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583Y1 - wireless hands free system for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wireless hands free system for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583Y1
KR200247583Y1 KR2020010017884U KR20010017884U KR200247583Y1 KR 200247583 Y1 KR200247583 Y1 KR 200247583Y1 KR 2020010017884 U KR2020010017884 U KR 2020010017884U KR 20010017884 U KR20010017884 U KR 20010017884U KR 200247583 Y1 KR200247583 Y1 KR 2002475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earphone
wireless earphone
mobile termi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88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창진
장영일
Original Assignee
김창진
장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진, 장영일 filed Critical 김창진
Priority to KR2020010017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58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583Y1/en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차량용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무선핸즈프리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의 이어폰/마이크 단자와 접속될 수 있게 형성된 플러그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모국장치와, 모국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이어폰을 구비하며, 모국장치는 무선송신모드에서 음향 출력레벨을 조정할 수 있는 볼륨조정키에 의해 설정된 레벨에 대응되게 무선이어폰을 향해 출력하는 음향신호의 출력파워를 조정하거나, 음향레벨 설정정보를 무선 이어폰으로 송출하여 볼륨조정키에 의해 설정된 음향레벨에 대응되는 음향신호가 무선이어폰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용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에 의하면, 모국장치에 마련된 볼륨조정키로 무선 이어폰의 음향 출력레벨을 조정할 수 있어 차량운전자의 전방 시야내에 설치한 모국장치의 볼륨조정키를 조작하여 무선이어폰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어 볼륨 조작을 위한 운전자의 집중력 저하를 억제시킬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더욱 줄일 수 있고, 무선 이어폰상에 별도의 볼륨키를 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무선 이어폰의 구조가 단순해지는 장점이 있다.A wireless hands-free system for a vehicle is disclosed. The wireless hands-free system includes a mother station apparatus for processing a signal received through a plug formed to be connected to an earphone / microphone terminal of a mobile terminal, and a wireless earphone for wirelessly outputt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mother apparatus. Adjust the output power of the sound signal output to the wireless earphone corresponding to the level set by the volume control key that can adjust the sound output level in the wireless transmission mode, or send the sound level setting information to the wireless earphone to the volume control key. The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ound level set by the user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wireless earphone. According to such a wireless hands-free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the sound output level of the wireless earphone can be adjusted using the volume adjustment keys provided in the mother station apparatus, and the output of the wireless earphone is adjusted by operating the volume adjustment key of the mother apparatus installed in the front view of the vehicle driver.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river's deterioration in concentration for the volume operation can further reduce the risk of accident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of the wireless earphone is simplified by not having to install a separate volume key on the wireless earphone.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용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wireless hands free system for mobile phone}Wireless hands free system for mobile terminal

본 고안은 이동 단말기용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며 이동단말기와 접속된 모국장치의 키조작을 통해 무선 이어폰의음향 출력파워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이동 단말기용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hands-free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hands-free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which is installed in a vehicle and is capable of adjusting the sound output power of a wireless earphone through key operation of a mother st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It is about.

최근 개인 휴대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아날로그 및 디지털방식의 셀룰러 폰(Cellular phone), 간이휴대전화(PCS폰)등의 다양한 핸드폰(이하, 이동 단말기라 한다)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mobile phon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bile terminals) such as analog and digital cellular phones and cellular phones (PCS phones) have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특히, 이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휴대 및 이동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경량화 및 소형화되고 있다.In particular, such a mobile terminal has been reduced in weight and size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carrying and moving.

그런데, 차량 운전자가 운전중에 이동단말기를 파쥐한 상태에서 통화하는 것은 집중력 분산으로 인해 사고의 발생을 유발할 수 있다.However, when a vehicle driver calls while holding a mobile terminal while driving, an accident may occur due to concentration dispersal.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통화할 수 있는 유선 핸즈프리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a wired hands-free system that can make a call without using a hand has been used.

도 1은 이동단말기의 종래 유선 핸즈프리 장치를 나타내보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ired hands-free device of a mobile terminal.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일 측에는 마이크/이어폰 잭(11)이 마련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microphone / earphone jack 11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유선 핸즈프리 장치는 마이크/이어폰 잭(11)에 삽입되는 플러그(4), 플러그(4)로부터 와이어(3)를 통해 연결된 이어폰(1) 및 마이크(2)를 구비한다.The wired hands-free device has a plug 4 inserted into the microphone / earphone jack 11, an earphone 1 and a microphone 2 connected from the plug 4 via a wire 3.

이어폰(1)은 플러그(4)를 통해 이동 단말기(10)로 수신된 상대 통화자의 음성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마이크(2)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이동 단말기(10)로 전달한다.The earphone 1 transmits the voice of the other party's caller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10 through the plug 4 to the user, and the microphone 2 receives the user's voice and delivers it to the mobile terminal 10.

이와 같은 유선 핸즈프리장치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를 직접 사용하지않고도, 그 일측에 형성된 마이크/이어폰 잭(11)으로부터 인출되어 와이어(3)로 연장된 마이크(2)와 이어폰(1)을 통하여 상대 통화자와 통화할 수 있다.The wired hands-free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microphone 2 and the earphone 1 withdrawn from the microphone / earphone jack 11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extended to the wire 3 without the user directly using the mobile terminal 10. You can talk with the other party.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유선 핸즈프리 장치에 의하면, 의복이나 신체에 와이어가 걸려 인장될 경우에 마이크/이어폰 잭(11)에 삽입된 플러그(4)가 이탈되어 통화가 단절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보관시 와이어(3)가 엉키거나 단선될 우려가 있으므로 관리하기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such a conventional wired hands-free device, when a wire is caught in a garment or a body, the plug 4 inserted into the microphone / earphone jack 11 may be detached and the call may be cut off. In addition, there is a risk that the wire 3 is tangled or disconnected during storage, which is cumbersome to manage.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코자 이동단말기로 수신된 상대 통화자의 음성신호를 무선방식으로 수신할 할 수 있는 무선 이어폰이 개발되고 있다. 무선 이어폰은 유선 핸즈프리 장치와는 달리 자체 배터리를 내장시켜 동작된다.In order to improve such inconvenience, wireless earphones that can receive a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manner have been developed. Unlike corded hands-free devices, wireless earphones operate with a built-in battery.

이러한 종래의 무선 이어폰은 수신된 음향신호를 설정된 증폭율에 따라 증폭하여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사용자 마다 청각 능력이 다르고, 사용 환경 즉, 시끄러운 장소이냐 또는 조용한 장소이냐에 따라 청각능력이 변동되어 사용자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음향출력레벨을 조정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wireless earphone is configured to amplify and output the received sound signal according to a set amplification factor. However, the hearing ability is different for each user, the hearing abilit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that is, a noisy place or a quiet place, and thus the sound output level cannot be adjust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user environment.

한편, 무선 이어폰 자체적으로 음향출력레벨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키가 더 설치되어야 하는등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earphone itself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sound output level, but for this purpos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tructure can be complicated, such as a separate key must be installed mor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무선 이어폰의 출력 레벨을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용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hands-free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an output level of a wireless earphone.

도 1은 종래의 유선 핸즈프리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ired hands free devic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핸즈프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 이고,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ands-free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핸즈 프리 시스템의 일부를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블럭도이고,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art of the hands free system of FIG. 2 in detail;

도 4는 도 2의 모국장치의 출력파워 조정과정을 나타내 보인 플로우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utput power adjusting process of the mother station apparatus of FIG. 2.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20 : 이동 단말기 11, 31 : 마이크/이어폰 잭10, 20: mobile terminal 11, 31: microphone / earphone jack

30: 모국장치 40: 전원부30: mother station device 40: power supply

50: 무선 이어폰50: wireless earphon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의 이어폰/마이크 단자와 접속될 수 있게 형성된 플러그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모국장치와, 상기 모국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송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무선이어폰을 구비하는 이동단말기용 무선 핸즈 프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국장치는 음향 출력레벨을 조정할 수 있는 볼륨조정키에 의해 설정된 레벨에 대응되게 상기 무선이어폰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의 레벨이 조정되도록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이어폰으로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ireless hands-free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her statio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plug formed to be connected to an earphone / microphone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and from the mother station apparatus. In a wireless hands-free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having a wireless earphone for processing a signal transmitted wirelessly, the mother station apparatus is output from the wireless earphone corresponding to the level set by the volume adjustment key for adjusting the sound output level.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 signal to adjust the level of the sound signal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wireless earphone.

상기 모국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어폰/마이크 단자를 통해 수신된 음향신호를 변조하여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송출부와; 상기 볼륨조정키에 의해 선택된 레벨에 따라 상기 무선 이어폰으로 송출하는 음향 신호의 출력파워가 조절되도록 상기 무선송출부를 제어하는 모국 콘츄롤러;를 구비한다.The mother station apparatus includes a wireless transmitter for modulating and transmitting a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earphone / microphone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wirelessly; And a mother station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wireless transmitter so that the output power of the acoustic signal transmitted to the wireless earphon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level selected by the volume adjustment key.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국장치는 상기 볼륨조정키에 의해 선택된 레벨설정정보 생성하여 상기 무선이어폰에 송출하고, 상기 무선이어폰은 수신된 레벨선택정보에 따라 수신된 음향신호의 증폭율을 조정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her station generates and transmits the level setting information selected by the volume adjustment key to the wireless earphone, and the wireless earphone adjusts the amplification rate of the received sound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level selection information. d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 wireless hands-free system and a control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less hands-free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용 무선 핸즈 프리시스템은 플러그(31)를 통해 이동단말기의 이어폰/마이크 단자와 접속되는 모국장치(30)와, 모국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무선 이어폰(50)을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wireless hands-free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includes a mother station apparatus 30 connected to an earphone / microphone terminal of a mobile terminal through a plug 31, and a wireless earphone 50 for process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mother apparatus. It is provided.

모국장치(30)는 이동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31a)와, 본체(31a)상에 이동단말기(20)와의 접속용 플러그(31), 외부전원 접속용 전원코드(41) 및 볼륨조정키(36c), 스피커(33a), 마이크로폰(37)이 마련되어 있다.The mother station apparatus 30 includes a main body 31a formed to mount a mobile terminal, a plug 31 for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20 on the main body 31a, a power cord 41 for connecting external power, and a volume. An adjustment key 36c, a speaker 33a, and a microphone 37 are provided.

모국장치는 볼륨조정키(36c)에 의해 설정된 파워에 대응되는 음향신호가 무선이어폰(50)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송신신호의 파워를 조절한다.The mother station adjusts the power of the transmission signal so that a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wer set by the volume adjustment key 36c can be output from the wireless earphone 50.

또 다르게는, 모국장치(30)는 무선 송신신호의 파워는 일정하게 유지하되, 통화시, 초기화시 또는 볼륨조정키(36c) 조작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볼륨설정정보를 무선으로 무선이어폰(50)에 송신한다. 이 경우, 무선 이어폰(50)은 증폭율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모국장치(30)로부터 수신된 볼륨설정정보에 대응되게 수신된 음향신호의 증폭율을 조정하여 출력한다.Alternatively, the mother station apparatus 30 maintains the power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constant, and wirelessly sets the volume setting information wirelessly during a call, initialization, or whenever a volume control key 36c operation signal is input. To send). In this case, the wireless earphone 50 can adjust the amplification rate, and adjusts and outputs the amplification rate of the received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olum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ther station apparatus 30.

이러한 핸즈프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와 동일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such a hands free system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s in Fig. 2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면을 참조하면, 모국장치는 플러그(31), 무선 송신부(32), 음향 출력부(33), 모국 콘츄롤러(34), 메모리(35), 키조작부(36), 마이크로폰(37), 전원부(4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mother station apparatus includes a plug 31, a wireless transmitter 32, a sound output unit 33, a mother station controller 34, a memory 35, a key control unit 36, a microphone 37, and a power supply unit. 40.

무선 송신부(32)는 모국 콘츄롤러(34)에 제어되며 이동 단말기(20)의 이어폰/마이크 단자(21)로부터 플러그(31)를 통해 수신된 신호 및 모국콘츄롤러(34)로부터 수신된 전송대상 신호를 변조하여 무선으로 송출한다. 무선 송신부(32)는 송출대상 신호의 파워를 조정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reless transmitter 32 is controlled by the mother station controller 34 and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earphone / microphone terminal 21 of the mobile terminal 20 through the plug 31 and the transmission target received from the mother station controller 34. Modulate the signal and transmit it wirelessly. The radio transmitter 32 is preferably configured to adjust and output the power of the transmission target signal.

음향출력부(33)는 플러그(31)를 통해 수신된 음향신호를 출력한다. 음향출력부(33)는 스피커(33a) 이외에 음향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또는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의 신호 출력방식이 디지털 방식 즉, 디지털 음향 신호인 경우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구비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unit 33 outputs a sou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plug 31. The sound output unit 33 converts an analog signal to an analog signal when the signal output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to be applied is an amplifier for amplifying an acoustic signal, a filter for removing noise, or an applied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o the speaker 33a. A digital-to-analog converter may be provided.

마이크로폰(37)은 사용자로부터 발성된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모국 콘츄롤러(34)로 출력한다.The microphone 37 receives the voice signal spoken by the user and outputs it to the mother station controller 34.

키조작부(36)는 지원되는 각종 기능을 선택 할 수 있는 다수의 키가 마련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작부(36)는 볼륨조정키(36c) 이외에 통화키(36a), 녹음키(36b), 채널선택키(36d)를 구비한다.The key control unit 36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s for selecting various supported functions. Preferably, the operation unit 36 includes a call key 36a, a recording key 36b, and a channel selection key 36d in addition to the volume adjustment key 36c.

전원부(40)는 외부전원 바람직하게는 차량에서 공급되는 전원 즉, 시가잭과 접속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된 전원코드(41)와, 전원코드(41)를 통해 인입 받은 전력을 모국 장치(30)의 각 요소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40)는 인입된 전원을 무선 이어폰(50)의 충전부(57)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충전단자(42)가 구비된다.The power supply unit 40 is a power source 41, which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a vehicle, that is, a cigar jack,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and power received through the power cord 41. Supply it by converting the voltage required by each element of).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40 is provided with a charging terminal 42 to supply the incoming power to the charging unit 57 of the wireless earphone 50.

부하검출부(43)는 충전단자(42)에 무선 이어폰(50)의 충전부(57)가 접속 또는 분리됐는지를 검출하여 검출결과를 모국 콘츄롤러(34)로 출력한다.The load detection unit 43 detects whether the charging unit 57 of the wireless earphone 50 is connected or dis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42 and outputs the detection result to the mother station controller 34.

모국콘츄롤러(34)는 키조작부(36)에서 발생되는 키신호에 대응되는 처리를 수행한다. 즉, 모국콘츄롤러(34)는 이동 단말기(20)에서 착신음 신호가 발생될 때 통화키(36a)가 눌려지면 플러그(31)를 통해 이동단말기(20)로 상대 통화자와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통화 연결신호를 발생시킨다. 통화키(36a)가 선택되고 나면, 플러그(31)를 통해 이동단말기(20)와 접속된 모국장치(30) 또는 무선 이어폰(50)을 통해 통화가 이루어진다.The mother station controller 34 performs a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key signal generated by the key control unit 36. That is, when the call key 36a is pressed when the ring tone signal is generated in the mobile terminal 20, the mother country controller 34 enables the mobile terminal 20 to talk with the other party through the plug 31. Generate a call connection signal. After the call key 36a is selected, the call is made through the mother station device 30 or the wireless earphone 50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20 through the plug 31.

모국 콘츄롤러(34)는 녹음키(36b)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대 통화자와의 통화내역을 메모리(35)에 녹음시킨다. 녹음된 내용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키(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ther station controller 34 records the call history with the other party in the memory 35 when the recording key 36b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Preferably, a playback key (not shown) for reproducing the recorded content is further provided.

볼륨 조정키(36c)는 자체 또는 무선이어폰의 음향출력장치(33)(52)로 출력되는 음량의 레벨을 사용자가 원하는 레벨로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모국 콘츄롤러(34)는 볼륨 조정키(36c)에 의해 선택된 음량레벨에 대응되게 이동단말기(20)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가 자체 음향출력부(33) 또는 무선 이어폰(50)의 음향출력부(52)에서 출력되도록 처리한다.The volume control key 36c is for adjusting the level of the volume output to the sound output device 33 or 52 of the wireless earphone or the like to a level desired by the user. The home country controller 34 has the volume control key 36c. The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 is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52 of the own sound output unit 33 or the wireless earphone 50 in correspondence with the volume level selected by FIG.

채널선택키(36d)는 혼선 방지를 위해 무선송신 신호의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채널선택키(36d)에 의해 선택된 채널을 무선이어폰(50)이 셋팅할 수 있도록 모국 콘츄롤러(34)는 설정된 채널정보를 무선 이어폰(50)에 전송한다.The channel select key 36d can select a frequency of the radio transmission signal to prevent crosstalk. Preferably, the mother station controller 34 transmits the set channel information to the wireless earphone 50 so that the wireless earphone 50 can set the channel selected by the channel selection key 36d.

모국 콘츄롤러(34)는 부하 검출부(43)에서 무선 이어폰(50)의 충전부(57)가 충전단자(42)에 결합된 상태에 대응되는 결합신호가 수신되면, 플러그(31)로부터인입된 신호를 음향 출력부(33)와 무선 송신부(32)로 선택 출력하도록 마련된 스위치(44)를 제어하여 음향출력부(33)와 접속시킨다. 이와는 다르게, 모국 콘츄롤러(34)는 부하검출부(43)에서 무선 이어폰(50)의 충전부(57)가 충전단자(42)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대응되는 분리신호가 수신되면, 플러그(31)로부터 인입된 신호를 무선 송신부(32)로 선택 출력하도록 스위치(44)를 제어한다.When the mother controller 34 receives a combined signal corresponding to a state in which the charging unit 57 of the wireless earphone 50 is coupled to the charging terminal 42 in the load detector 43,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plug 31 is received. Control switch 44 provided to selectively output the sound output unit 33 and the wireless transmitter 32 to the sound output unit 33. On the contrary, when the separat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 which the charging unit 57 of the wireless earphone 50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terminal 42 is received at the load detector 43, the mother controller 34 receives the plug 31 from the plug 31. The switch 44 is controlled to selectively output the incoming signal to the radio transmitter 32.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치(44)를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Preferably, the switch 44 may be directly manipulated by a user.

모국 콘츄롤러(34)는 전원부(4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 동안은 설정된 간격으로 액티브 상태임을 알리는 활성신호가 무선 송신부(32)를 통해 송출되도록 무선송신부(32)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ther station controller 34 controls the radio transmitter 32 so that an active signal that is notified at the set interv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radio transmitter 32 while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42 and operating in an active state. It is preferable.

한편, 모국장치(3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며 사용자의 귀에 장착 가능한 형태로 된 무선 이어폰(50)은 무선수신부(51), 음향 출력부(52), 활성신호 검출부(53), 지국 콘츄롤러(54), 충전부(57), 충전전위 검출부(58), 접속/분리 검출부(59)를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earphone 50 that receives and process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ther station device 30 and can be mounted on the user's ear is the wireless receiver 51, the sound output unit 52, the active signal detector 53, A station controller 54, a charging section 57, a charging potential detection section 58, and a connection / separation detection section 59 are provided.

무선 수신부(5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한다.The radio receiver 51 demodulates and outputs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음향 출력부(52)는 무선수신부(51)에서 복조되어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음향 출력부(52)는 수신된 음향신호의 증폭율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ound output unit 52 outputs a sound signal that is demodulated and output from the radio receiver 51. Preferably, the sound output unit 52 is configured to adjust the amplification rate of the received sound signal.

활성신호 검출부(53)는 무선 수신부(5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중 활성신호가 있는지를 검출하여 지국 콘츄롤러(54)에 출력한다.The active signal detector 53 detects whether there is an active signal among the signals output from the radio receiver 51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station controller 54.

충전부(57)는 모국 장치(30)의 충전단자(42)와 결합될 수 있는 인입 단자(57)를 구비하고, 충전된 전력을 각 요소로 공급한다.The charging unit 57 has an inlet terminal 57 that can be coupled to the charging terminal 42 of the mother country device 30, and supplies the charged power to each element.

바람직하게는 충전부(57)는 모국장치(30)의 전원부(40)와 접속된 상태에서는 모국 장치(30)로부터 지국 콘츄롤러(54)로 인입단자(57)를 통해 직접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지국 콘츄롤러(54)와 결선되어 있고, 전원부(40)로 분리된 상태에서는 충전부(57)를 통해 출력되는 전력이 지국 콘츄롤러(54)에 제어되어 전력 공급 또는 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Preferably, the charging unit 57 is capable of supplying power directly from the mother station apparatus 30 to the station controller 54 through the inlet terminal 57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40 of the mother station apparatus 30. In the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4 and separated by the power supply unit 40, the power output through the charging unit 57 is controlled by the station controller 54 to supply or cut off power.

충전전위 검출부(58)는 충전부(57)에서 출력되는 전위레벨을 검출하여 지국 콘츄롤러(54)에 출력한다.The charging potential detection unit 58 detects the potential level output from the charging unit 57 and outputs it to the station controller 54.

접속/분리 검출부(59)는 충전부(57)의 인입단자(57a)가 전원부(40)의 충전단자(42)와 결합 또는 분리됐는지를 검출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지국 콘츄롤러(54)에 출력한다.The connection / disconnection detection unit 59 detects whether the inlet terminal 57a of the charging unit 57 is coupled or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terminal 42 of the power supply unit 40, and outputs a corresponding signal to the station controller 54.

휴지모드 선택키(55)는 무선 이어폰(50)을 이용한 통화모드 또는 절전모드 를 선택할 수 있는 키이다.The idle mode selection key 55 is a key for selecting a call mode or a power saving mode using the wireless earphone 50.

지국 콘츄롤러(54)는 전원부(40)로부터 충전부(57)가 분리된 상태로 판단되면 카운터(56)를 가동시켜, 활성신호가 설정된 시간동안 비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모국장치(30)가 비 활성상태 즉, 전원부(40)가 외부전원인 시가잭으로부터 전력공급이 차단된 상태로 판단하여 충전부로부터 각 요소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되도록 셨다운 시킨다. 이 경우 충전부(57)로부터 각 요소로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출력경로상에 직렬상으로 순차적으로 마련된 제1스위칭부(미도시)와 제2스위칭(미도시)가 구비된다. 또한, 휴지모드 선택키(55) 조작 신호를 발생하는 부분과 지국 콘츄롤러(54)는 제1스위칭부를 거쳐 공급되는 전력을 공급받도록 결선 되어 있고, 나머지 요소(51)(52)(53)(58)(59)는 제2스위칭부를 거쳐 공급되는 전력을 공급받도록 결선된다. 그러면, 지국 콘츄롤러(54)는 충전부(57)의 인입단자(57a)로부터 직접 전력을 공급받는 동안 기동한 다음에 충전부(57)가 전원부(42)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지국콘츄롤러(54)에 제어되는 제1 및 제2 스위칭부의 제어결과에 따라 전체 또는 일부 요소로의 전력 공급 또는 차단이 이루어진다.The station controller 54 operates the counter 56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unit 57 is separat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40. When the station controller 54 determines that the activation signal has not been received for a set time, the mother station apparatus 30 In the inactive state, that is, the power supply 40 determines that the power supply is cut off from the cigar jack, which is an external power source, so that the power supply from the charging unit to each element is cut off. In this case, a first switching unit (not shown) and a second switching unit (not shown) are sequentially provided in series on an output path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charging unit 57 to each element. In addition, the portion generating the idle mode selection key 55 operation signal and the station controller 54 are connected to receive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switching portion, and the remaining elements 51, 52, 53 ( 58 and 59 are connected to receive power supplied through the second switching unit. Then, the station controller 54 is started while being directly supplied power from the inlet terminal 57a of the charging unit 57, and then the station controller 54 in the state where the charging unit 57 is separat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42. Depending on the control result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 controlled to the power supply or cutoff to all or some elements is made.

충전전위 검출부(58)는 충전부(57)에서 출력되는 전위레벨을 검출하여 지국 콘츄롤러(54)에 출력한다.The charging potential detection unit 58 detects the potential level output from the charging unit 57 and outputs it to the station controller 54.

접속/분리 검출부(59)는 충전부(57)의 인입단자(57a)가 전원부(40)의 충전단자(42)와 결합 또는 분리됐는지를 검출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지국 콘츄롤러(54)에 출력한다.The connection / disconnection detection unit 59 detects whether the inlet terminal 57a of the charging unit 57 is coupled or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terminal 42 of the power supply unit 40, and outputs a corresponding signal to the station controller 54.

휴지모드 선택키(55)는 무선 이어폰(50)을 이용한 통화모드 또는 절전모드 를 선택할 수 있는 키이다. 휴지모드 선택키(55)가 온되면, 즉, 절전모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휴지모드 선택키 조작신호만 입력받을 수 있도록 지국 콘츄롤러(54) 또는 휴지모드 선택키(55)만 활성화 시키고 타 요소로의 전력공급은 차단시키도록 제1스위칭부(61)는 온시키되 제2스위칭부(62)는 오프시킨다. 이 경우 제2스위칭부를 온시키면 각 요소로의 전력공급이 개시되어 다시 통화모드로 전환된다.The idle mode selection key 55 is a key for selecting a call mode or a power saving mode using the wireless earphone 50. When the idle mode selection key 55 is turned on, that is, when the power saving mode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only the station controller 54 or the idle mode selection key 55 is activated to receive only the idle mode selection key operation signal. The first switching portion 61 is turned on while the second switching portion 62 is turned off to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element. In this case, when the second switching unit is turned on, power supply to each element is started and the communication mode is switched again.

바람직하게는 지국 콘츄롤러는 무선 수신부로부터 볼륨설정신호가 수신되면, 대응되는 파워로 음향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음향출력부를 제어한다.Preferably, the station controller controls the sound output unit so that a sound signal can be output at a corresponding power when the volume sett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receiver.

이러한 핸즈프리 시스템의 음향신호 조정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 sound signal adjusting process of the hands-free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먼저, 볼륨조정키(36c) 조작신호가 입력됐는지를 판단한다(단계 100).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peration signal of the volume adjustment key 36c has been input (step 100).

볼륨조정키 조작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 송신모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11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olume adjustment key operation signal has been input,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a wireless transmission mode (step 110).

무선 송신모드 즉, 스위치(44)가 무선 송신부와 접속된 상태이면, 무선송신부의 송신 파워를 선택된 볼륨조정레벨에 대응되게 조정하여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단계 120). 또 다르게는 볼륨조정선택정보를 무선 이어폰으로 송출한다. 이 경우 무선 이어폰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신된 볼륨조정선택정보에 따라 수신신호의 증폭율을 조정한다.When the wireless transmission mode, that is, the switch 44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is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selected volume adjustment level to amplify and output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step 120). Alternatively, the volume adjustment sele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earphone. In this case, the wireless earphone adjusts the amplification rate of the received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volume adjustment selection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단계 110에서 무선송신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향신호를 선택된 볼륨조정레벨에 대응되게 증폭하여 스피커(33a)로 출력한다(단계 130).If it is determined in step 110 that the wireless transmission mode is not in a wireless mode, the amplified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olume control level is output to the speaker 33a (step 130).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에 의하면, 모국장치에 마련된 볼륨조정키로 무선 이어폰의 음향 출력레벨을 조정할 수 있어 차량운전자의 전방 시야내에 설치한 모국장치의 볼륨조정키를 조작하여 무선이어폰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어 볼륨 조작을 위한 운전자의 집중력 저하를 억제시킬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더욱 줄일 수 있고, 무선 이어폰상에 별도의 볼륨키를 설치하지 않아도 구조가 단순화 되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so far, according to the wireless hands-free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ume control key of the mother station apparatus installed in the front view of the vehicle driver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sound output level of the wireless earphone with the volume adjusting key provided in the mother station apparatus. The output of the wireless earphone can be adjusted by controlling the driver's ability to concentrate on the volume control,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nd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volume key on the wireless earphone. There is an advantage.

Claims (3)

이동 단말기의 이어폰/마이크 단자와 접속될 수 있게 형성된 플러그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모국장치와, 상기 모국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송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무선이어폰을 구비하는 이동단말기용 무선 핸즈 프리 시스템에 있어서,Wireless hands for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mother statio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plug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earphone / microphone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wireless earphone for processing a signal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mother terminal apparatus. In the free system, 상기 모국장치는 음향 출력레벨을 조정할 수 있는 볼륨조정키에 의해 설정된 레벨에 대응되게 상기 무선이어폰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의 레벨이 조정되도록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이어폰으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무선 핸즈프리시스템.The mother station apparatus generates a signal so that the level of the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wireless earphone is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level set by the volume adjustment key for adjusting the sound output leve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wireless earphone. Wireless hands-fre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국장치는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other country apparatus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어폰/마이크 단자를 통해 수신된 음향신호를 변조하여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송출부와;A wireless transmitter for modulating and transmitting the acoustic signal received through the earphone / microphone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wirelessly; 상기 볼륨조정키에 의해 선택된 레벨에 따라 상기 무선 이어폰으로 송출하는 음향 신호의 출력파워가 조절되도록 상기 무선송출부를 제어하는 모국 콘츄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용 무선 핸즈프리시스템.And a mother sta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transmitter so that the output power of the acoustic signal transmitted to the wireless earphon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level selected by the volume adjustment ke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국장치는 상기 볼륨조정키에 의해 선택된 레벨선택정보를 상기 무선이어폰에 송출하고,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other station apparatus sends the level selection information selected by the volume adjustment key to the wireless earphone, 상기 무선이어폰은 수신된 레벨선택정보에 따라 수신된 음향신호의 증폭율을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용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The wireless earphone wireless hands-free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amplification rate of the received sound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level selection information.
KR2020010017884U 2001-06-15 2001-06-15 wireless hands free system for mobile phone KR20024758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884U KR200247583Y1 (en) 2001-06-15 2001-06-15 wireless hands free system for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884U KR200247583Y1 (en) 2001-06-15 2001-06-15 wireless hands free system for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583Y1 true KR200247583Y1 (en) 2001-10-31

Family

ID=73103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884U KR200247583Y1 (en) 2001-06-15 2001-06-15 wireless hands free system for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58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8276B2 (en) Activatio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ellular voice communication through a radio system
GB2343080A (en) Headset for mobile phone/radio combination has a device for muting the radio signal when the phone is in use
JP2010283873A (en) Microphone techniques
WO200805163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ersonal hands-free accessory with audio disable
GB2366955A (en) A portable terminal having both telephone conversation and music playback functionality
JPH10304030A (en) Portable telephone system
KR100422475B1 (en) Speaker module connectable to an ear-jack and conversation method thereby
WO2001087012A1 (en) Hearing aid
US20030076952A1 (en) Earphon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eiving telephone calls
JPH10224449A (en) Portable telephone set hand-free device
KR200247583Y1 (en) wireless hands free system for mobile phone
US20060258411A1 (en) Multifunction audio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earphone
KR100469847B1 (en) Multi-function signal video/audio phone
KR100355080B1 (en) A hanger of partable phone handsfree
KR20020095622A (en) wireless hands free system for mobile phone and method of controling thereof
KR20000037963A (en) Hands-free unit for cellular phone
KR200258287Y1 (en) Multi-function signal video/audio phone
JPH0456505B2 (en)
KR100619799B1 (en) Earphone- microphone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telephone volum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2164997A (en) On-vehicle hands-free device for mobile phone
KR200238628Y1 (en) Hands-free apparatus having a wireless mike
KR200194782Y1 (en) A hands free device for a mobile telephone
KR20040076910A (en) Voice recogntion function hand free
KR10049697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outside speaker of mobile phone
EP1722593A1 (en) Multifunction audio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ear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