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133Y1 -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133Y1
KR200255133Y1 KR2020010019300U KR20010019300U KR200255133Y1 KR 200255133 Y1 KR200255133 Y1 KR 200255133Y1 KR 2020010019300 U KR2020010019300 U KR 2020010019300U KR 20010019300 U KR20010019300 U KR 20010019300U KR 200255133 Y1 KR200255133 Y1 KR 200255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device
opening
condensate
freeze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3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규
Original Assignee
최병규
정희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규, 정희도 filed Critical 최병규
Priority to KR20200100193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1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133Y1/ko

Links

Landscapes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는 증기 및 온수를 이용하는 난방 장치나 기기의 출구측에 설치하여 난방장치에 잔존하게 되는 응축수를 자동으로 배수시킴으로써 난방장치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난방장치의 출구부분에 설치된 배수관에 가설되고 상기 난방장치 내부의 압력이 소정치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 소정의 개폐수단이 자체 개방되어, 상기 난방장치에 잔류하는 응축수를 배수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해당 난방 장치나 기기의 내부에 잔존하는 응축수나 잔류 스팀을 자동적으로 배수함으로써, 외부 온도강하시에 장치나 기기의 동결을 방지하고 관련 기기를 보호하게 되며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The equipment of discharging condensation-water for preventing freeze}
본 고안은 건물의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증기 및 온수를 이용하는 장치나 기기의 출구측에 설치하여 난방장치에 잔존하게 되는 응축수를 자동으로 배수시킴으로써 난방장치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동결을 방지할 수 있는,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 빌딩의 사무실 등 밀폐된 공간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에게는 알맞는 기후조건에서 생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여름에는 냉방을, 겨울에는 난방을 실시하여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잘 알려진 항온 시설로는 냉난방장치와 같은 열교환기, 에어콘과 같은 공기조화기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난방을 위한 설비의 대표적인 예로는 온풍기 등이 있으나 이는 전기를 주로 이용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된 고온의 온수를 통과시켜 열을 교환하는 난방장치, 라지에다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난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난방장치(10)는 측면에 고온의 온수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관(10x)과, 난방장치(10) 내부에 잔존하는 응축수를 배수하는 배수관(10y)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입관(10x)으로는 고온의 온수가 유입되며, 이렇게 유입되는 온수는 한쪽방향으로 통과되면서 실내의 공기를 데울 수 있도록 난방장치(10)가 설계되어 있다. 또한 유입관(10x)에는 온수 유입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101)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난방장치(10)에 유입된 고온의 온수는 차가운 실내공기를 데우고 그 온도가 많이 내려간 응축수 즉, 저온의 물로 변하여 배수관(10y)을 통해 배수된다.
출구측의 배수관(10y)에도 밸브(151)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출구측 배수관의 밸브(151)는 유입관(10x)으로 온수가 유입될 경우 난방장치(10)를 통과한 응축온수를 다시 승온하여 유입관(10x)으로 재유입시키기 위한 것이다.
난방장치(10) 내부에 응축수가 고이게 되면 이러한 응축수는 난방장치(10)의 효율을 떨어뜨리고 크게는 난방장치(10)를 고장나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난방장치(10)의 작동이 오랫동안 중지되는 경우 난방장치(10) 내부에 잔존하게 되는 응축수가 얼어 평상시 고온의 온수가 통과해야 하는 관들을 동파시키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잔여 응축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배수관(10y)의 밸브(151)를 개방하여 내부의 응축수를 배수시키지만, 이 경우에도 온도가 낮아진 응축수 이긴 하지만 어느 정도 고온상태의 밸브(151)를 수동으로 개폐하여 내부의 응축수를 배수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증기 및 온수를 이용하는 장치나 기기의 출구측에 설치하여 난방장치 내부의 압력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난방장치에 잔존하게 되는 응축수를 자동으로 배수시킴으로써 난방장치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동결을 방지할 수 있는,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에 대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이를 위해서는 난방설비 등에 사용되는 고온의 온수 및 스팀의 변화과정 및 특성을 포함한, 흐름 전반을 원활히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
도 1은 종래의 난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로 온수를 이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난방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의 구성단면도.
도 4는 도 3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의 한 쪽 출구를 막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에 대한 구성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난방장치
10x : 유입관 10y : 배수관
101, 151 : 밸브
20 :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
201 : 장치몸체 203 : 내부결합틀
205 : 개폐봉 207 : 스프링
209 : 플러그(plug)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는,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난방장치의 출구부분에 설치된 배수관에 가설되고 상기 난방장치 내부의 압력이 소정치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 소정의 개폐수단이 자체 개방되어, 상기 난방장치에 잔류하는 응축수를 배수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로 온수를 이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난방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의 구성단면도이다.
도 2와 같이, 본 실시예의 난방장치에도 그 측면에 고온의 온수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관(10x)과, 난방장치(10) 내부에서 형성된 응축수를 배수하는 배수관(10y)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배수관(10y)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20)는 난방장치(10)의 출구측 배수관(10y)에 가설되어 난방장치(10) 내부의 압력이 소정치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 통로가 자체 개방됨으로써, 난방장치(10)에 잔류하는 응축수를 배수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20)는 도 3과 같이, 장치몸체(201), 내부결합틀(203) 그리고 개폐봉(205)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장치몸체(201)는 본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20)의 전체적인 틀을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장치몸체(201)는 난방장치(10)의 배수관(10y)에 결합설치된다. 아울러 장치몸체(201)의 내부에는 내부결합틀(203)이 결합된다.
내부결합틀(203)은 도 3 우측에 도시한 사시도와 같이, 그 틀입구(203a)는 장치몸체(201)의 내부에 걸릴 수 있도록 외주면이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틀입구(203a)에는 본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20)의 폐쇄(closed)를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고무패킹(203b)이 설치된다. 그리고 틀입구(203a) 하단은 장치몸체(201)와의 결합을 위해 나사산(203c)이 형성되어 있으며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해 다수의 배수구멍(203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내부에는 지지돌기(203e)가 형성되어 있고 이 주위에는 스프링(207)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돌기(203f)가 형성되어 있어 개폐봉(205)의 이동과 움직임을 지지하게 된다.
내부결합틀(203)의 틀입구(203a)를 개폐함으로써 응축수의 배수를 제어하는 개폐봉(205)은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207)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개폐봉(205)은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지만, 응축수를 보다 원활하게 배수시키고 또한 소용돌이를 방지하기 위해 원추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여기에 결합되는 스프링(207)은 난방장치(1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진 경우 본 개폐봉(205)을 개방시킬 수 있는 탄발력을 발생시킨다. 아울러 개폐봉(205)은 스프링(207)에 끼워 결합시키고 이 스프링(207)은 내부결합틀(203) 바닥의 고정돌기(203f)에 결합되므로써, 스프링(207)의 탄발력이 작용하더라도 개폐봉(205)이 개방될 뿐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개폐봉(205)은 전체적으로 버섯과 비슷한 원추형을 하고 있으며 버섯의 다리에 해당하는 개폐봉(205)의 다리(205a)에는 중앙에 홈이 파여 있어서, 내부결합틀(203) 지지돌기(203e)의 지지를 받으며 원활하게 움직이게 된다.
도 4는 도 3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난방장치(10)에 고온의 온수가 공급되고 있는 경우 출구측의 배수관도 내부압력에 따라 배수압력이 상승될 것이므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봉(205)이 폐쇄되고 따라서 응축수는 화살표와 같이 개폐봉(205)이 있는 반대방향으로 배수되게 된다. 이렇게 배수되는 응축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승온하여 다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후 난방장치(10)에 온수 공급을 중단하면 그 내부의 압력이 하강하게 되고, 이 경우 본 실시예의 응축수배수장치(20)가 작동하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온수의 공급이 중단되어 난방장치(10) 내부의 압력이 하강하게 되면 스프링(207)의 탄발력에 따라 개폐봉(205)이 개방되고, 따라서 난방장치(10) 내부에 잔존하고 있는 응축수가 배수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본 실시예의 응축수 배수장치(20)는 난방장치(10)에 온수를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의 응축수 배수장치(20)는 유입관(10x)으로 스팀을 유입하여 난방을 시키는 경우에도 이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를 스팀이 유입되는 경우에 사용할 때는 도 5와 같이 한 쪽이 플러그(209) 등에 의해 닫혀진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한 쪽이 닫혀진 상태는 본 실시예의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도 5에서는 한 쪽의 통로가 사용되고 있지 않는 상태이므로 최초 닫혀진 상태로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를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도 5와 같이 한 쪽을 닫힌 상태로 사용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또 다른 일실시예의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선형태를 갖는 구조로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도 5의 구조에서 최초 한쪽이 막힌 구조나 도 6과 같이 전체적으로 직선형태로 설계된 구조의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난방장치(10)의 배수관(10y)을 병렬구조로 변경하고 한쪽의 배수관에는 다른 밸브를 설치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아니라 본 고안은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의 전체적인 모양을 설치하는 용도 및 장소에 맞게 다양하게 변화시키고 내부구성부들도 잔류하는 응축수의배수가 용이하여 동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는 등, 본 고안의 기술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하게 변화시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증기 및 온수를 이용하는 장치나 기기의 통로관에 설치되어 해당 장치나 기기의 내부에 잔존하는 응축수나 잔류 스팀을 자동적으로 배수하게 된다. 아울러 이를 통하여 외부의 온도강하시 장치나 기기의 동결을 방지함으로써 관련 기기를 보호하고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난방장치의 출구부분에 병렬로 연결 설치된 배수관(10y)에 가설되고 상기 난방장치 내부의 압력이 소정치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 소정의 개폐수단이 자체 개방되어, 상기 난방장치에 잔류하는 응축수를 배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난방장치의 배수관(10y)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상기 응축수를 배수시키는 홈에 형성되며 상기 배수장치의 전체적인 틀을 이루는 장치몸체(201);
    상기 응축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복수의 배수구멍(203d)이 형성된 통형의 몸체로 형성되어 상기 장치몸체(201) 내부의 홈에 결합 설치되는 내부결합틀(203); 및
    상기 내부결합틀(203) 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판형의 폐쇄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난방장치 내부의 압력이 소정치 이하로 낮아진 경우 자체 개방되도록 상기 내부결합틀(203)의 출구측 일단으로부터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개폐봉(20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몸체(201)는
    상기 내부결합틀(203) 및 개폐봉(205)이 형성된 반대 통로를 소정의 플러그(209)로 폐쇄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결합틀(203)은
    전체적으로 통형의 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 바닥에 상기 개폐봉(205)의 움직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203e)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
  5.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봉(205)는
    전체적으로 버섯과 비슷한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그 상부는 응축수를 원활히 배수시키고, 그 하부는 내부 홈이 파여 상기 내부결합틀(203) 지지돌기(203e)의 삽입이 가능하고, 하부의 고정돌기(203f)에는 스프링(207)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
KR2020010019300U 2001-06-27 2001-06-27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 KR200255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300U KR200255133Y1 (ko) 2001-06-27 2001-06-27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300U KR200255133Y1 (ko) 2001-06-27 2001-06-27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133Y1 true KR200255133Y1 (ko) 2001-12-13

Family

ID=73066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300U KR200255133Y1 (ko) 2001-06-27 2001-06-27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1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0512A (ko) * 2013-05-29 2014-12-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물 가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0512A (ko) * 2013-05-29 2014-12-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물 가열장치
KR101629080B1 (ko) 2013-05-29 2016-06-2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물 가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7239A (en) Earth coil heating and cooling system
KR100834903B1 (ko) 백연감쇄 흡입통풍식냉각탑
US11333395B2 (en) Condensate removal system for cold-climate heat pumps
CN102518184B (zh) 一种洗浴热水综合回收利用装置
CN201827636U (zh) 蒸汽冷凝水自动排放防冻阀
KR200255133Y1 (ko) 동결방지 응축수 배수장치
CN107588577A (zh) 一种具有新型除霜技术的空气源热泵
KR20090035056A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자동유량조절밸브
KR20050074243A (ko) 기밀을 유지하는 배수장치
KR101208426B1 (ko) 동파방지 장치
JP3140834U (ja) ドレンパイプヒーター
KR101595089B1 (ko) 건축물 옥상 단열 및 방수 시스템
KR102334758B1 (ko) 동파방지밸브
CN209371556U (zh) 一种防霜化霜结构及空调
CN112253880A (zh) 一种热力自循环驱动的建筑供水管道防冻***
JP3710892B2 (ja) 給湯装置
CN214333440U (zh) 防冻闭式冷却塔
JP2008133990A (ja) 換気装置
KR200254445Y1 (ko) 스팀트랩 내의 잔류응축수 배출장치
CN213299002U (zh) 机械温控单稳态回水器
CN211288981U (zh) 一种具有防冻功能的阀门
RU2268343C2 (ru) Антиобледе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достоков
CN219607189U (zh) 一种采暖热泵***用的防冻装置
CN219414382U (zh) 一种带双金属片结构的文丘里式疏水阀
KR101192394B1 (ko)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