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239Y1 - 소경재를 이용한 적층 플로링 및 적층 집성판재 - Google Patents

소경재를 이용한 적층 플로링 및 적층 집성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239Y1
KR200251239Y1 KR2020010022552U KR20010022552U KR200251239Y1 KR 200251239 Y1 KR200251239 Y1 KR 200251239Y1 KR 2020010022552 U KR2020010022552 U KR 2020010022552U KR 20010022552 U KR20010022552 U KR 20010022552U KR 200251239 Y1 KR200251239 Y1 KR 2002512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wood
flooring
pla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5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종
Original Assignee
산림조합중앙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림조합중앙회 filed Critical 산림조합중앙회
Priority to KR20200100225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2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2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239Y1/ko

Links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경재 원목을 이용한 적층 플로링(flooring)·적층 집성판재, 특히 소경재 원목을 목리(木理)가 서로 교차하게 3층 이상 적층, 접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플로링·적층 집성판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고안에 따른 적층 플로링 및 적층 집성판재는 목재의 휨, 갈라짐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목재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적층 플로링은, 특히 별도의 장부가공(암수가공) 없이 플로링의 연결부에 장부가 형성되도록 접착하는 공정을 포함함으로써 작업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원소재에 의하여 끼워지기가 가능하므로 강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적층 집성판재는 소경재인 원목을 길이 방향으로 제재한 후 여러 쪽을 폭 방향으로 접착함으로써 통판의 원목 질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경재를 이용한 적층 플로링 및 적층 집성판재{LAMINATED FLOORING AND LAMINATED WOOD}
본 고안은 소경재 원목을 이용한 적층 플로링(flooring)·적층 집성판재, 특히 소경재 원목을 목리(木理)가 서로 교차하게 3층 이상으로 적층, 접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플로링·적층 집성판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의 원목은 외국의 수입산 원목에 비하여 나무의 굵기가 가는 소경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소경재는 휨과 할렬, 즉 나무가 갈라지는 현상이잦아 이들을 우수한 품질의 건축자재로 이용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숲가꾸기 사업이나 간벌 사업의 경우, 그로부터 간벌목이나 소경재 원목이 부산물로서 많이 생산되는데, 종래에 이들 간벌목이나 소경재의 원목은 상기한 바와 같은 소경재로서의 한계로 인해 단순히 톱밥이나 펄프재로 이용되거나 또는 버려지는 경우가 많았다.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플로링이나 마루판과 같은 건축자재의 경우, 이들은 외국산 수입 원목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표면에 화학 물질이 첨가된 시트지를 붙여 코팅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값이 비싸고 원목 통판을 사용함에 따라 휨이나 비틀림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비교적 값이 싼 일반 집성판은 원목 조각들을 붙인 것이므로 표면의 무늬가 얼룩이 지고, 또한 길이 또는 폭 방향의 한 방향, 한 층으로만 접착됨으로써 벤딩(bending) 결함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플로링 제조 시에는 플로링의 연결을 위한 장부가공, 즉 암수가공을 하여 판매, 시공하게 되는데, 이 때 유통 과정에서 상기 암수 부위의 파손이 자주 일어나고, 또한 상기 부위들의 접착을 위하여 요소 수지나 페놀 수지 등을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포름알데히드가 방출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 플로링이나 마루판의 제조를 위해서는 값비싼 외국산 수입 원목을 이용하여야 하거나, 또는 값싼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여러 가지 환경적 유해 요소가 가미된 제품이 생산되어 사용 후 폐기에 있어서도 환경 문제 등을 내재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국내 숲가꾸기 사업 또는 간벌 사업 등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소경재의 국산 원목을 이용하여,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적층 플로링 또는 적층 집성판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한, 국산 원목의 아름다운 무늬결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원목 통판의 질감을 느낄 수 있고 제조되는 플로링 또는 마루판의 기계적 강도도 높일 수 있는 소경재를 이용한 적층 플로링 또는 적층 집성판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한, 특히 플로링 제조시 별도의 장부가공 없이 적층 공정에서 바로 장부를 형성할 수 있어 작업 공정이 단순화되고 또한 형성된 장부가 유통 과정 등에서 파손될 염려가 없는 적층 플로링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플로링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집성판재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표판 2: 중판
3: 이판 11: 표판층
12: 중판층 13: 이판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첫 번째 측면에 따르면,
소경재 원목을 서로 목리가 교차하게, 표판과 이판을 포함하여 3층 이상 적층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플로링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첫 번째 측면에 따른 적층 플로링은, 목리가 교차되도록 적층, 접착한 층들에 의해 플로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두 번째 측면에 따르면,
소경재의 원목을 서로 목리가 교차하게, 표판층과 이판층을 포함하여 3층 이상 적층하되, 상기 표판층과 이판층은 원목 판재들을 그들의 폭 방향으로 2 쪽 이상 부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집성판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세 번째 측면에 따르면,
(a) 소경재 원목을 일정한 두께로 제재하고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제재 및 건조된 판재를 일정한 폭 및 두께로 4면 대패질하는 단계, 및
(c) 상기 4면 대패질한 판재를 목리가 서로 교차하게 3층 이상 적층하여 접착하되, 맨 위의 표판을 이루는 판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플로링의 연결을 위한 장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표판 아래에서 표판과 목리가 교차되도록 표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접착되는 다수의 판재들은 상기 표판의 한 쪽 길이 방향으로부터는 일정한 간격만큼 안쪽으로 밀려들어가고, 상기 표판의 반대쪽 길이 방향으로부터는 동일한 간격만큼 바깥쪽으로 밀려나와 접착되도록 적층하는 단계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적층 플로링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구성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적층 플로링의 제조방법은, 별도의 장부가공 없이, 적층 및 접착 단계에서 바로 장부가공까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이 형성된 장부는, 종래 별도로 깎아 형성하였던 플로링의 장부에 비하여 유통시 파손될 염려가 없다.
상기 적층 플로링의 제조방법은 또한, 적층, 접착된 가공품을 사포질하여 마무리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무리 단계는, 특히 적층 플로링의 장부가 서로 부드럽게 끼워질 수 있도록 몰더를 사용하여 마무리 가공을한 후 두께가 일정하게 되도록 사포질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네 번째 측면에 따르면,
(a) 소경재 원목을 일정한 두께로 제재하고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제재 및 건조된 판재를 일정한 폭 및 두께로 4면 대패질하는 단계, 및
(c) 상기 4면 대패질한 판재들을 그들의 폭 방향으로 다수개씩 접착하는 단계, 및
(d) 상기 접착된 판재의 층들을 서로 목리가 교차하게 3층 이상 적층,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적층 집성판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적층 집성판재의 제조방법은 다수의 판재들을 그들의 폭 방향으로 접착하여 판재들의 층을 형성한 후, 각 층을 사포질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포질은 각 층의 표면을 평활하게 샌딩(sanding)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플로링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집성판재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플로링은 소경재와 같은 원목을 서로 목리가 교차하게 3층으로 적층함으로써 제조되었다. 상기 적층 플로링은, 상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층시 중판(2)이표판(1)과 이판(3)의 길이 방향의 한 쪽 가장자리로부터는 일정한 간격으로 안쪽으로 밀려들어오고 다른 쪽 길이 방향으로부터는 동일한 간격만큼 바깥쪽으로 밀려나오도록 접착, 적층되어, 결과적으로 완성된 적층 플로링은 장부(암수) 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적층 플로링은, 제조시 별도의 장부가공 없이 장부를 형성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집성판재는 소경재의 원목을 서로 목리가 교차하게 3층으로 적층하되, 상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판층(11)과 이판층(13)이 그들의 폭 방향으로 원목 판재들을 4 쪽씩 부착하여 제조되었으며, 도 1에 나타낸 적층 플로링과는 달리 중판층(12)에 장부(암수)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적층 집성판재는, 소경재인 원목을 길이 방향으로 제재하여 여러 쪽을 폭 방향으로 접착함으로써, 통판의 원목 질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상기 도면들에 나타난 적층 플로링 및 적층 집성판재에 있어서, 표판(1) 및 표판층(11)과 이판(3) 및 이판층(13)은 나무결 무늬가 아름다운 낙엽송, 편백나무, 삼나무, 박달나무, 오리나무, 엄나무, 다릅나무, 잣나무, 밤나무, 단풍나무 등을 제재하여 사용할 수 있고, 중판(2) 및 중판층(12) 부분은 주로 펄프재 등으로 사용되는 값싼 국산 리기다 소나무나 잣나무, 전나무, 은사시나무, 포플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표판과 이판을 구성하는 나무의 종류는 이들에 제한되지 않고, 각각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소경목들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도면에 나타난 적층 플로링 및 적층 집성판재의 제조방법을 각제조 단계 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원목을 제재 및 건조하는 단계
먼저, 적층 플로링과 적층 집성판재의 경우 모두, 표판(1) 및 표판층(11)과 이판(3) 및 이판층(13)의 재료로 낙엽송 등의 원목을 일정한 두께, 예컨대 6mm 내지 55mm 정도의 두께로 제재한 후 일정한 간격으로 잔적하여, 60일 내지 240일 이상의 기간 동안 천연 건조시킨다. 상기 천연 건조는 일반 목재를 건조시키는 경우와 동일하게, 직사광선을 가릴 수 있고 통풍 및 구배가 잘 되어 물이 잘 빠질 수 있는 장소에서 이루어진다. 그 후, 열기건조기와 같은 인공건조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재되고 천연 건조된 판재들을 함수율 10% 이하로 더 건조시킨다.
중판(2) 및 중판층(12)도 리기다 소나무 등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재 및 건조시킨다.
나. 원목을 4면 대패질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제재되고 건조된 판재를, 자동 사면포를 이용하여 일정한 폭, 예컨대 약 95mm 내지 300mm, 및 일정한 두께, 예컨대, 약 3mm 내지 9mm로 대패질한다. 상기와 같은 폭 및 두께는 플로링 및 집성판재 제조시의 일반적인 규격에 기한 것으로, 각각의 목적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반드시 그와 같은 폭 및 두께로 제재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중판(2) 및 중판층(12)을 형성하는 판재도 상기와 같은 두께 및 폭으로 4면 대패질할 수 있으나, 이들은 일정한 길이로 먼저 절단되어야 한다. 즉, 적층 플로링의 경우 플로링 폭 만큼의 길이로 판재를 절단하여야 하며, 적층 집성판재의 경우, 표판층(11) 또는 이판층(13)의 폭에 해당하는 길이로 절단되어야 할 것이다.
다. 적층, 접착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대패질한 판재들을 서로 목리가 교차하게 3층 이상으로 적층, 접착함으로써 적층 플로링 또는 적층 집성판재를 제조할 수 있다.
적층 플로링의 경우에는, 먼저 도 1에 나타낸 이판(3)을 스프레더(spreader)를 통과시킴으로써 접착제를 고르게 도포하고, 그 위에 중판(2)들을 이판(3)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간격, 예컨대 10mm 정도를 띄운 후 서로 밀착되게 올려놓는다. 그 후 표판(1)을 스프레더를 통과시켜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것을 상기 중판(2)들 위에 이판(3)의 가장자리와 맞추어 올려 놓은 후 콜드 프레스로 압축한다. 이와 같은 적층, 접착 방법에 따라,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은 암수홈이 형성되게 된다.
적층 집성판재에 있어서는, 적층에 앞서, 먼저 각 층을 구성하는 판재들을 그들의 폭 방향으로 다수개씩 접착하는 과정이 선행된다. 즉,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의 판재들을 그들의 폭 방향으로 접착함으로써 표판층(11), 중판층(12), 및 이판층(13)의 각 층을 제조한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층 판재들의 마구리의 나이테 모양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립마다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접착한다. 이와 같이 접착하는 것이 목재의 휨이나 비틀림 등을 방지하는데 더욱 효과적이다. 이러한 접착 방식은 상기 적층 플로링의 중판(2)의 접착 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그 후, 접착되어 제조된 각 층의 표면을 와이어벨트샌더를 이용하여 평활하게 샌딩하고, 이들 샌딩된 층들 중 중판층(12)을 중간에 놓고 표판층(11)과 이판층(13)을 상기 중판층(12)과 목리가 교차되도록 놓아 접착함으로써 적층 집성판재를 제조한다. 또한 이 때,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판층(11)과 이판층(13)은 그들 각 층을 구성하는 판재들 사이의 접착면(a)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고 엇갈리도록 접착하는 것이 목재의 휨이나 비틀림 등을 방지하는데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 적층 플로링 및 적층 집성판재의 적층, 접착에 있어서, 접착제로는 수용성 본드로서 환경 오염을 일으키지 않으며 내수성 및 내열성이 강한 상온 및 열경화용의 2액형 합성수지 접착제를 사용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목재집성에 주로 사용하는 한국산 오공본드 No. MPU500/HH50을 사용하였다. 상기 2액형 합성수지 본드의 주성분은 변성 비닐우레탄이며, 이를 경화제와 약 100:15의 비율로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접착제의 도포량은 180~250 g/m2정도가 적당하며, 이를 도포하여 2 시간 동안 압착시킨 후 해압하여 5일간 양생하는 것이 최적의 접착 성능을 갖는다. 그러나, 상술한 접착제의 배합 비율, 도포량, 도포시간 및 양생시간 등은 반드시 상기한 바에 제한되지 않고, 각각의 경우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라. 마무리 단계
마무리 단계에서는, 적층 플로링의 경우 형성된 암수홈이 서로 잘 끼워질 수있도록 그 부분을 사포 등으로 매끄럽게 마무리한다.
이상 설명한 바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적층 플로링 및 적층 집성판재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고안의 정신 및 본원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구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적층 플로링 및 적층 집성판재는 목재의 휨이나 갈라짐을 방지할 수 있고 목재의 팽창, 수축율이 감소되어 여러 가지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종래 단순히 톱밥이나 펄프재로만 사용되던 국산 소경목을 이용하여 고급 건축자재를 생산할 수 있게 하므로, 비싼 수입산 원목에 의한 외화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적층 플로링은, 특히 별도의 장부가공(암수가공) 없이 플로링의 연결부에 장부가 형성되도록 접착하는 공정을 포함함으로써, 작업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그러한 끼워지기가 원소재에 의하여 가능하게 되므로 강도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적층 집성판재는 소경재인 원목을 길이 방향으로 제재하여 여러 쪽을 폭 방향으로 접착함으로써 통판의 원목 질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Claims (7)

  1. 소경재의 원목을 서로 목리가 교차하게, 표판과 이판을 포함하여 3층 이상 적층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플로링.
  2. 제 1 항에 있어서, 목리가 교차하도록 적층, 접착한 층들에 의해 플로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플로링.
  3.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목리가 교차하게 적층된 표판, 중판 및 이판의 3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플로링.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판 및 이판의 재료로서 낙엽송, 편백나무, 삼나무, 박달나무, 오리나무, 엄나무, 다릅나무, 잣나무, 밤나무, 및 단풍나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소경재를 사용하고, 상기 표판과 이판 사이에 적층되는 중판들은 리기다 소나무, 잣나무, 전나무, 은사시나무, 및 포플러 나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소경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플로링.
  5. 소경재의 원목을 서로 목리가 교차하게, 표판층과 이판층을 포함하여 3층 이상 적층하되, 상기 표판층과 이판층은 원목 판재들을 그들의 폭 방향으로 2쪽 이상 부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집성판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서로 목리가 교차하게 적층된 표판층, 중판층 및 이판층의 3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집성판재.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판층 및 이판층의 재료로서 낙엽송, 편백나무, 삼나무, 박달나무, 오리나무, 엄나무, 다릅나무, 잣나무, 밤나무, 및 단풍나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소경재를 사용하고, 상기 표판층과 이판층 사이에 적층되는 중판들은 리기다 소나무, 잣나무, 전나무, 은사시나무, 및 포플러 나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소경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집성판재.
KR2020010022552U 2001-07-25 2001-07-25 소경재를 이용한 적층 플로링 및 적층 집성판재 KR2002512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552U KR200251239Y1 (ko) 2001-07-25 2001-07-25 소경재를 이용한 적층 플로링 및 적층 집성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552U KR200251239Y1 (ko) 2001-07-25 2001-07-25 소경재를 이용한 적층 플로링 및 적층 집성판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594A Division KR20030009923A (ko) 2001-07-24 2001-07-24 소경재를 이용한 적층 플로링, 적층 집성판재 및 이들의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239Y1 true KR200251239Y1 (ko) 2001-11-22

Family

ID=73067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552U KR200251239Y1 (ko) 2001-07-25 2001-07-25 소경재를 이용한 적층 플로링 및 적층 집성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2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61730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шпона
US1133855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timber composite, the timber composite obtained and decorative panels comprising such timber composite
US1170186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timber composite, the timber composite obtained and decorative panels comprising such timber composite
JP2733641B2 (ja) 建築用板
KR102287820B1 (ko) 합판과 고밀도 섬유판이 결합된 마루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6030445A (ja) ハイブリッド木質コア集成材の製造方法
CN100999954A (zh) 均衡型三层实木复合地板及其制作方法
CN111519862A (zh) 一种贴有天然名贵木皮层的实木复合地板及生产工艺
KR200334715Y1 (ko) 겹층 집성판재
JP2008503369A (ja) 化粧合板
CN102896665B (zh) 实木组合型基板及其加工制作方法
KR20030009923A (ko) 소경재를 이용한 적층 플로링, 적층 집성판재 및 이들의제조방법
CN104552538A (zh) 绿色环保高强度抗变形实木复合门的制作方法
KR200251239Y1 (ko) 소경재를 이용한 적층 플로링 및 적층 집성판재
JPH0351459Y2 (ko)
JP6719144B1 (ja) 合板製造方法及び木質家具材
KR100545364B1 (ko) 원목 판넬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원목판넬
CN113619244A (zh) 一种新型负离子净醛耐磨生态板
JP2596358Y2 (ja) 化粧板
JPH11129211A (ja) 複合塗装型枠合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72935Y1 (ko) 장식용 원목패널
JP2549259Y2 (ja) 積層板
JPH09174506A (ja) 木質建築材の製造方法
CN108297239A (zh) 一种竖木地板制造方法
JP2523238Y2 (ja) 積層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