에어토출관의 상측에 설치되어 에어를 분출시키는 에어노즐과; 상기 약물저장통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분출시 그 분출압에 의해 분무상태로 토출되는 약물이 토출되도록 그 중앙에 분사구가 마련된 고깔형상의 내부덮개와; 상기 오염물수거통의 상측에 설치되어 오염물 수거를 가이드함과 아울러 약물을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마련된 고깔형상의 외부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덮개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노즐로부터 공급되는 분무상태의 약물을 일부 차폐시키도록 그 중앙측에 가로막이 형성된 차폐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가로막에는 상기 에어노즐 선단부와 상기 가로막 하단부 까지의 거리(d)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에어토출관의 상단 외주와 나사 결합되도록 그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연결관이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물저장통에는 약물의 하한위치 및 상한위치를 감지하여 약물을 공급하고 차단하도록 하는 상·하한 감지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토출관의 외주에는 부상부재를 매개로 약물 수용량에 따라 부상하여 상기 상·하한감지스위치에 신호를 보내는 위치알림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비강·비염세척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테이블 형태로 된 본체(100)를 구비하고, 본체(100)에는 수거통(120)과 수조(110)가 함몰 설치되고, 수거통(120)의 일측에는 노즐(260)이 입설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0)의 내부에는 약물의 분무와 이물질 흡입 기능의 구현을 위한 구성이 내장 설치된다.
이들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측으로 전술한 수조(110)와 수거통(120)이 마련되고, 본체(100) 하부에는 흡입통(220)과 오물통(250)이 장착된다. 그리고 이들 사이에는 다수의 배관과 밸브 구성이 장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조(110)는 외면에 수조(110) 내부의 약물 가열을 위한 히터(111)가 설치되고, 히터(111) 외면에는 보온 기능을 위한 보온재(112)가 도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조(110)의 저면에는 수조(110) 내부에 약물의 잔존량을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115)가 장착되어 있고, 수조(110)의 내부 하부에는 수조(110) 하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하부온도감지센서(114)가 장착되며, 수조(110)의 내부 상측에는 수조(110) 상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상부온도감지센서(113)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수조(110)의 바닥으로는 약물의 공급을 위한 공급관(130)이 연장 설치되어 있고, 이 공급관(130)의 하단에는 공급 펌프(140)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공급 펌프(140)의 출구에는 공급 펌프(140)를 거친 공급관(130)이 연장되어 있으며, 계속해서 공급 펌프(140)를 거친 공급관(130)의 끝단에는 제 1삼방밸브(150)가 연결되어 있다.
이 제 1삼방밸브(150)의 일측으로는 공급관(130)이 연장되어 노즐(260)과 연결되어 있고, 노즐(260)과 제 1삼방밸브(150) 사이에는 노즐(260)로 공급되는 약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 1솔레노이드 밸브(160)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1삼방밸브(150)의 타측으로는 별도의 순환관(170)이 연장되어 수조(110)와 연결되어 있으며, 순환관(170) 상에는 제 2솔레노이드 밸브(180)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제 1솔레노이드 밸브(160)와 노즐(260) 사이의 공급관(130)에는 별도의 제 2삼방밸브(190)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제 2삼방밸브(190)에는 별도의 배출관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배출관에는 제 3솔레노이드 밸브(200)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관의 하단에는 수거통(110)과 연결된 오물통(250)이 장착되어 있다.
한편, 노즐(2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약물의 분무를 위한 분무홀(263)과, 흡입홀(26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분무홀(263)과 흡입홀(264)은 상단 중심부분에 형성된 (263)과 상기 분무홀(263)의 주변으로 원형 고리형태로 된 흡입홀(264)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분무되는 약물을 주변방향으로 확산 분사하도록 한다. 그리고 내부에는 분무홀(263)이 연결되어 전술한 공급관(130)과 연결된 분무로(26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노즐(260)은 약물의 분무와 함께 필요시 흡입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흡입 기능의 수행을 위해서 흡입홀(264)의 하단 측에 별도의흡입로(26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흡입로(261) 하부로는 별도의 흡입관(230)이 연결되어 있으며, 흡입관(230)의 하단에는 본체(100) 내부에 장착된 흡입통(220)이 연결되어 있고, 흡입통(220)에는 흡입관(230)으로 흡입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흡입펌프(240)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노즐(260)이 설치된 본체(100)에는 노즐(260)의 안착상태에 따라 작동하는 마이크로 스위치(210)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마이크로 스위치(210)의 동작에 따라 약물의 순환동작, 분무동작 그리고 흡입동작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전원 공급 또한 이 마이크로 스위치(21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비강·비염세척기의 제어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와 이 제어부(10)에 의해 제어되며 비강·비염 세척기의 동작을 위하여 공급되는 전원(20)을 구비한다. 그리고 수조(110)와 오물통(250) 그리고 흡입통(220)에 각각 설치된 수위센서(115)와 넘침감지센서(221)(251)의 감지상태에 따라 수조(110)에서의 로우 레벨, 오물통(250)과 흡입통(220)에서의 오버 플로우 상태를 판단하여 외부로 경보를 발신하는 경보부(30)가 구현된다.
또한 별도의 타이머(40)가 마련되는데, 이 타이머(40)는 온도감지부(60)에서 감지된 온도 상태에 따라 공급펌프(140)를 작동시켜 수조(110) 내부 및 공급관의 약물을 설정된 시간동안 순환시킴으로써 수조(110) 내부에 저장된 약물이 설정된 온도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노즐(260)에서의 약물 분무상태 또는 노즐(260)에서의 이물질 흡입상태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도록 하는 선택스위치(50)가 마련되는데, 이 선택스위치(50)에는 마이크로 스위치(210)도 포함된다. 그리고 제 1솔레노이드 밸브(160), 제 2솔레노이드 밸브(180) 그리고 제 3솔레노이드 밸브(200)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솔레노이드 구동부(70)가 마련되고, 이들의 구동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80)가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비강·비염 세척기의 동작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비강·비염 세척기는 세 가지의 동작모드가 선택적으로 작동하는데, 수조(110) 내부의 약물 온도를 설정 온도상태로 유지시켜주기 위한 약물 순환동작과 약물을 노즐(260)을 통하여 분무시키는 분무동작 그리고 노즐(260)을 통한 이물질의 흡입을 위한 흡입동작으로 되어 있다.
먼저 약물 순환동작은 수조(110) 내부에 설치된 두 개의 온도센서(114)(115)에서 감지된 약물의 온도차가 소정크기 이상일 때 시작되는데, 그 동작은 제 1솔레노이드 밸브(160)가 오프된 상태에서 제 2솔레노이드 밸브(180)가 온 상태에 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 공급펌프(140)가 설정된 시간에 의해서 자동 작동을 시작한다. 이 공급펌프(140)가 작동을 시작하면 수조(110) 내부의 약물은 공급펌프(140)에 의하여 강제 펌핑으로 공급되어 제 1삼방밸브(150)를 거친다.
그리고 제 1삼방밸브(150)를 거친 약물은 제 1솔레노이드 밸브(160)가 닫혀 있기 때문에 노즐(260) 측으로 공급되지 않고, 제 2솔레노이드 밸브(180)를 거쳐 순환관(170)을 통하여 다시 수조(110) 내부로 회수된 후 계속해서 순환된다.
따라서 히터(111)에 의하여 가열된 수조(110) 내부의 약물은 계속된 순환동작으로 전체가 고른 온도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각각의 온도센서(114)(115)에서 감지된 약물의 온도차가 소정크기 이하가 되면 그 작동을 멈추게 된다. 또한 보온재(112)에 의하여 가열된 약물은 상당한 보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분무동작은 제 1솔레노이드 밸브(160)가 온되고, 제 2 솔레노이드 밸브(180)와 제 3솔레노이드 밸브(200)가 오프된 상태에서 공급펌프(140)가 동작하면 수조(110) 내부의 약물은 공급펌프(140)에 의하여 강제로 펌핑되어 제 1삼방밸브(150) 그리고 제 1솔레노이드 밸브(180)를 거쳐 노즐(260)로 공급되게 됨으로써 약물의 분무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분무동작을 정지하면, 공급펌프(140)의 펌핑 동작은 멈추고, 제 1솔레노이드 밸브(160)는 오프된다. 그리고 제 3솔레노이드 밸브(200)가 온되어 제 1솔레노이드 밸브(160)와 노즐(260) 사이에 잔존하는 약물이 제 3솔레노이드 밸브(200)를 거쳐 오물통(250)으로 수거되어 폐기 처분된다.
계속해서 흡입동작은 제 1솔레노이드 밸브(160)가 닫힌 상태에서 흡입펌프(240)가 동작하면 흡입펌프(240)와 흡입통(220)을 통하여 흡입관(230)에 흡입력이 가해지게 되고, 이 흡입력은 노즐(260)의 흡입로(261)를 통하여 이물질 흡입부분에 대한 흡입이 이루어지게 되고, 흡입된 이물질은 흡입통(220)에 수거되게 된다.
한편, 수조(110) 내부에 저장된 약물의 양이 소정양 이하가 되면 표시부(80)를 통하여 외부로 경보를 발신하여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약물을 보충 할 수 있도록하고, 또한 오물통(250)과 흡입통(220)에 내용물이 과다하게 되면 이때에도 제어부(10)는 즉시 표시부(80)를 통하여 이를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이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비강·비염세척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상기 도 6의 분무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상기 도 7의 차폐부재(38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구성에 분무수단(300)을 추가로 구성한 점이 다르다.
따라서, 도 2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명기하며,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분무수단(300)은 상기 수조(110) 내부의 약물을 강제 펌핑하는 제2펌핑모터(310)와, 상기 제2펌핑모터(310)로부터 공급되는 약물을 저장하는 약물저장통(320)과, 상기 약물저장통(320)의 외부측에 설치되어 세척을 마친 오염물을 수거하는 오염물수거통(330)과, 상기 약물저장통(3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토출관(340)과, 상기 에어토출관(340)의 상측에 설치되어 에어를 분출시키는 에어노즐(350)과, 상기 에어토출관(340)을 통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펌프(353)와, 상기 약물저장통(3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에어 분출시 그 분출압에 의해 분무상태의 약물이 토출되도록 그 중앙에 분사구(361)가 마련된 고깔형상의내부덮개(360)와; 상기 오염물수거통(330)의 상측에 설치되어 오염물 수거를 가이드함과 아울러 분무상태의 약물을 토출시키는 토출구(371)가 마련된 고깔형상의 외부덮개(370)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덮개(370)는 환형의 홈(373)이 마련하여 오물을 수거하고, 그 수거된 오물은 수거홀(375)을 통해 오물수거통(330)으로 수거되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내부덮개(360)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노즐(350)로부터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그 압축에어가 부압을 발생시켜 약물을 빨아들여 액체상태인 약물을 기체상태로 변화시켜 토출되는 분무상태의 약물을 일부 차폐시키도록 그 중앙측이 가로막(381)이 형성된 차폐부재(380)가 설치된다.
상기 차폐부재(38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가 비어 있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원통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 중앙에 가로막(381)이 가로지르게 형성되고, 상기 가로막(381)에는 그 내주면에 나사부(383a)가 형성된 연결관(383)이 연장 형성되어 그 나사부(383a)가 상기 에어토출관(340)의 상단 외주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결합된다.
그와 같이 에어토출관(340)과 나사 결합됨에 따라 차폐부재(380)의 가로막(381) 하단부로터 에어노즐(350)의 선단부 까지의 거리(d)를 조절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거리(d) 조절은 상기 에어노즐(350)을 상기 에어토출관(340)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구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거리(d) 조절을 함으로써 분무되는 약물의 입자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약물저장통(320)에는 약물의 하한위치 및 상한위치를 감지하도록 상·하한 감지센서가(391,393)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토출관(340)의 외주에는 약물 수용량에 따라 부상하여 수위를 알리는 위치알림기(394)가 부상부재(395)를 매개로 설치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301)는 약물이 공급되는 약물공급관을 나타내고, 부호(303)는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토출관을 나타낸다.
다음은 상술한 분무수단(300)의 동작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2펌핑모터(310)의 펌핑동작에 의해 수조(110)로부터 약물이 공급되고, 그 공급된 약물은 약물공급관(301)을 통해 이동하여 약물저장통(320) 내부로 공급된다.
그와 같이 약물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약물저장통(320)의 내부에 부상부재(395)를 매개로 설치되는 위치알림기(394)는 계속하여 상승하게 되어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는 위치알림기(394)의 위치를 감지한 상한감지스위치(391)는 제2약물공급펌프(310)의 동작을 멈추도록 신호를 보내 약물 공급동작을 멈춘다.
반대로, 약물저장통(320)에 수용된 약물이 다 소모되어 위치알림기(394)의 위치가 약물저장통(320)의 바닥부에 위치하게 되면 하한감지스위치(393)는 상기 제2펌핑모터(310)를 동작시켜 약물을 공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원리에 의해 약물을 자동으로 공급하고 차단하게 됨으로써그 약물 공급을 종래에 비하여 편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은 원리에 의해 약물저장통(320)에 약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시되지 않은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세척동작을 실시하게 되면, 에어펌프(353)가 동작되어 에어를 에어토출관(340)으로 공급한다.
그 공급된 에어는 에어노즐(350)을 통해 고압으로 배출된다.
상기 압축에어가 에어노즐(350)을 통해 배출되면 약물저장통(320)에 저장된 약물은 배출되는 압축에어와 함께 배출되는 데, 이것은 좁은 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압축에어가 부압을 발생시켜 약물을 빨아올리면서 액체 상태인 약물을 기체상태로 변화시켜 분사구(361)와 토출구(371)를 통해 안개모양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압축에어와 함께 배출되는 약물은 비강·비염내부로 비산되어 비강·비염내부의 점막에 묻어 있는 오염물질을 세정하게 되며, 이렇게 오염물질을 세정한 오염수는 비강·비염의 내벽을 타고 외부로 흘러나온다.
그 흘러나온 오염물은 상기 외부덮개(370)의 외부를 타고 흘러내려 환형홈(373)에 모아져 수거홀(375)을 통해 오염물수거통(350)으로 수거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분무수단(300)이 도 2의 구성에 추가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 2분무수단(300)을 상기 도 2의 노즐(260)의 위치에 위치시켜 그 분무동작을 실시하는 형태로 구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비강·비염 세척기는 수조 내부에 저장된 약물의 온도상태를 항상 사용에 최적의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초기 사용시에 냉수가 분무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또한 가열된 약물을 상당한 시간동안 보온 가능하게 하여 사용 소비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며, 하나의 노즐로 분무와 흡입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즐의 사용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에 의해 분무동작을 실시하는 비강·비염세척구조에 있어서도 그 약물 공급을 자동으로 실시하도록 하여 그 공급동작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3)

  1.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약물이 저장된 수조;
    상기 수조 내부의 약물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수조 내부의 약물을 강제 펌핑하는 펌핑 모터;
    상기 펌핑 모터에 의하여 펌핑되는 약물을 외부로 분무하는 노즐;
    상기 펌핑 모터와 상기 노즐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로 약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 1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제 1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수조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솔레노이드 밸브가 닫혔을 때 상기 펌핑 모터에 의하여 펌핑되는 약물을 상기 수조 내부로 강제 순환시키는 제 2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가 닫혔을 때 노즐에 남아 있는 잔류 식염수를 제거하는 제3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비염 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는 약물을 분무하도록 상기 제 1솔레노이드 밸브로부터 연장된 유로와 연결된 분무로와; 청소부위에 대한 이물질 흡입을 위한 흡입로가 함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비염 세척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흡입로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저장되는 흡입통이 설치되고, 상기 흡입통의 일측에는 상기 흡입로로 흡입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흡입펌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비염 세척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통에는 넘침 감지를 위한 넘침감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비염 세척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는 오물통이 설치되고, 상기 제 1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노즐 사이에는 상기 오물통으로 연장된 분기로가 형성되고, 상기 분기로에는 제 3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비염 세척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통에는 상기 오물통 내부의 넘침 감지를 위한 넘침감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비염 세척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는 상기 수조 내부에 잔존하는 약물의 양을 감지하는 수위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비염 세척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상기 히터의 외측면에는 보온을 위한 보온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비염 세척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내부의 하부와 상부에는 하부 온도감지센서와상부 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비염 세척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약물을 공급받아 에어에 의해 분무동작을 실시하는 분무수단이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비염 세척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수단은 상기 수조 내부의 약물을 강제 펌핑하는 제2펌핑모터;
    상기 제2펌핑모터로부터 공급되는 약물을 저장하는 약물저장통;
    상기 약물저장통의 외부측에 설치되어 세척을 마친 오염물을 수거하는 오염물수거통;
    상기 약물저장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에어펌프의 펌핑력에 의해 공급되는 에어를 통과시키는 에어토출관;
    상기 에어토출관의 상측에 설치되어 에어를 분출시키는 에어노즐;
    상기 약물저장통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분출시 그 분출압에 의해 분무상태로 토출되는 약물이 분사되도록 그 중앙에 분사구가 마련된 고깔형상의 내부덮개 및;
    상기 오염물수거통의 상측에 설치되어 오염물 수거를 가이드함과 아울러 상기 약물을 토출시키도록 토출구가 마련된 고깔형상의 외부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비염세척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덮개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노즐로부터 공급되는 분무상태의 약물을 일부 차폐시키도록 그 중앙측에 가로막이 형성된 차폐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가로막에는 상기 에어노즐 선단부와 상기 가로막 하단부 까지의 거리(d)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에어토출관의 상단 외주와 나사 결합되도록 그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연결관이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비염세척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저장통에는 약물의 하한위치 및 상한위치를 감지하여 약물을 공급하고 차단하도록 하는 상·하한 감지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토출관의 외주에는 부상부재를 매개로 약물 수용량에 따라 부상하여 상기 상·하한감지스위치에 신호를 보내는 위치알림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비염세척기.
KR2020020003275U 2002-02-01 2002-02-01 비강·비염 세척기 KR2002731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275U KR200273109Y1 (ko) 2002-02-01 2002-02-01 비강·비염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275U KR200273109Y1 (ko) 2002-02-01 2002-02-01 비강·비염 세척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5889A Division KR100426520B1 (ko) 2002-02-01 2002-02-01 비강·비염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109Y1 true KR200273109Y1 (ko) 2002-04-20

Family

ID=73072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275U KR200273109Y1 (ko) 2002-02-01 2002-02-01 비강·비염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10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385B1 (ko) 2003-04-15 2006-06-08 성신공업 주식회사 애견용 귀세척기
KR200487468Y1 (ko) 2018-03-21 2018-11-05 유영석 코 세척기의 보관 및 건조가 용이한 건조수납기
CN114515245A (zh) * 2022-02-21 2022-05-20 广东固特超声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提神醒脑功能的鼻腔湿润消炎灭菌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385B1 (ko) 2003-04-15 2006-06-08 성신공업 주식회사 애견용 귀세척기
KR200487468Y1 (ko) 2018-03-21 2018-11-05 유영석 코 세척기의 보관 및 건조가 용이한 건조수납기
CN114515245A (zh) * 2022-02-21 2022-05-20 广东固特超声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提神醒脑功能的鼻腔湿润消炎灭菌装置
CN114515245B (zh) * 2022-02-21 2023-08-08 广东固特超声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提神醒脑功能的鼻腔湿润消炎灭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44226T3 (es) Aparato para tratamiento de heridas
US7431718B2 (en) Skin care device for taking out and removing sebum or other cutaneous impurities
US5074322A (en) Structure of sterilizing hand dryer
KR200419449Y1 (ko) 분무 및 진공흡입 기능을 갖는 피부관리장치
KR101505813B1 (ko) 피부관리장치
US20080060689A1 (en) Wash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shaver
EP2914312A2 (en) Irrigation assembly
JPH0117363B2 (ko)
US20220313966A1 (en) Nasal irrigation assembly and system
KR100426520B1 (ko) 비강·비염 세척기
KR200273109Y1 (ko) 비강·비염 세척기
JP6983441B2 (ja) ***物処理装置の洗浄及び消毒方法、並びにこれを利用する***物処理装置
KR200289606Y1 (ko) 비강 세척기
JP2835139B2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KR101604365B1 (ko) 워터펌프를 활용한 스킨 케어장치
CN113181040A (zh) 一种螺旋式鼻腔冲洗设备
KR100586385B1 (ko) 애견용 귀세척기
CN210056750U (zh) 一种洗鼻器
JP2010051528A (ja) 液噴射吸引用部材及び液噴射吸引装置
KR20030093719A (ko) 비강 세척기
KR101897144B1 (ko) 습식 청소기 및 그 제어 시스템
KR19980043950U (ko) 눈 세정기
CN217489259U (zh) 一种耳鼻喉科护理用鼻腔冲洗器
KR200488755Y1 (ko) 코 세척기구
JPH08280806A (ja) 医療用ホースレス型スプレ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