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824Y1 - Cold-storage container - Google Patents

Cold-storage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824Y1
KR200251824Y1 KR2020010023633U KR20010023633U KR200251824Y1 KR 200251824 Y1 KR200251824 Y1 KR 200251824Y1 KR 2020010023633 U KR2020010023633 U KR 2020010023633U KR 20010023633 U KR20010023633 U KR 20010023633U KR 200251824 Y1 KR200251824 Y1 KR 200251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beverage
shape
present
heat dissi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63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벤텍
Priority to KR20200100236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82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824Y1/en

Link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라믹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양호한 냉장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 냉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우 경량이며, 생맥주, 각종의 차(茶), 식혜, 수정과와 같은 각종 음료수를 적정 온도로 냉장할 수 있도록 한 냉장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ing container that can exhibit a good refrigeration effect by using a ceramic thermoelectric elemen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lightweight, and is suitable for various drinks such as draft beer, various teas, sikhye, and crystal. It relates to a refrigerating container that can be refrigerated at a temperature.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소정 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내부의 격판(21)에 의해 제1수용공간(22)과 제2수용공간(23)으로 분할되는 케이싱(20)과; 상기 케이싱(20)의 제2수용공간(23)에 장착되어 전기적 특성에 따라 에너지 수준요소가 변환하는 반도체로 이루어진 세라믹 열전소자(30)와; 상기 세라믹 열전소자(30)에 의해 생성되는 냉기를 축적하여 상기 격판(21)을 포함한 케이싱(20)의 상반부에 제공하기 위한 축열부재(40)와; 다수의 방열핀들(52)이 결합 고정된 방열판(51)과, 냉각팬(54)을 고정하는 브라켓(53)을 포함하는 방열부재(50)와; 냉매(61)가 충전된 2중벽(62a)(62b)을 갖고 상기 제1수용공간(22)내에 착탈 가능하며 음료수 등을 담기 위한 공간을 구비한 음료수 수용통(60)과; 상기 케이싱(20)의 상단부에 씌워지는 뚜껑(70)을 구비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shape and a casing 20 divided into a first accommodation space 22 and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23 by an internal diaphragm 21; A ceramic thermoelectric element 30 made of a semiconductor mount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23 of the casing 20 and converting an energy level element according to electrical characteristics; A heat storage member (40) for accumulating cold air generated by the ceramic thermoelectric element (30) and providing it to the upper half of the casing (20) including the diaphragm (21); A heat dissipation member 50 including a heat dissipation plate 51 to which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52 are coupled and fixed, and a bracket 53 for fixing the cooling fan 54; A beverage container 60 having double walls 62a and 62b filled with a refrigerant 61 and detachable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2 and having a space for containing beverages; It is characterized b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the lid 70 is covered with the upper end of the casing 20.

또한 상기 음료수 수용통(60)의 바닥면에는 음료수 배출구(63)가 형성되며, 상기 격판(21)에는 상기 음료수 배출구(63)가 삽입되는 개구(21a)와 상기 개구(21a)를 통해 배출되는 음료수를 유도하는 유도관(80)이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20)의 일측면에는 냉각된 음료수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콕크(90)가 더형성되어 음료수 특히 생맥주 등을 용이하게 따라 마실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 beverage outlet 63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60, the partition 21 is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21a and the opening 21a into which the beverage outlet 63 is inserted. Induction pipe (80) is connected to guide the drinking water, one side of the casing (20) is further formed with a cock (90) for selectively discharging the cooled beverage to the outside can be easily followed by drinking water, especially draft beer, etc. It is.

본 고안에 있어서 케이싱(20)의 외형은 탁자위에 올려 놓을 수 있는 받침대를 구비한 배럴형이나 계란형일 수도 있고, 원통형이나 직육면체, 정육면체 또는 다각형일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hape of the casing 20 may be a barrel shape or an egg shape provided with a pedestal that can be placed on a table, or may be a cylindrical shape, a cuboid, a cube, or a polygon.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냉장용기는 간단한 구조로 냉온상태를 유지하여 생맥주 판매업소에서 각각의 식탁에 올려놓아 생맥주를 내부에 부은 상태에서 뚜껑(70)을 덮어 콕크(90)을 통해 컵에 따라 먹을 수 있으므로 사람들은 항상 냉각된 맥주를 음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refrig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ten according to the cup through the cock (90) by covering the lid (70) while keeping the cold temperature in a simple structure and placing it on each table in a draft beer shop. So people can always drink chilled beer.

Description

냉장용기{Cold-storage container}Refrigerating container {Cold-storage container}

본 고안은 냉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라믹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양호한 냉장 기능을 발휘하면서도 매우 경량이며, 생맥주, 각종의 차(茶), 식혜, 수정과와 같은 각종 음료수를 적정 온도로 냉장할 수 있도록 한 냉장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ing contain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ing container, and in particular, has a good refrigeration function using a ceramic thermoelectric element, and is very lightweight. It relates to a refrigerating container that can be refrigerated.

통상 음료나 주류 및 각종 음식물을 시원하게 음용하기 위해서는 주로 냉장고나 냉동고 등을 사용하게 되고, 이러한 냉장고나 냉동고의 경우는 하나의 단일물품으로 상품화되고 있으므로 가격이 비교적 고가이고, 특히 기능에 비해 부피가 비대하여 공간의 차지가 과도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주로 실내 전용으로 사용하는 기능밖에 없었다.Generally, a refrigerator or a freezer is mainly used to drink beverages, alcoholic beverages, and various foods in a cool manner, and since such refrigerators and freezers are commercialized as a single item, the price is relatively high, and in particular, the volume is inferior to the function. Not only does it take up an excessive amount of space, but it is mainly used only for indoor use.

이러한 냉장고나 냉동고의 경우는 주로 업소나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으므로 간단하게 내용물을 인출하여 음용할 경우 개폐문을 작동하여 내부의 음료나 주류 및 각종 냉각된 음식물을 인출하여 음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이러한 냉장고나 냉동고의 경우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Such refrigerators and freezers are mainly used in businesses and homes, so when the contents are simply taken out and drinkabl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operated to draw out the drinks or alcohol and various cooled foods therein. In the case of a freezer, there are many problems as described below.

즉, 기존에 사용되는 냉장고 또는 냉동고의 경우는 밀폐력이 양호하여 실내외의 온도차가 많이 발생하게 되어 전력의 손실이 과도할 뿐만 아니라 사용용도가 극히 한정적으로 되어 간단하게 냉각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refrigerator or freezer used in the past, the sealing force is good, so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nd the outside occurs a lot, and the loss of power is excessive, the use of the device is extremely limited, and the development of a simple cooling device is required. It became.

또한 일반적인 냉장고나 냉동고의 경우는 그 기능에 비하여 가격이 고가여서 주로 일반 가정이나 업소 등지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이를 이동하거나 실외에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general refrigerator or a freezer, the price is high compared to its function, so that it can be used in general homes or businesses, and this has caused a problem that it cannot be moved or used outdoors.

한편, 업소 등에서는 실내라 할지라도 간단한 구조로서 냉장을 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지 못하여 주문한 음료 등을 노출상태로 방치할 경우 최초에는 냉각상태가 유지되어 시원하게 음용할 수 있지만 단시간에 냉각상태가 지속되지 못하여미지근하게 되어 특히 시원해야 제맛이 나는 맥주나 주류 등의 경우는 더 이상 마시기 어렵게 되어 다시 냉장고나 냉동고에 내장하여 냉각을 하게 되므로 전력의 소모가 과도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주문으로 번거로운 등의 문제점이 수반되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restaurant, even if it is indoors, it is a simple structure and there is no device for refrigeration, so when the ordered drinks are left exposed, the cooling state is maintained and the drink can be kept cool for a short time. Because it is not lukewarm, especially when it is cool to taste beer or liquor, it is difficult to drink anymore, and it is again built into the refrigerator or freezer to cool down. This was accompanied.

또한 일반 가정의 냉장고를 사용할 경우 역시 내부가 밀폐상태로 되기 때문에 냉장고가 가동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열로 하절기에는 더욱 열기가 발생하게 되어 에어컨이나 선풍기를 별도로 가동해야 하는 등의 비합리적인 문제점도 동시에 수반하게 되었다.In addition, when using a refrigerator in a normal home, the interior is also sealed, so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causes more heat in the summer, resulting in unreasonable problems such as the need to separately operate an air conditioner or a fan. It became.

한편, 일반적으로 맥주는 크게 병맥주와 생맥주로 구분되어지며, 병맥주는 맥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열처리를 한 것을 말하며, 맥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열처리를 하지 않은 것을 생맥주라고 칭하고 있다. 생맥주는 남아있는 효모의 작용으로 신선하고 독특한 고유의 맛과 향을 가지고 있지만, 항상 냉장 보관(적정온도는 4℃가 바람직함)을 해야하고 2-3일 지나면 변질될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판매업소에는 생맥주 냉각기를 이용하여 시원하게 냉각된 생맥주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는바, 종래의 생맥주 냉각기에 대해서 도1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beer is generally divided into bottled beer and draft beer, bottled beer refers to the heat treatment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beer, is not called heat draft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beer. Draft beer has a fresh and unique inherent taste and aroma due to the action of the remaining yeast, but always has to be refrigerated (appropriate temperature is preferably 4 ℃) and may deteriorate after 2-3 days. Recently, a retailer has provided a draft beer cooled to a consumer by using a draft beer cooler. A conventional draft beer cool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s follows.

도1을 참조하면, 생맥주통(1)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도어(3)를 가진수납실(2)이 탁자(T)내부에 구획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는 냉장용 컴프레셔(4)가 설치되어 있고, 그 상방의 냉각실(5)에는 냉각통(A)이 설치되어 있으며, 냉각통(A)내부에는 냉장용 컴프레셔(4)와 연결된 냉매코일관(6), 그리고 생맥주통(1)과 연결된 생맥주 코일관(7)이 설치되어 있으며, 바닥면에는 냉각통(A)에 차여있는 냉각수(8)를 유동시키는 임펠러(P)가 설치되어 있고 생맥주코일관(7)의 일단은 생맥주통수납실(2)을 경유하게 구성하므로서, 냉매코일관(6)에 의해서 냉각통(A)내의 냉각수가 냉각되게 하고 이에 의해서 생맥주코일관(7)내의 생맥주가 시원하게 공급될 수 있게 한 것이며, 생맥주통수납실(2) 내의 생맥주통(1)은 냉매코일연장관(10)에 의해서 냉각되도록 구성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1, a storage compartment 2 having a door 3 is partitioned inside a table T so that the draft beer cylinder 1 can be easily replaced. On one side thereof, a refrigeration compressor 4 is provided. A cooling cylinder A is provided in the upper cooling chamber 5, and a refrigerant coil pipe 6 connected to the refrigeration compressor 4 inside the cooling cylinder A, and a draft beer cylinder 1 ) Is connected to the draft beer coil pipe (7), the impeller (P) for flowing the cooling water (8) filled in the cooling tube (A)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and one end of the draft beer coil pipe (7) By configuring the water passage through the storage compartment 2, the coolant in the cooling tube A is cooled by the refrigerant coil pipe 6 so that the draft beer in the draft beer coil pipe 7 can be supplied coolly. The draft beer cylinder 1 in the draft beer storage chamber 2 is configured to be cooled by the refrigerant coil extension pipe 10.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생맥주 냉각기는 그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품의 가격이 고가이고, 이러한 것은 특히 생맥주만을 냉각하는 것이어서, 우리 고유의 차(茶)인 수정과나 식혜 등을 냉장 냉각할 수 없어 그 사용이 제한되었다. 또한 컴프레셔를 사용함에 따른 전력손실이 많고, 생맥주의 냉각효과도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draft beer cooler is very complicated in structure, and the price of the product is high, and this is especially cooling only draft beer, so it is impossible to refrigerate our own car, crystal, or Sikhye. Use has been restricted. In addition, a lot of power loss due to the use of the compressor, the cooling effect of the draft beer was also inefficient problems.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하절기의 경우 각종 음료나 주류 등 음식물을 간단하게 냉각하여 시원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한 냉장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in particular, in the summer, the object is to provide a refrigerating container that can simply drink a variety of beverages, such as alcoholic beverages to drink cool.

도1은 종래 생맥주 냉각기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draft beer cooler;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용기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는 본 고안의 냉장용기 케이스가 계란형으로 형성된 냉장용기의 일부절단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partially cut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ing container, the refrigerator container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n egg shap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20 : 케이싱 21 : 격판20: casing 21: diaphragm

22 : 제1수용공간 23 : 제2수용공간22: first accommodation space 23: second accommodation space

30 : 세라믹 열전소자 40 : 축열부재30: ceramic thermoelectric element 40: heat storage member

50 : 방열부재 51 : 방열판50: heat radiating member 51: heat sink

52 : 방열핀 53 : 브라켓52: heat radiation fin 53: bracket

54 : 냉각팬 60 : 음료수 수용통54: cooling fan 60: beverage container

61 : 냉매 62a,62b : 이중벽61: refrigerant 62a, 62b: double wall

63 : 음료수 배출구 70 : 뚜껑63: beverage outlet 70: lid

80 : 유도관 90 : 콕크80: guide pipe 90: coc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냉장용기는, 소정 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내부의 격판에 의해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으로 분할되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의 제2수용공간에 장착되어 전기적 특성에 따라 에너지 수준요소가 변환하는 반도체로 이루어진 세라믹 열전소자와; 이 세라믹 열전소자에 의해 생성되는 냉기를 축적하여 격판을 포함한 케이싱의 상반부에 제공하기 위한 축열부재와; 다수의 방열핀들이 결합 고정된 방열판과, 냉각팬을 고정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방열부재와; 냉매가 충전된 2중벽을 갖고 제1수용공간내에 착탈 가능하며 음료수 등을 담기 위한 공간을 구비한 음료수 수용통; 및 케이싱의 상단부에 씌워지는 커버를 구비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The refrigerat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asing is divided into a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by the inner partitio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 ceramic thermoelectric element made of a semiconductor mounted in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of the casing and converting energy level elements in accordance with electrical characteristics; A heat storage member for accumulating cold air generated by the ceramic thermoelectric element and providing it to the upper half of the casing including the diaphragm; A heat dissipation member including a heat dissipation plate to which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are coupled and fixed, and a bracket fixing the cooling fan;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double wall filled with a refrigerant, detachable in a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having a space for containing beverages; And a cover covering the upper end of the casing.

본 고안에 있어서 음료수 수용통의 바닥면에는 음료수 배출구가 형성되며, 격판에는 음료수 배출구가 삽입되는 개구와 이 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음료수를 유도하는 유도관이 연결되고, 케이싱의 일측면에는 냉각된 음료수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콕크가 더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콕크를 열어 냉각된 맥주 등을 용이하게 컵에 따라 음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beverage outlet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the diaphragm is connected to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beverage outlet is inserted and an induction pipe leading to the beverage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and to one side of the casing, the beverage being cooled. The cock is further formed to selectively discharge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n the cock to drink cold beer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cup.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싱은 받침대를 구비한 배럴형이나 계란형이 바람직하지만 원통형, 직육면체, 정육면체 또는 다각형중 어느 형상으로도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ing is preferably barrel-shaped or egg-shaped with a pedestal, but can be modified to any shape of a cylinder, a cube, a cube or a polygon.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냉장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frig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용기의 단면도인바, 본 고안에 따른 냉장용기는 소정 형상을 갖는 케이싱(20)을 구비하고 있는바, 이 케이싱(20)은 도2에서와 같이원뿔형의 받침대(24)를 구비한 배럴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이는 도3에서와 같이 계란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원통형이나 직육면체, 정육면체 또는 기타 다각형의 형상으로 업소에서 요구하는 형태대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asing 20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the casing 20 is a conical pedestal 24 as shown in FIG. Although it is formed in a barrel shape having a), it can be formed in an egg shape as shown in Figure 3, it can be manufactured in the shape required by the shop in the shape of a cylinder or a cube, a cube or other polygons.

따라서, 본 고안의 케이싱(20)의 형상은 도2 및 도3에 각각 도시된 배럴형이나 계란형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기타의 형상으로의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Therefore, the shape of the casing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barrel or egg shape shown in Figs. 2 and 3, respectively, of course, can be modified to other shapes.

도2를 참조하면 케이싱(20)은 내부의 격판(21)에 의해 상측으로는 제1수용공간(22)과 하측으로는 제2수용공간(23)으로 분할되며, 이 케이싱(20)의 제2수용공간(23)에는 전기적 특성에 따라 에너지 수준요소가 변환하는 반도체로 이루어진 세라믹 열전소자(30)가 장착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asing 20 is divided into a first accommodating space 22 upwardly and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23 downwardly by an internal diaphragm 21. The two receiving spaces 23 are equipped with a ceramic thermoelectric element 30 made of a semiconductor in which energy level elements are converted according to electrical characteristics.

그리고, 세라믹 열전소자(30)의 상측에는 이 세라믹 열전소자(30)에 의해 생성되는 냉기를 축적하여 격판(21)을 포함한 케이싱(20)에 제공하기 위한 축열부재(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세라믹 열전소자(30)의 하측에는 다수의 방열핀들(52)이 결합 고정된 방열판(51)과, 냉각팬(54)을 고정하는 브라켓(53)을 포함하는 방열부재(50)가 설치되어있다.On the upper side of the ceramic thermoelectric element 30, a heat storage member 40 is provided for accumulating cold air generated by the ceramic thermoelectric element 30 and providing it to the casing 20 including the diaphragm 21. A heat dissipation member 50 including a heat dissipation plate 51 having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52 coupled thereto and a bracket 53 fixing the cooling fan 54 is installed below the ceramic thermoelectric element 30. .

한편 케이싱(20)의 상측인 제1수용공간(22)내에는 냉매(61)가 충전된 2중벽(62a)(62b)을 갖고 내부에 생맥주와 같은 주류 또는 음료수 등을 담기 위한 공간을 구비한 음료수 수용통(60)이 위치되는바, 이 음료수 수용통(60)의 바닥면에는 음료수 배출구(63)가 형성되며, 격판(21)에는 음료수 배출구(63)가 삽입되는 개구(21a)와 이 개구(21a)를 통해 배출되는 음료수를 유도하는 유도관(80)이 연결되고, 케이싱(20)의 일측면에는 냉각된 음료수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콕크(90)가 취부되어 있으며 케이싱(20)의 상단부에는 뚜껑(70)이 씌워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2, which is the upper side of the casing 20, double walls 62a and 62b filled with the refrigerant 61 have a space for storing alcoholic beverages such as draft beer or beverages therein. The beverage container 60 is located,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60 is formed with a beverage outlet (63), the diaphragm 21 in the opening 21a is inserted into the beverage outlet (63a) and An induction pipe 80 for inducing a beverage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21a is connected, and one side of the casing 20 is provided with a cock 90 for selectively discharging the cooled beverage to the outside, and the casing 20 At the upper end of the cover) the lid 70 is covered.

도2에 도시된 세라믹열전소자(30)는 상하부로 배치되는 전도체 내에 각개 단위부재로 이루어진는 N 또는 P 타입의 반도체가 다수개 배치되어 있으며, 그 표면에는 전기절연체가 부착되어 일체성있게 구성되어 전기절연체에 부착되어 있는 전선(31)(32)에 직열전류의 공급방향에 따라 반도체를 기초로 펠티어 효과를 유용화시켜서 냉기를 생성하여 공급하게 한다.In the ceramic thermoelectric element 30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N or P type semiconductors, each of which is composed of unit members, are disposed in a conductor disposed in an upper and lower portion thereof. The Peltier effect is made available to the electric wires 31 and 32 attached to the insulator based on the supply direction of the direct heat current to generate and supply cold air.

따라서, 세라믹열전소자(30)에 의하여 생성되는 냉기는 세라믹열전소자(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축열부재(40)에 축열되어 냉각팬(54)의 회전시 발산된 열원은 외부로 흘러나가 격판(21)을 차갑게 하고, 또한 케이싱(20)의 하부 또는 측면에 마련된 통기공(도시하지 않았음)를 통하여 외부로 더운 공기가 발산하게되므로 격판(21) 또는 케이싱(20)의 제1수용공간(22)의 바닥면은 차갑게되고 이때 음료수 수용통(60)내에 들어있는 음료수(100)는 냉매(61)에 의해 차갑게 냉각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cold air generated by the ceramic thermoelectric element 30 is accumulated in the heat storage member 40 disposed above the ceramic thermoelectric element 30 so that the heat source emitted during the rotation of the cooling fan 54 flows out to the outside. The first receiving space of the diaphragm 21 or the casing 20 is cooled since the cool air 2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vent hole (not shown) provided at the lower side or the side of the casing 20. The bottom surface of 22 is cold and the beverage 100 contained in the beverage container 60 can be kept cool by the coolant 61.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우선 도시하지 않은 전원코드를 220V 전원단자에 꽂으면 냉각팬(54)이 회전하게 되고 또한 세라믹열전소자(30)가 작동하여 음료수(생맥주)가 미리 설정된 온도 예컨대 4℃로 냉각되도록 작동하게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제작시 설정 가능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irst, when the power cord (not shown) is plugged into the 220V power terminal, the cooling fan 54 is rotated, and the ceramic thermoelectric element 30 is operated so that the beverage (draft beer) is cool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4 ° C. This series of processes can be set at the time of manufacture,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따라서, 이러한 냥장용기가 업소(생맥주 업소)의 각각의 탁자에 설치된 상태에서 손님이 필요한 만큼 생맥주를 주문하여 음료수 수용통(60)내에 부우면 시간이 지나더라도 생맥주는 미지근해지지 않고 항상 일정한 온도로 냉각 유지될 수 있고, 손님들은 콕크(90)를 열어 도시하지 않은 컵에 필요한 만큼 생맥주를 따라 음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such a noodle container is installed on each table of a business (draft beer shop), if the customer orders the draft beer as needed and pours it into the beverage container 60, the draft beer does not become lukewarm and is always cooled to a constant temperature. It can be maintained, and guests can open the cock 90 and drink along the draft beer as needed for a cup not shown.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생맥주를 항상 일정한 온도로 냉각유지할 수 있으므로 손님들은 항상 시원한 생맥주를 음용할 수 있고, 업소측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용기를 설치함에 따라 사업이 가일층 번창하게되는 2중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so that the draft beer can always be kept at a constant temperature, so guests can always drink cool draft beer, and the business side installs the refrig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reap.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변형 및 수정이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케이싱(20)의 형상은 도2 및 도3에 각각 도시된 배럴형이나 계란형 대신에 원통형, 정육면체, 직육면체 또는 다각형 또는 기타의 형상으로 대치될 수도 있고, 음료수 수용통(60)역시 원통형 대신에 직사각형, 정사각형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re may be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casing 20 may be replaced by a cylindrical, cuboid, cuboid or polygonal or other shape instead of the barrel or egg shape shown in Figs. 2 and 3, respectively, the beverage container 60 is also instead of a cylindrical Of course, it can also be rectangular, squar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냉장용기는 생맥주뿐만 아니라, 막걸리나 소주와 같은 주류나, 식혜, 수정과와 같은 전통차를 냉각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보냉 기능 뿐만 아니라 세라믹열전소자의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보온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refrigera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cool not only draft beer, but also alcoholic beverages such as makgeolli and soju, traditional teas such as Sikhye, crystal, and the like. Of course you can.

Claims (4)

소정 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내부의 격판(21)에 의해 제1수용공간(22)과 제2수용공간(23)으로 분할되는 케이싱(20)과;A casing 20 having an extern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divided into a first accommodation space 22 and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23 by an internal diaphragm 21; 상기 케이싱(20)의 제2수용공간(23)에 장착되어 전기적 특성에 따라 에너지 수준요소가 변환하는 반도체로 이루어진 세라믹 열전소자(30)와;A ceramic thermoelectric element 30 made of a semiconductor mount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23 of the casing 20 and converting an energy level element according to electrical characteristics; 상기 세라믹 열전소자(30)에 의해 생성되는 냉기를 축적하여 상기 격판(21)을 포함한 케이싱(20)의 상반부에 제공하기 위한 축열부재(40)와;A heat storage member (40) for accumulating cold air generated by the ceramic thermoelectric element (30) and providing it to the upper half of the casing (20) including the diaphragm (21); 다수의 방열핀들(52)이 결합 고정된 방열판(51)과, 냉각팬(54)을 고정하는 브라켓(53)을 포함하는 방열부재(50)와;A heat dissipation member 50 including a heat dissipation plate 51 to which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52 are coupled and fixed, and a bracket 53 for fixing the cooling fan 54; 냉매(61)가 충전된 2중벽(62a)(62b)을 갖고 상기 제1수용공간(22)내에 착탈 가능하며 음료수 등을 담기 위한 공간을 구비한 음료수 수용통(60)과;A beverage container 60 having double walls 62a and 62b filled with a refrigerant 61 and detachable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2 and having a space for containing beverages; 상기 케이싱(20)의 상단부에 씌워지는 커버(7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용기.Refrigerat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ver 70 which is covered on the upper end of the casing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 수용통(60)의 바닥면에는 음료수 배출구(63)가 형성되며, 상기 격판(21)에는 상기 음료수 배출구(63)가 삽입되는 개구(21a)와 상기 개구(21a)를 통해 배출되는 음료수를 유도하는 유도관(80)이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20)의 일측면에는 냉각된 음료수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콕크(90)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용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verage outlet 6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60, the opening 21a and the opening 21a through which the beverage outlet 63 is inserted into the diaphragm 21. Induction pipe (80) is connected to guide the beverage discharged through the), one side of the casing (20) is a refrigerated container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ck 90 for selectively discharging the cooled beverage to the outside is formed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0)의 외형은 받침대를 구비한 배럴형이나 계란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용기.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sing (20) has a barrel shape or an egg shape provided with a pedest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0)의 외형은 원통, 직육면체, 정육면체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용기.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shape of the casing is one of a cylinder, a cube, and a cube.
KR2020010023633U 2001-08-03 2001-08-03 Cold-storage container KR20025182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633U KR200251824Y1 (en) 2001-08-03 2001-08-03 Cold-storage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633U KR200251824Y1 (en) 2001-08-03 2001-08-03 Cold-storage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824Y1 true KR200251824Y1 (en) 2001-11-22

Family

ID=73068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633U KR200251824Y1 (en) 2001-08-03 2001-08-03 Cold-storage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824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027A (en) * 2002-12-02 2003-01-03 넥솔테크(주) An Apparatus of Hygienic Fast Treatment of Milk Contented Beverage
KR20040087725A (en) * 2003-04-07 2004-10-15 유수남 freezer Device
KR100708947B1 (en) 2006-02-23 2007-04-18 이진영 A cooling and heating apparatus with thermal electric module
KR20150087928A (en) * 2014-01-23 2015-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Quick chiller
EP3492842A1 (en) 2017-11-29 2019-06-05 LG Electronics Inc. Temperature controlled containe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027A (en) * 2002-12-02 2003-01-03 넥솔테크(주) An Apparatus of Hygienic Fast Treatment of Milk Contented Beverage
KR20040087725A (en) * 2003-04-07 2004-10-15 유수남 freezer Device
KR100708947B1 (en) 2006-02-23 2007-04-18 이진영 A cooling and heating apparatus with thermal electric module
KR20150087928A (en) * 2014-01-23 2015-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Quick chiller
KR102204908B1 (en) * 2014-01-23 2021-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Quick chiller
EP3492842A1 (en) 2017-11-29 2019-06-05 LG Electronics Inc. Temperature controlled container
KR20190062946A (en) 2017-11-29 2019-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EP3708927A1 (en) 2017-11-29 2020-09-16 LG Electronics Inc. Temperature controlled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2872A (en) Liquid cooling, storing and dispensing device
US5718124A (en) Chilled service bowl
US3310953A (en) Portable refrigerator for beverage containers and the like
KR100528296B1 (en) Refrigerator
US20150128619A1 (en) Cooling Device for Beverages
US6269653B1 (en) Portable device for refrigerating beverages
US2287681A (en) Refrigerating device for bottled
KR200251824Y1 (en) Cold-storage container
KR20190109103A (en) Device For Cooling Beverage
US20130125571A1 (en) Countertop rapid cooler for rapidly cooling food, drink, and other items
US2230862A (en) Cooler apparatus
US20050109040A1 (en) Merchandising cooler having large packout and small footprint
US9335090B2 (en) Refrigerator
KR200285179Y1 (en) Wine cold storage flag
US20160091244A1 (en) Counter beverage cooling system
JP5774705B2 (en) refrigerator
EP3820332A1 (en) Beverage cooler
KR101365876B1 (en) Wine cooling device
JP4403914B2 (en) Frozen beverage vending machine
CN103635767A (en) Electrical appliance that can also be used in industry for cooling or freezing products with maximum speed
KR200424172Y1 (en) Wine refrigerator
KR100555216B1 (en) draught beer selling apparatus
US2273189A (en) Bottle cooler
CN220707834U (en) Small grape wine icer
CN2579299Y (en) Open type cold and hot two purpose drink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