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161Y1 - 이중 화분 - Google Patents

이중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161Y1
KR200267161Y1 KR2020010035715U KR20010035715U KR200267161Y1 KR 200267161 Y1 KR200267161 Y1 KR 200267161Y1 KR 2020010035715 U KR2020010035715 U KR 2020010035715U KR 20010035715 U KR20010035715 U KR 20010035715U KR 200267161 Y1 KR200267161 Y1 KR 2002671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soil
outer contain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7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연
Original Assignee
박정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연 filed Critical 박정연
Priority to KR20200100357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1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1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161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이중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측벽 상부에 공기통공을 다수 개 형성하고 일정 높이까지 물이 담기는 외부 용기와, 측벽의 상부에 역시 공기통공을 다수 개 형성하고 측벽의 하부 또는 바닥면에는 물을 흡수하도록 급수통공을 다수 개 형성하며 하이드로볼이나 활성탄 그리고 맥반석 등을 혼합하여서 된 용토가 담겨져 상기한 외부 용기의 내부에 수납하는 내부 용기로 구성함으로써, 물을 저면관수 방식으로 공급함과 아울러 공기가 용토로 원활하게 흡수되어 식재된 식물의 생장이 활발하게 되고, 외부 용기에 물을 충분히 저장해 두면 장기간 자리를 비우더라도 식물이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어 생장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실내의 공기가 용토를 통과하여 순환함에 따라 공기중의 이물질이 용토에 흡착되었다가 분해되어 식물의 생장을 위한 영양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 용토 자체를 흙이 아니라 하이드로볼이나 활성탄 그리고 맥반석 등을 혼합한 재료를 사용함에 따라 통기성이 우수하고 미세 먼지나 휘발성유기화합물 등 유해물질에 대한 흡착성이 우수하며 오염물질에 대한 분해력이 우수하여 병충해에 강하고 식물의 생장 환경은 물론 공기 정화 기능도 함께 향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화분{DOUBLE TYPE POLLEN}
본 고안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택이나 빌딩의 실내 공간에 설치하여 식재된 식물을 저면관수 방식으로 재배함으로써 식물의 생육 환경을 크게 개선할 수 있고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이중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식물이 심겨진 용토를 낱개의 화분 용기에 채워 받침 접시에 얹은 상태로 주택의 베란다·거실·방 및 빌딩의 실내 공간 등에 놓고 실내 정원을 조성하거나 식물들을 가꾸면서 정서적 풍요로움을 맛볼 수도 있고 수목이나 초화류 등의 식물에서 내뿜는 맑은 공기를 마실 수도 있다.
화분 용기의 저면은 용토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배수공을 형성하여 받침 접시에 얹어 분무기 등을 이용하여 적은 양의 물을 식물에 분무하거나 적당량의 물을 용토에 직접 붓는 이른 바 '상향급수' 방식으로 물을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공급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화분에 있어서는, 관리자가 장기간 외출이나 여행으로 오랫동안 자리를 비우는 경우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할 수 없어 생장에 악영향을 끼치거나 심하면 고사할 수도 있고, 이를 감안하여 많은 양의 물을 한 번에 주더라도 배수공을 통해 빠져나가 생각만큼 오랫동안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의 물을 공급하고 있는지도 알 수 없었다.
또, 물을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공급함에 따라 식물의 뿌리가 웃자라는 것은물론 공기가 용토 속으로 충분히 스며들지 못하여 튼실하게 자라지 못하는 단점도 있었다.
또, 최근 각종 건축자재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VOC(휘발성유기화합물)나 미세 먼지와 같이 실내공기중의 유해물질로 생활환경이 크게 악화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화분은 주로 관상용이나 경관용 또는 식물 재배용으로만 이용하고 있어 그 이용범위가 제한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화분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관리자가 장기간 외출이나 여행을 할 때에도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남은 물의 양을 쉽게 파악하여 적정량의 물을 항상 채워줄 수 있는 화분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물을 '저면관수' 방식으로 공급하여 식물의 웃자람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공기를 용토 속으로 원활하게 공급하여 튼실하게 자라게 할 수 있는 화분을 제공하려는데도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또, 실내공기중의 유해물질을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화분을 제공하려는데도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이중 화분을 파단하여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이중 화분을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외부 용기 11 : 공기통공
20 : 내부 용기 21 : 공기통공
22 : 급수통공 23 : 수위계 수용부
23a : 수위계 장착구멍 30 : 수위계
G : 용토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 높이까지 물이 담기는 외부 용기와, 측벽의 하부 또는 바닥면에는 물을 흡수하도록 급수통공을 다수 개 형성하며 식물을 식재하는 용토가 담겨져 상기한 외부 용기의 내부에 수납하는 내부 용기로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화분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이중 화분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이중 화분을 파단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이중 화분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이중 화분은, 일정 높이까지 물이 담기는 외부 용기(10)와, 식물을 식재하는 용토(G)가 담겨져 상기한 외부 용기(10)의 내부에 수납하는 내부 용기(20)로 구성한다.
외부 용기(10)는 플라스틱이나 사기 재질로 이루어져 일정량의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일정 높이까지는 "컵"모양으로 형성하고, 그 일정 높이 위쪽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할 수 있도록 공기통공(11)을 측벽면을 따라 다수 개 형성한다.
내부 용기(20)는 외부 용기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이나 사기 재질로 이루어져 측벽의 상부는 외부 용기(10)의 공기통공(11)과 연통되어 공기가 통하도록 측벽면을 따라 공기통공(21)을 다수 개 형성하고, 측벽의 하부 또는 바닥면에는 물을 흡수하도록 급수통공(22)을 다수 개 형성한다.
내부 용기(20)의 공기통공(21)과 급수통공(22)은 용토(G)가 물과 함께 빠져 나오지 않을 정도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용기(10)와 내부 용기(2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동일한 원 형상이나 또는 장방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하되 내부 용기(20)의 외경을 외부 용기(10)의 내경 보다 작게 하여 내부 용기(20)가 외부 용기(1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한다.
수위계(30)는 상기 외부 용기(10)에 담긴 물의 양을 쉽게 검출할 수 있도록 내부 용기(20)의 용토(G)를 통과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내부용기(20)의 일 측면에 수위계(30)의 하반부를 내부용기(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수위계 수용부(23)를 음각지게 형성하고, 그 수위계 수용부(23)의 상단에는 내부용기(20)의 내부에 삽입하는 수위계(30)가 외부로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하는 수위계 장착구멍(23a)을 형성한다.
한편, 내부 용기(20)에 채워지는 용토(G)는 외부 용기에 담긴 물을 모세관 현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통기성과 보수성이 우수한 하이드로볼과, 유해물질의 흡착성이 우수한 활성탄과, 유해물질 제거 및 중금속 분해 작용이 우수한 맥반석을 혼합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이중 화분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내부 용기(20)에 하이드로볼과 활성탄과 맥반석 등을 섞은 용토(G)를 적정량 채우고 나서 용토(G)에 식물을 식재한 다음에 내부 용기(20)를 외부 용기(10)에 맞춰 삽입한다.
이후, 외부 용기(10)와 내부 용기(20) 사이의 이격공간(S)에 외부 용기(10)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수위계(30)를 설치한다.
이후, 수위계(30)를 주시하면서 외부 용기(10)와 내부 용기(20) 사이의 이격공간(S)이나 내부용기(20)에 물을 부어 준다. 이때, 물이 외부 용기(10)의 공기통공(11) 보다 낮은 위치까지 채워지도록 물을 붓는다.
이렇게, 외부 용기(10)에 물을 채워 두게 되면, 물은 내부 용기(20)에 채워진 용토(G)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수되어 상기 내부 용기(20)에 식재된 식물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의 소위 '저면관수' 방식으로 물을 공급하므로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웃자라는 것을 억제하여 튼실하게 생장될 수 있다.
또, 외부 용기(10)에 물을 충분히 공급한 상태로 장기간 자리를 비우더라도 용토(G)가 물을 지속적으로 흡수하여 식물에 공급하므로 식물이 고사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내부 용기(20)에는 수위계(30)가 구비되어 관리자가 수위계(30)를 관찰하면서 현재 필요한 물의 양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자칫 관리 소홀로 인한 식물의 고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주변의 공기가 외부 용기(10)의 공기통공(11)과 이격공간(S)을 거쳐 내부 용기(20)의 공기통공(21)을 통해 용토(G)로 원활하게 흡수되므로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더욱 튼실하게 생장될 수 있다. 이때,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용토(G)에 흡착되어 공기가 정화되어 실내로 깨끗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이물질은 식재된 식물의 뿌리 주변에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 등에 의해 분해되어 식물의 생육을 위한 영양분으로 재활용될 수 있다.
또, 용토(G)가 종래의 흙이 아니라 하이드로볼이나 활성탄 등을 활용함에 따라 병충해가 적고, 물과 함께 내부 용기에서 빠져나오지 않아 화분을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이중 화분의 변형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일례에서는 외부 용기(10)와 내부 용기(20)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 용기(10)와 내부 용기(20)를 서로 다른 이종 형상으로 형성하여 내부 용기(20)의 최외곽면이 외부 용기(10)의 내주면에 밀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외부 용기(10)는 원형으로 형성하되 내부 용기(20)를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외부 용기(10)와 내부 용기(20)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부위에 자연스럽게 이격공간(S)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내부 용기(20)가 외부 용기(10)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 전술한 일례에서는 수위계(30)가 내부 용기(20)를 관통하여 외부 용기(10)에 담긴 물에 잠기도록 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수위계(30)를 별도의 걸이부재(미도시)로 걸어 외부 용기(10)에 고정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이중 화분은, 물이 담겨지는 외부 용기와, 용토가 채워지고 급수통공 및 공기통공을 구비하여 외부 용기에 수납하는 내부 용기로 이루어짐으로써, 물을 저면관수 방식으로 공급함과 아울러 공기가 용토로 원활하게 흡수되어 식재된 식물의 생장이 활발하게 되고, 외부 용기에 물을 충분히 저장해 두면 장기간 자리를 비우더라도 식물이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어 생장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실내의 공기가 용토를 통과하여 순환하게 됨에 따라 공기중의 이물질이 용토에 흡착되었다가 분해되어 식물의 생장을 위한 영양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 용토 자체를 흙이 아니라 하이드로볼이나 활성탄 그리고 맥반석 등을 혼합한 재료를 사용함에 따라 통기성이 우수하고 각종 유해물질에 대한 흡착성이 우수하며 오염물질에 대한 분해력이 우수하여 병충해에 강하고 식물의 생장 환경은 물론 공기 정화 기능도 함께 향상할 수 있다.

Claims (5)

  1. 일정 높이까지 물이 담기는 외부 용기와,
    측벽의 하부 또는 바닥면에는 물을 흡수하도록 급수통공을 다수 개 형성하며 식물을 식재하는 용토가 담겨져 상기한 외부 용기의 내부에 수납하는 내부 용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의 측벽 상부에는 내부 용기와 같이 공기가 통하도록 공기통공을 다수 개 형성하고, 상기 내부 용기의 측벽 상부에도 공기가 통하도록 공기통공을 다수 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화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를 이종 형상으로 형성하여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화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에 담기는 물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수위계를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화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토는 통기성과 보수성이 우수한 하이드로볼 및 이물질에 대한 흡착성이 우수한 활성탄 및 유해물질 제거와 중금속 분해 작용을 위한 맥반석을 혼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화분.
KR2020010035715U 2001-11-20 2001-11-20 이중 화분 KR2002671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715U KR200267161Y1 (ko) 2001-11-20 2001-11-20 이중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715U KR200267161Y1 (ko) 2001-11-20 2001-11-20 이중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161Y1 true KR200267161Y1 (ko) 2002-03-09

Family

ID=73070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715U KR200267161Y1 (ko) 2001-11-20 2001-11-20 이중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161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6032A (ko) * 2003-04-01 2004-10-08 심규상 자동급수기가 내제된 분
KR100825823B1 (ko) 2007-03-21 2008-04-29 남주희 가습기 기능이 구비된 철망화분
KR200461953Y1 (ko) 2009-10-13 2012-08-22 대한민국 조립식 화분
KR101191318B1 (ko) * 2009-07-13 2012-10-16 이창현 난초용 화분
KR200464276Y1 (ko) 2010-04-30 2012-12-2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옥상 녹화용 조경수 재배 용기
KR200468807Y1 (ko) 2011-07-13 2013-09-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 재배 이중 용기
KR200471719Y1 (ko) * 2012-02-29 2014-03-2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층을 갖는 식물 재배 이중 용기
KR101435722B1 (ko) * 2012-10-31 2014-09-0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 재배용 용기
KR101638289B1 (ko) 2015-07-27 2016-07-08 에스씨이엔지주식회사 습기 자동 조절형 식물활성화가 가능한 다용도 화분
KR102381872B1 (ko) * 2020-10-19 2022-04-12 주식회사 수앤그린테크 벼 재배용 화분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6032A (ko) * 2003-04-01 2004-10-08 심규상 자동급수기가 내제된 분
KR100825823B1 (ko) 2007-03-21 2008-04-29 남주희 가습기 기능이 구비된 철망화분
KR101191318B1 (ko) * 2009-07-13 2012-10-16 이창현 난초용 화분
KR200461953Y1 (ko) 2009-10-13 2012-08-22 대한민국 조립식 화분
KR200464276Y1 (ko) 2010-04-30 2012-12-2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옥상 녹화용 조경수 재배 용기
KR200468807Y1 (ko) 2011-07-13 2013-09-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 재배 이중 용기
KR200471719Y1 (ko) * 2012-02-29 2014-03-2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층을 갖는 식물 재배 이중 용기
KR101435722B1 (ko) * 2012-10-31 2014-09-0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 재배용 용기
KR101638289B1 (ko) 2015-07-27 2016-07-08 에스씨이엔지주식회사 습기 자동 조절형 식물활성화가 가능한 다용도 화분
KR102381872B1 (ko) * 2020-10-19 2022-04-12 주식회사 수앤그린테크 벼 재배용 화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6444B2 (ja) 植物の栽培状態を改善するための成形体
US4356665A (en) Self-watering planter
US10813303B2 (en) Flower pot
US6955008B2 (en) Aerating base plate for a flowerpot
US20060207175A1 (en) Flowerpot
US20160066522A1 (en) Demand Driven Self-Watering Planter
EP1699285A1 (en) Root and water management system for potted plants
KR200267161Y1 (ko) 이중 화분
JP5283024B2 (ja) 植栽ベース
KR100943824B1 (ko) 다목적 화분
KR101037162B1 (ko) 화분장치
KR200463816Y1 (ko) 기능성 화분
KR101031234B1 (ko) 화분장치
KR200461692Y1 (ko) 가습기능이 구비된 화분받침대
KR200251469Y1 (ko) 저수조가 내장된 화분
WO2004052084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devices for watering pot plants
KR200238318Y1 (ko) 물과공기 공급 기능을 갖는 요철형 화분받침
KR200320283Y1 (ko) 이중화분
JPH08228605A (ja) 植木鉢
KR100458278B1 (ko) 부직포를 이용한 식물재배용 포트
JPH04106953U (ja) フラワー・ポツト
KR200278197Y1 (ko)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KR200159549Y1 (ko) 저수형 식물재배용기
JP3015969U (ja) 植木鉢
EP1051902A2 (en) Improved plant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