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020Y1 - 모니터 선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교육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니터 선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교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020Y1
KR200253020Y1 KR2020010023912U KR20010023912U KR200253020Y1 KR 200253020 Y1 KR200253020 Y1 KR 200253020Y1 KR 2020010023912 U KR2020010023912 U KR 2020010023912U KR 20010023912 U KR20010023912 U KR 20010023912U KR 200253020 Y1 KR200253020 Y1 KR 2002530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ignal
lock
monitor
distribu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9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희일
Original Assignee
지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희일 filed Critical 지희일
Priority to KR2020010023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0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0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020Y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모니터 선택 분배기는, 컴퓨터를 통한 교육을 행할 경우에 선생님 컴퓨터로부터의 모니터 화면 출력 신호를 학생 모니터에 뿌려주되, 각 학생에게 속하는 모니터 화면은 선생님의 통제하에 두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관리자측으로부터의 모니터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제1 커넥터(CN1); 관리자측이 아닌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의 모니터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제2 커넥터(CN2); 이후 접속단으로 관리자측으로부터의 모니터 출력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측 커넥터(CN3 또는 CN4); 해당 분배기의 모니터에 모니터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5 커넥터(CN5); 상기 관리자측 모니터 출력신호를 각 모니터로 출력하도록 하는 '락'신호를 생성하는 '락'신호 발생부(600); 상기 '락'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커넥터의 모니터 출력신호를 상기 제5 커넥터로 접속시키도록 하는 신호 절환부(RY1, 200); 및 상기 '락'신호를 탐지하여 상기 신호 절환부를 구동하도록 하는 제어부(300, 400)를 포함하며, 상기 '락'신호는 상기 제1 커넥터의 특정 핀을 통해 입력되어 해당 분배기에서 탐지되며, 또한 상기 '락'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측 커넥터(CN3 또는 CN4)의 특정 핀을 통해 다음 단의 분배기로 전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니터 선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교육 시스템{MONITOR SELECTIVE DISTRIBUTER AND EDUCATION SYSTEM FOR THE SAME}
본 고안은 컴퓨터 모니터의 공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리자가 전체 모니터의 화면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락' 동작 보드를 갖는 모니터 선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 대의 모니터에 적어도 2 이상의 컴퓨터 출력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모니터 화면을 2개나 4개로 분할하여 각 분할된 영역에 각 컴퓨터의 출력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방법과, 아니면 시점을 달리하여 각 컴퓨터로부터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모니터로 출력하여 주는 방법이 있다. 전자는 모니터 공유기에 의한 방법이고, 후자는 모니터 선택 분배기에 의한 방법이다.
본 고안은, 모니터 선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인 바, 본 고안에 따른 분배기에 의하면 선생님과 같은 관리자와 학생과 같은 비관리자가 각각 자신의 모니터를 하나의 컴퓨터 출력에 또는 하나의 컴퓨터 출력 및 각 비관리자 전용의 컴퓨터 출력에 선택적으로 접속가능하도록 배치할 경우, 연결 설치가 용이하며, '락(LOCK)' 동작으로 관리자가 비관리자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으며, 한 종류의 동일한 어댑터로 다수개의 모니터 및 컴퓨터 출력을 각각 연결할 수 있으며, 더욱이 전원 하나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각 분배기에는 별도의 전원을 인가하지 않아도 되는 시스템의 구축을 가능하게 하는 모니터 선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제1 목적은, 컴퓨터를 통한 교육을 행할 경우에 선생님 컴퓨터로부터의 모니터 화면 출력 신호를 학생 모니터에 뿌려주되, 각 학생에게 속하는 모니터 화면은 선생님의 통제하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 선택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교육 중에 선생님이 '락'을 걸어놓으면 선생님의 컴퓨터 본체로부터의 화면만이 학생들의 모니터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이 함부로 자신의 컴퓨터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교육효과를 고양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선생님이 '락' 동작을 해제하면 학생은 자신의 모니터 선택 분배기를 제어하여 선생님 화면과 자신의 화면을 번갈아 보며 출력하여 볼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제2 목적은, 수대의 모니터를 RGB 케이블로 선생님의 컴퓨터에 연결할 경우에 성상방식의 토폴로지를 사용하지 않고, 트리(tree)구조나 링(ring)방식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이 가능하며 연결작업이 용이한 모니터 선택 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3 목적은, 수대의 모니터를 접속할 경우에 선생님측 분배기나 학생측 분배기 모두 한 종류의 동일한 분배기로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모니터 선택 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4 목적은, 각 분배기에 별도의 전원을 제공하지 않아도 분배가 가능하며 여러 대의 모니터를 다단으로 접속하여도 화질의 변화가 거의 없는 모니터 선택 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추가의 목적이나 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기술한 이하의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선택 분배기의 외관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선택 분배기를 이용한 교육 시스템에서 각 분배기의 결선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선택 분배기의 제어부 및 표시부를 제외한 부분의 전체 회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선택 분배기의 제어부 및 표시부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증폭부 200 : 제1 선택부
300 : 릴레이 구동부 400 : '락(LOCK)' 상태 감지부
500 : '락(LOCK)' 신호 증폭부 600 : 내부 제어부
700 : 표시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모니터 선택 분배기는, 관리자측으로부터의 모니터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제1 커넥터(CN1); 관리자측이 아닌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의 모니터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제2 커넥터(CN2); 이후 접속단으로 관리자측으로부터의 모니터 출력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측 커넥터(CN3 또는 CN4); 해당 분배기의 모니터에 모니터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5 커넥터(CN5); 상기 관리자측 모니터 출력신호를 각 모니터로 출력하도록 하는 '락'신호를 생성하는 '락'신호 발생부(600); 상기 '락'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커넥터의 모니터 출력신호를 상기 제5 커넥터로 접속시키도록 하는 신호 절환부(RY1, 200); 및 상기 '락'신호를 탐지하여 상기 신호 절환부를 구동하도록 하는 제어부(300, 400)를 포함하며, 상기 '락'신호는 상기 제1 커넥터의 특정 핀을 통해 입력되어 해당 분배기에서 탐지되며, 또한 상기 '락'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측 커넥터(CN3 또는 CN4)의 특정 핀을 통해 다음 단의 분배기로 전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신호절환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커넥터(CN1)의 RGB 신호 및 상기 제2 커넥터(CN2)의 RGB 신호 중의 어느 한 쌍의 RGB 신호를 상기 제5 커넥터(CN5)로 연결하기 위한 릴레이(RY1)와, 상기 제어부의 '락'상태의 감지에 따라 상기 제1 커넥터(CN1)의 수평/수직 신호 및 상기 제2 커넥터(CN2)의 수평/수직 신호 중의 어느 한 쌍의 수평/수직 신호를 상기 제5 커넥터(CN5)로 연결하기 위한 수평/수직 신호 선택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락'신호의 '하이' 및 '로우'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락'상태 감지부(400)와, 상기 '락'상태에 따라 상기 릴레이(RY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발하는 릴레이 구동부(300)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락'신호를 감쇠없이 다음 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락'신호 증폭부(500)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제1 커넥터(CN1)의 제1 특정 핀이 기준전원 단자에 접속되며, 동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측 커넥터(CN3 또는 CN4)의 제1 특정 핀 역시 상기 기준전원 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모니터 선택 분배기를 이용한 교육 시스템은, 선생님의 컴퓨터 시스템의 컴퓨터 본체에 상기 모니터 선택 분배기를 접속하되, 상기 제2 커넥터는 어디에도 접속되지 아니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측 커넥터(CN3 또는 CN4)는 학생측의 최초 접속단의 분배기의 제1 커넥터(CN1)에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며, 상기 신호 절환부(RY1, 200)는 제1 커넥터(CN1) 만이 상기 제5 커넥터(CN5)에 접속되도록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학생측의 컴퓨터 시스템의 컴퓨터 본체에도 상기 모니터 선택 분배기를 접속하되, 상기 제2 커넥터가 해당 학생측 컴퓨터 시스템의 컴퓨터 본체(22, 22', 32, 32')에 접속되며, 상기 '락'신호가 '락(LOCK)'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커넥터(CN1)가 상기 제5 커넥터(CN5)에 접속되도록 하며, 상기 '락'신호가 '언락(UNLOCK)'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커넥터(CN2)가 상기 제5 커넥터(CN5)에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세팅되어 설치되며, 상기 학생측의 최초 접속단의 분배기의 적어도 하나의 전송측 커넥터(CN3 또는 CN4)는 학생측의 이후 접속단의 분배기의 제1 커넥터(CN1)에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최적 실시예를 상세히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선택 분배기의 외관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선택 분배기를 이용한 교육 시스템에서 각 분배기의 결선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선택 분배기의 제어부 및 표시부를 제외한 부분의 전체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선택 분배기의 제어부 및 표시부의 회로도이다.
먼저, 도 1에서 보듯이,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선택 분배기(10)는, 5개의 커넥터(예를들어 HD15PIN)(CN1-CN5)가 외부로 나와 있고, 하나의 선택 스위치(11)가 외부에서 접속될 수 있다.
각 분배기와 컴퓨터 및 모니터의 결합관계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선생님측 분배기(10)는, 제1 커넥터(CN1)에 케이블을 통해 선생님측 PC 본체(12)가 (구체적으로는 VGA 카드에) 접속되며, 제3 커넥터(CN3) 및 제4 커넥터(CN4)에 각각 케이블을 통해 제1 학생측열의 분배기들(20, 20') 및 제2 학생측열의 분배기들(30, 30')이 접속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생님측 분배기(10)의 제3 커넥터(CN3)에 제1 학생측열의 제1 학생측 분배기(20)의 제1 커넥터(CN1)가 접속되고, 제1 학생측열의 제1 학생측 분배기(20)의 제3 커넥터(CN3)에 제1 학생측열의 제2 학생측 분배기(20')의 제1 커넥터(CN1)가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선생님측 분배기(10)의 제4 커넥터(CN4)에 제2 학생측열의 제1 학생측 분배기(30)의 제1 커넥터(CN1)가 접속되고, 제2 학생측열의 제1 학생측 분배기(30)의 제3 커넥터(CN3)에 제2 학생측열의 제2 학생측 분배기(30')의 제1 커넥터(CN1)가 접속된다. 만약트리 구조가 아닌 데이지 체인식 접속의 경우에는 제2 학생측열을 접속하지 않으면 된다.
한편, 선생님측 분배기(10)의 제5 커넥터(CN5)에는 모니터가 접속되고, 원격제어를 원하는 경우에는 선생님측 선택 스위치(11)가 분배기(10)에 접속된다. 이의 접속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에 상술한다. 선생님측 분배기의 경우에는 최초 접속단이므로, 제2 커넥터(CN2)에는 여타 장치가 접속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선생님측 분배기의 경우, 제1 커넥터(CN1)는 입력모드로, 제3 내지 제5 커넥터(CN3-CN5)는 출력모드로 기능한다.
다음, 제1 학생측열의 제1 학생측 분배기(20)의 접속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 학생측 분배기(20)의 제1 커넥터는 전술하였듯이 선생님측 분배기의 제3 또는 제4 커넥터에 접속되어 선생님측 컴퓨터(12) 및 분배기(10)로부터의 입력을 받아들이게 되고, 제2 커넥터(CN2)는 자신의 컴퓨터 본체(22)에 (구체적으로는 VGA 카드에) 접속되며, 제3 커넥터는 다음 단의 학생측 분배기(20')에 접속되어 역시 선생님측 컴퓨터(12) 및 분배기(10)의 출력신호를 전달하여 주게 된다. 역시 제5 커넥터(CN5)는 자신의 모니터(23)에 접속되며, 역시 원격제어를 원하는 경우에는 학생측 선택 스위치(21)가 분배기(20)에 접속된다. 제4 커넥터(CN4)는 필요에 따라 접속될 수도 접속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연속된 트리 구조가 필요할 경우에는 또다른 학생측열의 분배기가 접속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학생측열의 제2 학생측 분배기(20')의 경우, 제1 커넥터에 제1 학생측 분배기(20)가 접속되며, 제2 커넥터에는 해당 학생측 컴퓨터(2')가, 제3 커넥터에는 다음 단의 학생측 분배기(미 도시됨)가, 그리고 제5 커넥터에는 해당 학생측의 모니터(23')가 접속되며, 역시 필요에 따라 선택 스위치(21')가 접속될 수 있다.
다른 학생측열 분배기(30, 30') 역시, 상기 학생측열 분배기(20, 20')의 접속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분배기의 내부 회로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3에는 커넥터의 위치가 좌측의 위에서부터 제1 및 제2 커넥터(CN1, CN2), 그리고 우측 위에서부터 제3 내지 제5 커넥터(CN3-CN5) 순으로 도시되어 있다.
각 커넥터의 경우, HD15PIN 커넥터를 예로 들었으며, 이때 1번 내지 3번 핀은 RGB 신호선이 접속되며, 13번 및 14번 핀은 수평 및 수직 신호선 용으로 사용된다. 5번 내지 8번 그리고 10번 핀은 접지된다. 4번 핀과 12번 핀은 본 고안에서 특별한 용도로 사용된다. 즉, 4번 핀은 '락'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통로로 사용하고, 12번 핀은 Vcc 전원을 전송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먼저, 선생님측 분배기(10)의 경우를 설명하면, 처음 설치시에 스위치 SW1 (도4 참조) 및 SW2 가 점선에 도시된 방향으로 고정되며, 릴레이(RY1) 역시 점선으로 표시된 상태로 제1 커넥터(CN1)가 제5 커넥터(CN5)에 접속되는 상태로 세팅된다.
따라서, 제1 커넥터(CN1)의 경우. 4번 및 12번 핀의 경우에도 접지 및 플로팅 상태로 있게 되어 별다른 기능을 하지 않는다.
제1 커넥터(CN1)의 1번 내지 3번 핀의 RGB 신호선은 증폭부(100)를 거쳐제3 및 제4 커넥터(CN3, CN4)의 1번 내지 3번 핀으로 접속되며, 동시에 릴레이(RY1)의 일측에 접속됨으로써 제5 커넥터(CN5)의 1번 내지 3번 핀으로 접속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커넥터(CN1)의 1번 내지 3번 핀의 RGB 신호선이 각각 증폭기 Q3 내지 Q5의 비반전 입력측에 접속되며, 상기 증폭기들의 출력은 다시 접속 저항 R10 내지 R12를 통해 제3 커넥터(CN3)의 1번 내지 3번 핀으로, 그리고 접속 저항 R13 내지 R15를 통해 제4 커넥터(CN4)의 1번 내지 3번 핀으로, 그리고 접속 저항 R16 내지 R18을 통해 릴레이(RY1)의 입력핀 중의 일측에 접속된다. 나머지 저항 R1 내지 R9는 증폭기에 대한 기본 저항 소자들이다. 릴레이(RY1)의 출력단은 제5 커넥터(CN5)의 1번 내지 3번 핀에 접속되는 바, 상기 릴레이의 다른 입력은 제2 커넥터(CN2)의 1번 내지 3번 핀으로부터 온다.
제1 커넥터(CN1)의 13번 및 14번의 수평 및 수직 신호선도 제3 및 제4 커넥터(CN3, CN4)의 13번 및 14번 핀으로 접속되며, 동시에 수평/수직 신호 선택부(200)를 거쳐 제5 커넥터(CN5)의 13번 및 14번 핀으로 접속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커넥터(CN1)의 13번 및 14번의 수평 및 수직 신호선이 버퍼 Q12 및 Q13을 통해 제3 커넥터(CN3)의 13번 및 14번 핀으로, 그리고 버퍼 Q15 및 Q16을 통해 제4 커넥터(CN4)의 13번 및 14번 핀으로, 그리고 수평/수직 신호 선택부(100)의 버퍼 Q6 및 Q7을 통해 제5 커넥터(CN5)의 13번 및 14번 핀으로 접속된다. 상기 제5 커넥터(CN5)의 13번 및 14번 핀의 다른 입력은 역시 제2 커넥터의 13번 및 14번 핀으로부터 온다. 즉, 제2 커넥터의 13번 및 14번 핀의 수평 및 수직 신호선이 수평/수직 신호 선택부(100)의 버퍼 Q8 및 Q9를 통해 제5 커넥터(CN5)의 13번 및 14번핀으로 접속된다.
릴레이 구동부(300)는 컬렉터 측이 Vcc에 이미터 측이 릴레이(RY1)의 제어점(d)에 접속되며, 베이스 측은 저항(R20)을 통해 '락'상태 감지부(400)(c)에 접속되어 구성된다. 다시 '락'신호 감지부(400)는, 부제어 단자가 스위치 SW2A 및 SW2C (a)에 접속되며 입력측은 스위치 SW2B (e)에 그리고 출력측(b)은 인버터(Q10)를 통해 릴레이 구동부(c)에 접속된다. 이때 상기 버퍼 Q11의 출력신호 (인버터 Q10의 입력 신호) (b)는 수평/수직 신호 선택부(200)의 버퍼 Q6 및 Q7의 제어점에 접속되며, 인버터 Q10의 출력 신호 (c)는 수평/수직 신호 선택부(200)의 버퍼 Q8 및 Q9의 제어점에 접속된다. 일측이 Vcc와 접속된 저항 R19가 상기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의 이미터에 접속되며, 일측이 접지된 저항 R21 내지 R23이 각각, 상기 버퍼(Q11)의 제어점, 출력단 및 입력단에 접속된다.
상기 릴레이(RY1)의 구동신호(d)는 릴레이 구동부(300)에 의해 인가되는 바, 상기 릴레이 구동부(300) 및 상기 선택부(200)의 제어신호(c)의 생성에 대해 이하 상술한다.
먼저, '락'상태 감지부(400)는 버퍼(Q11)를 포함하는 바, 선생님측 분배기의 경우, 제2 스위치(SW2A-SW2D)가 모두 차단 상태(점선)이므로, 버퍼 Q11을 동작시키는 '락'신호(a)가 로우 상태이며 버퍼(Q11)가 연결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나 여전히 버퍼의 입력 및 출력신호(b)는 '로우' 상태로 변함이 없으며, 다시 인버터를 통한 제어신호(c)는 '하이' 상태이다. 따라서, 저항(R20)을 통해 릴레이 구동부(300)의 제1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에는 하이 전압이 인가되고 결국 릴레이 구동신호(c)는 계속해서 Vcc가 인가되며, 릴레이(RY1)는 처음에 고정된 상태 그대로 여전히 제1 커넥터(CN1)의 RGB 신호를 모니터 연결용 제5 커넥터(CN5)로 전송하고, 제1 선택부(200) 역시 계속하여 버퍼 Q6 및 Q7이 동작하도록 하여 제1 커넥터(CN1)의 수평/수직 신호가 모니터 연결용 제5 커넥터(CN5)로 전송되도록 한다. 따라서 선생님의 모니터(13)에는 선생님측 컴퓨터(12)의 출력만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한편, 도 4의 '락'신호 발생부(600)는, 일측이 Vcc에 접속된 제1 스위치(SW1)가 래치로서 동작하는 인버터 Q16 및 Q17을 통해 D플립플롭(D F/F)의 클럭 단자에 입력된다. D 플립플롭의 제1 출력단(Q)은 단자(NET)를 통해 스위치 SW2B (도1 참조)에 접속되며, 제1 출력()은 입력단(D)에 접속되어, 선생님이 제1 스위치를 누를 때마다 제어신호를 로우에서 하이로 또는 하이에서 로우로 절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위치와는 병렬로 선택 스위치(11)용 커넥터(JC1)에 접속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스위치 대신 원격 선택 스위치를 누르더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일측이 접지된 저항 R26 및 콘덴서 C1의 병렬회로가 상기 스위치(SW1) 출력단에 접속된다.
한편, '락'신호 증폭부(500)에 대해 설명하면, '락'신호 생성부(600)의 출력 접속단(NET)(e)은 스위치 SW2B를 통해 '락'신호 증폭부(500)의 제2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상기 제2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는 Vcc에 그리고 이미터는 저항 R24를 통해 제3 커넥터(CN3) 및 제4 커넥터(CN4)의 4번 핀(f)에 접속된다.
따라서, 선생님이 제1 스위치(SW1)이나 선택 스위치(11)를 통해 '락'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바, 이 경우 상기 '락'신호 생성부(600)의 출력 신호(e)가 '하이'이면, 상기 '락'신호 증폭부(500)의 제1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는 도통되어 Vcc 신호를 제3 및 제4 커넥터(CN3, CN4)의 4번 핀에 인가하게 되며, 반대로 상기 출력신호(e)가 '로우'이면 제3 및 제4 커넥터(CN3, CN4)의 4번 핀에 인가되는 신호값 역시 로우 상태로 되는 바,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락'이 풀리는 상태이다.
마지막으로,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표시부에 대해 설명하면, 릴레이 구동부(300)의 입력단 (즉 '락'상태 감지부(400)의 출력단) (c) 은 접속단자 LED1을 통해 도 4의 제1 발광다이오드(D1)에 접속되어, 현재 릴레이 구동부가 동작하는 가의 여부를 껌벅거림으로 표시하게 된다.
다른 한편, 상기 '락'상태 감지부(400)의 입력단(a)은 접속 커넥터 LED2를 통해 그리고 상기 선택스위치용 접속단자는 직접 제2 발광다이오드(D2)에 접속되는 바, 따라서 이는 '락'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D1, D2)의 출력단은 저항 R25를 통해 접지된다.
도 3의 제3 커넥터(CN3)의 12번 핀은 스위치 JP1을 통해 Vcc와 접속되어 있으며, 이는 다음 단의 학생측 분배기의 제1 커넥터(CN1)의 12번 핀에 Vcc 전압을 전달하며, 스위치 SW2D를 통해 분배기 전체에 Vcc 전원을 인가하게 되므로, 원칙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선택 분배기는 무전원으로 동작할 수 있으나, 만약 분배기 자체가 별도의 어댑터(미 도시됨)를 통해 Vcc 전원을 인가받을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JP1)는 개방되어도 무방하다.
이제, 학생측 분배기에 대해 다시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학생측 분배기 역시 선생님측 분배기와 동일하나, 다만 처음 설치시에 제2 스위치(SW2A∼SW2D)가 반대로 세팅하게 되어, 도 3의 제2 스위치는 모두 실선 방향으로 접속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의 12번 핀 (이는 선생님측 분배기(10) 또는 전단의 학생측 분배기의 제3 또는 제4 커넥터(CN3, CN4)의 12번 핀에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어 있음) 을 통해 인가받은 Vcc 전원이 스위치 SW2D를 통해 학생측 분배기(20)의 Vcc를 공급하게 되므로, 학생측 분배기는 무전원으로 동작하게 된다.
또한, 유사하게 제1 커넥터의 4번 핀 (이는 선생님측 분배기(10) 또는 전단의 학생측 분배기의 제3 또는 제4 커넥터(CN3, CN4)의 4번 핀에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어 있음) 에 인가된 '하이' 또는 '로우'의 '락(LOCK)' 신호가 스위치 SW2A를 통해 '락'상태 감지부(400)의 인버터(Q11)의 제어점(a)에 인가된다. 동시에 스위치 SW2C를 통해 상기 '락'신호는 '락'신호 증폭부(500)에 인가된다.
먼저, 상기 '락'신호가 '하이'인 상태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환원하면 '락'이 걸려있는 상태를 말하며, 이 경우에는 버퍼 Q11이 차단 상태로 있게 되므로 학생측 자신이 도 4의 제1 스위치(SW1)나 선택스위치(JC1)를 통해 제어신호를 발하더라도 이는 버퍼 Q11에서 차단되어 릴레이(RY1)나 수평/수직 신호 선택부(200)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즉, 현재 상태 (신호 b는 로우, 신호 c는 하이, 릴레이(RY1) 접속은 점선 상태) 가 계속되며, 모니터에는 선생님 컴퓨터(12)로부터의 모니터 신호가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된다. 동시에 상기 '락'신호(a)로서의 '하이' 신호는 스위치 SW2C를 통해 '락'신호 증폭부의 제2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 인가되며,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3 커넥터(CN3) (또는 제4 커넥터(CN4))의 4번 핀을 통해 다음 단의 분배기에 Vcc 전압의 '락'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반대로, 학생측 분배기에 인가되는 '락'신호가 '로우' 상태인 경우는, '락'이 풀린 상태를 의미하게 되며, 이 경우에는 버퍼(Q11)의 구동신호가 역시 '로우'이므로 상기 버퍼(Q11)가 동작하게 되는 바, 역시 버퍼의 입력신호단의 스위치 SW2B가 '온' 상태로서 연결단자 'NET'를 통하여 모니터 선택신호 발생부(도 4의 '락'신호 발생부(600)와 동일함)의 신호(e)를 받아들이게 된다. 즉, 해당 학생은 자신의 분배기 내의 제1 스위치(SW1)나 원격 스위치(JC1)를 통하여 상기 버퍼(Q11)의 입력신호를 '하이'에서 '로우'로 또는 그 역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어신호(e)가 로우에서 하이로 절환되는 경우에는 버퍼(Q11)의 출력도 로우에서 하이로 절환되므로, 인버터(Q10)의 출력인 릴레이 구동부(300)의 입력신호(c)가 로우로 절환되어 릴레이(RY1)로의 구동신호(d)가 절환되고 이에 응하여 릴레이는 접점을, 선생님의 모니터 출력신호에 해당하는 제1 커넥터(CN1)의 RGB 신호의 증폭부(100) 입력측으로부터 해당 학생측 컴퓨터로부터의 모니터 출력신호를 받아들이는 제2 커넥터(CN2)의 RGB 신호의 입력측으로 절환하게 된다. 아울러, 수평/수직신호 선택부(200) 역시 버퍼 Q6 및 Q7 대신 Q8 및 Q9가 동작하게 되어 제2 커넥터(CN2)의 14번 및 15번 핀이 모니터 접속용 제5 커넥터(CN5)의 14번 및 15번 핀에 접속되게 된다.
동시에 '락'신호 증폭부(500)의 제2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는 로우신호(a)가 인가되므로, 상기스위치(Q2)는 오프상태로 되고 제3 및 제4 커넥터에는 '로우'신호가 인가되어 다음 단의 학생측 분배기에는 계속해서 '로우'상태의 '락'신호가 인가된다. 즉, '락'이 걸리지 않게 되며, 따라서 학생들은 스스로 모니터 출력신호 선택부(도 4의 (600) 참조)선택에 의해 선생님의 모니터 출력신호를 자신의 모니터에 출력할 수도 있고 자신의 컴퓨터의 모니터 출력신호를 자신의 모니터로 출력하여 볼 수도 있게 된다.
선생님측 분배기의 각 주요 소자의 상태를 정리하여 보면 표1과 같고, 학생측 분배기의 각 주요 소자의 상태를 정리하여 보면 표2와 같다.
신호a Q11 신호b(c) Q1 H/V선택부 신호d 릴레이 CN5접속 신호e CN3의4번핀
L 동작 L(H) 오프 Q6, Q7 L 점선 CN1 H H
L 동작 L(H) 오프 Q6, Q7 L 점선 CN1 L L
신호a Q11 신호b(c) Q1 H/V선택부 신호d 릴레이 CN5접속 신호e CN3의4번핀
H 부동작 L(H) 오프 Q6, Q7 L 점선 CN1 - H
L 동작 L(H) 오프 Q6, Q7 L 점선 CN1 L L
L 동작 H(L) Q8, Q9 H 절환 절환 H L
이상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해 낼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한계는 다음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선택 분배기에 따르면, 컴퓨터를 통한 교육을 행할 경우에 각 학생에게 속하는 모니터 화면은 선생님의 통제하에 둘 수 있어 학생들이 함부로 자신의 컴퓨터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교육효과를 고양할 수 있게 되며, 수대의 모니터를 연결할 경우에 트리(tree)구조나 링(ring)방식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이 가능하며 연결작업이 용이하고, 수대의 모니터를 접속할 경우에 선생님측 분배기나 학생측 분배기 모두 한 종류의 동일한 분배기로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각 분배기에 별도의 전원을 제공하지 않아도 5대 내지 10대 가량의 분배기의 동작이 가능하며 여러 대의 모니터를 다단으로 접속하여도 화질의 변화가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모니터 선택 분배기에 있어서,
    관리자측으로부터의 모니터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제1 커넥터(CN1);
    관리자측이 아닌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의 모니터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제2 커넥터(CN2);
    이후 접속단으로 관리자측으로부터의 모니터 출력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측 커넥터(CN3 또는 CN4);
    해당 분배기의 모니터에 모니터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5 커넥터(CN5);
    상기 관리자측 모니터 출력신호를 각 모니터로 출력하도록 하는 '락'신호를 생성하는 '락'신호 발생부(600);
    상기 '락'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커넥터의 모니터 출력신호를 상기 제5 커넥터로 접속시키도록 하는 신호 절환부(RY1, 200); 및
    상기 '락'신호를 탐지하여 상기 신호 절환부를 구동하도록 하는 제어부(300, 400)를 포함하며,
    상기 '락'신호는 상기 제1 커넥터의 특정 핀을 통해 입력되어 해당 분배기에서 탐지되며, 또한 상기 '락'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측 커넥터(CN3 또는 CN4)의 특정 핀을 통해 다음 단의 분배기로 전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선택 분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절환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커넥터(CN1)의 RGB 신호 및 상기 제2 커넥터(CN2)의 RGB 신호 중의 어느 한 쌍의 RGB 신호를 상기 제5 커넥터(CN5)로 연결하기 위한 릴레이(RY1)와, 상기 제어부의 '락'상태의 감지에 따라 상기 제1 커넥터(CN1)의 수평/수직 신호 및 상기 제2 커넥터(CN2)의 수평/수직 신호 중의 어느 한 쌍의 수평/수직 신호를 상기 제5 커넥터(CN5)로 연결하기 위한 수평/수직 신호 선택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선택 분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락'신호의 '하이' 및 '로우'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락'상태 감지부(400)와, 상기 '락'상태에 따라 상기 릴레이(RY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발하는 릴레이 구동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선택 분배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신호를 감쇠없이 다음 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락'신호 증폭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선택 분배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CN1)의 제1 특정 핀이 기준전원 단자에 접속되며, 동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측 커넥터(CN3 또는 CN4)의 제1 특정 핀 역시 상기 기준전원 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선택 분배기.
  6. 선생님의 컴퓨터 시스템의 컴퓨터 본체에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의 모니터 선택 분배기를 접속하되, 상기 제2 커넥터는 어디에도 접속되지 아니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측 커넥터(CN3 또는 CN4)는 학생측의 최초 접속단의 분배기의 제1 커넥터(CN1)에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며, 상기 신호 절환부(RY1, 200)는 제1 커넥터(CN1) 만이 상기 제5 커넥터(CN5)에 접속되도록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학생측의 컴퓨터 시스템의 컴퓨터 본체에도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어느 한 항에 있어서의 모니터 선택 분배기를 접속하되, 상기 제2 커넥터가 해당 학생측 컴퓨터 시스템의 컴퓨터 본체(22, 22', 32, 32')에 접속되며, 상기 '락'신호가 '락(LOCK)'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커넥터(CN1)가 상기 제5 커넥터(CN5)에 접속되도록 하며, 상기 '락'신호가 '언락(UNLOCK)'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커넥터(CN2)가 상기 제5 커넥터(CN5)에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세팅되어 설치되며, 상기 학생측의 최초 접속단의 분배기의 적어도 하나의 전송측 커넥터(CN3 또는 CN4)는 학생측의 이후 접속단의 분배기의 제1 커넥터(CN1)에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모니터 선택 분배기를 이용한 교육 시스템.
KR2020010023912U 2001-08-07 2001-08-07 모니터 선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교육 시스템 KR2002530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912U KR200253020Y1 (ko) 2001-08-07 2001-08-07 모니터 선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교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912U KR200253020Y1 (ko) 2001-08-07 2001-08-07 모니터 선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교육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408A Division KR20030013091A (ko) 2001-08-07 2001-08-07 모니터 선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교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020Y1 true KR200253020Y1 (ko) 2001-11-23

Family

ID=73068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912U KR200253020Y1 (ko) 2001-08-07 2001-08-07 모니터 선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교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0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043178A (ja) 切換装置
US6137794A (en) Audio-visual projector control apparatus allowing selection among multiple input devices
US8611234B1 (en) Network interface with cable tracing
KR200253020Y1 (ko) 모니터 선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교육 시스템
US20050275405A1 (en) Switching matrix apparatus for semiconductor characteristic measurement apparatus
KR970007221B1 (ko) 카 오디오 시스템 연결장치
KR20030013091A (ko) 모니터 선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교육 시스템
JPH07136977A (ja) ロボット制御装置及びそのティーチングボックス
JP4164544B2 (ja) 身体に装着するとともに複数の電気素子からなる多機能アセンブリを具備したカメラ支持装置
GB2149617A (en) Computer inter-communication apparatus
EP0075564A1 (en) Electronic game furniture
KR200335180Y1 (ko) 다중 디스플레이를 위한 ir 링크 회로 및 이를 구비한디스플레이 장치
KR100481500B1 (ko) 영상신호 수신장치의 마이콤 인터페이스
JP3156509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100296769B1 (ko) 트윈 모니터 기능을 갖는 교육용 영상.음성전송 시스템
JPH01293404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及びその入,出力インターフェース
JPH0695599A (ja) 変換器、表示装置および監視制御装置
JP4991044B2 (ja) ビデオ装置のためのモジュール制御パネル
JPH0352115B2 (ko)
JP2000356975A5 (ko)
JP2001051638A (ja) Led点灯制御回路
KR100758776B1 (ko) 컴퓨터 실습 교육용 영상 시스템장치
KR100481501B1 (ko) 영상신호 수신장치의 마이콤 인터페이스
JP2603967Y2 (ja) 外部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H04123693A (ja) 遠隔制御用端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