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635Y1 - 산업용 무단 변속기 - Google Patents

산업용 무단 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635Y1
KR200241635Y1 KR2019980009406U KR19980009406U KR200241635Y1 KR 200241635 Y1 KR200241635 Y1 KR 200241635Y1 KR 2019980009406 U KR2019980009406 U KR 2019980009406U KR 19980009406 U KR19980009406 U KR 19980009406U KR 200241635 Y1 KR200241635 Y1 KR 2002416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output shaft
eccentric
boss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2132U (ko
Inventor
송청
조현일
송종현
송종엽
Original Assignee
조현일
송종현
송종엽
송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일, 송종현, 송종엽, 송청 filed Critical 조현일
Priority to KR2019980009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635Y1/ko
Publication of KR199900421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21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6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635Y1/ko

Link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산업 현장이나 자동차 및 선박 등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산업용 무단변속기에 관한 것으로, 무단변속기의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하고 고비율의 감속비를 얻을 수 있게 하며 고장 발생율을 줄이고 제작상의 용이성을 도모하며 저렴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잇점과 효과 등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인 바,
본 고안은,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이 전달 입력되는 입력축(3)과, 입력축(3)의 회전력을 편심출력축(7)을 통하여 편심출력되도록 편심출력축(7)을 편심조절하는 콘트롤러(6)와, 일측이 편심출력축(7)에 유동상태로 결합되고 타측은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10,10',10")으로 구동축(9,9',9")에 축설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감속레버(8,8',8")와, 구동축(9,9',9")에 축설되어 구동축(9,9',9")의 회전력을 출력기어(12)에 동력전달하는 구동기어(11,11',11")와, 출력기어(12)에 축설되어 회전력을 출력하는 출력축(5)으로 구성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산업용 무단 변속기
본 고안은 각종 산업 현장이나 자동차 및 선박 등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산업용 무단변속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무단변속기의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하고 고비율의 감속비를 얻을 수 있게 하며, 고장 발생율을 줄이고 제작상의 용이성을 도모하며 저렴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잇점과 효과 등을 도모하고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의 산업 현장에서는 용도에 따라 산업기계나 호이스트, 물품이송용 컨베이어, 윈치,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등 매우 다양한 곳에서 무단변속기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존의 무단변속기는 다음과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무단변속기의 경우는 그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여 사용도중 고장의 발생률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고장발생시 수리, 보수가 곤란하여 전문 요원이 아니면 수리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며, 특히 일반적으로는 무단변속기라고 하나 실질적인 작동구조를 살펴보면 구조 자체가 유단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므로 변속의 범위가 제한적이고, 이로 인해 각종 용도에 따른 적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가격이 매우 고가한 문제점 등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 이외에도 동력의 전달 방식이 미끄럼 마찰식이나 벨트식 또는 체인식 및 기어식으로 되어 사용도중 마모가 발생하여 정확한 동력비의 출력을 얻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용 수명이 단기적이고, 벨트식이나 체인식일 경우는 사용도중 늘어나기 때문에 슬립 현상이 발생하여 무단변속기로서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등 문제점이 지적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존의 무단변속기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고자 하는 것으로, 무단변속기의 구성을 마찰식이나 벨트식 또는 체인식 등으로 구성하지 않고 극히 단순한 구성으로 제작할 수 있게 하여 원활한 작동성을 보장함과 아울러 매우 간단한 구조로서 제작이 용이하게 하며 이에 따라 저렴가로 공급할 수 있게 하고, 작동상에 오동작의 발생을 방지하고 부하의 발생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고장의 발생률을 감소시켜 각종 산업분야에서 무단변속기로서 매우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널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전체구성 단면도.
도 2, 3은 본 고안의 요부 발췌 작용상태도.
도 4는 도 3의 작용상태 표시도.
도 5는 본 고안중 콘트롤러의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작용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중 콘트롤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작용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중 콘트롤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작용상태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중 콘트롤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작용상태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중 콘트롤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작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1;케이스 2;입력부
3;입력축 31;스플라인축
4;출력부 5;출력축
6;콘트롤러 7;편심출력축
7a;작동부 7b;조립공
7c;경사부
8,8',8";감속레버 9,9',9";구동축
10,10',10";원웨이 클러치 베어링(ONE WAY CLUTCH BEARING)
11,11',11";구동기어 12;출력기어
61;보스
61a;스플라인축 61b;경사부
62;베어링 63;슬라이더
63a;래크 64;조절레버
64a;피니언 65;연결레버
66;편심캠 67;하우징
67a;장공 68;베어링
69;스프링 70;편심캠
71;승강레버 72;나선축
73,74;베벨기어 75;회전레버
76;가이더 77;가이드홈
78;작동레버 79;가이더
80;가이드레일 81;가이드요구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전체 구성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발췌 작용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케이스1 일측에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이 전달 입력되는 입력축3과 상기 입력축3을 편심조절하는 콘트롤러6로 구성된 입력부2와, 상기 콘트롤러6의 편심출력축7상에 결합된 감속레버8,8',8", 감속레버8,8',8"가 원웨이클러치베어링10,10',10"으로 축설, 연결되는 구동축9,9',9"과, 상기 구동축9,9',9"상의 구동기어11,11',11"와, 상기 구동기어11,11',11'와 접설되어 감속회전하는 출력기어12와, 상기 출력기어12에 축설되어 감속된 회전력을 출력하는 출력축5으로 이루어진 출력부4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바,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입력축3은 동력원과 연결되는 입력축3이 케이스1 내부 콘트롤러6에 설치되고, 상기 콘트롤러6 일측에는 콘트롤러6의 조절로 편심조정되어 입력축3의 회전력을 편심출력하는 편심출력축7으로 구성되는 바, 상기에서 입력축3의 회전력을 편심출력하기 위하여 편심출력축7을 임의로 편심조절하는 수단인 콘트롤러6 구성에 대하여서는 후술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하고, 우선 출력부5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출력부4는 도 2, 3, 4와 같이 콘트롤러6와 연결된 편심출력축7상에 감속레버8,8',8"가 유동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감속레버8,8',8"의 타측에는 원웨이클러치베어링10,10',10"이 결합되고 구동축9,9',9"에 축설된다.
상기 구동축9,9',9"에는 중앙 출력기어12와 접설되는 구동기어11,11',11"가 각각 축설되어 출력기어12를 감속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감속레버8,8',8"는 감속시키고자 하는 회전비 등에 따라서 최소 2개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2,3,4에서 도시한 예는 감속레버8,8',8"와, 감속레버8,8',8"가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10,10',10"으로 축설되는 구동축9,9',9"상의 구동기어11,11',11" 등을 3개로 구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입력축3으로 입력된 회전력이 콘트롤러6로 편심조절된 편심출력축7을 통하여(편심회전하여) 출력됨으로서 상기 편심회전하는 편심출력축7과 연결된 구동기어11,11',11"가 출력부4의 출력축5을 감속회전시켜 출력하는 작용 등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입력축3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콘트롤러6의 조절에 따라 편심회전하는 편심출력축7상에는 감속레버8,8',8"가 도 3과 같이 유동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편심출력축7에 결합된 감속레버8,8',8"의 타측은 구동기어11,11',11"가 축설된 구동축9,9',9"상에 회전축설되는 바, 상기 감속레버8,8',8"는 일방으로는 회전을 허용하고, 타방으로의 역회전은 단속하는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10,10',10"으로 구동축9,9',9"상에 축설된다.
편심회전하는 편심출력축7에 결합된 감속레버8,8',8"는 편심출력의 편심도에따라 이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조절된 편심정도 만큼의 회전력이 구동축9,9',9"으로 전달된다.
예를 들어 편심출력축7이 전혀 편심되지 않은 상태 즉, 정위치상에서는 감속레버8,8',8"상에 결합된 편심출력축7이 정회전하게 되어 감속레버8,8',8"에 아무런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 즉, 편심출력축7의 전달동력이 0인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편심출력축7을 일방으로 편심조절하여 주게 되면 상기 편심출력축7은 편심에 의한 회전력이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10,10',10"으로 축설된 구동축9,9',9"으로 전달되어 구동축9,9',9"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편심출력축7에 설치된 감속레버8,8',8"는 편심출력축7이 구동축9,9',9"에 대하여 편심되는 위치에서 구동축9,9',9"을 중심으로 최대 거리로 각운동하게 될 것이고, 이와 같이 구동축9,9',9"을 중심으로 한 감속레버8,8',8"의 각운동은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10,10',10"으로 축설된 구동축9,9',9"을 일방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9,9',9"에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10,10',10"으로 회전축설된 감속레버8,8',8"는 편심출력축7이 회전하면서 감속레버8,8',8"가 설치된 방향으로 편심출력축7이 정위치되는 순간에는 동력전달이 0가 되어 순간적으로 정지하게 될 것이며, 편심회전하는 편심출력축7의 편심이 점차 이동회전함에 따라 감속레버8,8',8" 역시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10,10',10"으로 중심으로 점차 편심정도만큼의 회전하여 회전력이 구동축9,9',9"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편심이 정위치로 복귀된 순간에는 일방으로 회전을 허용하고 타방으로 회전을 단속하는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10,10',10"에 의해 편심출력축7의 동력이 구동축9,9',9"으로 전달되지 않는 것이다.
물론, 편심출력축7의 편심출력축7이 감속레버8,8',8"로서 연결된 구동축9,9',9"과 정위치가 되는 순간에는 타측에 연결된 또 다른 감속레버8,8',8"와 연결된 구동축9,9',9"이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각 구동축9,9',9"은 회전이 일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10,10',10"을 동일 방향으로 설치하여야 함은 극히 당연하다.
상기한 구동축9,9',9"의 회전력은 당연히 구동축9,9',9"에 축설된 구동기어11,11',11"를 회전시켜 구동기어11,11',11"와 접설된 출력기어12를 감속회전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이하에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속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편심출력축7의 편심회전에 따라 간헐적으로 회전하게 되는 각 구동축9,9',9"상의 구동기어11,11',11"는 편심출력축7의 편심회전력이 곧장 전달되지 않고 구동기어11,11',11"를 경유 간헐적으로 전달되고, 구동기어11,11',11"와 출력기어12간의 치차비에 의하여 감속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즉, 편심출력축7의 편심에 의해 일측 감속레버8,8',8"와 연결된 일측 구동축9,9',9"이 회전하여 이의 구동기어11,11',11"와 접설된 출력기어12가 회전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은 일측 구동기어11,11',11"의 회전시에는 타측 구동축9,9',9"에 축설된 구동기어11,11',11"는 당연히 편심출력축7의 편심이 작용되지 않음으로 정지상태(전달동력이 0인 상태)에 있게 되는 것이나, 상기 일측 구동기어11,11',11"의 회전력이 출력기어12에 작용되어 출력축5이 회전하게 됨으로서 타측 구동기어11,11',11"는 출력축5의 회전작용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편심출력축7의 편심 회전력이 구동축9,9',9"과 구동기어11,11',11", 구동기어11,11',11"의 회전력이 출력기어12를 경유하면서 출력축5으로 출력전달되는 과정에서 구동기어11,11',11"와 출력기어12간의 치차비에 의해 감속비가 조절되며, 상기 감속비는 입력축3의 회전력을 출력축5으로 전달하는 편심출력축7의 편심정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서, 이하에 편심출력축7의 편심을 조절하는 콘트롤러6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은 본 고안중 콘트롤러의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6는 도 5의 작용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케이스1 일측으로 동력원과 연결되는 입력축3은 편심출력축7과 일체로 형성되어 승강작동되는 하우징67과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67은 입력부2의 케이스1 내에 베어링68으로 회전축설되어 입력축3의 회전력이 하우징67에 전달되어 케이스1 내에서 회전구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67의 중앙 장공67a에는 편심출력축7이 끼움축설되어 상기한 출력부4로 배치됨으로서 상기 편심출력축7상에 감속레버8,8',8"가 유동상태로 결합되는 바,
상기 편심출력축7에는 하우징67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작동부7a가 일체로 형성되고, 작동부7a에는 편심캠66이 내설되는 조립공7b이 형성된다.
한편, 케이스1 내의 입력축3상에는 스플라인31이 형성되어 보스61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드작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보스61에는 베어링62으로 슬라이더63가 회전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더63 외주 일측에는 래크63a가 형성되고, 상기 래크63a는 케이스1 외부 조절레버64의 피니언64a과 치차결합되어 조절레버64를 조작함으로서 슬라이더63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이와 연결된 보스61 역시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보스61 일측에는 편심출력축7의 작동부7a 조립공7b에 내설된 편심캠66과 연결레버65로서 연결한다.
이와 같이된 상기 콘트롤러6는 조절레버64를 작동하여 피니언64a과 래크63a로서 치차결합된 슬라이더63를 편심출력축7(또는 입력축3측으로) 이동시켜 주게 되면 상기 슬라이더63와 베어링62으로 회전결합된 보스61 역시 편심출력축7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와 연결레버65로서 연결되고 편심출력축7 작동부7a의 조립공7b에 내설된 편심캠66에 의해 작동부7a를 하우징67 내측에서 입력축3에 대하여 교차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편심출력축7을 입력축3으로부터 편심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편심조절상태에서 입력축3으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면 입력축3의 회전력은 곧장 하우징7a으로 전달되어 하우징7a이 케이스1내에서 회전하게 되고,
편심출력축7은 하우징7a내에서 편심상태에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입력축3의 회전력이 편심출력축7을 통하여 편심출력되는 것이다.
상기한 편심출력축7의 편심회전력은 출력부4의 감속레버8,8',8"와 구동축9,9',9", 구동기어11,11',11" 및 출력기어12를 통하여 감속회전력이 출력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출력부의 감속작용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한 것이다.
또, 도 7는 본 고안중 콘트롤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작용상태 단면도로서,
전술한 콘트롤러6의 구성에 있어서, 편심출력축7의 작동부7a는 하우징67내부에서 스프링69으로 상향되게 탄력설치하고, 일단에는 편심캠70을 내설하여 작동부7a를 압동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편심캠70은 하우징67상에 중심축이 힌지축설된 승강레버71 일단에 축설하고, 상기 승강레버71는 보스61 일측에 접설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콘트롤러6는 조절레버64를 조작하여 슬라이더63를 편심출력축7측으로 이동시켜 주게되면 상기 보스61 선측이 승강레버71를 편심출력축7으로 압동하게 되어 상기 승강레버71의 일단에 결합된 편심캠70이 작동부7a를 압동하게 됨으로서 상기 편심캠70에 의하여 편심출력축7이 입력축3에 대하여 편심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입력축3과 편심출력축7간의 동력전달과정은 전술한 상기 콘트롤러6의 예와 동일한 것이다.
또, 도 9는 본 고안중 콘트롤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작용상태 단면도로서,
전술한 콘트롤러6의 구성에 있어서, 입력축3의 스플라인축31이 결합되는 보스61는 입력축3측으로 개구되어 스플라인축31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결합되게 하고, 보스61에는 편심출력축7으로 또 하나의 스플라인축61a을 형성하여 상기 스플라인축61a을 하우징67과 슬라이딩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67에 결합되는 보스61의 스플라인축61a 선단에는 경사부61b를 마련하여 편심출력축7의 작동부7a에 형성된 경사부7c에슬라이딩결합하며, 작동부7a는 일측으로 스프링69을 탄력결합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콘트롤러6는 조절레버64를 조작하여 슬라이더63와 결합된 보스61를 입력축3(또는 편심출력축7)측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보스61의 스플라인축 61a선단 경사부61b가 편심출력축7의 경사부7c에 슬라이딩되어 하우징67상에 결합된 편심출력축7을 편심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편심조절상태에서 입력축3으로부터 회전력이 입력되면 입력축3의 회전력은 입력축3의 스플라인축31을 통하여 보스61에 전달되고 보스61의 회전력은 다시 선측 스플라인축61a으로 연결된 하우징67을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하우징67에 편심축설된 편심출력축7으로 회전출력되는 것이다.
또한, 도 11은 본 고안중 콘트롤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작용상태 단면도로서,
전술한 콘트롤러6의 구성에 있어서, 하우징67에 내설되는 편심출력축7의 작동부7a는 나선축72과 나사결합하고, 하우징67 외측 나선축72상에 베벨기어73를 축설하여 입력축3의 스플라인축31에 결합된 보스61에 가이딩되는 회전레버75상의 베벨기어74와 치차결합한 것이다.
하우징67내의 편심출력축7의 작동부7a와 나사결합되는 나선축72의 베벨기어73와 치차결합되는 베벨기어74의 회전레버75는 선단 가이더76가 보스61상에 일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홈77을 따라 가이딩되면서 각운동되어 베벨기어74를 회전시킴으로서 나선축72을 회전시키고 이와 나사결합된 작동부7a를 이동시켜 편심출력축7을 편심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편심출력축의7 작동부7a와 나선축72은 상호 2중 또는 3중나사로 나사결합함으로서 보다 미세한 편심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조절레버64를 조작하여 슬라이더63와 결합된 보스61를 편심출력축7(또는 입력축3)측으로 이동시켜 주게되면 상기 보스61에 형성된 경사상의 가이드홈77을 따라 가이더76가 각운동되어 상기 가이더76와 연결된 베벨기어74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베벨기어74와 치차결합된 나선축72의 베벨기어73가 회전하여 이와 나사결합된 작동부7a가 이동되어 편심출력축7의 편심이 조절되는 것이다.
이러한 콘트롤러6는 입력축3의 회전력이 하우징67으로 전달되어 하우징67에 내설된 편심출력축7이 편심회전하는 것이다.
또한, 도 13은 본 고안중 콘트롤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작용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전술한 콘트롤러6의 구성에 있어서, 입력축3은 편심출력축7이 내설된 하우징67과 연결하고, 편심출력축7의 작동부7a는 나선축72과 나사결합하며, 하우징67 외측의 나선축72에는 작동레버78를 연결하고, 상기 작동레버78는 선측에 가이더79를 형성하여 상기 작동레버78의 가이더79를 케이스1내에 환설된 가이드레일80의 가이드요구81에 슬라이딩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80는 케이스1 외측의 조절레버64와 연결하여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콘트롤러6는 조절레버64를 조작하여 가이드레일80을 편심출력축7(또는 입력축3)측으로 이동시켜주면 상기 가이드레일80에 가이더79가 결합된 작동레버78가 나선축7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나선축72의 회전으로 이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작동부7a가 이동됨으로서 편심출력축7을 편심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편심출력축7의 작동부7a와 나선축72은 상호 2중 또는 3중나사로 나사결합함으로서 보다 미세한 편심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콘트롤러6는 입력축3의 회전력이 하우징67으로 전달되고, 가이드레일80의 이동에 따라 편심조절된 편심출력축7으로 편심회전력이 출력되는 것이다.
전술한 각 콘트롤러6에 있어서, 슬라이더63의 래크63a와 치차결합되는 피니언63a이 축설되어 이를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조절레버64의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며 여러 등가수단으로 다양하게 적용하여 실시가능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였다.
이하에 상기 편심출력축7에 감속레버8,8',8"가 결합되어 입력축3으로부터 전달된 편심회전력7을 감속출력하는 출력부4에 대하여 다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편심출력축7에 결합된 각 감속레버8,8',8"는 편심출력축7이 편심회전하는 중에 편심출력축7과 구동축9,9',9"이 동축상에 위치하는 순간에는 전달동력이 0가 되고, 편심에 의해 감속레버8,8',8"가 구동축9,9',9"을 중심으로 각운동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끝나는 시점까지의 편심회전력이 감속레버8,8',8"에 의해 구동축9,9',9"에 전달되고, 구동축9,9',9"으로 전달된 회전력은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10,10',10"으로 축설된 구동축9,9',9"을 일방으로만 회전시키게 됨으로서 각 구동축9,9',9"상의 구동기어11,11',11"는 편심출력축7의 편심회전으로 출력기어12에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출력기어12의 감속회전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감속회전력은 출력기어12의 출력축5으로 출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입력축3의 회전력이 편심전달되는 편심출력축7과, 편심출력축7의 편심회전력을 구동기어11,11',11"에 동력전달하는 구동축9,9',9"으로 구성되어 감속이 이루어지 것으로, 감속회전력을 얻기 위한 감속기의 구성이 매우 간단할 뿐 만 아니라 감속회전비의 조절 역시 출력기어12와 연결되는 구동기어11,11',11"의 수량을 조절하는 극히 간편한 구성으로 고비율의 감속비를 얻을 수 있고, 이와 더불어 편심출력축7의 편심 정도을 조절함으로서 더욱 정교하고 고비율, 고효율의 감속비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 무단변속기의 개념을 탈피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작동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특히 출력축5과 접설되어 감속을 행하는 구동기어11,11',11"의 수량과 구동기어11,11',11"측에 입력축3의 회전력을 편심전달하는 편심출력축7의 편심정도를 조절함으로서 변속의 범위를 최소 0 에서 최대치인 무한대(∞)까지 임의로 변속이 가능하고, 특히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고장의 발생이 거의 없으면서도 전문가가 아니라고 할지라도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각종의 산업용이나 다양한 용도의 무단변속기가 필요로 하는 곳에서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6)

  1.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이 전달 입력되는 입력축3과, 입력축3의 회전력을 편심출력축7을 통하여 편심출력되도록 편심출력축7을 편심조절하는 콘트롤러6와, 일측이 편심출력축7에 유동상태로 결합되고 타측은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10,10',10"으로 구동축9,9',9"에 축설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감속레버8,8',8"와, 구동축9,9',9"에 축설되어 구동축9,9',9"의 회전력을 출력기어12에 동력전달하는 구동기어11,11',11"와, 출력기어12에 축설되어 회전력을 출력하는 출력축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산업변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6는 편심출력축7과 일체로 형성되어 케이스1내에 베어링68으로 회전설치된 하우징67에 유동가능한 상태로 내설되는 작동부7a와, 편심출력축7이 편심이동가능한 상태로 끼움축설되는 하우징67상의 장공67a과,
    상기 하우징67과 일단이 연결된 입력축3과, 입력축3의 스플라인축31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드결합되는 보스61와, 보스61상에 베어링62으로 회전결합되는 슬라이더63와, 슬라이더63상의 래크63a와 치차결합되는 피니언64a이 구비되어 슬라이더63를 축방향으로 이동조절하는 조절레버64와,
    상기 작동부7a의 조립공7b에 내설되어 연결레버65로서 보스61와 힌지연결되는 편심캠6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무단변속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6는 편심출력축7의 작동부7a를 하우징67 내측에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69과, 작동부7a을 타방에서 압동하는 편심캠70과, 편심캠70과 연결되고 보스61와 접설되어 편심캠70이 작동부7a를 스프링69측으로 압동하게 하는 승강레버7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무단변속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6는 입력축3에 슬라이딩결합된 보스61 일측에 형성되어 하우징67과 슬라이딩결합되는 스플라인축61과, 보스61의 스플라인축61a 선측에 형성되어 편심출력축7 작동부7a의 경사부7c와 접설되는 경사부61b와, 작동부7a를 축 중심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69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무단변속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6는 편심출력축7의 작동부7a와 나사결합된 나선축72과, 나선축72 일단의 베벨기어73와 치차결합되는 베벨기어74와, 베벨기어74에 연결되어 선단 가이더76가 보스61의 경사상 가이드홈77에 가이딩되어 각운동됨으로서 베벨기어74를 회전시키는 회전레버7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무단변속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축72은 선단에 작동레버78를 결합하고 상기 작동레버72 일단의 가이더79는 케이스1내에 환설된 가이드레일80의 가이드요구81에 슬라이딩결합하여 가이드레일80을 조절레버64로서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작동레버78를 각운동시킴으로서 나선축72을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무단변속기.
KR2019980009406U 1998-05-26 1998-05-26 산업용 무단 변속기 KR2002416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406U KR200241635Y1 (ko) 1998-05-26 1998-05-26 산업용 무단 변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406U KR200241635Y1 (ko) 1998-05-26 1998-05-26 산업용 무단 변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132U KR19990042132U (ko) 1999-12-27
KR200241635Y1 true KR200241635Y1 (ko) 2001-12-13

Family

ID=69512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406U KR200241635Y1 (ko) 1998-05-26 1998-05-26 산업용 무단 변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6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934B1 (ko) * 2013-08-05 2015-03-10 이춘우 무단변속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910B1 (ko) * 2007-06-28 2008-09-17 신용철 무단변속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934B1 (ko) * 2013-08-05 2015-03-10 이춘우 무단변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132U (ko) 199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04798A1 (en) Reciprocating drive mechanism and press using the same
US6527662B2 (en) Pump drive apparatus
CA2686810A1 (en) Multispeed power tool transmission
US8371979B2 (en) Transmission unit, particularly range-change transmission
US5112283A (en) Continuous speed-shifting device
CN109980848A (zh) 一种新型换向伸缩装置
EP1156240A1 (en) Electric drive device for transmission
KR200241635Y1 (ko) 산업용 무단 변속기
US5934433A (en) Friction clutch having an actuator for automated operation
CN107143636B (zh) 装载机用三段式液压机械无级传动装置
WO2011020448A1 (en) Transmission
US4409862A (en) Variable speed rotary power transmission
US7241238B2 (en) Device for controlling contact pressure in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00130528A (ja) 伝達車加圧装置用圧縮装置
CN109555825A (zh) 一种不停车在线无级连续变速传动装置
CN218761171U (zh) 拖拉机及无级变速装置及无级变速装置的调速机构
WO1987003662A1 (en) A multiple-step gear drive
JP5423436B2 (ja) 油圧制御装置
KR100281573B1 (ko) 변속기
CN116104922B (zh) 一种驱动减速机构
CN113417982B (zh) 一种多皮带传动自动离合电机齿轮拨叉控制无级变速箱
SU1260607A1 (ru) Вариатор
RU2105907C1 (ru) Система синхронизации гидроцилиндров
CN115978149A (zh) 拖拉机及无级变速装置的调速机构
CN2337346Y (zh) 转臂同轴行星摩擦式无级变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