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756Y1 -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756Y1
KR200267756Y1 KR2020010033302U KR20010033302U KR200267756Y1 KR 200267756 Y1 KR200267756 Y1 KR 200267756Y1 KR 2020010033302 U KR2020010033302 U KR 2020010033302U KR 20010033302 U KR20010033302 U KR 20010033302U KR 200267756 Y1 KR200267756 Y1 KR 2002677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washing water
tank
cleaning agent
receiv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3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한식
Original Assignee
강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한식 filed Critical 강한식
Priority to KR2020010033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7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7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756Y1/ko

Links

Landscapes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의 청결 유지 및 살균을 목적으로 탱크 내로 투입되는 청정제의 투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투입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는 수용공간(12)을 갖는 용기본체(10)와, 용기본체(1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중앙에는 수용공간내로 연장되어 세척수를 수용공간으로 유도하는 세척수유입관(22)이 일체로 형성되고, 유입구(22a)의 일측에 압력배출공(26)이 형성되는 커버(20)와, 커버(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청정액(3)을 탱크(1)내로 배출하는 배출관(30)으로 이루어진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를 제공하여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하게 되는 것은 물론 청정제의 재충전(refill)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청정제의 투입량 조절을 탱크의 용량에 따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Device for setting cleaner in toilet tank}
본 고안은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탱크를 갖춘 수세식 변기의 청결 유지 및 살균을 목적으로 탱크 내로 투입되는 청정제를 간단한 구조로서 효과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세식 변기는 밸브장치에 의해 세척수의 공급 및 배출이 제어되는 탱크 및 이 탱크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변기로 구성되어 있다. 탱크는 일정량의 세척수를 저장하고 있다가 배출레버의 작동에 의해 저장되어있던 세척수를 예정된 경로를 따라 변기로 배출하여 변기내의 오물을 씻어내며 배수관로를 따라 정화조로 흘러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밸브장치는 플로트밸브를 포함하고 있어 수위에 따라 수도를 개폐하게되므로 탱크가 항시 일정한 수위를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밸브장치는 탱크의 배출구에 설치되어 탱크의 외부에 마련되는 작동레버와 연동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작동레버의 작동에 의해 밸브가 열리는 것에 의해 세척수를 배출하게 된다.
위에서 알 수 있듯이 수세식 변기는 항시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고 있게 되므로 일정기간 동안 사용을 하지 않거나 또는 청소를 하지 않으면, 저장되어 있는 물에 세균이 번식하거나 심하게는 부패되어 위생상태를 해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들은 수세식 변기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정제 또는 살균.소독제(이하, 청정제로 약칭함) 등을 탱크 내에 투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청정제는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있는데, 그 일례를 살펴보면, 고형 청정제를 내장한 용기를 탱크에 넣어두고, 세척수가 용기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청정제와 교통할 수 있도록 하여 청정제가 세척수에 의해 용해되도록 하는 청정제품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청정제품은 용기내에 내장되어 있는 청정제가 탱크의 세척수에 의해 직접 용해됨과 동시에 탱크 내로 투입되므로 투입량이 일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대량으로 녹게 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청정제는 탱크 내의 세척수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도 지속적으로 녹아 내리게 되므로 장기간 세척수가 배수되지 않을 경우에는 세척수 내의 청정제 농도가 짙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청정제의 소모가 촉진되어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수반된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일회 사용 후 뒤이어 곧바로 사용하게 되면 청정제가 충분히 용해되지 않은 상태에서 세척수가 배출되어 농도가 묽게 되므로 원하는 목적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청정용기는 청정제가 완전히 소모되면, 청정제의 재투입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용기를 폐기해야 하므로 쓰레기 공해를 유발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기술 이외에도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 93-8249호(화장실 변기용 세척 및 /또는 청정용 장치), 동 94-701903호(소독약, 청정제 또는 방향제를 변기내로 방출하기 위한 장치),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공개 97-49716호(수세식 변기의 청정 절수기구)등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위에 기술한 것들 중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 93-8249호 및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공개 97-49716호는 청정제가 직접적으로 세척수와 교통되고 있어 청정액이 탱크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위에서 열거한 문제점들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 94-701903호는 일회사용시 일정량의 청정액이 투입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액상의 청정제만을 사용 가능케 한 것일 뿐만 아니라 통상의 변기에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한편, 종래의 수세식변기는 일회 사용시 탱크내의 세척수가 한번에 모두 소모되어 물 소비량이 증가되는 문제를 갖고 있다. 따라서, 소변용과 대변용의 밸브를 각각 제공하여 소변과 대변시의 배수량을 조절하여 절수효과를 기대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나 이는 기존 수세식변기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일부 사용자들은 절수를 위해 탱크에 벽돌 등의 일정부피를 갖는 중량체를 넣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8548호 및 대한민국 특허공개 2000-49356호에 기재되어 있는 수세식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를 개발한 바 있다. 이 장치들은 청정제의 재충전(refill)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청정제의 투입량을 항시 일정하게 또는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보유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청정액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별도의 밸브수단을 필요로 하게 되어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그로 인해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청정제의 재충전(refill)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청정제의 투입량을 항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청정제의 투입량을 탱크의 용량에 따라 간편하게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수세식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의 세척수 저장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의 세척수 배출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탱크 2: 세척수
3: 청정액 10: 본체
12: 수용공간 14: 숫나사부
20: 커버 22: 유입관
22a: 유입구 26: 압력배출공
28: 암나사부 30: 배출관
32: 주름부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부가 개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중앙에는 수용공간내로 연장되어 세척수를 수용공간으로 유도하는 세척수유입관이 일체로 형성되고, 유입구의 일측에 압력배출공이 형성되는 커버와, 커버의 일측에 결합되어 청정액을 탱크로 배출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진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은 중간지점에 주름부가 형성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청정액의 배출량을 조절토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수유입관의 하단에는 유연한 재질의 연장관을 추가로 설치하여 유입되는 세척수가 수용공간 내에서 와류를 형성시켜 청정제의 용해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청정제 투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되는 수용공간(12)을 갖는 용기본체(10)가 도시되어 있다. 본체(10)는 대략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단의 개방부 주연에는 숫나사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용기본체(1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20)를 포함한다. 이 커버(20)는 대략 상단이 절취된 원뿔형태로 구성되며 하단에는 상기 용기본체(10)의 숫나사부(14)에 결합되는 암나사부(28)가 형성되는 스커트부(24)가 일체로 구성된다. 커버(20)의 상면중앙에는 수용공간(12)내로 연장되어 세척수를 수용공간으로 유도하는 세척수유입관(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세척수유입관(22)의 유입구(22a)는 상광하협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압력배출공(26)이 형성된다.
또한, 커버(20)의 일측에는 청정액(3)을 탱크(1)로 배출하는 배출관(30)이 결합되어 있다. 배출관(30)은 중간지점에 주름부(32)가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세척수유입관(22)의 하단에는 유연한 재질의연장관(40)을 연결하여 세척수가 청정제에 근접하여 유입되므로 청정제(C)의 용해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본다.
도 2는 변기의 사용대기상태 즉, 탱크(2)내에 세척수(2)가 만수위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세척수 배출시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세척수'는 세척수 탱크에 보유되어 있는 순수한 물이고, '청정액'은 청정제가 녹아 있는 상태의 세척수를 의미한다.)
먼저 도 2를 보면, 용기본체(10)와 커버(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즉, 청정제(C)의 상부공간에는 청정액(3)이 충만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세척수(2)가 배출되면, 도 2의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2)의 수위가 하강하여 배출관(30)의 하단에 이르게 되는 시전에서 커버(20)내측에 보유되어 있던 청정액(3)이 배출관(30)을 통해 탱크(1)로 배출되기 시작한다. 즉, 커버(20)내에 보유되어 있는 청정액(3)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청정액이 배출관(30)을 따라 배출되어진다. 이때 청정액의 배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정액의 수위가 배출관(30)의 최상위부 즉, 주름부(32)의 높이와 일치되는 시점까지 계속되어 진다. 따라서, 탱크(1)내로 배출되는 청정액(3)은 세척수(2)와 혼합되어 변기로 공급되어 변기의 세정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탱크(1)에 세척수(2)가 공급되어 차오르게 되면, 세척수(2)가배출관(30)을 통해 용기본체(10)내로 유입되기 시작하고, 이때의 유입은 청정액의 수위가 배출관(30)의 최상위부 즉, 주름부(32)의 높이와 일치되는 시점까지 지속된다.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며 계속하여 세척수(2)의 수위가 상승하면 세척수(2)는 비로소 유입관(22)을 통해 용기본체(10)내로 유입되어진다. 이때 용기본체(10)내로 유입된 세척수(2)로 인해 밀폐공간이 형성되므로 압력이 상승하게 되나, 커버(20)에 형성되는 압력배출공(26)을 통해 커버(20)내의 공기가 배출되므로 세척수(2)의 유입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배출관(30)을 통해 일정량의 세척수가 본체(10)내로 유입되어 청정제(C)가 용해가 개시되고, 유입관(22)을 통한 유입되는 세척수는 일측으로 굴곡되어 있는 연장관(40)을 따라 유입되므로 용기본체(10)내에 소정의 방향성을 갖는 와류를 형성하여 청정제(C)의 용해를 촉진시키게 된다.
사용이 지속됨에 따라 청정제(C)가 일정량이 이상 소모되면,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관(40)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수직상태로 펴지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세척수(2)는 청정제와 근접한 상태에서 청정액상의 어느 일지점에 집중적으로 공급되므로 또한, 용해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청정액의 배출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배출관(30)에 형성되어 있는 주름부(32)를 형성하고 있다. 즉, 배출관(30)이 주름부(32)의 절곡위치를 변동시키는 것에 의해 배출관(30)의 최상위부의 위치를 변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는 용기본체와 유입관을 갖는 커버 그리고 배출관으로 구성되어,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하게 되는 것은 물론 청정제의 재충전(refill)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청정제의 투입량을 탱크의 용량에 따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되는 수용공간(12)을 갖는 용기본체(10)와,
    용기본체(1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중앙에는 수용공간내로 연장되어 세척수를 수용공간으로 유도하는 세척수유입관(22)이 일체로 형성되고, 유입구(22a)의 일측에 압력배출공(26)이 형성되는 커버(20)와,
    커버(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청정액(3)을 탱크(1)내로 배출하는 배출관(30)으로 이루어진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30)은 중간지점에 주름부(32)가 형성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유입관(22)의 하단에는 유연한 재질의연장관(4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변기의 청정제 투입장치.
KR2020010033302U 2001-10-31 2001-10-31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KR2002677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302U KR200267756Y1 (ko) 2001-10-31 2001-10-31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302U KR200267756Y1 (ko) 2001-10-31 2001-10-31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756Y1 true KR200267756Y1 (ko) 2002-03-13

Family

ID=73082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302U KR200267756Y1 (ko) 2001-10-31 2001-10-31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7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779B1 (ko) * 2015-09-30 2018-01-09 신동윤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779B1 (ko) * 2015-09-30 2018-01-09 신동윤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5066B2 (ja) 衛生陶器洗浄システム
JP2016527420A (ja) 自己水洗トイレアセンブリ及びシステム
KR102068142B1 (ko) 좌변기용 버블공급장치
JP2018534451A (ja) 自己洗浄式トイレアセンブリおよびシステム
KR200267756Y1 (ko)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CN210562481U (zh) 一种自洁马桶及其装置
KR200208548Y1 (ko)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KR200267749Y1 (ko)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KR100401021B1 (ko) 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
KR200220454Y1 (ko) 수세식 좌변기용 세정제 투입용기
KR200163159Y1 (ko) 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 구조
KR20200136682A (ko) 소변기
KR960010614Y1 (ko) 변기의 위생제어장치
KR100328861B1 (ko)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CN217379133U (zh) 一种带发泡功能的低压冲洗***及马桶
CN211973721U (zh) 一种防臭大便器
KR200212180Y1 (ko) 변기의 세정액 공급용기
KR200172008Y1 (ko) 생활용수의 재활용장치
JP2005290867A (ja) 水洗トイレ用薬剤供給具
KR20000067775A (ko) 생활용수의 재활용장치
US20220205231A1 (en) Toilet flush device fitting
KR200191217Y1 (ko) 수돗물 사용수를 세척수로 이용할 수 있는 수세식변기절수장치
CN108505601B (zh) 一种防溅水蹲便器
CN1174273A (zh) 一种溶液与自来水的混合装置
KR200206179Y1 (ko) 거품세척식 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