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000Y1 -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000Y1
KR200253000Y1 KR2020010023380U KR20010023380U KR200253000Y1 KR 200253000 Y1 KR200253000 Y1 KR 200253000Y1 KR 2020010023380 U KR2020010023380 U KR 2020010023380U KR 20010023380 U KR20010023380 U KR 20010023380U KR 200253000 Y1 KR200253000 Y1 KR 2002530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pipe
heating element
fittings
plana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3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종
Original Assignee
박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종 filed Critical 박기종
Priority to KR20200100233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0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0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000Y1/ko

Links

Landscapes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45°엘보, 90°엘보, 티보, 와이티보, 이경티, 레듀샤 및 캡의 접합면에만 면상발열체를 일체로 형성하여 합성수지관을 간단하게 연결하도록 한 합성수지관용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이음관의 양측 결합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의 접합면과 접하는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며 탄소재질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체와; 상기 면상발열체에 연결되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설치되는 단자선들로 구성함으로써 현장에서 합성수지관 연결시 합성수지관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연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관 연결에 따른 작업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용 이음관{seamed pipe for synthetic resin pipe}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용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음관의 양측 결합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홈의 접합면에 탄소재질의 발열수단을 일체로 형성하면서 전원을 공급시키기 위한 단자선을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하여 현장에서 단시간 내에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 합성수지관용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 등에 많이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은 제작과 운반에 따른 제약으로 인해 단위 길이로 생산할 수밖에 없고, 실제로 지하에 매몰되는 하수관은 그 길이가 매우 긴 경우도 있으므로 다수의 합성수지관을 현장에서 연결하면서 설치하여야 하였음은 이미 주지된 사실이다.
그리고 종래에는 현장에서 합성수지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코자 하는 양 합성수지관의 내경과 외경에서 지지하는 내부 지지링(2)과 외부 지지링(3)의 사이에 얇은 열선판(4)을 배치한 융착링(1)에 연결하고자 하는 두 합성수지관을 삽입한 후 단자선(5)을 통하여 전기를 공급하면서 연결하도록 하였다.
즉, 종래의 합성수지관 연결 시공은 융착링(1)을 연결코자 하는 양 합성수지관의 중간에 위치시키고, 유압 연결장치나 수동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을 밀착시킨 후, 열선판(4)의 단자선(5)에 전기를 가하면 열선판(4)이 발열되면서 양측 합성수지관의 단부를 용융시키게 되고, 상기 합성수지관의 용융물은 열선판(4)의 공극을 스며들어가 서로 혼합된 후, 전기를 차단시키면 용융된 용융물이 시간이지남에 따라 서서히 경화되면서 양 합성수지관은 하나의 몸체로 견고히 연결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융착링을 이용한 종래의 합성수지관 연결시공은 융착링(1)을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때 현장에서 융착링(1)의 양단에 합성수지관을 끼워서 연결시공을 하기 때문에 융착링(1)의 구조상 작업시간이 오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연결시공이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이음관의 양측 결합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홈의 접합면에 탄소재질의 발열수단을 일체로 형성하면서 전원을 공급시키기 위한 단자선을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하여 간단한 작업에 의하여 정확한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합성수지관용 이음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이음관은 통상의 합성수지관 연결에 있어서,
이음관의 양측 결합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의 접합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탄소재질로 이루어진 발열수단과;
상기 발열수단에 연결되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설치되는 단자선들로 구성함으로써 현장에서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때 2개 이상의 합성수지관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연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관 연결에 따른 작업시간이 매우 단축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합성수지관 연결용 융착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음관에 'I'형 면상발열체를 일체로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음관에 'I'형 면상발열체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 내지 도 2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음관에 'T'형 면상발열체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8 내지 도 3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음관에 면상발열체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 : 합성수지관 10b : 합성수지관
11 : 이음관 12 : 결합홈
13 : 접합면 14 : 내부지지면
15 : 외부지지면 16 : 면상발열체
17 : 단자선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이음관에 면상발열체를 일체로 구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45°엘보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이음관은 통상의 합성수지관(10a)(10b)을 연결함에 있어서,
45°엘보 이음관(11)의 양측 결합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홈(12)과;
상기 결합홈(12)과 접하는 위치에 접합면(13)과 내부지지면(14) 및 외부지지면(15)이 일체로 형성되며 탄소재질로 이루어지는 'I'형 면상발열체(16)와;
상기 'I'형 면상발열체(16)에 연결되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설치되는 단자선(17)들로 구성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이음관은 먼저 합성수지관(10a)(10b)의 일측에 연결될 합성수지관(10a)(10b)의 직경에 해당되는 곳에 결합홈(12)이 형성되고, 연결될 합성수지관(10a)(10b)이 밀착되어 맞닿는 3부위인 접합면(13)과 내부지지면(14) 및 외부지지면(15)이 일체로 형성되며 탄소재질로 이루어지는 'I'형 면상발열체(16)에 단자선(17)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이음관의 연결시공은 연결할 합성수지관(10a)(10b)의 단부를 45°엘보 이음관(11)의 결합홈(12)에 위치시키고, 각종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양 합성수지관(10a)(10b)을'I'형 면상발열체(16)의 접합면(13)과 내부지지면(14) 및 외부지지면(15)에 밀착시킨 후, 상기 결합홈(12)에 설치된 탄소재질의 'I'형 면상발열체(16)의 단자선(17)에 전기를 가하면 'I'형 면상발열체(16)는 발열하면서 양측 합성수지관(10a)(10b)의 단부를 용융시키게 되고, 융용된 합성수지관(10a)(10b)의 용융물은 'I'형 면상발열체(16)의 공극을 통해 서로 혼합된다.
그리고, 전기를 차단시키면 용융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경화되면서 양 합성수지관(10a)(10b)은 하나의 몸체로 견고하게 연결되고, 현장에서 합성수지관(10a)(10b)을 바로 끼워 발열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두 합성수지관(10a)(10b)을 사이의 각이 45°가 되도록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그 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90°엘보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90°엘보 이음관(21)의 양측 결합단부에는 결합홈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과 접하는 위치에 3부위인 접합면(22)과 내부지지면(23) 및 외부지지면(24)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I'형 면상발열체(25)를 형성하고,
상기 'I'형 면상발열체(25)에 단자선(26)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두 합성수지관(10a)(10b)을 사이의 각이 90°가 되도록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그 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티보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티보 이음관(31)의 3곳 결합단부에는 결합홈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과 접하는 위치에 3부위인 접합면(32)과 내부지지면(33) 및 외부지지면(34)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I'형 면상발열체(35)를 형성하고,
상기 'I'형 면상발열체(35)에 단자선(36)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세 합성수지관(10a)(10b)(10c)을 사이의 각이 90°가 되도록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그 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와이 티보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와이티보 이음관(41)의 3곳 결합단부에는 결합홈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과 접하는 위치에 3부위인 접합면(42)과 내부지지면(43) 및 외부지지면(44)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I'형 면상발열체(45)를 형성하고,
상기 'I'형 면상발열체(45)에 단자선(46)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세 합성수지관(10a)(10b)(10c)을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그 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이경티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경티 이음관(51)의 3곳 결합단부에 결합홈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과 접하는 위치에 3부위인 접합면(52)과 내부지지면(53) 및 외부지지면(54)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I''형 면상발열체(55)를 형성하고,
상기 'I''형 면상발열체(55)에 단자선(56)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두 합성수지관(10a)(10b)에 굵기가 다른 하나의 합성수지관(10d)을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그 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레듀샤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레듀샤 이음관(61)의 두 결합단부에 결합홈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과 접하는 위치에 3부위인 접합면(62)과 내부지지면(63) 및 외부지지면(64)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I''형 면상발열체(65)를 형성하고,
상기 'I''형 면상발열체(65)에 단자선(66)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굵기가 서로 다른 두 합성수지관(10a)(10d)을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그 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캡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캡 이음관(71)의 양측 결합단부에 결합홈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과 접하는 위치에 3부위인 접합면(72)과 내부지지면(73) 및 외부지지면(74)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I''형 면상발열체(75)를 형성하고,
상기 'I''형 면상발열체(75)에 단자선(76)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두 합성수지관(10a)(10b)을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그 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캡 이음관(71)의 일측의 결합홈에는 'I''형 면상발열체(75)를 일체로 형성하면서 타측에는 일반적인 형상으로 현장에서 갭 이음관(71)이 형성된 다른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작업을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0 내지 도 1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이음관에 'I'형 면상발열체를 부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45°엘보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45°엘보 이음관(81)의 양측 결합단부에는 결합부위가 3부위인 접합면(82)과내부지지면(83) 및 외부지지면(84)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I''형 면상발열체(85)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도록 부착하고,
상기 'I''형 면상발열체(85)에 단자선(86)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구성하고 작업현장에서 두 합성수지관(10a)(10b)을 상기 'I'형 면상발열체(85)의 타측에 각각 끼운 후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이의 각이 45°가 되도록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그 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도 11은 90°엘보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90°엘보 이음관(91)의 양측 결합단부에는 결합부위가 3부위인 접합면(92)과 내부지지면(93) 및 외부지지면(94)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I''형 면상발열체(95)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도록 부착하고,
상기 'I''형 면상발열체(95)에 단자선(96)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구성하고 작업현장에서 두 합성수지관(10a)(10b)을 상기 'I'형 면상발열체(95)의 타측에 각각 끼운 후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이의 각이 90°가 되도록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그 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도 12는 티보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티보 이음관(101)의 양측 결합단부에는 결합부위가 3부위인 접합면(102)과 내부지지면(103) 및 외부지지면(104)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I''형 면상발열체(105)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도록 부착하고,
상기 'I''형 면상발열체(105)에 단자선(106)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하고 작업현장에서 세 합성수지관(10a)(10b)(10c)을 상기 'I'형 면상발열체(105)의 타측에 각각 끼운 후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세 합성수지관(10a)(10b)(10c)을 사이의 각이 90°가 되도록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짧은 시간에 마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3은 와이 티보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와이 티보 이음관(111)의 양측 결합단부에는 결합부위가 3부위인 접합면(112)과 내부지지면(113) 및 외부지지면(114)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I''형 면상발열체(115)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도록 부착하고,
상기 'I''형 면상발열체(115)에 단자선(116)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하고 작업현장에서 세 합성수지관(10a)(10b)(10c)을 상기 'I'형 면상발열체(115)의 타측에 끼운 후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세 합성수지관(10a)(10b)(10c)을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짧은 시간에 마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4는 이경티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경티 이음관(121)의 세 결합단부에는 결합부위가 3부위인 접합면(122)과 내부지지면(123) 및 외부지지면(124)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I''형 면상발열체(125)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도록 부착하고,
상기 'I''형 면상발열체(125)에 단자선(126)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하고 작업현장에서 두 합성수지관(10a)(10b)에 굵기가 다른 하나의 합성수지관(10d)을 상기 'I'형 면상발열체(125)의 타측에 각각 끼운 후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세 합성수지관(10a)(10b)(10d)을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짧은 시간에 마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5는 레듀샤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레듀샤 이음관(131)의 양측 결합단부에는 결합부위가 3부위인 접합면(132)과 내부지지면(133) 및 외부지지면(134)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I''형 면상발열체(135)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도록 부착하고,
상기 'I''형 면상발열체(135)에 단자선(136)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하고 작업현장에서 굵기가 다른 두 합성수지관(10a)(10d)을 상기 'I'형 면상발열체(135)의 타측에 각각 끼운 후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합성수지관(10a)(10d)을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짧은 시간에 마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6은 캡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캡 이음관(141)의 두 결합단부에는 결합부위가 3부위인 접합면(142)과 내부지지면(143) 및 외부지지면(144)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I''형 면상발열체(145)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도록 부착하고,
상기 'I''형 면상발열체(145)에 단자선(146)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하고 작업현장에서 두 합성수지관(10a)(10b)을 상기 'I'형 면상발열체(125)의 타측에 각각 끼운 후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두 합성수지관(10a)(10b)을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짧은 시간에 마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도 1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캡 이음관(141)의 일측의 결합홈에는 'I''형 면상발열체(145)를 부착하면서 타측에는 일반적인 형상으로 현장에서 갭 이음관(141)이 형성된 다른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작업을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캡 이음관(141)의 일측의 결합홈에는 양측이 개구된 'I'형 면상발열체(145)를 부착하면서 타측에는 타측이 막힌 캡 면상발열체(147)를 부착하여 상기 면상발열체(145)의 일측에 결합되는 합성수지관(10a)의 끝단이 캡 면상발열체(147)의 막힌 부분에 의해 마무리되도록 하는 작업을 간단하고 그 작업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도 19 내지 도 2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이음관에 'T'형 면상발열체를 부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45°엘보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45°엘보 이음관(151)의 양측 결합단부에는 결합부위가 2부위인 접합면(152)과 외부지지면(153)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T''형 면상발열체(154)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도록 부착하고,
상기 'T''형 면상발열체(154)에 단자선(155)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구성하고 작업현장에서 두 합성수지관(10a)(10b)을 상기 'T'형 면상발열체(154)의 타측에 2면이 각각 접하도록 한 후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이의 각이 45°가 되도록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그 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도 20은 90°엘보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90°엘보 이음관(161)의 양측 결합단부에는 결합부위가 2부위인 접합면(162)과 외부지지면(163)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T''형 면상발열체(164)의 일측이 각각결합되도록 부착하고,
상기 'T''형 면상발열체(164)에 단자선(165)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구성하고 작업현장에서 두 합성수지관(10a)(10b)을 상기 'T'형 면상발열체(164)의 타측에 각각 접하도록 한 후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이의 각이 90°가 되도록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그 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도 21은 티보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티보 이음관(171)의 양측 결합단부에는 결합부위가 2부위인 접합면(172)과 외부지지면(173)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T''형 면상발열체(174)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도록 부착하고,
상기 'T''형 면상발열체(174)에 단자선(175)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하고 작업현장에서 세 합성수지관(10a)(10b)(10c)을 상기 'T'형 면상발열체(174)의 타측에 각각 접하도록 한 후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세 합성수지관(10a)(10b)(10c)을 사이의 각이 90°가 되도록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짧은 시간에 마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2는 와이 티보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와이 티보 이음관(181)의 양측 결합단부에는 결합부위가 2부위인 접합면(182)과 외부지지면(183)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T''형 면상발열체(184)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도록 부착하고,
상기 'T''형 면상발열체(184)에 단자선(185)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하여 작업현장에서 세 합성수지관(10a)(10b)(10c)을 상기 'T'형 면상발열체(184)의 타측에 2면이 접하도록 한 후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세 합성수지관(10a)(10b)(10c)을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짧은 시간에 마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3은 이경티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경티 이음관(191)의 세 결합단부에는 결합부위가 2부위인 접합면(192)과 외부지지면(193)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T''형 면상발열체(194)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도록 부착하고,
상기 'T''형 면상발열체(194)에 단자선(195)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하고 작업현장에서 두 합성수지관(10a)(10b)에 굵기가 다른 하나의 합성수지관(10d)을 상기 'T'형 면상발열체(194)의 타측에 2면이 각각 접하도록 한 후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세 합성수지관(10a)(10b)(10d)을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짧은 시간에 마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4는 레듀샤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레듀샤 이음관(201)의 양측 결합단부에는 결합부위가 2부위인 접합면(202)과 외부지지면(203)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T''형 면상발열체(204)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도록 부착하고,
상기 'T''형 면상발열체(204)에 단자선(205)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하고 작업현장에서 굵기가 다른 두 합성수지관(10a)(10d)을 상기 'T'형 면상발열체(204)의 타측에 각각 접하도록 한 후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합성수지관(10a)(10d)을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짧은 시간에 마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5는 캡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캡 이음관(211)의 두 결합단부에는 결합부위가 2부위인 접합면(212)과 외부지지면(213)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T''형 면상발열체(214)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도록 부착하고,
상기 'T''형 면상발열체(214)에 단자선(215)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하고 작업현장에서 두 합성수지관(10a)(10b)을 상기 'T'형 면상발열체(214)의 타측에 각각 접하도록 한 후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두 합성수지관(10a)(10b)을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짧은 시간에 마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도 2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캡 이음관(211)의 일측의 결합홈에는 'T''형 면상발열체(224)를 부착하면서 타측에는 일반적인 형상으로 현장에서 갭 이음관(211)이 형성된 다른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작업을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2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캡 이음관(211)의 일측의 결합홈에는 양측이 개구된 'T''형 면상발열체(214)를 부착하면서 타측에는 타측이 막힌 캡 면상발열체(216)를 부착하여 상기 면상발열체(214)의 일측에 결합되는 합성수지관(10a)의 끝단이 캡 면상발열체(216)의 막힌 부분에 의해 마무리되도록 하는 작업을 간단하고 그 작업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의 'T'형 면상발열체에는 접합면과 외부지지면이 일체인 경우를 예로 들어 기술하였지만, 접합면과 내부지지면을 갖는 'T'형 면상발열체를 사용하여도 그효과가 거의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28 내지 도 3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이음관에 면상발열체를 부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8은 45°엘보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45°엘보 이음관(221)의 양측 결합단부에는 결합부위가 하나인 접합면(222)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면상발열체(233)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도록 부착하고,
상기 면상발열체(233)에 단자선(224)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구성하고 작업현장에서 두 합성수지관(10a)(10b)을 상기 면상발열체(233)의 타측에 각각 접하도록 한 후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이의 각이 45°가 되도록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그 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도 29는 90°엘보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90°엘보 이음관(231)의 양측 결합단부에는 결합부위가 하나인 접합면(232)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면상발열체(233)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도록 부착하고,
상기 면상발열체(233)에 단자선(234)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구성하고 작업현장에서 두 합성수지관(10a)(10b)을 상기 면상발열체(233)의 타측에 각각 접하도록 한 후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이의 각이 90°가 되도록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그 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도 30은 티보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티보 이음관(241)의 양측 결합단부에는 결합부위가 하나인 접합면(242)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면상발열체(243)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도록 부착하고,
상기 면상발열체(243)에 단자선(244)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하고 작업현장에서 세 합성수지관(10a)(10b)(10c)을 상기 면상발열체(243)의 타측에 각각 접하도록 한 후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세 합성수지관(10a)(10b)(10c)을 사이의 각이 90°가 되도록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짧은 시간에 마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1은 와이 티보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와이 티보 이음관(251)의 양측 결합단부에는 결합부위가 하나인 접합면(252)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면상발열체(253)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도록 부착하고,
상기 면상발열체(253)에 단자선(254)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하여 작업현장에서 세 합성수지관(10a)(10b)(10c)을 상기 면상발열체(253)의 타측에 접하도록 한 후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세 합성수지관(10a)(10b)(10c)을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짧은 시간에 마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2는 이경티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경티 이음관(261)의 세 결합단부에는 결합부위가 하나인 접합면(262)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면상발열체(263)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도록 부착하고,
상기 면상발열체(263)에 단자선(264)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하고 작업현장에서 두 합성수지관(10a)(10b)에 굵기가 다른 하나의 합성수지관(10d)을 상기 면상발열체(263)의 타측에 각각 접하도록 한 후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세 합성수지관(10a)(10b)(10d)을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짧은 시간에 마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3은 레듀샤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레듀샤 이음관(271)의 양측 결합단부에는 결합부위가 하나인 접합면(272)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면상발열체(273)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도록 부착하고,
상기 면상발열체(273)에 단자선(274)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하고 작업현장에서 굵기가 다른 두 합성수지관(10a)(10d)을 상기 면상발열체(273)의 타측에 각각 접하도록 한 후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합성수지관(10a)(10d)을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짧은 시간에 마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4는 캡 이음관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캡 이음관(281)의 두 결합단부에는 결합부위가 하나인 접합면(282)이 일체인 탄소재질의 면상발열체(283)의 일측이 각각 결합되도록 부착하고,
상기 면상발열체(283)에 단자선(284)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하고 작업현장에서 두 합성수지관(10a)(10b)을 상기 면상발열체(283)의 타측에 각각 접하도록 한 후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두 합성수지관(10a)(10b)을 연결하는 작업이 간단하고 짧은 시간에 마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도 3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캡 이음관(281)의 일측의 결합홈에는 면상발열체(283)를 부착하면서 타측에는 일반적인 형상으로 현장에서 갭 이음관(281)이 형성된 다른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작업을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3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캡 이음관(281)의 일측의 결합홈에는 양측이 개구된 면상발열체(283)를 부착하면서 타측에는 타측이 막힌 캡면상발열체(285)를 부착하여 상기 면상발열체(283)의 일측에 결합되는 합성수지관(10a)의 끝단이 캡 면상발열체(285)의 막힌 부분에 의해 마무리되도록 하는 작업을 간단하고 그 작업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의 면상발열체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지는 발열체로 이루어지며, 이 탄소섬유에 의한 직물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용 이음관은 이음관의 양측 결합단부에 일체로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의 접합면에 일체로 탄소재질의 면상발열체를 형성하고,
상기 면상발열체에 연결되는 단자선에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구성하여 현장에서 합성수지관 연결시 합성수지관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연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관 연결에 따른 작업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효과가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9)

  1. 이음관의 양측 결합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과 접하는 위치에 접합면과 내부지지면 및 외부지지면이 일체로 형성되며 탄소재질로 이루어지는 'I''형 면상발열체와;
    상기 'I''형 면상발열체에 연결되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설치되는 단자선들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은 45°엘보 이음관, 90°엘보 이음관, 티보 이음관, 와이티보 이음관, 이경티 이음관, 레듀샤 이음관 및 캡 이음관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3. 이음관의 양측 결합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과 접하는 위치에 접합면과 지지면이 일체로 형성되며 탄소재질로 이루어지는 'T''형 면상발열체와;
    상기 'T''형 면상발열체에 연결되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설치되는 단자선들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내부지지면이나 외부지지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은 45°엘보 이음관, 90°엘보 이음관, 티보 이음관, 와이티보 이음관, 이경티 이음관, 레듀샤 이음관 및 캡 이음관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6. 이음관의 양측 결합단부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과 접하는 위치에 접합면이 일체로 형성되며 탄소재질로 이루어지는 면상발열체와;
    상기 면상발열체에 연결되며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설치되는 단자선들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은 45°엘보 이음관, 90°엘보 이음관, 티보 이음관, 와이티보 이음관, 이경티 이음관, 레듀샤 이음관 및 캡 이음관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은 합성수지관에 3면접합, 2면접합 또는 1면접합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은 합성수지관의 일측에만 일체로 형성하거나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KR2020010023380U 2001-08-01 2001-08-01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KR2002530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380U KR200253000Y1 (ko) 2001-08-01 2001-08-01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380U KR200253000Y1 (ko) 2001-08-01 2001-08-01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448A Division KR20030012432A (ko) 2001-08-01 2001-08-01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000Y1 true KR200253000Y1 (ko) 2001-11-23

Family

ID=73106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380U KR200253000Y1 (ko) 2001-08-01 2001-08-01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00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909A (ko) * 2001-12-07 2003-06-18 박기종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KR100712646B1 (ko) 2005-11-16 2007-05-02 이남훈 공극을 갖는 파이프 융착 방법, 연결파이프 및 공극을 갖는파이프 융착 장치
KR100798423B1 (ko) 2006-08-30 2008-01-28 이남훈 열융착기용 히터
KR101512640B1 (ko) * 2014-01-13 2015-04-1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히팅 파이프 유닛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909A (ko) * 2001-12-07 2003-06-18 박기종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KR100712646B1 (ko) 2005-11-16 2007-05-02 이남훈 공극을 갖는 파이프 융착 방법, 연결파이프 및 공극을 갖는파이프 융착 장치
KR100798423B1 (ko) 2006-08-30 2008-01-28 이남훈 열융착기용 히터
KR101512640B1 (ko) * 2014-01-13 2015-04-1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히팅 파이프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3000Y1 (ko)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KR100889476B1 (ko)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KR20030012432A (ko)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KR200275920Y1 (ko)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JP4203361B2 (ja) 電気溶接スリーブ
KR200251564Y1 (ko)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275923Y1 (ko) 열융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20096173A (ko)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245150Y1 (ko)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
JPH05164286A (ja) 電気融着式プラスチック管継手
KR20030046909A (ko)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KR200265642Y1 (ko) 관 연결구
KR200253937Y1 (ko)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KR200313859Y1 (ko) 융착 칼라 피이 관
KR20030037930A (ko) 관 연결구
KR200268377Y1 (ko) 합성수지관용 분기 이음관
KR200250794Y1 (ko) 수지관연결소켓
CN219413827U (zh) 一种焊接式密封管接头
KR200268378Y1 (ko)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KR200174640Y1 (ko) 합성수지재관 이음관(A joint member of synthetic resin tube)
KR20020065218A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200230699Y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200211583Y1 (ko) 가스관용 용융 결합구
KR20030046155A (ko)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KR20030012433A (ko)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