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698Y1 - Pot-lid with the function of plate - Google Patents

Pot-lid with the function of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698Y1
KR200260698Y1 KR2020010032933U KR20010032933U KR200260698Y1 KR 200260698 Y1 KR200260698 Y1 KR 200260698Y1 KR 2020010032933 U KR2020010032933 U KR 2020010032933U KR 20010032933 U KR20010032933 U KR 20010032933U KR 200260698 Y1 KR200260698 Y1 KR 2002606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ot
pot lid
dish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93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영수
Original Assignee
전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수 filed Critical 전영수
Priority to KR20200100329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69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6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698Y1/en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냄비뚜껑을 뚜껑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접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자 고안된 접시기능을 갖는 냄비뚜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 lid having a dish function designed to have a pot lid as well as a function of a dish.

재치부와 환턱으로 구성된 냄비뚜껑을 형성하되, 뚜껑의 상면을 평면으로 유지하고 소정의 손잡이를 구성하며 재치부에 등간격으로 돌기부를 형성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하며, 접시로 사용하였을 경우에도 외관이 미려하고 실용적이며 구매자들도 냄비와 접시의 이중구매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어 경제성이 돋보이는 효과를 가진다.Form a pot lid consisting of the mounting part and the round jaw, keep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flat, forming a predetermined handle, and forming projections at equal intervals on the mounting part so that it can be cooked safely and conveniently. In this case, the appearance is beautiful and practical, and buyers can reduce the economic burden due to the double purchase of pots and plates.

Description

접시기능을 갖는 냄비뚜껑{Pot-lid with the function of plate}Pot lid with plate function {Pot-lid with the function of plate}

본 고안은 접시기능을 갖는 냄비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조리에 사용되는 냄비는 본체와 뚜껑으로 구성되며, 상기 뚜껑은 본체의 상부를 덮어주어 본체로서의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이 국한되는 것을 접시로서의 기능을 함께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접시기능을 갖는 냄비뚜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 lid having a dish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the pot used for cooking food is composed of a main body and a lid, the lid is used to cover the top of the main body to perform the function as a main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 lid having a dish function so that it can have a function as a dish.

일반적인 사전적 의미로써의 뚜껑이라 함은 물건이나 그릇 등의 아가리를 덮는 제구 또는 덮개라는 뜻으로 음식물 조리시 내부의 열이나 압력, 습도 등을 조절하여 좀 더 음식물을 빠르게 조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며 조리를 끝내고 음식물을 보관하거나 접대할 때에도 내용물을 따뜻하게 유지해 주는 등 전체 요리 과정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Lid as a general dictionary means a tool or a cover that covers agar such as an object or a bowl, and helps to cook food more quickly by adjusting the heat, pressure, and humidity when cooking food. It helps the whole cooking process by keeping the contents warm even when cooking is finished and food is kept or entertained.

그리고 접시는 상기와 같이 조리된 반찬이나 과일 따위의 음식물을 담는 얕고 납작한 그릇을 뜻하는 말로써 근래에는 한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각국의 식습관 또는 풍습에 맞는 여러 가지 형태·크기·장식을 한 접시가 제조되어 있으며 도자를 비롯하여 금속, 유리, 플라스틱, 목제, 죽제 등 다양한 재질의 접시가 사용되고 있다.A plate is a shallow and flat bowl containing foods such as side dishes or fruits, which have been prepared as described above. In recent years, a plate having various shapes, sizes, and decorations suitable for eating habits or customs of various countries has been used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Plates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ceramics, metal, glass, plastic, wood, bamboo, etc. are used.

따라서, 상기와 같이 뚜껑과 접시의 상이한 기능으로 인하여 현재까지는 대부분 분리되어 사용해 왔다.Therefore, due to the different functions of the lid and the dish as described above, it has been used mostly until now.

종래의 경우 등산이나 낚시 등 주로 야외활동 때에 휴대하기 편하도록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으로 만든 코펠용 냄비뚜껑이 접시 겸 뚜껑으로 종종 사용되어 왔는데, 이는 접시기능을 갖도록 뚜껑을 생산한 것이 아니고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의도하여 사용한 것이므로 뚜껑 손잡이가 중앙에 돌출되어 있는 형태나, 중앙 함몰부내에 위치한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접시로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많다.In the related art, a cope pot lid made of plastic or aluminum has been often used as a dish and lid to be convenient for carrying on outdoor activities such as mountain climbing or fishing. This is not a lid produced to have a dish function, and the user arbitrarily intended Since the lid handle is protruded in the center, or most of the case is located in the center recessed portion is inconvenient to use as a dish.

또한 상기와 같은 재질로 되어 있어서 조리시 내부를 들여다 보지 못해 불편하고, 증기가 빠져나올 수 있는 부분이 없어서 음식물이 넘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갑작스레 뚜껑을 열어야 하는 상황에서는 조절되지 않고솟구치는 뜨거운 증기에 의해 화상을 입을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above, it is inconvenient to not look inside, and there is no part that can escape the steam, so it is not possible to prevent the overflow of food in advance, and it is not controlled in case of sudden opening of the lid. Hot steam may cause burns.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선출원된 고안인 실용신안 1983-0004859호인 "조절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뚜껑이 있는 접시"와 실용신안 1992-0004039호인 "남비뚜껑"이 있는데, 전자의 경우 뚜껑에 개구부가 있어서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어 증기로 인한 사고를 막을 수 있지만, 손잡이가 함몰부내의 중앙에 위치함으로 인해서 접시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Due to these problems, there is a patented utility model 1983-0004859 "plate with a lid with an adjustable opening" and utility model 1992-0004039 "pot pot", the former has an opening in the lid to look in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steam, but because the handle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depress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as a plate.

후자의 경우에는 도기로 된 냄비뚜껑의 상면에 소형접시를 일체로 형성하여 소형접시를 냄비 손잡이로 사용함과 동시에 접시대용을 사용할 수 있고 뒤집어 놓으면 뚜껑자체를 그릇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지만 상기의 소형접시는 항시 외부에 개방된 상태라 먼지 등 이물질이 유입되어 위생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더욱이 손잡이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 위생상의 문제를 더욱 가중하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In the latter case, a small dish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t lid, and a small dish can be used as a pot handle, and a dish substitute can be used.If it is turned over, the lid itself can be used as a bowl. Since it is always open to the outsid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re introduced, which is not good for hygiene, and moreover, it is used as a handle, which further increases the problem of hygiene.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뚜껑의 저면을 냄비의 본체에 얹혀 뚜껑의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환턱과 재치부를 구성하여 기본적인 냄비뚜껑의 형태를 유지하되, 기존 냄비 뚜껑의 중앙에 위치되는 손잡이를 없애고 뚜껑의 가장자리 측벽에 손잡이가 위치되도록 하여 뚜껑의 상면을 평면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뚜껑을 접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basic pot lid by configuring the lower jaw and the mounting portion to put the bottom of the lid on the body of the pot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lid, By removing the centrally located handle and the handle is positioned on the side wall of the lid to maintain the top surface of the lid to be able to use the lid as a dish.

또한, 뚜껑의 재치부에 등간격으로 소정의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냄비로 구성되는 본체와 뚜껑을 완전히 밀착시키지 않고 돌기부간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In addition, by forming predetermined protrusions at equal intervals o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lid to form a space between the protrusions and the main body consisting of the pan without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lid to discharge the steam generated when cooking foo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용기의 형태로 구성되는 본체와 재치부, 그리고 환턱을 가지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냄비에 있어서, 소정의 높이로 구성되며 상면의 중심부로부터 소정의 영역만큼 평면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뚜껑의 가장자리 측벽에 소정의 크기로 돌출되도록 손잡이를 구성하고, 상기 뚜껑의 재치부에는 등간격으로 소정의 돌기부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접시기능을 갖는 냄비뚜껑을 구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ot consisting of a main body, a mounting portion, and a lid having a round jaw in the form of a container, compris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configured to be kept flat in a predetermined area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handle is configured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size on the edge sidewall of the lid, and the mounting portion of the lid implements a pot lid having a dish function formed by forming a predetermined protrusion at equal intervals.

도 1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냄비뚜껑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t li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냄비뚜껑과 냄비본체의 사용상태도Figure 2 is a state of use of the pot lid and pot body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냄비뚜껑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t li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냄비뚜껑의 일요부를 발췌한 확대 정면도Figure 4 is an enlarged front view extracting the main part of the pot li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Description of Signs of Main Parts of Drawings *

1. 냄비뚜껑 2. 냄비본체1. Pot lid 2. Pot body

11. 상면 12. 손잡이11.Top 12.Handle

13. 재치부 14. 환턱13. Place 14. Sill

15. 돌기부15. Protrusion

상기에서 구현되는 냄비뚜껑은 냄비본체에 음식물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뚜껑으로도 활용하고 그러한 반면에 접시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ot lid implemented in the above is to be used as a lid used when cooking food in the pot body and on the other hand to be used as a dish.

이하, 첨부된 도면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냄비뚜껑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냄비뚜껑과 냄비본체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도 1의 냄비뚜껑을 단면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냄비뚜껑을 본체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t lid configured b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tate diagram using the pot lid and pot body configur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t lid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t lid configured b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body, will be described together.

아래에서 설명되는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후술하는 실시례와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can be variously substituted,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 examples and appended It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shown.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형태로 구성되는 본체(2)와 재치부(13), 환턱(14)을 가지는 뚜껑(1)으로 구성되는 냄비에 있어서, 소정의 높이로 구성된 냄비뚜껑(1)은 상면(11)의 내측벽과 환턱(14)을 일체로 하여 구성되고 상면(11)의 외측벽과 재치부(13)를 일체로 형성하되 내측을 요입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상면(11)의 중심부를 소정의 영역에 해당하는 범위만큼 평면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하여 냄비뚜껑(1)을 뒤집었을 경우 접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pot consisting of the main body 2, the mounting portion 13, the lid 1 having a round jaw 14 as shown in the form of a container as shown, the pot lid 1 composed of a predetermined height has an upper surface The inner wall of the (11) and the annulus 14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outer wall of the upper surface 11 and the mounting portion 13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inner side is recessed, and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11 is predetermined. It is configured to be kept flat in the range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pot lid (1) to be used as a dish when turned upside down.

상기 재치부(13)는 환형으로 구성하여 냄비본체(2)의 상부에 냄비뚜껑(1)이 안전하게 재치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환턱(14)은 환형으로 상기 재치부(13)와 직각으로 구성하여 냄비뚜껑(1)이 냄비본체(2)에 꼭 맞게 고정되도록 한다.The mounting portion 13 is configured in an annular shape so that the pot lid 1 can be safely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ot body 2, and the annular protrusion 14 is annular and formed at right angles with the mounting portion 13. The pot lid (1) to be fixed to fit the pot body (2).

상기 냄비뚜껑(1)의 손잡이(12)는 상기 재치부(13) 가장자리의 외측벽에 소정의 크기만큼 돌출되도록 연결하되, 냄비뚜껑(1)을 본체(2)로부터 이탈하여 접시로 사용하였을 경우 편리하도록 냄비뚜껑(1)과 일체로 구성하고,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식물을 보관하고 이동할 때 편리하도록 한다.The handle 12 of the pot lid 1 is connect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size to the outer wall of the edge of the mounting portion 13, convenient when the pot lid 1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 and used as a plate It is configured to be integral with the pot lid (1) to form a pair to face each other so that the user is convenient when storing and moving foo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15)는 상기 재치부(13)에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냄비본체(2)와 냄비뚜껑(1)이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돌기부간을 형성하여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가 상기 돌기부간으로 빠져 나갈수 있도록 하여 조리 과정을 더욱 안전하게 한다.As shown in FIG. 4, the protrusions 15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placement unit 13, so that the pot body 2 and the pot lid 1 do not completely adhere to each other to form protrusions to cook food. The steam can escape to the interlude to make the cooking process safer.

한편, 상기 냄비뚜껑(1)의 재질은 투명한 유리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음식물을 조리시 냄비뚜껑(1)을 벗겨내지 않고서도 속을 훤히 들여볼 수 있는 편리함이 있고, 냄비뚜껑(1)을 뒤집어 접시로 사용했을 경우에도 외관상 미려하여 음식맛을 돋우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of the pot lid (1) is made of transparent glas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look inside without removing the pot lid (1) when cooking food, the pot lid (1) upside down Even when used as a plate, the appearance is beautiful and has the advantage of boosting the taste of food.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접시 기능을 갖는 냄비뚜껑(1)의 일실시례에 따른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state of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ot lid (1) having a dish func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사용자가 상기 냄비본체(2)에 환턱(14)과 재치부(13)로 구비된 냄비뚜껑(1)을 덮고 조리를 시작하면 냄비뚜껑(10)이 유리로 되어 있어 투명하므로 사용자는 조리과정을 지켜볼 수 있음으로 인해 갑작스레 음식물이 끓어오르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부(15) 틈으로 증기가 빠져나갈 수 있게 하여 안전하게 조리를 할 수 있다.When the user starts cooking by covering the pot lid 1 provided with the round jaw 14 and the placement part 13 on the pot body 2, the pot lid 10 is made of glass, so that the user can start the cook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dden boiling of food due to being able to watch, and to allow the steam to escape to the protrusion part 15 can be safely cooked.

음식물 조리가 완성되면, 사용자는 상기 냄비뚜껑(1)의 손잡이(12)을 잡고 냄비뚜껑(1)을 냄비본체(2)로부터 이탈시켜 뒤집어 놓은 뒤 상기 조리한 음식물을 냄비뚜껑(10)의 뒤집힌 평평한 부분에 올려놓음으로 해서 상기 냄비뚜껑(10)은 접시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When the food cooking is completed, the user grasps the handle 12 of the pot lid 1, the pot lid 1 is detached from the pot body 2 and turned over, and then the cooked food is turned upside down of the pot lid 10. By placing on a flat portion, the pot lid 10 will have a dish function.

이상과 같이 하나의 기능으로만 사용되어 왔던 냄비뚜껑(1)을 뚜껑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접시의 기능을 함께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The pot lid (1), which has been used as a single function as described above, is a useful design that can achieve the effect of two seats by having a function as a lid as well as a function as a lid.

본 고안은 냄비의 구성 일원인 뚜껑을 접시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접시를 갖추지 않고서도 요리한 음식물을 곧바로 옮겨 놓을 수 있어 편리하고, 한편 구매자들은 냄비와 접시의 이중구매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다소 줄일 수 있어 경제성이 돋보이는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ver the lid, which is a member of the pot, to serve as a dish, so that the cooked food can be transferred immediately without having a separate dish. The burden can be somewhat reduced, and the economy is outstanding.

Claims (1)

용기의 형태로 구성되는 본체와 재치부와 환턱을 가지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냄비에 있어서,In the pot consisting of a lid having a body and a mounting portion and the round jaw formed in the form of a container, 소정의 높이로 구성되며, 상면의 중심부를 소정의 영역에 해당하는 범위만큼 평면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뚜껑의 가장자리 측벽에 소정의 크기로 돌출되도록 손잡이를 구성하고, 한편 상기 뚜껑의 재치부에 등간격으로 소정의 돌기부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기능을 갖는 냄비뚜껑.It is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is configured to be maintained in a plane by a rang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area, the handle is configured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size on the edge sidewall of the lid, while the mounting portion of the lid Pot lid with a dish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predetermined intervals at equal intervals in the configuration.
KR2020010032933U 2001-10-29 2001-10-29 Pot-lid with the function of plate KR20026069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933U KR200260698Y1 (en) 2001-10-29 2001-10-29 Pot-lid with the function of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933U KR200260698Y1 (en) 2001-10-29 2001-10-29 Pot-lid with the function of p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698Y1 true KR200260698Y1 (en) 2002-01-18

Family

ID=73111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933U KR200260698Y1 (en) 2001-10-29 2001-10-29 Pot-lid with the function of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698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983Y1 (en) 2008-12-24 2012-01-16 이영희 Food and accommodating addition the pot lid which is had
KR101146362B1 (en) 2009-12-31 2012-05-17 주식회사 락앤락 Cook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983Y1 (en) 2008-12-24 2012-01-16 이영희 Food and accommodating addition the pot lid which is had
KR101146362B1 (en) 2009-12-31 2012-05-17 주식회사 락앤락 Cook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2213A (en) Microwave cooking and serving dish
USD434265S (en) Portable cooking set
US5197623A (en) Thermal snack jar
US8960441B1 (en) Room temperature butter dish
USD471100S1 (en) Food container
KR200396492Y1 (en) double cup
KR200260698Y1 (en) Pot-lid with the function of plate
USD440016S1 (en) Cosmetic container pot with removable lid and decoration
KR102163800B1 (en) Multifunctional Cooking Lid
USD483217S1 (en) Food steamer insert
USD285852S (en) Cart for pots, pans, lid and other kitchen utensils
KR200380651Y1 (en) A lid of a cooking vessel
KR200318987Y1 (en) Cooking receptacle
KR200353795Y1 (en) Ramen pot lid with bowl function
KR200365864Y1 (en) A Cook-Pot
KR200166317Y1 (en) A pan for boiling and roasting food
JP3907019B2 (en) Cooking container for baby food
KR20190133970A (en) Size-adjustable a pot-lid
JP3221098U (en) Frying pan
CN2409860Y (en) Teapot cover
CN209863329U (en) Inner cover structure of cooking utensil
CN209377290U (en) The folded pot of thermal overflow-proof
JPH10127490A (en) Rice cooking container
KR200457983Y1 (en) Food and accommodating addition the pot lid which is had
KR200191196Y1 (en) A vessel having separatable and joinable hand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