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606Y1 -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보호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보호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606Y1
KR200258606Y1 KR2020010030610U KR20010030610U KR200258606Y1 KR 200258606 Y1 KR200258606 Y1 KR 200258606Y1 KR 2020010030610 U KR2020010030610 U KR 2020010030610U KR 20010030610 U KR20010030610 U KR 20010030610U KR 200258606 Y1 KR200258606 Y1 KR 2002586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oupled
lower body
vehicle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6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순
Original Assignee
이우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순 filed Critical 이우순
Priority to KR20200100306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6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606Y1/ko

Link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블레이드(B)와 프레임(12)의 조립체가 전방 윈도우(W)에 걸치도록 아암(14)을 개재하여 차체(F)에 장착되는 와이퍼 기구에 있어서: 상기 차체(F)에서 윈도우(W)에 근접한 부분에 고정되고, 적어도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되는 홀더(10); 및 상기 프레임(12)에 결합되는 상부몸체(22)와 상기 홀더(10)에 착탈되는 하부몸체(24)가 연결체(26)를 개재하여 관절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와이퍼 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기 홀더(10)를 이탈하는 동시에 관절운동으로 변형되는 서포트(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와이퍼 블레이드가 필요에 따라 윈도우와 이격 또는 밀착되도록 하여 최상의 작동 상태를 유지하고 내구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보호기구 {Device for protecting automobile wiper blade}
본 고안은 차량용 와이퍼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 와이퍼 블레이드를 윈도우와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다가 와이퍼 기구가 작동되는 순간에 자동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가 윈도우에 밀착되도록 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보호기구에 관한 것이다.
블레이드 조립체, 아암, 피벗, 링로드, 워셔탱크, 모터 등 전기장치로 구성되는 차량의 와이퍼 기구에서 블레이드 조립체는 차량 운전시 시야 확보 상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소모품으로서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 안전운행을 보장할 수 없는 것은 물론 불쾌한 소음도 유발한다.
하절기 차량을 양지에 주차하고 있는 동안 실내온도가 윈도우를 통해 블레이드 조립체에 전달되고, 동절기 눈이 내려 동결되면 와이퍼 블레이드와 윈도우가 접합 상태로 된다. 이러한 기후조건에 노출되는 고무 소재의 와이퍼 블레이드는 항상 마모, 노화, 변형의 요인을 안고 있다.
더구나 동절기에 동결이 완전 풀리지 않은 상태 또는 차량의 윈도우가 건조하고 먼지가 많은 상태에서 와셔액을 뿜지 않고 와이퍼를 오작동하는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는 물론 윈도우의 수명도 더욱 단축된다.
이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의 수명은 사용 및 보관 상태에 따라 크게 달라지므로 주행거리나 시간보다는 고무의 외관 상태나 닦아내는 상태로 교체시기를 판단하여야 하는데, 장마철을 제외하고는 평상시 그다지 사용하지 않기 부품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운전자가 교체시기를 넘기기 쉬어 차량을 운행하던 도중에 막상 필요한 때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폐단이 있다.
종래의 와이퍼 기구에 있어서 운전자의 잘못된 사용 및 보관 상태에 못지 않게 와이퍼 블레이드와 윈도우가 항상 밀착되어 하중을 작용하는 상태도 블레이드의수명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하는 요인의 하나이다. 일단 변형이 개시된 블레이드는 계속 접촉에 의한 압력을 받아 변형이 심화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는 것으로서, 평상시 와이퍼 블레이드를 윈도우와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다가 와이퍼 기구가 작동되는 순간에 자동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가 윈도우에 밀착되도록 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보호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도 3을 설치한 상태에서 작동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구를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홀더 20: 서포트
22, 32: 상부몸체 24, 34: 하부몸체
26, 36: 연결체 28, 38: 스프링
29: 핀 42: 볼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블레이드(B)와 프레임(12)의 조립체가 전방 윈도우(W)에 걸치도록 아암(14)을 개재하여 차체(F)에 장착되는 와이퍼 기구에 있어서: 상기 차체(F)에서 윈도우(W)에 근접한 부분에 고정되고, 적어도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되는 홀더(10); 및 상기 프레임(12)에 결합되는 상부몸체(22)와 상기 홀더(10)에 착탈되는 하부몸체(24)가 연결체(26)를 개재하여 관절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와이퍼 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기 홀더(10)를 이탈하는 동시에 관절운동으로 변형되는 서포트(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20)에서 연결체(26)의 일단은 일측의 핀(29)을 개재하여 상부몸체(22)에 결합되고, 타단은 스프링(28)을 개재하여 하부몸체(24)에 결합되어, 타측의 핀(29)으로 상호 연결되는 상부몸체(22)와 하부몸체(24)가 직각 또는 일자(一字) 중 하나의 상태를 유지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블레이드(B)와 프레임(12)의 조립체가 전방 윈도우(W)에 걸치도록 아암(14)을 개재하여 차체(F)에 장착되는 와이퍼 기구에 있어서: ??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2)에 고정되고, 내측면에 스프링(44)을 개재하여 볼(42)을 수용하는 상부몸체(32); 상기 상부몸체(3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면에 요홈(34a)을 구비하는 하부몸체(34); 및 일단에서 상기 상부몸체(3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서 상기 하부몸체(34)와 스프링(38)을 개재하여 결합되는 연결체(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블레이드(B)와 프레임(12)의 조립체가 전방 윈도우(W)에 걸치도록 아암(14)을 개재하여 차체(F)에 장착되는 와이퍼 기구에 관련된다. 고무 재질의 블레이드(B)는 프레임(12)에 유연하게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조립체를 구성하고, 이러한 조립체는 아암(14)에 착탈되는 소모품으로서 윈도우(W) 상을 일정 각도로 회동하며 세척기능을 수행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적어도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되는 홀더(10)가 상기 차체(F)에서 윈도우(W)에 근접한 부분에 고정된다. 홀더(10)는 플라스틱을 이용한 사출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 비철금속을 이용한 주조로 성형한다. 홀더(10)의 전면은 도시처럼 개방되어도 무방하나 후면은 개방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홀더(10)에는 프레임(12)과 일체로 결합된 서포트(20)가 착탈된다.
본 고안에 따른 서포트(20)는 상기 프레임(12)에 결합되는 상부몸체(22)와 상기 홀더(10)에 착탈되는 하부몸체(24)가 연결체(26)를 개재하여 관절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부몸체(22)는 프레임(12)에 고정하기 위한 홈(22)을 구비한다. 하부몸체(24)의 하단은 전술한 홀더(10)의 공간에 거치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성형된다. 연결체(26)는 상부몸체(22)와 하부몸체(24)에 연결되어 상호 관절운동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와이퍼 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하부몸체(24)가 홀더(10)를 이탈하는 동시에 상부몸체(22)에 대하여 관절운동되어 상부몸체(22)와 하부몸체(24)의 전체 형태가 변형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서 상부몸체(22), 하부몸체(24), 연결체(26) 등을 포함하는 서포트(20)의 구성이 명확히 이해된다. 상부몸체(22)는 하단부가 통형의 구조이고 그 상면과 하면이 일부 절개된 형태를 지닌다. 하부몸체(24)는 상단부가 2부분으로 갈라진 형태이고 하단부가 원통을 이등분한 형태이다. 연결체(26)는 호형으로 성형되어 하단에 턱(26a)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몸체(24)의 갈라진 상단 부분에 개재된다. 연결체(26)의 일단은 일측의 핀(29)을 개재하여 상부몸체(22)에 결합된다. 연결체(26)의 타단은 스프링(28)을 개재하여 하부몸체(24)에 결합된다. 하부몸체(24)의 하단부 내측 공간으로 수용되는 스프링(28)은 일단이 연결체(26)의 턱(26a)에 걸리고 타단이 하부몸체(24)의 턱(24a)에 걸린다. 상부몸체(22)와 하부몸체(24)는 타측의 핀(29)으로 상호 연결된다. 상부몸체(22)에 핀(29)으로 결합되는하부몸체(24)와 연결체(26)는 각각 일정한 범위로 회동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상부몸체(22)와 하부몸체(24)는 직각 또는 일자(一字) 중 하나의 상태를 유지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도 3을 설치한 상태에서 작동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에서, 상부몸체(22)와 하부몸체(24)가 직각을 이루고 있는 동안 스프링(28)은 그러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려는 힘을 작용한다. 하부몸체(24)에 설정된 크기 이상의 임계외력이 작용하면 하부몸체(24)가 회동을 시작하여 소정의 임계각도를 통과하는 순간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부호 24´처럼 상부몸체(22)와 일자(一字) 상태를 이루도록 변환된다. 이때에도 스프링(28)은 그러한 상태를 유지하는 힘을 작용한다.
이처럼 상부몸체(22)와 하부몸체(24)가 직각 또는 일자 상태로 전환되는 임계각도는 스프링(28)의 힘이 작용되는 연결체(26) 하단부가 상부몸체(22) 상의 2개의 핀(29)을 연결한 직선을 기준으로 어느 쪽에 있는가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이때의 임계외력은 스프링(28)의 탄성계수에 의해 결정된다. 즉, 스프링(28)의 탄성계수가 커질수록 직각 또는 일자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외력도 증대된다.
도 4에서, 우선 서포트(20)의 상부몸체(22)를 프레임(12)과 블레이드(B) 사이로 넣어 프레임(12)과 맞물리도록 한 다음 볼트(27)로 견고하게 결합한다. 하부몸체(24)에 외력을 가해서 상부몸체(22)와 직각을 이루도록 한 다음 하부몸체(24)의 하단을 홀더(10)에 거치시킨다. 이때 블레이드(B)는 윈도우(W)로부터 소정의 틈새만큼 이격되고, 전술한 임계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그 상태를 유지한다.물론 이러한 임계외력은 와이퍼 기구의 작동력보다 작게 설정되기 때문에 차량 운행중 와이퍼 기구를 온(on)시키면 프레임(12) 및 블레이드(B) 조립체가 서포트(20)와 일체로 회동되고 그 순간 하부몸체(24)는 홀더(10)의 반작용에 의한 외력을 받아 이탈되면서 도시의 이점쇄선처럼 상부몸체(22)와 일자(一字)를 이룬다.
이 상태에서 와이퍼 기구를 작동하는 동안 하부몸체(24)와 홀더(10)는 간섭되지 않는다. 자동차의 운행이 끝나고 와이퍼 기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을 때 다시 하부몸체(24)를 구부려 홀더(10)에 거치시킨다. 이러한 복귀 동작을 자동화하는 것은 그 효용성에 비하여 구성의 복잡화에 따른 경제성, 작동 신뢰성 문제를 유발하게 되므로 불필요하다.
이때, 상기 서포트(20)의 하부몸체(24)에서 홀더(10)와 착탈되는 부분에는 고무재질의 커버를 더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서 차량의 주행에 따른 진동에 의해 서포트(20)가 임의로 홀더(1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설계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 홀더(10)와 하부몸체(24)의 치수를 조절할 수도 있고, 고무재질의 커버를 개재시켜 마찰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하부몸체(24)의 착탈이 부드럽고, 커버만 교체하면 장기간 작동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구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도 블레이드(B)와 프레임(12)의 조립체가 전방 윈도우(W)에 걸치도록 아암(14)을 개재하여 차체(F)에 장착되는 와이퍼 기구에 관련되는 점에 있어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의 서포트(20)로서 상부몸체(32), 하부몸체(34), 연결체(36)를 결합한 조립체가 사용되며, 전술한 홀더(10)는 동일하게 적용하거나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2)에 고정되는 상부몸체(32)는 ??자형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에 스프링(44)을 개재하여 볼(42)을 수용한다. 하부몸체(34)는 일측면에 요홈(34a)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몸체(3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체(36)는 일단에서 상기 상부몸체(3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서 상기 하부몸체(34)와 스프링(38)을 개재하여 결합된다. 하부몸체(24)의 상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연결체(36)와 스프링(38)이 어느 정도 은폐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부몸체(32)와 하부몸체(34)는 연결체(36)에 의해 직각 또는 일자(一字) 형태로 변형되는데, 이때의 임계외력은 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해 결정되는 반면 임계각도는 요홈(34a)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도 5의 (a)처럼 와이퍼 기구를 작동할 때 스프링(44)에 탄지된 볼(42)은 요홈(34a)과 맞물리지 않고 매끄러운 곡면부분을 가압한다. 도 5의 (b)처럼 와이퍼 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 하부몸체(34)를 직각 상태로 돌리면 볼(42)이 요홈(34a)에 맞물려 안착되어 그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볼(42)을 탄지하는 스프링(44)의 탄성력도 하부몸체(34)를 작동하기 위한 임계외력을 결정하는 또 다른 인자가 된다.
상부몸체(32)는 프레임(12)에 접합시키고 하부몸체(34)는 도 1과 같은 홀더(10)상에 거치시킨다. 작동은 전술한 도 4와 크게 다르지 않다.
또한,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하부몸체(34)에서 홀더(10)와 착탈되는 부분에 고무재질의 커버를 더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5를 통하여 상부몸체(22)(32)를 프레임(12)에 고정하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차종에 따라서 약간의 치수만 변경하면 아암(14)에 고정하여 동일한 작동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은 와이퍼 블레이드가 필요에 따라 윈도우와 이격 또는 밀착되도록 하여 최상의 작동 상태를 유지하고 내구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블레이드(B)와 프레임(12)의 조립체가 전방 윈도우(W)에 걸치도록 아암(14)을 개재하여 차체(F)에 장착되는 와이퍼 기구에 있어서:
    상기 차체(F)에서 윈도우(W)에 근접한 부분에 고정되고, 적어도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되는 홀더(10); 및
    상기 프레임(12)에 결합되는 상부몸체(22)와 상기 홀더(10)에 착탈되는 하부몸체(24)가 연결체(26)를 개재하여 관절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와이퍼 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기 홀더(10)를 이탈하는 동시에 관절운동으로 변형되는 서포트(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보호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20)에서 연결체(26)의 일단은 일측의 핀(29)을 개재하여 상부몸체(22)에 결합되고, 타단은 스프링(28)을 개재하여 하부몸체(24)에 결합되어, 타측의 핀(29)으로 상호 연결되는 상부몸체(22)와 하부몸체(24)가 직각 또는 일자(一字) 중 하나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보호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20)의 하부몸체(24)에서 홀더(10)와 착탈되는 부분에는 고무재질의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보호기구.
  4. 블레이드(B)와 프레임(12)의 조립체가 전방 윈도우(W)에 걸치도록 아암(14)을 개재하여 차체(F)에 장착되는 와이퍼 기구에 있어서: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2)에 고정되고, 내측면에 스프링(44)을 개재하여 볼(42)을 수용하는 상부몸체(32);
    상기 상부몸체(3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면에 요홈(34a)을 구비하는 하부몸체(34); 및
    일단에서 상기 상부몸체(3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서 상기 하부몸체(34)와 스프링(38)을 개재하여 결합되는 연결체(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보호기구.
KR2020010030610U 2001-10-08 2001-10-08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보호기구 KR2002586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610U KR200258606Y1 (ko) 2001-10-08 2001-10-08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보호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610U KR200258606Y1 (ko) 2001-10-08 2001-10-08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보호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606Y1 true KR200258606Y1 (ko) 2001-12-29

Family

ID=7306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610U KR200258606Y1 (ko) 2001-10-08 2001-10-08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보호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6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583Y1 (ko) 2014-05-22 2014-09-29 김병철 와이퍼 보호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583Y1 (ko) 2014-05-22 2014-09-29 김병철 와이퍼 보호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198B2 (en) Windscreen wiper arm
CA1079908A (en) Windshield wiper arm
HU225095B1 (en) Wiper device for motor vehicle windows
KR200258606Y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보호기구
KR20080094204A (ko)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KR200269542Y1 (ko) 차량용 와이퍼 지지구조
KR100293790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US11628808B1 (en) Wiper arm head dual knuckle
KR200284958Y1 (ko) 차량용 와이퍼 지지구조
WO2009116058A2 (en) Improved pantograph wiper mechanism
JPH0420694Y2 (ko)
JPS6037866Y2 (ja) 車両用ワイパ−装置
US20240101069A1 (en) Vehicle windshield wiper device
KR100368917B1 (ko) 조수석용 4절 와이퍼 아암
JPH0338045Y2 (ko)
JPH0134612Y2 (ko)
JP4114190B2 (ja) ワイパー
KR0115716Y1 (ko) 자동차 와이퍼아암의 피봇캡 구조
KR200318900Y1 (ko) 와이퍼 블레이드 세이버ⅱ
KR200232952Y1 (ko)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
KR200213437Y1 (ko)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
KR0112767Y1 (ko) 자동차용 윈드쉬일드와이퍼
KR100397001B1 (ko) 차량용 와이퍼 아암 조립체
KR20030091036A (ko) 차량용 와이퍼 지지구조
JPS63332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