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316Y1 - 오수관 고정구 - Google Patents

오수관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316Y1
KR200264316Y1 KR2020010032159U KR20010032159U KR200264316Y1 KR 200264316 Y1 KR200264316 Y1 KR 200264316Y1 KR 2020010032159 U KR2020010032159 U KR 2020010032159U KR 20010032159 U KR20010032159 U KR 20010032159U KR 200264316 Y1 KR200264316 Y1 KR 2002643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sewage pipe
bolt
coupl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1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철
Original Assignee
이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철 filed Critical 이호철
Priority to KR20200100321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3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3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316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30)의 지붕(31)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물받이(32)와 연결되어 물받이(32)에 집수된 오수를 지면으로 자연스럽게 배출하는 오수관(33)을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줄 수 있도록 오수관(33)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반원형상의 수용홈(41)을 가지고 양단부에는 플랜지(42)를 형성하여 한쌍으로 구비되는 클램프(45)와; 상기 플랜지(42)에는 클램프(45)를 원형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볼트나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46)을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체결공(46)과; 상기 클램프(45)의 일측에는 건축물(30)의 벽면(35)에 고정되는 베이스(47)와 결합하기 위한 볼트(48)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오수관고정구(40)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오수관고정구(40)의 클램프(45)와 베이스(47)의 외측에는 돌출된 비드(Bead;50)를 더 형성하고; 상기 일측의 클램프(45)와 베이스(47)는 마주보게 돌출시킨 돌출부(51,52)를 형성하여 각각 결합공(53)과 나사체결공(54)을 형성하고; 상기 클램프(45)에 형성되는 결합공(53)에는 볼트(48)를 결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결합공(53)성형시 형성된 후육부(55)를 코킹하여 볼트(48)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수관 고정구{Fixing tool for rain water tube}
본 고안은 오수관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지붕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물받이와 연결되어 물받이 상의 오수를 지면으로 자연스럽게 배출하는 오수관을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는 개선된 고정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지붕에 떨어진 빗물이 지붕의 가장자리에서 바로 지면으로 낙하할 경우 지면과 인접한 건축물의 벽면이나 기둥이 빗물에 의하여 비산되는 흙이나 모래에 의하여 오염된다.
이러한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붕의 가장자리에 빗물을 모으기 위한 물받이가 설치되고, 상기 물받이의 중도 중도엔 물받이에 고인 빗물을 지면으로 자연스럽게 배출하기 위한 오수관이 연결된다.
상기 오수관은 지면으로부터 상당한 높이의 물받이와 연결되기 때문에 바람과 같은 외압에 의하여 넘어지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벽면과 고정하게 된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고정구이며 종래에도 이러한 목적의 고정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도 6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구(1)는 오수관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반원형상의 수용홈(2)을 가지고 양단부에는 플랜지(3)를 가지는 한쌍의 클램프(4)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3)에는 클램프(4)를 단속할 수 있도록 볼트나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5)을 더 구비한다.
상기 일측 클램프(4)의 외측에는 볼트(6)를 용접으로 고정하고, 상기 볼트(6)는 벽면에 밀착 고정되는 판상의 베이스(7)에 돌출되는 결합관(8)과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고정구는, 클램프가 단순한 판상의 밴드로 이루어져 있어 강성이 취약하기 때문에 플라스틱 재질의 오수관의 경우에는 어느정도 안정되게 잡아줄 수 있으나, 금속재질로 된 오수관의 경우에는 쉽게 변형되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된다.
특히, 금속재질의 오수관을 고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심한 바람의 영향을 받을 경우에는 더욱 더 안정감이 상실되고,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결합관의 경우에는 쉽게 탈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아니라, 일측의 클램프에 볼트를 용접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프레스에 의하여 성형하는 공정외에 별도의 공정을 더 가져야 하기 때문에 생산측면에서도 불리하고, 용접면이 균일하지 못함으로서 강도가 약하고 미관이 수려하지 못한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프레스공정만으로 볼트까지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전체적인 공정을 줄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함은 물론, 클램프와 베이스를 개선하여 충분한 강성을 유지하여 오수관을 보다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오수관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오수관 고정구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2에 적용된 오수관 고정구의 A부위인 볼트부위를 발췌한 사시도.
도 4 (A, B)는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오수관 고정구의 볼트부위를 발췌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오수관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종래기술이 적용된 오수관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40; 오수관고정구
45; 클램프
48; 볼트
51,52; 돌출부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오수관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오수관 고정구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2에 적용된 오수관 고정구의 A부위인 볼트부위를 발췌한 사시도, 도 4 (A, B)는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오수관 고정구의 볼트부위를 발췌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오수관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함께 설명한다.
건축물(30)의 지붕(31)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물받이(32)와 연결되어 물받이(32)에 집수된 오수를 지면으로 자연스럽게 배출하는 오수관(33)을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는 것이 오수관고정구(40)이다.
상기 오수관고정구(40)는 오수관(33)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반원형상의 수용홈(41)을 가지고 양단부에는 플랜지(42)를 형성한 한쌍의 클램프(45)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42)에는 체결공(46)을 형성하여 클램프(45)를 원형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볼트나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46)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램프(45)의 일측에는 건축물(30)의 벽면(35)에 고정되는 베이스(47)와 결합하기 위한 볼트(48)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오수관고정구(40)의 클램프(45)의 외측에는 돌출된 비드(Bead;50)를 더 형성하여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외압에 의한 변형 및 파손으로 부터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일측의 클램프(45)와 베이스(47)는 마주보게 돌출시킨 돌출부(51,52)를 형성하여 각각 결합공(53)과 나사체결공(54)을 형성한다.
상기 클램프(45)에 형성되는 결합공(53)에는 볼트(48)를 결합하여 움직이지않도록 결합공(53)성형시 형성된 후육부(55)를 눌러(코킹) 볼트(48)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상기 후육부(55)의 코킹시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원형상태로 눌러주거나 도 4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요철홈(56)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각형(57)으로 형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오수관고정구(40)는,
종래와 같이 베이스(47)를 건축물(30)의 벽면(35)에 고정하고 볼트(48)를 가지는 일측의 클램프(45)를 베이스(47)에 결합한 후, 다른측의 클램프(45)는 오수관(33)을 수용한 상태에서 베이스(47)와 결합된 클램프(45)와 밀착시킨 후 고정수단(46)으로 고정함으로서 오수관(33)의 고정이 완료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오수관(33)을 고정한 상태에서 외압이 발생하여도 쉽게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고 견고한 상태로 오수관(33)을 유지할 수 있게된다.
이는 클램프(45)의 외측에 비드(50)를 성형하고 있기 때문에 클램프(45)의 변형이 거의 없어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클램프(45)와 베이스(47)에 볼트(48)를 체결하고 결합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돌출부(51,52)역시 강성유지에 도움을 주게된다.
그리고, 볼트(48)를 용접으로 고정하지 않고 돌출부(51)의 내측에서 결합하여 후육부(55)를 코킹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 공정없이 고정할 수 있어 전체적인 공정감소와 더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프레스공정만으로 볼트까지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전체적인 공정을 줄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함은 물론, 클램프와 베이스를 개선하여 충분한 강성을 유지하여 오수관을 보다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건축물(30)의 지붕(31)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물받이(32)와 연결되어 물받이(32)에 집수된 오수를 지면으로 자연스럽게 배출하는 오수관(33)을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줄 수 있도록 오수관(33)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반원형상의 수용홈(41)을 가지고 양단부에는 플랜지(42)를 형성하여 한쌍으로 구비되는 클램프(45)와;
    상기 플랜지(42)에는 클램프(45)를 원형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볼트나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46)을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체결공(46)과;
    상기 클램프(45)의 일측에는 건축물(30)의 벽면(35)에 고정되는 베이스(47)와 결합하기 위한 볼트(48)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오수관고정구(40)에 있어서;
    상기 오수관고정구(40)의 클램프(45)와 베이스(47)의 외측에는 돌출된 비드(Bead;50)를 더 형성하고;
    상기 일측의 클램프(45)와 베이스(47)는 마주보게 돌출시킨 돌출부(51,52)를 형성하여 각각 결합공(53)과 나사체결공(54)을 형성하고;
    상기 클램프(45)에 형성되는 결합공(53)에는 볼트(48)를 결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결합공(53)성형시 형성된 후육부(55)를 코킹하여 볼트(48)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관 고정구.
KR2020010032159U 2001-10-22 2001-10-22 오수관 고정구 KR2002643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159U KR200264316Y1 (ko) 2001-10-22 2001-10-22 오수관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159U KR200264316Y1 (ko) 2001-10-22 2001-10-22 오수관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316Y1 true KR200264316Y1 (ko) 2002-02-19

Family

ID=73110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159U KR200264316Y1 (ko) 2001-10-22 2001-10-22 오수관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3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184Y1 (ko) 2011-11-28 2013-12-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듀얼 플랜지 클램프
KR102155197B1 (ko) * 2020-03-06 2020-09-11 주식회사 트인공조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184Y1 (ko) 2011-11-28 2013-12-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듀얼 플랜지 클램프
KR102155197B1 (ko) * 2020-03-06 2020-09-11 주식회사 트인공조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2763Y1 (ko) 스프링쿨러용 지지대 체결구
EP1750046B1 (en) Device for fixing pipes to supporting structures
WO2005033421A1 (en) Faceted end cap for leaching chamber
KR200264316Y1 (ko) 오수관 고정구
KR100619259B1 (ko) 파이프 고정장치
CN113677916B (zh) 能量引导链的多件式的链环以及用于此的横向接片和侧板
KR101026243B1 (ko) 수도관 연결장치
KR200402713Y1 (ko) 맨홀용 지수단관의 연결구조
KR200391150Y1 (ko) 건축용 입상관 고정구
KR20140136687A (ko) 조립식 하수관
KR200203559Y1 (ko) 배수파이프 고정용밴드
KR200224305Y1 (ko) 물홈통 구조
KR200211315Y1 (ko) 소음 및 이탈방지용 배수로 측구 뚜껑
KR20010055006A (ko) 거푸집 간격 유지용 콘너트
KR200281432Y1 (ko) 빗물받이관 고정용 밴드
KR100458128B1 (ko)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KR200345670Y1 (ko) 관로구용 방수 덮개구조
KR200337027Y1 (ko) 배수관 고정구
KR200411588Y1 (ko) 외나사 유볼트 장치
JP2006225907A (ja) 外装仕上材の取付構造
KR20030004191A (ko) 배수조에 설치되는 위치 조절기능을 갖는 접속관
KR200275326Y1 (ko) 빗물받이통
KR200257365Y1 (ko)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JP3924645B2 (ja) 管端開口部の密閉装置
KR100637478B1 (ko)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