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324Y1 - Radio paging system of student commuter cars - Google Patents

Radio paging system of student commuter ca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324Y1
KR200271324Y1 KR2020010036501U KR20010036501U KR200271324Y1 KR 200271324 Y1 KR200271324 Y1 KR 200271324Y1 KR 2020010036501 U KR2020010036501 U KR 2020010036501U KR 20010036501 U KR20010036501 U KR 20010036501U KR 200271324 Y1 KR200271324 Y1 KR 2002713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user
sid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50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김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환 filed Critical 김종환
Priority to KR2020010036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32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3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324Y1/en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학용 차량의 무선 호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유치원 및 학교 등의 기관에서 그 소속인원의 통학을 위하여 운행하는 차량을 이용함에 있어, 예측치 못한 사정에 의해 차량의 도착시간이 지연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 차량에 마련되어 상기 차량이 통과하는 지역에 거주하는 각 이용자에게 호출신호를 전송하는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와, 차량의 각 이용자 측에 마련되어 상기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의 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alling system of a school vehicle, which occurs when the arrival time of the vehicle is delayed due to unforeseen circumstances when using a vehicle operated by a kindergarten or a school to attend the school.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a vehicle-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rovided in a mobile vehicle and transmitting a call signal to each user living in an area where the vehicle passes, and provided in each user side of the vehicle, the call of the vehicle-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t least one user 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receiving a signal and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thereto.

Description

통학용 차량의 무선 호출시스템{Radio paging system of student commuter cars}Radio paging system of student commuter cars}

본 고안은 통학용 차량의 무선 호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치원 및 학교 등의 기관에서 그 소속인원의 통학을 위하여 운행하는 차량을 이용함에 있어, 상기 차량이 이용자의 거주지역에 도달하게 되면 이용자를 무선 호출함으로써, 어린이 등이 지체 없이 차량에 곧바로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학용 차량의 무선 호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alling system of a school vehicle,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using a vehicle operated by a kindergarten, a school, or the like for attendance of its members, when the vehicle reaches the user's living are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alling system for a school vehicle that allows a child or the like to board a vehicle immediately without delay.

현재 지역 단위로 운영되고 있는 대부분의 유치원이나 학교, 학원 등은 그 소속인원을 운송시키는 수단으로 셔틀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다수의 인원을 운송해야 하는 차량의 특성상, 상기 셔틀버스의 이용자들은 버스가 여러 곳을 순회하면서 자신의 거주지에 도착하기 전에 미리 정해진 장소에 나와서 기다리고 있어야 했다. 이 때, 어린이 등의 등하교 안전을 위하여 보호자도 함께 나와 차량을 기다리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었다.Most kindergartens, schools, and academies that operate at the local level operate shuttle buses as a means of transporting their members. Due to the nature of a vehicle that must carry a large number of people, the passengers of the shuttle bus had to wait in a predetermined place before the bus traveled to several places and arrived at their place of residence. At this time, it was common for a guardian to come and wait for a vehicle for safety of children.

그러나, 버스가 예측할 수 없는 사정으로 정해진 시간에 상기 도착지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해 왔으며, 이 경우 어린이 등의 버스 이용자 및 그 보호자는 사정도 모른 채 밖에서 막연히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기다림은 겨울철이나 우천시에는 더욱 큰 불편을 초래하였다.However, there have often been cases where a bus cannot reach the destin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due to unforeseen circumstances, in which case a bus user such as a child and a guardian have to wait vaguely outside without knowing the circumstances. In particular, this waiting caused more inconvenience in winter or rainy weather.

이에 따라, 최근에는 운전자가 이동차량에서 휴대폰을 이용하여 각 이용자의 가정에 전화를 걸어 호출하는 등의 방법도 이용되고 있으나, 운전 중 휴대폰 통화는 대형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으로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된 이용자들의 이름 및 집 전화번호가 만일의 경우에는 범죄에 악용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a method in which a driver makes a call to each user's home by using a mobile phone in a mobile vehicle is also used, but a mobile phone call while driving may cause a large accident. In addition, there was a concern that the names and home telephone numbers of the users provided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for the above purpose may be misused in case of crime.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이 이용자의 거주지 근방에 도달하면 이용자에게 호출신호를 전송하여 집을 나서도록 함으로써, 이용자들이 운송차량을 장시간 기다림 없이 그 거주지로부터 바로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학용 차량의 무선호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the vehicle reaches the user's place of residence, the user sends a call signal to the user to leave the house, so that the users board the vehicle directly from the place without waiting for a long tim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alling system for a school vehicl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학용 차량의 무선 호출시스템의 통신 구성도,1 is a communication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calling system of a schoo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장치의 회로 블록도.4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reference numerals)

1.....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 2.....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1 ..... vehicle-side radios 2 ..... user-side radios

21.....안테나 22.....표시판21 .. Antenna 22. Display board

23.....전원버튼 24.....수정버튼23 ..... Power button 24 ..... Modify button

25.....단위버튼 26.....호출버튼25 .... Unit button 26 .... Call button

27.....숫자버튼 28.....전원차단버튼27 ..... Number buttons 28 ..... Power off button

29.....송신기 등록번호 입력버튼 30.....전원입력단자29 ... Transmitter registration number input button 30 ..... Power input terminal

11.....안테나 12.....정지버튼11 ... antenna 12 ..... stop button

13.....전원버튼 14.....선택버튼13 ..... Power Button 14 ..... Selection Button

15, 16.....음량조절버튼 17.....전원·호출표시램프15, 16..Volume control button 17..Power indicator

18.....밧데리 연결구 19.....스피커18 ..... Battery connector 19 ..... Speaker

20.....DC 전환용 어댑터 연결구20 ..... DC adapter adapter connect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통학용 차량의 무선호출 시스템은,Wireless call system of the school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이동 차량에 마련되어 차량이 통과하는 지역에 거주하는 각 이용자에게 호출신호를 전송하는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와, 차량의 각 이용자 측에 마련되어 상기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의 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로 이루어지는 통학용 차량의 무선 호출시스템으로서,A vehicle-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rovided in a mobile vehicle and transmitting a call signal to each user living in an area through which the vehicle passes; and a call signal of the vehicle-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rovided at each user side of the vehicle and receiving a response signal thereto. A wireless calling system for a school vehicle comprising at least one user 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a

상기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는, 차량이 통과하는 지역을 입력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지역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갖는 호출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상기 출력신호를 변조하여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로부터의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수신부와, 상기 복조된 신호로부터 호출에 대한 응답이 있음을 알리는 표시부를 구비하며,The vehicle-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an area through which the vehicle passes,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all signal having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input area, and modulating the output signal to a user-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d demodulating a response signal from the user 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display unit for indicating that there is a response to a call from the demodulated signal,

상기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는, 상기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로부터의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수신부와, 상기 복조된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이용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주파수인지 판별하는 주파수 판별부와, 상기 판별의 결과 이용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주파수임이 확인되면 이용자에게 차량으로부터의 호출이 있음을 알리는 표시부와, 상기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로부터의 호출신호에 대한 수신 응답신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응답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er 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d demodulating a call signal from the vehicle 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 frequency discriminat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frequency of the demodulated signal is a frequency of an area where the user resides; A display unit for informing the user that there is a call from the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requency is in the region where the user resides;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a reception response signal for the call signal from the vehicle-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transmitter for modulating a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vehicle-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학용 차량의 무선 호출시스템의 통신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동 차량(100)에 마련되는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1)와, 상기 차량을 이용하는 각 이용자 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2)로 구성되는 본 고안의 무선 호출시스템이 나타나 있다.1 is a view showing a communication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all system for a schoo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rovided on a vehicle-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 provided in a mobile vehicle 100 and on each user side using the vehicle. A radio call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which consists of at least one user side radio communication device 2.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통신주파수는 FRS(Family Radio Service) 허용주파수인 448MHz대의 극초단파(UHF)이며, 차량의 이용자가 거주하는 지역별로 통신 주파수를 할당한 후, 차량에 구비되는 무선통신 장치와 이용자 측에 구비되는 무선통신 장치 사이에 상기 정해진 주파수를 이용한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전제로 한다. 즉, 양측이 별도의 교환대를 거치지 않고 근거리에서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안테나를 통해 전파를 송수신하는 방식으로 통신이 행해진다.The communication frequenc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448MHz Ultra High Frequency (UHF), which is the allowable frequency of FRS (Family Radio Service), and after allocating the communication frequency according to the area where the user of the vehicle resides, It is assumed that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predetermined frequency is performed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provided in the terminal. That is, the communication is performed in a manner that both sides transmit and receive radio waves through an antenna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t a short distance without passing through a separate switchboard.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통학용 차량의 무선호출 시스템은, 먼저 차량에서 무선통신 장치(1)를 이용하여 그 통과하려는 지역(200)에 할당된 주파수를 갖는 호출신호를 송신하면,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2)가 상기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그 해당 지역에 할당된 주파수인지를 판별한 후 이용자에게 차량으로부터의 호출사실을 알리도록 동작한다. 또한,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2)는 상기 호출신호에 대한 수신 응답신호를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1)로 다시 전송하도록 동작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radio call system of the school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first transmits a call signal having a frequency assigned to the area 200 to be passed by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 the user The 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 receives the call signal and determines whether it is a frequency allocated to the corresponding area, and then operates to notify the user of the call from the vehicle. In addition, the user side radio communication device 2 is operative to transmit the reception response signal for the call signal back to the vehicle side radio communication device 1.

이와 같은 이동 차량과 이용자간의 무선통신을 위하여, 상기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는, 차량이 통과하는 지역을 입력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지역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갖는 호출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출력신호를 변조하여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로부터의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수신부와, 상기 복조된 신호로부터 호출에 대한 응답이 있음을 알리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는, 상기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로부터의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수신부와, 상기 복조된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이용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주파수인지 판별하는 주파수 판별부와, 상기 판별의 결과 이용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주파수임이 확인되면 상기 이용자에게 차량으로부터의 호출이 있음을 알리는 표시부와, 상기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로부터의 호출신호에 대한 수신 응답신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응답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such a mobile vehicle and a user, the vehicle-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an area through which the vehicle passes,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all signal having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input area; A transmitter for modulating the output signal and transmitting the modulated signal to a user 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 receiver for receiving and demodulating a response signal from the user 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display unit for indicating that there is a response to a call from the demodulated signal. Equipped. The user sid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receiver which receives and demodulates a call signal from the vehicle sid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 frequency discriminating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a frequency of the demodulated signal is a frequency of an area where the user resides; A display unit for informing the user that there is a call from the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requency of the region where the user resides, and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a reception response signal for the call signal from the vehicle-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transmitter for modulating the response signal and transmitting the modulated response signal to the vehicle 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측 무선통신 장치의 송신부는 전압제어 발진기(VCO) 및 PLL(Phase Locked Loop)을 통해 발진된 고주파에 호출신호를 실어 변조하여 송신하며, 상기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의 수신부는 상기 호출신호에 대한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로부터의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증폭기 및 주파수 혼합기 등을 거쳐 복조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이와 같은 호출신호 및 응답신호의 송수신 상태는 스피커 및 램프 등의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의 주파수 판별부에는 비교기가 구비되어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되어 복조된 호출신호가 그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에 할당된 주파수인지를 판별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판별결과에 따라 이용자에게 호출음 등이 송출 제어되도록 마이크로 컴퓨터 등이 구비된다.More specifically, the transmitter of the vehicle-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odulates and transmits a call signal to a high frequency oscillated through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and a phase locked loop (PLL), and the receiver of the vehicle-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s. Receive a response signal from the user 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the call signal and demodulate it through an amplifier, a frequency mixer,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tat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call signal and the response signal may be known to the user through a display unit such as a speaker and a lamp. On the other hand, the frequency discriminating unit of the user-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provided with a comparator to determine whether the call signal received and demodulated from the vehicle-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a frequency assigned to the user-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 determin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a microcomputer or the like is provided so that call sounds and the like are transmitted to the user.

또한, 본 고안의 통학용 차량의 무선호출시스템을 송신 또는 수신만 할 수 있는 단방향 무선통신 장치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이동 차량에 마련되어 상기 차량이 통과하는 지역에 거주하는 각 이용자에게 호출신호를 전송하는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와, 상기 차량의 각 이용자 측에 마련되어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의 호출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로 이루어지는 무선 호출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에는, 차량이 통과하는 지역을 입력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지역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갖는 호출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출력신호를 변조하여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에는, 상기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로부터의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수신부와, 상기 복조된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이용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주파수인지 판별하는 주파수 판별부와, 상기 판별의 결과 이용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주파수임이 확인되면 상기 이용자에게 차량으로부터의 호출이 있음을 알리는 표시부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radio call system of the school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unidirectional radio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only. That is, at least a vehicle 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rovided in a mobile vehicle to transmit a call signal to each user living in an area where the vehicle passes, and at least provided to each user side of the vehicle to receive a call signal of the vehicle 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 radio call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user side radio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the vehicle side radio communication device comprises: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an area through which the vehicle passes,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all signal having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input area; And a transmitter configured to modulate the output signal and transmit the modulated signal to a user 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 user 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a receiver for receiving and demodulating a call signal from the vehicle 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requency that determines whether the frequency of the signal is the frequency of the area where the user reside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rmination unit and the frequency of the area where the user reside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can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for notifying the user that there is a call from the vehicle.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이동 차량용 무선통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이용하여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의 용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a mobil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a vehicle-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이동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의 전원은, 도면의 하단에 도시된 전원입력 단자(30)에 차량용 전원잭을 연결한 후, 이를 시거잭 연결구에 연결함으로써 공급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전원버튼(23)과 전원차단 버튼(28)을 누르는 조작에 의해, 장치의 사용 시 및 불사용 시 전원공급 상태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First, the power of the mobile vehicle-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supplied by connecting the vehicle power jack to the power input terminal 30 shown in the lower part of the figure, and then connecting it to the cigar jack connector. By pressing the power button 23 and the power cut button 28 in this stat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ower supply state when the device is in use or not in use.

본 고안의 무선통신 장치를 처음 사용하는 경우 및 새롭게 재등록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숫자버튼(27)과 단위버튼(25)을 이용하여 지정된 송신 등록번호를 누른 후 송신기 등록번호 입력버튼(29)을 눌러 송신기 등록을 해야한다. 상기 단위버튼(25)은, 예컨대 앞의 버튼은 "천/백"의 단위를, 뒤의 버튼은 "십/일"의 단위를 나타내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한 방식으로 등록된 번호는 다시 단위버튼(25)을 눌러 해당 단위의 번호가 표시판(22)에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등록된 송신기 등록 번호는 숫자버튼 등(27, 26..)을 이용한 키 조작으로 삭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When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first time and to re-register a new use, first press the transmission registration number specified using the number button 27 and the unit button 25, and then enter the transmitter registration number input button ( Press 29) to register the transmitter. The unit button 25 may be set such that, for example, the previous button represents a unit of "thousand / hundred", and the rear button represents a unit of "tenths / day". This can be confirmed by pressing the unit button 25 so that th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unit appears on the display panel 22. On the other hand, the transmitter registration number registe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set to be deleted by key operation using the numeric buttons and the like (27, 26 ..).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의 송신기 등록작업이 이루어진 후, 상기 차량의 무선통신 장치와 이용자 측에 마련된 무선통신 장치의 전원이 모두 ON으로 된 상태에서, 상기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에 할당된 주파수에 해당하는 호출번호를 숫자버튼(27)을 이용하여 입력한 후 호출버튼(26)을 누르면, 차량에서 이용자로의 호출기능이 실행된다. 또한 상기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에는 호출번호의 정정기능을 갖는 호출번호 수정버튼(24)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입력된 호출번호는 표시판(22)에 디스플레이되며, 호출 중 특정버튼(예를 들면, 전원버튼(23) 등)을 누르면 호출이 정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면의 안테나(21)는 소정시간 간격으로 송신주파수를 방사시킴으로써 해당 지역의 이용자들에게 차량이 인접해 왔음을 알리는 호출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이용자들로부터의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fter the transmitter registration operation of the vehicle-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performed, the power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assigned to the user-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set in a state where the power suppl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rovided on the user side of the vehicle are both turned ON. Pressing the call button 26 after inputting the call number using the numeric buttons 27, the call function from the vehicle to the user is executed. In addition, the vehicle-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provided with a call number modification button 24 having a function of correcting a call number. The call number input in this mann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2, and may be configured to stop the call when a specific button (for example, the power button 23, etc.) is pressed during the call. The antenna 21 of the figure emits a transmission frequency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ransmits a call signal indicating that the vehicle has been adjacent to users in the corresponding area, and also receives a response signal from the users. .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 이용자 측의 무선통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의 용례를 설명하기로 한다.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f the vehicle user 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a user-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는 차량 이용자의 가정에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외에 있는 이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가정에서 사용할 때는 DC 전환용 어댑터 연결구(20)에 어댑터를 연결한 후, 이를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원 콘센트에 연결함으로써 직류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이용자의 외출시에는 휴대를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 장치의 뒤쪽 커버안쪽으로 밧데리 연결구(18)를 마련하여 건전지를 통한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원과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버튼(13)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장치로의 전원이 공급되도록한다. 전원이 ON 상태인 경우에는 적색램프(17)가 들어오게 된다.The user-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n be installed not only in a home of a vehicle user but also designed to be carried by a user who is outdoors. When used at home, the adapter is connected to the DC adapter adapter connector 20, and then connected to the power outlet used in the home so that the DC power is supplied. In addition, when the user is going out, the battery connector 18 is provided in the rear cover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carrying, it is designed to be able to supply power through the battery. In this way, the power to the device is supplied by pressing the power button 13 in the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power. When the power is ON, the red lamp 17 comes on.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차량 측 장치에서 이용자 측 장치로 호출신호가 송신되면 이용자 측 장치의 적색램프(17)는 점멸 동작하며, 스피커(19)를 통해 호출음을 출력함으로써 호출신호의 수신 중임을 이용자에게 알린다. 호출음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버튼(14)을 이용하여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음량조절 버튼(15, 16)으로 호출음의 크기가 조절된다. 또한, 정지버튼(12)을 누름으로써 호출음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특정 버튼의 조작으로 차량에 호출신호의 수신 응답을 전송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al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vehicle-side device to the user-side device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the red lamp 17 of the user-side device blinks, and the call signal is being received by outputting the call tone through the speaker 19. Inform the user. The call sound is configured to be selectable using the selection button 14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and the volume of the call sound is adjusted by the volume control buttons 15 and 16. In addition, by pressing the stop button 12, the ringing tone can be stopped, and a response of the call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by the operation of a specific button.

안테나(11)는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로부터의 호출신호를 수신하며, 동시에 이용자의 수신 응답신호를 차량 측에 송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한편, 음량조절 버튼(15, 16)을 동시에 누르고 정지버튼(12)을 소정시간 누르는 등의 키 조작에 의해 수신기 등록설정을 삭제할 수 있도록 한다.The antenna 11 has a function of receiving a call signal from the vehicle 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 user's reception response signal to the vehicle side. On the other hand, the receiver registration setting can be deleted by key operation such as pressing the volume control buttons 15 and 16 simultaneously and pressing the stop button 12 for a predetermined time.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장치의 회로 블록도이다. 본 고안의 무선 호출시스템을 이루는 차량 측 및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의 양방향 송수신 회로가 내장될 수 있다.4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side and user-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forming the wireless cal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built-in bidirectional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having a configuration as shown.

도면에 의하면, 호출신호를 방사하거나 흡수하는 안테나와, 시스템의 RX(수신) 모드와 TX(송신) 모드에 따라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신호를 특정 방향으로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안테나 스위치가 나타나 있으며, VCO 및 PLL부, TX 파워앰프 등으로 구성되는 송신부와, 1,2차 주파수 혼합기, 버퍼앰프, 필터 등으로 구성되는 수신부가 나타나 있다. 상기 송신부는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입력되는 지역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호출신호 및 그에 대한 응답신호를 변조·송신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수신부는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상기 호출신호 및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도록 동작한다. 한편, 호출신호 및 응답신호의 수신시에는 저장된 멜로디 또는 음성 등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어 진다.The figure shows an antenna that emits or absorbs a call signal, and an antenna switch that operates to transmit an input or output signal in a specific direction according to the RX (receive) mode and the TX (transmit) mode of the system. A transmitter composed of a PLL unit, a TX power amplifier, and the like, and a receiver composed of a first and second frequency mixer, a buffer amplifier, a filter, and the like are shown. The transmitter is operable to modulate and transmit a call signal and a response signal of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an input area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and the receiver receives the call signal and the response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Operate to demodulate. On the other hand, when receiving the call signal and the response signal, the stored melody or voice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본 고안의 통학용 차량의 무선 호출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이 이용자의 거주지 근방에 도달하면 이용자에게 호출신호를 전송하여 이용자들이 운송차량을 장시간 기다림 없이 그 거주지로부터 바로 탑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통체증으로 인한 운행시간 지연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어린이의 교통사고와 유괴, 미아 문제 등 여러 가지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ireless call system of the school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reaches the user's place of residence, the cal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board the vehicle directly from the place without waiting for a long time. As well as solving the problems caused by the delayed driving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various accidents such as traffic accidents, kidnappings, and lost children.

Claims (2)

이동 차량에 마련되어 상기 차량이 통과하는 지역에 거주하는 각 이용자에게 호출신호를 전송하는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와, 상기 차량의 각 이용자 측에 마련되어 상기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의 호출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로 이루어지는 통학용 차량의 무선 호출시스템으로서,A vehicle 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rovided in a mobile vehicle to transmit a call signal to each user living in an area where the vehicle passes, and at least one provided in each user side of the vehicle to receive a call signal of the vehicle 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 wireless calling system for a school vehicle comprising the above user 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는, 차량이 통과하는 지역을 입력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지역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갖는 호출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출력신호를 변조하여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며,The vehicle-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an area through which the vehicle passes,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all signal having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input area, and modulating the output signal to a user-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t has a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상기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는, 상기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로부터의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수신부와, 상기 복조된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이용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주파수인지 판별하는 주파수 판별부와, 상기 판별의 결과 이용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주파수임이 확인되면 상기 이용자에게 차량으로부터의 호출이 있음을 알리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용 차량의 무선 호출시스템.The user 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d demodulating a call signal from the vehicle 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 frequency discriminat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frequency of the demodulated signal is a frequency of an area where the user resides; And a display unit for informing the user that there is a call from the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requency of the area where the user resides is determined as a result of the discrimin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는, 상기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로부터의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수신부와, 상기 복조된 신호로부터 호출에 대한 응답이 있음을 알리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The vehicle 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d demodulating a response signal from the user 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display unit for indicating that there is a response to a call from the demodulated signal, 상기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는, 상기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로부터의 호출신호에 대한 수신 응답신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응답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차량 측 무선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더 구비하며,The user 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a response signal received from the vehicle 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transmission unit for modulating the response signal and transmitting the modulated response signal to the vehicle 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상기 이용자 측 무선통신 장치는 상기 차량의 각 이용자 측에 마련되어 상기 차량 측 무선 통신 장치의 호출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용 차량의 무선 호출시스템.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the user side is provided on each user side of the vehicle wireless call system for a school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a call signal of the vehicle-si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hereto.
KR2020010036501U 2001-11-27 2001-11-27 Radio paging system of student commuter cars KR20027132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501U KR200271324Y1 (en) 2001-11-27 2001-11-27 Radio paging system of student commuter ca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501U KR200271324Y1 (en) 2001-11-27 2001-11-27 Radio paging system of student commuter ca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324Y1 true KR200271324Y1 (en) 2002-04-10

Family

ID=73070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501U KR200271324Y1 (en) 2001-11-27 2001-11-27 Radio paging system of student commuter ca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32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313B1 (en) 2009-02-05 2009-07-31 강종원 Children safeguard system for children transport vehicle using image inform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313B1 (en) 2009-02-05 2009-07-31 강종원 Children safeguard system for children transport vehicle using image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8772B1 (en) Interactive system for guiding the blind and its control method
US6052577A (en) Portable telephone use limiting system and portable telephone
US4363935A (en) Mobile radio telephone system
US20090291714A1 (en) Mobile station having waiting process with main power off
US3699443A (en) Radio control and repeater communication system
US6958701B1 (en) Transportation monitoring system for detecting the approach of a specific vehicle
KR200271324Y1 (en) Radio paging system of student commuter cars
JPH10304430A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ler
JPH10234080A (en)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JP2000016187A (en) Device for communication between parked vehicle and its driver
JP3148266B2 (en) Vehicle remote control device
JP3529331B2 (en) Mobile phone terminal
JPH0469799A (en) Traffic sigsnal unit control system for visually handicapped person
JP3163320B2 (en) Transceiver
JP298139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JP2001076297A (en) Device for searching position of one's own vehicle in large parking space
JPH0316679B2 (en)
JP2002223478A (e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service
JPH024529Y2 (en)
KR930000723B1 (en) Apparatus for making cordless handset of a mobile phone
JPH0537460A (en) Mobile radio terminal equipment
KR960003018Y1 (en) Motor paging
KR20010056107A (en) An apparatus for control and observation of a car utilizing two-way paging network, and a method for tele-control and tele-observation of the car which is applied the apparatus
JP3038811U (en) Interactive sensor
JPS5958926A (en) Car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