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525Y1 - 단열블록 - Google Patents

단열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525Y1
KR200246525Y1 KR2020010019607U KR20010019607U KR200246525Y1 KR 200246525 Y1 KR200246525 Y1 KR 200246525Y1 KR 2020010019607 U KR2020010019607 U KR 2020010019607U KR 20010019607 U KR20010019607 U KR 20010019607U KR 200246525 Y1 KR200246525 Y1 KR 2002465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block
main body
construction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재원
Original Assignee
류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재원 filed Critical 류재원
Priority to KR2020010019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5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5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525Y1/ko

Link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폴리우레탄폼 또는 재생 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진 단열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하는 구멍(13)을 다수개 형성한 본체블록(20)을 갖는 블록에 있어서, 상기 본체블록(20)의 상면 양모서리와 우측면 양모서리에는 횡돌출부(21)와 종돌출부(22)가 돌출형성되고, 하면 양모서리와 좌측면양모서리에는 상기 횡,종돌출부(21)(22)의 돌출높이만큼 함몰된 횡함물부(23)와 종함물부(24)가 함몰형성되고, 상기 본체블록(20)의 좌우양측면에는 오목하게 함물된 오목마구리(25)와 볼록하게 돌출된 볼록마구리(26)를 각각 형성하는 한편, 상기 본체블록(20)의 전,후면에는 보드부(30)를 각각 부착하여 상기 본체블록(20)의 상하적층시 서로 맞물려질수 있는 조립턱부와 조립홈부를 각각 형성하여 벽체외부와 내부양측면에서 열전달과 소음이 차단될수 있는 구조로 시공 및 취급이 간편하고, 시공후 단열성이 우수하여 에너지소비를 절감하고, 차음성능이 우수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도모할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단열블록{AN INSULATION BLOCK}
본 고안은 폴리우레탄폼 또는 재생 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진 단열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시공 및 취급이 간편하고, 시공후 단열성이 우수하여 에너지소비를 절감하고, 차음성능이 우수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도모할수 있는 단열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벽체시공에 사용되는 블록은 모래, 시멘트 및 첨가제를 일정한 비율로 배합한 후 일정한 틀에 넣었다가 빼내어 경화시켜 제조함으로서, 건축용으로 주로 쓰이며, 칸막이공사등의 간이공사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블록은 모르타르로서 인접하는 블록을 접합시켜서 쌓아올려 소망하는 벽체를 시공하였다.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블록(100)은 양사이드(52), 마구리(54) 그리고 상,하면(56)(58)을 관통하는 구멍(60)을 갖는 콘크리트재질의 직육면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블록은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복수개의 블록(100)으로서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모르타르(62)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양생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어 그 축조높이에 따라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축조후에는 모르타르층을 다듬질하는 마무리작업이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에 인력 및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종래의 블록(100)은 중량이 무겁고, 이동 및 시공중 쉽게 깨지거나 부스러짐이 발생하여 작업자가 시공작업을 할때 불편하며,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블록(100)을 이용한 벽체축조작업은 훈련된 기능공을 필요로 하게 되어 이에 따른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고, 시공후에는 벽체외관이 미려하지 않아 실내벽면등의 인테리어에 사용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동절기 난방용 내벽으로는 단열효과가 떨어져 에너지손실이 매우 커서 건축용 내부재료로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벽체외부와 내부양측면에서 열전달과 소음이 차단될수 있는 구조로로 시공이 간편하고, 축조작업시간을 단축할수 있어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시공후 외관이 미려하여 내부인테리어로 사용할 수 있는 한편, 단열성 및 흡음성이 우수한 단열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단열블록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열블록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전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열블록의 제 1실시예를 이용하여 벽체를 시공하는 작업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단열블록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단열블록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콘크리이트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콘크리이트 블록을 이용한 벽체시공을 도시한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본체블록 21 .... 횡돌출부
22 .... 종돌출부 23 .... 횡함몰부
24 .... 종함몰부 25 .... 오목마구리
26 .... 볼록마구리 30 .... 보드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고안은,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다수개 형성한 본체블록을 갖는 블록에 있어서,
상기 본체블록의 상면 양모서리와 우측면 양모서리에는 횡돌출부와 종돌출부가 돌출형성되고, 하면 양모서리와 좌측면양모서리에는 상기 횡,종돌출부의 돌출높이만큼 함몰된 횡함물부와 종함물부가 함몰형성되고, 상기 본체블록의 좌우양측면에는 오목하게 함물된 오목마구리와 볼록하게 돌출된 볼록마구리를 각각 형성하는 한편, 상기 본체블록의 전,후면에는 보드부를 각각 부착하여 상기 본체블록의 상하적층시 서로 맞물려지는 조립턱부와 조립홈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블록을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단열블록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열블록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전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열블록의 제 1실시예를 이용하여 벽체를 시공하는 작업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블록(1)은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같이, 벽체를 시공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킬수 있고, 단열 및 차음효과가 우수하여 시공후 주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블록(1)은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하는 구멍(13)을 다수개 형성한 본체블록(20)과, 그 양측면에 부착되는 보드부(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블록(20)은 상면의 양모서리에 상방으로 일정높이 돌출되는 횡돌출부(21)를 각각 형성하고, 우측면의 양모서리에도 측방으로 일정높이 돌출되는 종돌출부(22)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횡,종돌부(21)(22)는 동일한 돌출길이로 돌출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상면 양모서리의 반대편인 하면 양모서리에는 상기 횡돌출부(21)의 돌출높이만큼 일정깊이 함물된 횡함물부(23)를 형성하고, 상기 우측면 양모서리의 반대편인 좌측면 양모서리에도 상기 종돌출부(22)의 돌출높이만큼 일정깊이 함물된 종함물부(24)를 형성하며, 상기 횡,종함물부(23)는 동일한 함물깊이로 함물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본체블록(20)의 우측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일정깊이 함물된오목마구리(25)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블록(20)의 좌측면에는 상기 오목마구리(25)가 합형되어 서로 맞물려질수 있는 볼록마구리(26)를 볼록하게 돌출형성하며, 상기 오목마구리(25)의 함물깊이는 상기 볼록마구리(26)의 볼록한 돌출높이와 동일하여야 한다.
이러한 상기 본체블록(20)은 경질우레탄폼 또는 폐냉장고 제조공장등에서 산업쓰레기로 처리되는 재생우레탄폼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한편, 상기 본체블록(20)의 전,후면에는 판상의 보드부(30)를 몰드내에 삽입하여 우레탄의 자가접착력으로 일체 성형시키면, 상기 횡,종돌출부(21)(22)의 돌출형상을 보다 구체화하여 조립턱부를 형성하고, 횡,종함물부(23)(24)의 함몰형상을 보다 구체화하여 조립홈부를 각각 형성할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블록(20)의 전,후면에 부착되는 보드부(30)의 재질은 인조대리석, 강화유리, 타일, 석고보드, 인조석, 시멘트보드, 칩보드 및 OSB합판등을 선택적으로 채용하여 사용할수 있으며, 외관상으로 보여지는 보드부(30)의 다양한 재질변경으로 내,외부인테리어를 다양하게 꾸밀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단열블록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는 상술한 바와같이 횡,종돌출부(21)(22)와 횡,종함물부(23)(24) 및 오목,볼록마구리(25)(26)가 각각 형성되고, 전,후면에 보드부(30)가 부착된 본체블록(2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반원형 상,하부요홈(31)(32)을 각각 함몰형성하고, 상기 상,하부요홈(31)(32)에 채워지는 콘크리이트 및 구멍(13)에 채워지는 콘크리이트에는 내력벽으로 사용할수 있는 충분한 보강력을 얻을 수 있도록 다수의 수직, 수평철근(33)(34)을 각각 배설한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단열블록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이는 곡선형으로 휘어진 벽체를 시공하는데 적합하도록 곡선형으로 휘어진 단면상을 갖는 본체블록(20)의 양측면에 곡선 제작된 보드부(30)를 선택하여 부착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고안의 단열블록(1)을 이용하여 벽체를 시공하는 작업은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벽체를 시공하고자 하는 점에 기초 터파기 공사를 하여 기초를 다진 상태에서, 기초상에 올려지는 첫 번째 본체블록(20)의 오목마구리(25)에 두 번째 본체블록(20)의 볼록마구리(26)를 대응시켜 서로 맞물리면, 상기 본체블록(20)사이의 연결부위는 별도의 모르타르의 필요없이 끼움식으로 상기 오목마구리(25)와 볼록마구리(26)가 서로 틈새발생없이 1차 조립되며, 이때, 상기 오목마구리(25)와 볼록마구리(26)사이의 맞물림부위에서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접착제를 사용하여 조립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오목마구리(25)에 인접하는 본체블록(20)의 볼록마구리(26)를 끼움식으로 조립할 때, 상기 첫 번째 본체블록(20)의 우측면 모서리에 형성된 종돌출부(22)인 조립턱부가 두 번째 본체블록(20)의 좌측면 모서리에 형성된 종함몰부(24)인 조립홈부에 끼움식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서로 이웃하는 본체블록(20)들을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일자형으로 조립할수 있는 것이다.
한편, 길이방향으로 본체블록(20)의 축조가 종료된 후에, 상기 본체블록(20)상에 또다른 본체블록(20)를 적층하여 높이방향으로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 기시공된 본체블록(20)사이의 연결부위가 길이중앙부와 일치하도록 본체블록(20)를 올려놓으면, 상기 하부측 본체블록(20)의 횡돌출부(21)에 대하여 상기 상부측 본체블록(20)의 횡함몰부(23)가 서로 대응하여 삽입식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별도의 모르타르의 필요없이 본체블록(20)를 상하구조로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블록(20)를 서로 연결하는 축조작업시 블록간의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서 일액형 우레탄폼 접착제나 저발포 이액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조립부위를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체블록(20)을 일정높이까지 쌓아 벽체를 구성한 후에는 상기 본체블록(20)의 구멍(13)을 통하여 콘크리이트를 타설하여 채워넣으면, 상하블록간의 결속력을 더욱 강화시켜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것이다.
한편, 축조완성된 벽체를 구성하는 본체블록(20)은 0.39Kcal/mh℃ 의 경량시멘트블록보다 우수한 0.020 내지 0.049Kcal/mh℃의 열전도율이므로 약 10배의 단열효과가 있으며, 0.36NRC(Noise Reduction Coefficient)의 시멘트블록보다 우수한 0.63NRC의 흡음성능을 갖는 우레탄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공후 외부로의 열손실을 최대한 방지하여 에너지사용을 줄일수 있으며, 차음, 방음효과가 우수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이룰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블록간의 조립을 끼움식으로 간편하게 수행할수 있어 미숙련자도 용이하게 시공할수 있으며, 양생시간의 관계없이 다음공정을 계속진행 할수 있어 시공작업시간을 종래에 비하여 크게 단축할수 있고, 종,횡방향 보강력이 우수하여 내력벽으로도 사용할수 있다.
또한, 축조되는 본체블록이 우수한 단열성능 및 흡음성을 갖는 폴리우레탄재질로 이루어짐으로서, 시공후 열손실을 줄여 에너지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외부소음에 대해 차음 및 방음이 우수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4)

  1.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하는 구멍(13)을 다수개 형성한 본체블록(20)을 갖는 블록에 있어서,
    상기 본체블록(20)의 상면 양모서리와 우측면 양모서리에는 횡돌출부(21)와 종돌출부(22)가 돌출형성되고, 하면 양모서리와 좌측면양모서리에는 상기 횡,종돌출부(21)(22)의 돌출높이만큼 함몰된 횡함물부(23)와 종함물부(24)가 함몰형성되고, 상기 본체블록(20)의 좌우양측면에는 오목하게 함물된 오목마구리(25)와 볼록하게 돌출된 볼록마구리(26)를 각각 형성하는 한편, 상기 본체블록(20)의 전,후면에는 보드부(30)를 각각 부착하여 상기 본체블록(20)의 상하적층시 서로 맞물려질수 있는 조립턱부와 조립홈부를 각각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블록(20)의 상면과 하면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반원형 상,하부요홈(31)(32)을 각각 함몰형성하고, 상기 상,하부요홈(31)(32)에 채워지는 콘크리이트 및 구멍(13)에 채워지는 콘크리이트에는 내력벽으로 사용할수 있는 충분한 보강력을 얻을 수 있도록 다수의 수직, 수평철근(33)(34)을 각각 배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블록(20)은 폴리우레탄폼 또는 재생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블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블록(20)은 휘어진 벽체를 시공할수 있도록 곡선형으로 휘어진 단면상으로 구성되어 곡선으로 휘어진 보드부(30)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블록.
KR2020010019607U 2001-06-29 2001-06-29 단열블록 KR2002465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607U KR200246525Y1 (ko) 2001-06-29 2001-06-29 단열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607U KR200246525Y1 (ko) 2001-06-29 2001-06-29 단열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525Y1 true KR200246525Y1 (ko) 2001-10-17

Family

ID=73104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607U KR200246525Y1 (ko) 2001-06-29 2001-06-29 단열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52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460B1 (ko) * 2016-06-30 2017-10-12 저주 진 조립식 보강벽돌
KR20190131659A (ko) 2018-05-17 2019-11-27 홍진기 목재블록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460B1 (ko) * 2016-06-30 2017-10-12 저주 진 조립식 보강벽돌
WO2018004089A1 (ko) * 2016-06-30 2018-01-04 진저주 조립식 보강벽돌
CN109415900A (zh) * 2016-06-30 2019-03-01 金哲洙 组装式加强砖
KR20190131659A (ko) 2018-05-17 2019-11-27 홍진기 목재블록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787B1 (ko) 건축용 경량 단열블럭
KR920002872B1 (ko) 유리블럭패널과그구성방법및이에사용되는연결구
CN101688396B (zh) 轻质建筑隔热块体及其建筑方法
US7658990B2 (en) Super light weight ceramic panel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U2003245129B2 (en) Building block
KR100898755B1 (ko) 목재구조 건축용 벽체블럭
KR200246525Y1 (ko) 단열블록
KR100901079B1 (ko) 조립식 건축물 판넬
CN2457257Y (zh) 轻质混凝土复合砌块
KR100828432B1 (ko) 초경량 단열블록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주택
KR200467656Y1 (ko) 조립식 단열 강화 블록
KR100804086B1 (ko) 건축용 경량 단열블록
KR200265927Y1 (ko) 조립식 단열벽돌
US6796094B1 (en) Mortarless concrete wall system
KR100804090B1 (ko) 건축용 경량 단열블록
CN2481785Y (zh) 一种组合墙体砌块
KR20000050637A (ko) 샌드위치형 콘크리트 패널
CN2533175Y (zh) 混凝土聚苯板夹心复合保温砌块
KR102213237B1 (ko) 단열층이 형성된 벽돌
KR101386210B1 (ko) 폭이 좁은 벽돌과 조립 연결구 및 그 시공방법
CN218522005U (zh) 一种加气混凝土砌块的承重墙结构
CN2242275Y (zh) 一种带槽榫的石膏墙体砌块
CN214739624U (zh) 一种防变形组装式墙板
KR20050034071A (ko) 건축물 내외장용 경량패널
KR100804091B1 (ko) 건축용 경량 단열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