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763Y1 - 인쇄위치로의 회동조작이 가능한 원터치 캡 - Google Patents

인쇄위치로의 회동조작이 가능한 원터치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763Y1
KR200264763Y1 KR2020010034956U KR20010034956U KR200264763Y1 KR 200264763 Y1 KR200264763 Y1 KR 200264763Y1 KR 2020010034956 U KR2020010034956 U KR 2020010034956U KR 20010034956 U KR20010034956 U KR 20010034956U KR 200264763 Y1 KR200264763 Y1 KR 200264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p
outlet
tube container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팍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팍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팍 코리아
Priority to KR2020010034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7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763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품 튜브용기를 제공함에 있어, 개용돌출부와 개방홈을 튜브용기의 표면으로 인쇄되어진 인쇄면과 일치시켜 진열할 수 있도록 원터치 캡이 용기의 배출구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회동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체결부재에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개폐되는 개폐부재에 인장력과 반발력을 제공하여 개폐작용에 탄력성을 부여한 기능의 스냅힌지와 힌지편이 체결부재와 개폐부재를 성형 제조할 때 단일공정으로 성형 제조함으로서 작업능률의 향상을 기하고 나아가 개폐작용의 편의성을 반영구화 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의 튜브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인쇄위치로의 회동조작이 가능한 원터치 캡{One fouch cap which can rotate to printing position}
본 고안은 크림 및 샴푸종류와 같은 겔(Gel)상태의 내용물을 넣어 사용하는튜브(Tube)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튜브용기의 표면으로 인쇄되어진 인쇄면(印刷面)과 튜브의 배출구로 결합되는 원터치 캡의 개용돌출부와 개방홈이 항상 일치하는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인쇄위치로의 회동조작이 가능한 원터치 캡(one touch cap)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브용기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재질을 달리하고 있는데, 액체 상태의 화장품일 경우에는 외부에서 힘을 가하더라도 용기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 유리나 딱딱한 합성수지재을 사용하는 것과 또 크림이나 샴푸와 같은 '겔'상태의 화장품은 사용시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연질(軟質)의 튜브용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장품 튜브용기들은 그 어느 것이나 내용물이 담겨지고 배출구가 형성되는 튜브용기와 상기 배출구에 결합되는 캡으로 이루워진다.
따라서 대개의 경우 '겔' 상태의 화장품을 보관하는 튜브용기는 배출구 쪽이 둥근 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반대쪽은 내용물을 담은 후 열을 가해 일자형으로 접착시켜 형성한 구조를 가지며 상품을 진열(陳列)할 때나 또는 소비자들이 사용후 보관할 때는 '캡'을 바닥쪽으로 위치시켜 세워놓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진열 보관되는 화장품 튜브용기는 그 표면에 상품명과 제품에 대한 용도 및 사용 방법등이 상세히 인쇄된 인쇄면이 형성되고 배출구의 외주면에는 나사산(Sorewthread)을 가지고 있다.
상기 배출구의 나사산에는 이와 나합(螺合)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으로 형성된 캡을 결합시켜서 이 캡에 형성된 개용돌출부로 캡을 개방하여 내용물이 배출구를통해 배출되어 지도록 구성되는데, 이 경우 튜브용기의 표면으로 인쇄되어지는 인쇄면이 항상 일정한 방향의 위치로 인쇄되지 않기 때문에 '캡'을 배출구로 결합하게 되면 개용돌출부와 개방홈이 인쇄면과 일치하지 아니하여 상품 진열시 미관상 좋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화장품을 선택 사용할 때마다 인쇄면을 확인하여 튜브용기에 담긴 내용물의 종류와 형태 및 색상을 확인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이 따랐다.
이러한 문제점을 다소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 국내공개특허공보(공번 특2000-31829호)에 게재된 바 있는데, 그 기술에 의하면 튜브용기에 인쇄되어지는 인쇄면이 원터치 캡의 돌기와 항상 일정한 방향에 인쇄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배출구의 외주면으로 나사산을 갖고 배출구의 끝단부에 위치 결정편이 돌출 성형되는 헤드를 사출 성형방법에 의해 제작하므로서 캡의 돌기와 일치하는 방향에 인쇄면이 튜브용기에 인쇄되어 질 수 있도록 인쇄기에 튜브를 투입하여 인쇄를 할 때 위치결정편이 인쇄기의 스토퍼(Stopper)에 걸려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됨에 따라 인쇄면이 캡의 돌기와 같은 방향의 위치로 인쇄되어지는 이점이 있기는 하지만 이 경우 역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튜브를 성형할 때 배출구의 끝단부에 인쇄기의 스토퍼에 걸리기 위한 위치 결정편을 별도로 돌출 성형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튜브 성형기의 구조변경과 성형작업 및 설비변경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초래하게 되고, 또 이와 같이 성형된 위치 결정편에 의해 캡의 돌기와 같은 방향으로 인쇄면이 정확히 인쇄되어 진다고 하더라도 배출구에 캡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배출구이 끝단부로 돌출된 위치 결정편을 절단한 후 캡을 배출구에 나합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위치 결정편의 제거작업과 제거된 위치 결정편에 대한 재료의 손실로 인해 제품화의 복잡성과 성형단가를 높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겔 상태의 내용물이 담겨지는 튜브용기와 유동성 액체를 사용하는 용기의 뚜껑으로 적용되고 있는 종류의 원터치 캡은 나사산이 배출구의 외주면으로 형성된 배출구에 나합되고, 중앙으로 분출공을 갖는 체결부재와 상기의 분출구멍에 끼움되면서 분출공을 막아주는 돌출 슬리브가 내저부의 중앙으로 돌출되고 개방시 충분한 힘을 가할 수 있는 개용(改容) 돌출부가 형성된 개폐부재를 스냅힌지 형태의 연결부재로 체결부재에 연결하여 내용물의 저장 및 사용에 따라 자주 개폐하게 되는데서 오는 뚜껑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의 것도 출현된바 있다.
그런데 연결부재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스냅힌지는 최초 개폐시에는 인장력과 반발력이 뛰어나지만 개폐 회수를 수회 반복할 경우 스냅힌지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고 또 인장력과 반발력이 크게 떨어지면서 연결 부재로서의 스냅힌지는 본래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게 된다.
더욱이 스냅힌지를 구비한 기존의 플라스틱 용기뚜껑은 개폐부재가 체결부재에 대해 완전히 열려 있을 때 사용에 편리한 상태로 위치하고 있지 아니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분출하는 과정이 불편하고 또한 개폐부재를 체결부재에 완전히 닫은 과정이 번거러웠으며 또 개폐부재를 체결부재로 부터 분리 개방하는 과정에 무리한 힘을 가해야 하는 등의 결점이 있어왔다.
본 고안의 목적은 겔 종류의 내용물이 담겨지는 튜브용기를 제공함에 있어서원터치 캡의 개용(開用) 돌출부와 개방홈을 튜브용기의 표면으로 인쇄되어진 인쇄면과 같은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회동 조작시켜 주도록 하는데 있으며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개폐부재를 체결부재에 연질의 플라스틱 스냅힌지와 힌지편으로 이루워진 구성의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인장력과 반발력을 부여한 원터치 캡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목적달성에 현저한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튜브용기의 배출구부와 일치하는 통공을 갖고 내주면의 나사산이 배출구의 외주면으로 형성한 나사산으로 나사 조임되어 배출구로 결합 고정되는 고정캡과; 상기고정 캡의 나합 외벽무에 걸림턱을 환설하여 이에 분출공이 구부로 안내되고 내주면이 걸림홈으로 요설된 안내 슬리브와; 상기 안내 슬리브와 약간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외측 슬리브로 이루워진 체결부재를 상기의 고정캡으로 결합시켜 임의의 방향으로 회동을 자유롭게 함과 동시에 체결부재의 개방홈과 개용 돌출부가 일치하는 개폐부재의 대칭방향으로 연질의 플라스틱 스냅힌지와 힌지편으로 구성한 연결부재로 연결시켜 개폐되게 한 개폐부재의 저부로 분출공을 막아줄수 있는 돌출 슬리브를 형성한 원터치 캡을 최동조작시켜 개방홈과 개용 돌출부가 튜브용기의 표면으로 인쇄되어진 인쇄면의 인쇄위치와 같은 방향으로 일치시켜 주도록 함과 동시에 연결부재에 인장력과 반발력을 부여하여 개폐부재의 개폐작용이 탄력적으로 이루워지게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요부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해 이루어지는 개폐상태의 조작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튜브용기 11-인쇄면 12-배출구부
13-통공 14,14'-나사산 15-배출구
16-고정캡 17-걸림턱 17'-걸림홈
18-분출공 19-안내 슬리브 19'-외측 슬리브
20-원터치캡 21-개용돌출부 22-개방홈
30-체결부재 30'-개폐부재 30'-연결부재
31-스냅힌지 31'-힌지편 32-돌출 슬리브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튜브용기(10)에 내용물을 넣어 밀봉한 상태의 전체 사시도로서 원터치 캡(20)의 개용 돌출부(21)와 개방홈(22)이 튜브용기(10)의 표면으로 인쇄되어진 인쇄면(11)과 같은 방향에 위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분리한 사시도로서 튜브용기(10)의 배출구부(12)와 일치하는 통공(13)을 갖고 내주면의 나사산(14)이 배출구(15)의 외주면으로 형성한 나사산(14′)으로 나사조임되어 배출구(15)로 결합하는 고정캡(16)과; 상기 고정캡(16)의 외벽부에 걸림턱(17)을 환설하고 이에 분출공(18)이 통공(13)의 배출구부(12)로 안내되면서 내주면으로 요설된 걸림홈(17′)을 가지는 안내 슬리브(19)와; 상기의 안내 슬리브(19)와 약간의 간격을 두고 그 외측으로 형성되는 외측 슬리브(19′)로 이루워진 체결부재(30)와 상기 체결부재(30)의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개방홈(22)에 개용돌출부(21)가 일치하는 개폐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30′)의 개용 돌출부(21)와 대칭 방향에 스냅힌지(31)와 힌지편(31′)으로 이루워진 연결부재(30″)로 연결시켜 개폐되게 한 상기 개폐부재(30′)의 저부로 상기 체결부재(30)의 분출공(18) 막아줄수 있는 돌출 슬리브(32)가 배출구부(12)로 안내된 구성의 원터치캡(20)이 상기의 고정캡(16)에서 회동조작이 자유롭도록 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도3에 도시한 단면도에 의해 설명하면
본고안은 튜브용기(10)내에 “겔 ”상태의 내용물(화장품)을 넣고 원터치캡(20)을 튜브용기(10)의 배출구(15)로 결합하여 상품화 하는 것인데 이때화장품을 사용할 때는 상기 배출구(15)로 결합된 원터치캡(20)의 개폐부재(30′)를 체결부재(30)의 일측벽으로 형성한 개방홈(22)을 이용해 상기 개폐부재(30′)의 개용 돌출부(21)에 약간의 힘을 가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가볍게 밀어 올려주면 개폐부재(31′)는 개용 돌출부(21)의 대칭방향에 반발력과 인장력을 가지는 플라스틱 스냅힌지(31)와 그 양측의 힌지편(31′)에 의한 연결부재(30″)로 체결부재(30)에 연결되어 있어서 분출공(18)으로 내용물을 용이하게 분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개방될 뿐만 아니라 개방되는 개폐부재(30′)의 손실도 방지할 수있다.
이렇게 내용물을 사용하고 난 튜브용기(10)는 원터치캡(10)의 개폐부재(30′)를 다시 화살표(↘)방향으로 약간의 힘을 가하면 가볍게 체결부재(30)로 결합됨에 따라 개용 돌출부(21)는 개방홈(22)과 일치하고 상기 개폐부재(30′)의 저면으로 돌출된 슬리브(32)는 채결부재(30)의 분출공(18)으로 끼움되어 내용물의 분출을 막아주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작용을 수행하는 원터치캡(20)의 체결부재(30)는 튜브용기(10)의 배출구부(12)와 일치하는 통공(13)을 갖고 내주면의 나사산(14)이 배출구(15)의 외주면으로 형성한 나사산(14′)으로 나사조임되어 고정되는 고정캡(16)의 외벽부로 환설한 걸림턱(17)에 걸려 임의의 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도록 내주면에 걸림홈(17′)이 상기의 걸림턱(17)에 걸려지기 때문에 원터치캡(20)의 개용 돌출부(21)와 개방홈(22)이 튜브용기(10)의 표면으로 인쇄된 인쇄면(11)의 방향과 그 위치가 일치하지않을 때는 원터치캡(20)을 좌우방향으로 회동 조작시켜 상기의 개용돌출부(21)와 개방홈(22)을 인쇄면(11)과 일치시켜 진열시튜브용기(10)의 외관을 미려히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튜브용기의 표면으로 인쇄되어지는 인쇄면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원터치캡의 개용 돌출부와 개방홈이 위치하도록 원터치캡이 튜브용기의 배출구에서 이탈되지 아니하는 상태로 회동조작을 임의로 실시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튜브용기를 사용한 후 진열상태의 미관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원터치캡의 연결부재를 플라스틱 스냅힌지와 이 스냅힌지를 양쪽에서 보강해주는 힌지편에 의해 개폐시 인장력과 반발력을 고조시켜 주므로서 개폐작용에 따른 개폐부재의 유연성과 견고성은 물론 개폐부재의 손실방지와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부여하고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화장품 튜브용기(10)에 있어서
    상기 튜브용기(10)의 배출구부(12)와 일치하는 통공(13)을 갖고 내주면의 나사산(14)이 배출구(15)의 외주면으로 형성한 나사산(14′)으로 나사조임되어 배출구(15)로 결합고정되는 고정캡(16)과;
    상기 고정캡(16)의 나합외벽부에 걸림턱(17)이 환설되고 이에 분출공(18)이 구부(12)로 안내되며 내주면이 걸림홈(17′)으로 요설된 안내 슬리브(19)와;
    상기 안내 슬리브(19)와 약간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외측 슬리브(19′)로 이루워진 체결부재(30)를 상기의 고정캡(16)으로 결합시켜 회동을 자유롭게 함과 동시에 상기 체결부재(30)의 개방홈(22)과 개용 돌출부(21)가 일치하는 개폐부재(30′)의 대칭방향으로 스냅힌지(31)와 힌지편(31′)으로 이루워진 개폐부재(30′)의 저부에는 돌출슬리브(32)를 돌설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위치(印刷位置)로의 회동조작이 가능한 원터치캡(One touch cap)
KR2020010034956U 2001-11-14 2001-11-14 인쇄위치로의 회동조작이 가능한 원터치 캡 KR200264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956U KR200264763Y1 (ko) 2001-11-14 2001-11-14 인쇄위치로의 회동조작이 가능한 원터치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956U KR200264763Y1 (ko) 2001-11-14 2001-11-14 인쇄위치로의 회동조작이 가능한 원터치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763Y1 true KR200264763Y1 (ko) 2002-02-20

Family

ID=73112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956U KR200264763Y1 (ko) 2001-11-14 2001-11-14 인쇄위치로의 회동조작이 가능한 원터치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76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114Y1 (ko) * 2008-06-30 2010-03-19 (주)아모레퍼시픽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 캡을 구비한 포장용기
KR20170001460U (ko) * 2015-10-15 2017-04-25 명의전 용기 뚜껑
KR20230036444A (ko) * 2021-09-07 2023-03-14 박영란 튜브형 화장품 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114Y1 (ko) * 2008-06-30 2010-03-19 (주)아모레퍼시픽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 캡을 구비한 포장용기
KR20170001460U (ko) * 2015-10-15 2017-04-25 명의전 용기 뚜껑
KR200485444Y1 (ko) 2015-10-15 2018-02-21 명의전 용기 뚜껑
KR20230036444A (ko) * 2021-09-07 2023-03-14 박영란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102515975B1 (ko) * 2021-09-07 2023-03-30 박영란 튜브형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8641B2 (en) Device for the combined presentation of two items
US7874466B2 (en) Package comprising push-pull closure and slit valve
US11730249B2 (en) Cosmetic jars with sweep collar
US11641923B2 (en) Cosmetic container with a capped seal
US20070029275A1 (en) Multiple chamber container
US6010265A (en) Unidirectional cosmetic wiper
US4172536A (en) Collapsible tube dispenser
US6200045B1 (en) Combination cosmetics package
KR200264763Y1 (ko) 인쇄위치로의 회동조작이 가능한 원터치 캡
US6491041B1 (en) Container having cap container with hollow lid
US20050045669A1 (en) Dispenser
JP2004208973A (ja) 液体注出具を具えたコンパクト容器
KR101475153B1 (ko) 화장품 용기용 캡의 구조
KR20160001945U (ko) 내용물 충진이 용이한 주사기형 화장품용기
KR102356605B1 (ko) 화장품 용기
EP2949592A1 (en) Single-body, disposable bottle with cap
KR102007200B1 (ko) 이중 튜브 뚜껑
JP4218797B2 (ja) 簡易塗布容器及び該容器の液の充填方法
JP2018095260A (ja) キャップ
KR102673009B1 (ko) 리필 타입 화장품 용기
JP4106457B2 (ja) 櫛付き容器
JP2547823Y2 (ja) チュ−ブ容器
JP4450270B2 (ja) キャップ付き小型容器
KR200295520Y1 (ko) 마개조립체
KR102016445B1 (ko) 이중 티슈팩용 캡 및 이러한 캡이 적용된 이중 티슈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