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121Y1 - 차량용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121Y1
KR200258121Y1 KR2020010027413U KR20010027413U KR200258121Y1 KR 200258121 Y1 KR200258121 Y1 KR 200258121Y1 KR 2020010027413 U KR2020010027413 U KR 2020010027413U KR 20010027413 U KR20010027413 U KR 20010027413U KR 200258121 Y1 KR200258121 Y1 KR 2002581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upport
lift
lift apparatus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을천
Original Assignee
진을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을천 filed Critical 진을천
Priority to KR2020010027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1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1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121Y1/ko

Links

Landscapes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히 차량용 리프트의 상측에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차량이 상승시 자동으로 감지하여 추가적인 상승을 방지하고자 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리프트장치(100)를 지지하는 본체인 리프트본체(110)와, 상기 리프트본체(1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각도 및 길이를 조절하므로서 차량을 지지하는 하측지지부재(120)와, 상기 리프트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판넬(130)과, 상기 제어판넬(130)의 제어에 따라 유압탱크(140)에 저장되어 있는 유압을 구동시키는 모터(150)와, 상기 모터(15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유압탱크(140)에 저장되어 있던 유압을 상기 리프트장치(100)에 공급하여 차량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동작하는 실린더(160)와, 차량의 상승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70)과, 차량의 상승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상하이동수단(18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리프트장치{LIFT APPARATUS FOR CARS}
본 고안은 차량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차량용 리프트의 상측에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차량이 상승시 자동으로 감지하여 추가적인 상승을 방지하고자 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리프트의 경우에는 차량의 상승을 감지하기 위해서 리프트의 상측에 축 늘어진 지지대를 설치하여 차량이 상기 지지대에 접촉시 신호를 인가받아 차량의 상승을 감지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지지대를 설치하고 별도의 감지센서가 설치되므로서 구조가 복잡하고 불필요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차량을 상승시, 차량의 상단에 접촉되므로서 차량의 상승을 감지하도록 형성된 지지대에 의해서 차량의 상단부에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프트에 의해 상승되는 차량을 감지하도록 리프트의 상단부에 감지센서를 설치하므로서 간편하게 차량을 감지할 수 있으며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차량용 리프트장치는 차량의 상단에 접촉되는 지지대를 없애므로서 차량을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차량용 리프트장치는, 리프트장치를 지지하는 본체인 리프트본체와, 상기 리프트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각도 및 길이를 조절하므로서 차량을 지지하는 하측지지부재와, 상기 리프트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판넬과, 상기 제어판넬의 제어에 따라 유압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유압을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작에 따라 상기 유압탱크에 저장되어 있던 유압을 상기 리프트장치에 공급하여 차량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동작하는 실린더와, 차량의 상승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차량의 상승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상하이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상기 하측지지부재에는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하측선단지지대와, 상기 하측선단지지대에 연결되어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는 하측가변지지대와, 상기 하측가변지지대의 일단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하측가변지지대가 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기능을 하는 하측결착지지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상측지지대에 복수개의 상측센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리고 상기 상측센서부는 근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측면지지대 내측 상단부에 서로 정면으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측면센서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리고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상측지지대의 양단부에 별도로 센서결착지지부를 형성한 후 상기 센서결착지지부에 상기 측면센서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특징으로 하며, 상기 측면센서부는 근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차량용 리프트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리프트장치 110 : 리프트본체
112 : 상측지지대 114 : 측면지지대
120 : 하측지지부재 122 : 하측선단지지대
124 : 하측가변지지대 126 : 하측결착지지대
130 : 제어판넬 140 : 유압탱크
150 : 모터 160 : 실린더
170 : 감지수단 172 : 센서결착지지부
173 : 측면센서부 174 : 상측센서부
180 : 상하이동수단 182 : 상하가이드부재
184 : 상하슬라이딩부재 186 : 로프부재
본 고안의 차량용 리프트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첨부도면을 통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차량용 리프트장치에 대한 사시도로서, 100은 2주식 리프터장치이고, 상기 리프트장치(100)를 지지하는 본체인 리프트본체(110)와, 상기 리프트본체(1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각도 및 길이를 조절하므로서 차량을 지지하는 하측지지부재(120)와, 상기 리프트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판넬(130)과, 상기 제어판넬(130)의 제어에 따라 유압탱크(140)에 저장되어 있는 유압을 구동시키는 모터(150)와, 상기 모터(15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유압탱크(140)에 저장되어 있던 유압을 상기 리프트장치(100)에 공급하여 차량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동작하는 실린더(160)와, 차량의 상승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70)과, 차량의 상승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상하이동수단(18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본체(110)는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는 측면지지대(114)와, 상기 측면지지대(114)의 상측에 형성되어 복수개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측면지지대(114)를 연결하는 상측지지대(11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지지부재(120)에는 서로 대칭되도록 복수개의 지지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하측선단지지대(122)와, 상기 하측선단지지대(122)에 연결되어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는 하측가변지지대(124)와, 상기 하측가변지지대(124)의 일단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하측가변지지대(124)가 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기능을 하는 하측결착지지대(12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판넬(130)에는 도시되지 않은 통상의 복수개의 제어버튼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지수단(170)은 차량이 상승시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도록 감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상측지지대(112)에 복수개의 형성되어 하측으로부터 차량이 상승하여 일정거리 이내로 차량이 접근하게 되면 이를 감지한 후 상기 제어판넬(130)에 신호를 전송하여 더 이상 차량이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는 상측센서부(17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상측센서부(174)의 감지 능력을 보완하기 위해서 상기 복수개의 측면지지대(114) 상단부에 서로 정면으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는 측면센서부(173)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측면센서부(173)는 상기 측면지지대(114)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상측지지대(112)의 양단부에 별도의 지지부재인 센서결착지지부(172)를 형성한 후 상기 센서결착지지부(172)에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센서결착지지부(172)는 차량의 종류에 따른 차량의 폭을 고려하여 상기 상측지지대(112)의 양단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면지지대(114)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160)의 구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상하이동수단(180)에는 차량과 함께 상하로 이동되는 상하슬라이딩부재(184)와, 상기 상하슬라이딩부재(184)에 연결되어 있으면서 상기 상하슬라이딩부재(184)를 지지하는 로프부재(186)와, 상기 상하슬라이딩부재(184)가 상하로 이동시 가이드역활을 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하가이드부재(182)로 구성되어 있다.
즉, 작업자가 도시되지 않은 통상의 차량을 장착한 후, 상기 제어판넬(130)을 조작하여 상승시키게 되면, 상기 제어판넬(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150)가 동작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리프트본체(1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160)를 구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린더(160)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측면지지대(114)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슬라이딩부재(184)가 상하가이드부재(182)에 가이드되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하슬라이딩부재(184)에 연결되어 있는 별도의 로프부재(186)도 상기 상하슬라이딩부재(184)와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서 상기 상하슬라이딩부재(184)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상하슬라이딩부재(184)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상측지지대(112)에 형성된 복수개의 상측센서부(174)에 접근하여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시, 상기 상측센서부(174)가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측센서부(174)가 동작시, 상기 상측센서부(174)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판넬(130)에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모터(150) 및 실린더(160)의 동작을 제어하므로서, 결국 상기 상하슬라이딩부재(184)도 더 이상 상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하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에 기술한 내용과 반대로 동작하므로서, 차량을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차량용 리프트장치는, 차량의 상승을 간편하게 감지하여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이 간편하며, 게다가 차량의 상측을 감지하던 종래의 지지부재에 의한 차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다.

Claims (7)

  1. 리프트장치(100)를 지지하는 본체인 리프트본체(110)와, 상기 리프트본체(1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각도 및 길이를 조절하므로서 차량을 지지하는 하측지지부재(120)와, 상기 리프트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판넬(130)과, 상기 제어판넬(130)의 제어에 따라 유압탱크(140)에 저장되어 있는 유압을 구동시키는 모터(150)와, 상기 모터(15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유압탱크(140)에 저장되어 있던 유압을 상기 리프트장치(100)에 공급하여 차량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동작하는 실린더(160)와, 차량의 상승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70)과, 차량의 상승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상하이동수단(18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지지부재(120)에는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하측선단지지대(122)와, 상기 하측선단지지대(122)에 연결되어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는 하측가변지지대(124)와, 상기 하측가변지지대(124)의 일단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하측가변지지대(124)가 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기능을 하는 하측결착지지대(12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170)은 상기 상측지지대(112)에 복수개의상측센서부(17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센서부(174)는 근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170)은 상기 측면지지대(114) 내측 상단부에 서로 정면으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측면센서부(17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170)은 상기 상측지지대(112)의 양단부에 별도로 센서결착지지부(172)를 형성한 후 상기 센서결착지지부(172)에 상기 측면센서부(173)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
  7. 제 5항 또는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센서부(173)는 근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
KR2020010027413U 2001-09-07 2001-09-07 차량용 리프트장치 KR2002581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413U KR200258121Y1 (ko) 2001-09-07 2001-09-07 차량용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413U KR200258121Y1 (ko) 2001-09-07 2001-09-07 차량용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121Y1 true KR200258121Y1 (ko) 2001-12-24

Family

ID=73108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413U KR200258121Y1 (ko) 2001-09-07 2001-09-07 차량용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1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930B1 (ko) 2007-01-04 2008-01-28 (주)성실기계 안전센서가 구비된 카리프트
KR100871168B1 (ko) 2007-05-02 2008-12-05 헤스본주식회사 감지패드를 구비한 차량 정비용 리프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930B1 (ko) 2007-01-04 2008-01-28 (주)성실기계 안전센서가 구비된 카리프트
KR100871168B1 (ko) 2007-05-02 2008-12-05 헤스본주식회사 감지패드를 구비한 차량 정비용 리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4399A (en) Automatically-guided vehicle having load clamp
KR200258121Y1 (ko) 차량용 리프트장치
JP4560146B2 (ja) 金型取付装置
KR20110113891A (ko) 화물 차량용 가변형 스포일러
KR101146257B1 (ko) 모바일 데크 리프트
JP2509382Y2 (ja) 車両整備用リフト
KR200204519Y1 (ko) 고소작업차의 버켓 조정장치
KR100316920B1 (ko) 차량용 파워 윈도우의 안전 장치
KR100488919B1 (ko) 열차차량의 하부작업용 리프트
CN221553702U (zh) 一种红外光感行程限位装置
KR100700204B1 (ko) 와이어텐션 감지기능을 갖는 와이어 고정수단 및 이를구비하는 와이어 구동형 도어장치
WO2003038231A3 (en) Drilling vehicle with support bearing
JP2009102157A (ja) 車両リフト装置
KR100338282B1 (ko) 세이프티 글래스 레귤레이터의 상한점 검출용 리미트스위치 작동장치
KR20040023358A (ko) 파워 윈도우의 안전장치 및 제어방법
KR200322820Y1 (ko) 대문을 활용한 주차장치
KR20030014809A (ko) 자동차의 도어 글라스 승강장치
JPH074540Y2 (ja) ローラーテスタにおけるストッパー装置
KR101468697B1 (ko) 콘크리트 펌프 차량의 붐 제어장치
KR970047407A (ko) 에어콘의 공기토출구 승강장치
JP6468950B2 (ja) 地盤改良機
JPH0640297U (ja) 電動式シャッターの安全装置
JP3638799B2 (ja) トラクタ
KR20040106124A (ko) 차량의 안전벨트 높이조절장치
JP2523775Y2 (ja) 荷物昇降車の伸縮ブーム縮小動規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