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992Y1 - 광케이블이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슬리브가 본체의외측면에 부착된 광단자함 - Google Patents

광케이블이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슬리브가 본체의외측면에 부착된 광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992Y1
KR200237992Y1 KR2020010006460U KR20010006460U KR200237992Y1 KR 200237992 Y1 KR200237992 Y1 KR 200237992Y1 KR 2020010006460 U KR2020010006460 U KR 2020010006460U KR 20010006460 U KR20010006460 U KR 20010006460U KR 200237992 Y1 KR200237992 Y1 KR 2002379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optical cable
optical
terminal box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수
Original Assignee
이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수 filed Critical 이재수
Priority to KR2020010006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9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9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992Y1/ko

Links

Landscapes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광케이블이 다분기 될 수 있는 광단자함을 개시한다. 이러한 광단자함은, 광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제1홀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상기 제1홀과 연통되도록 부착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와 상기 광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수단과; 상기 제1홀에 인접된 본체 내측면에 위치한 광케이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과 상기 광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수단과; 상기 본체 외측면이 함몰되어 형성된 2개의 홈과 교차되도록 부착되며, 그 양단에는 외부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2개의 판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광케이블이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슬리브가 본체의 외측면에 부착된 광단자함{Terminal box having a sleave for optical cable to branch off}
본 고안은 광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분기형 광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 통신이 발달하고, 동영상이나 음성 등과 같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전송 매체로서 광섬유를 이용한 광통신 시스템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대용량, 고속통신이 필요한 가입자망 구내 및 분배지점에 사용되는 루즈 튜브 광케이블을 살펴보면, 아연도 강선 또는 FRP를 이용한 중심 인장선과, 방수 젤리 콤파운드와,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이용한 루즈튜브 등을 흑색 폴리에틸렌을 이용하여 피복한 튜브 형상의 내부시스와 외부시스로 구성된다.
또한, 광가입자 케이블망을 구성하기 위하여, 광가입자의 건물 내외벽 또는 전주 등에 설치되어 외부 광선로와 가입자 전송모듈간의 연결 및 분배 기능을 수행하는 가입자 종단장치로서 광단자함을 필요로 한다.
도 5는 이러한 종래의 광단자함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광단자함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6은 L형상의 플레이트가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된 도 5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광단자함(1)은 본체(10)와, 본체(10)에 힌지 연결된 커버(50)를 구비한다. 여기서, 커버(50)와 본체(10)는 클램프 결합구(15)와 결합고리(55)에 의하여 개폐된다.
본체(10)는, 광케이블 설치 브래킷(20)과 저장판 트레이(12)와 광케이블 여장 처리부(13)를 구비하며, 그 일측면에 광케이블(70)이 인입되기 위한 광케이블 인입구와 광케이블(70)이 인출될 수 있도록 광케이블 인출구와 점퍼코드(13)를 이용하여 광섬유(71)를 분기하기 위한 점퍼코드 입출입구가 형성된다. 여기서, 여장 처리부(13)는 광섬유(71)를 본체(1)내부에서 여장하기 위한 것이다.
광케이블 인입구나 인출부, 점퍼코드 입출입구는 광단자함(1)의 설치시 하부 측면에 해당하는 일측면에만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를 통하여 광케이블(70)이 인입 인출되는 위치에서의 방수나 광케이블(70) 작업 및 설치 후 관리 등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광단자함(1)의 설치 환경 등에 의하여 광단자함(1)의 크기가 제한되고 더욱이 규격화된 광단자함(1)에 있어서 다수개의 광케이블(70)을 인출하거나 인출시키기 위한 다분기형 광단자함(1)을제조하기에는 한계를 가진다.
광 케이블 인입구와 인출구에서 광케이블(70)의 고정은, 2개 내지 3개의 조임나사와, 광케이블 인입구와 인출구의 연장면선상에 위치한 광케이블 설치 브래킷(20)을 이용한다.
즉, 광케이블(70)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측면에서는, 2개 내지 3개의 조임나사(14)를 이용하여 광케이블(70)이 광단자함(1)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광단자함(1) 내부에서는, 광케이블 설치 브래킷(20)위에 광케이블을 위치시키고 별도의 나사 체결편(21,22)를 이용하여 광케이블(70)을 고정하고 또한, 광케이블(70) 내부의 중심 인장선을 중심 인장선 삽입구(23)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그러나, 조임나사(14)를 이용한 광케이블(70)의 측면 고정에 의해서는 광케이블 인입구와 인출구에서의 방수처리나 그 고정에 있어서 한계를 가진다. 더욱이, 광단자함(1) 내부에서 광케이블(70)을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로 구비된 설치 브래킷(20)을 구비하고 있어 다수개의 광케이블(70)을 인출 및 인입키 위한 다분기형 광단자함(1)을 형성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나아가, 설치 브래킷(20)에 체결편(21)과 나사(22)를 이용하여 광케이블(70)을 포설하기 때문에, 광케이블(70)을 인입구에 삽입하는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시 광케이블(70)의 비틀림 발생으로 인하여 광섬유(71)가 망실될 위험이 있다. 또한, 광케이블(70)의 중심인장선(72)을 삽입구(23)에 삽입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포설 작업시 작업 공수가 증가하게 되며 작업 중에 광섬유(71)가 부러질 염려가 많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광단자함(1)을 건물 내외 벽면에 고정하기 위하여,볼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홀(16b)이 형성된 별도의 고정 플레이트(16)가 본체(1) 배면 상하부에 각각 용접 부착된다. 광단자함(1)은 관통홀(16b)에 볼트가 삽입되고 너트가 죄여짐으로써 건물 벽면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광 단자함(1)을 전주나 소형 철주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이와는 별도로 L자 형상의 플레이트(60)와 고정 밴드(미도시)를 이용한다. 즉, L자 형상의 플레이트(60)가 고정플레이트(16)와 관통홀(16b,60b)에서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하고, L자 형상의 플레이트(60)와 고정플레이트(16)를 볼트(66a)와 너트(66b)로 체결하고, L자 형상의 플레이트(60)에 형성된 별도의 밴드홀(60a)에 고정밴드를 삽입하여 전주나 소형 철주에 묶음으로써 광단자함(1)을 고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광단자함(1)에서, 지지용 전주에 고정하기 위하여 본체(1)에 별도의 L형상의 플레이트(60)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L형상의 플레이트(60)는 본체 배면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통 80mm 정도의 작은 직경의 지지용 전주에 광단자함(1)을 고정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광케이블의 인입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으며, 광케이블의 다분기가 가능한 구조의 광단자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본체로부터 커버가 개방된 광단자함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2a와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슬리브와 열수축관에 의하여 광케이블이 본체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과정을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a는 광케이블 고정 전의 상태를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며 그리고, 도 2b는 광케이블 고정 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슬리브와 광케이블 지지편을 이용하여 인입 또는 인출된 광케이블과 광섬유의 분선 관계를 도시한 것이며 그리고,
도 4a는 도 1의 본체 배면에 고정 브래킷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밴드홈에 삽입되는 스테인레스 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그리고, 도 4c는 도 4a의 밴드홈에 스테인레스 밴드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A-A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체로부터 커버가 개방된 종래 광단자함의 정면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6은 L형상의 플레이트가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된 도 5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광단자함 110. 커버
112. 클램프 결합구 130. 본체
132. 결합고리 138. 슬리브
210. 열수축관 220. 연성 링밴드
230. 광케이블 지지편 240. 광케이블
242. 광섬유 242'. 점퍼코드
400. 고정브래킷 400. 스테인레스 밴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광케이블을 분기하는데 사용되는 광단자함은, 광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제1홀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상기 제1홀과 연통되도록 연결된 슬리브를 구비한다.
상기 슬리브는 상기 광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며, 상기 슬리브는 원통의 튜브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슬리브와 상기 광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제1고정수단은 열수축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제1홀에 인접된 본체 내측면에 위치한 광케이블 지지편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편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며, 상기 본체 내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편과 상기 광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수단은 연성링 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리브 또는 상기 지지편은 복수개일 수 있으며, 적어도 8개 이상인 것이 다분기형 광단함에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슬리브 또는 상기 지지편은, 설치시, 하부로 되는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며, 이때 상기 슬리브는 적어도 하나는 광케이블이 인입될 수 있는 인입부를 이루며, 상기 하부로 되는 본체의 측면에 점퍼코드가 통과될 수 있는 점퍼코드 입출입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를 개폐시키기 위한 착탈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커버에 부착된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차지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고리에 착탈되며 상기 본체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차지하는 결합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본체 외측면에 소정의 밴드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2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홀은, 설치시, 하부로 되는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홀은, 설치시, 벽면에 고정되는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그 외측면에 고정된 판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홀은 상기 판과 상기 본체에 형성된 홈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은 적어도 2개이며, 상기 판과 상기 홈은 각각 띠형상을 가지며, 상기 판과 상기 홀은 서로 교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은 적어도 2개이며, 상기 본체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은 소정의 외부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판의 돌출부에는 제3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홀은 상기 판의 양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광단자함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본체로부터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광단자함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단자함(100)은 광케이블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본체(130)와, 본체(130)를 덮는 커버(110)를 구비한다.
본체(130)는 그 일측면에 인입구(139)나 인입구(139')를 통하여 광케이블(240)이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부착되는 슬리브(138)와, 점퍼 코드를 이용하여 내부 광섬유가 분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점퍼코드 입출입부(140) , 및커버(110)와 결합되어 개폐되도록 하기 위하여 결합고리(132)를 구비한다.
슬리브(138)는, 본체(130)에 형성된 인입구(139)나 인입구(139')에 연통되도록 본체(130) 외측면에 부착되며, 다양한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광케이블(240)이 이를 통하여 광단자함(100)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충분한 직경을 가지며, 광케이블(240)의 다분기가 가능하도록 적어도 8개 이상 부착된다.
본체(130)에 형성된 인입구(139)나 인입구(139')에 인접된 본체(130) 내측면에는 광케이블 지지대(도 2b 참조)가 부착된다.
본체(130) 내부에는 융착접속자(Fusion Splice)나 기계적접속자(Mechanical Splice)를 저장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저장판을 적층 고정하는 저장판 트레이(136)와, 슬리브(138)를 통하여 광케이블(240)로 인출되기 전의 광섬유(242)를 여장 처리하기 위한 4개의 돌출편(134)이 부착된다. 여기서,융착접속자나 기계적접속자(미도시)는 광케이블(240)로부터 나오는 광섬유(242)를 접속 및 분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광섬유(242) 접속 등의 망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장판 내부에 배치 저장된다.
본체(130)는 커버(110)와 힌지(114) 결합된다. 본체(130)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차지하는 결합고리(132)가 부착되며, 커버(110)에는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차지하는 클램프 결합구(112)가 부착되고, 클램프 결합구(112)와 결합고리(132)의 착탈에 의하여 광단자함(100)이 개폐된다.
도 2a와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슬리브와 열수축관에 의하여 광케이블이 본체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과정을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a는 광케이블 고정 전의 상태를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며 그리고, 도 2b는 광케이블 고정 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면, 슬리브(138)는 광케이블(240)의 외주 형상에 따라 원통 형상을 가지며, 본체(130)에 형성된 인입구(139)나 인입구(139')에 연통되도록 본체(130) 측면에 용접 또는 접착제 등으로 부착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된다.
슬리브(138)에 광케이블(240)이 삽입된 상태에서 광단자함(100)의 본체(130) 외측면에서 광케이블(240)을 고정하기 위하여, 슬리브(138) 외주부에는 고정수단이 부착된다. 이러한 고정수단의 일예로서, 열수축관(210)을 사용한다.
열수축관(210)은, 그 내부에 접착제를 함유하고 있으며 가열에 의하여 열 수축되면서 함유된 접착제는 스며 나올 수 있도록 된 것이며, 이러한 열수축관(210)은 예컨데, 독일 RXS사에서 제조된 열수축관과 같이 종래부터 사용되는 것으로서 용이하게 구입하여 사용될 수 있다.
열수축관(210)을 이용하여 본체(130) 외측면에서 케이블을 고정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먼저, 슬리브(138)의 외경보다 충분이 큰 열수축관(210)을 슬리브(138)의 주변에 배치하고, 인입구(139)나 인입구(139')와 연통된 슬리브(138)에 광케이블(240)을 삽입한 다음, 가열용 토치램프 등을 이용하여 열수축관(210)을 가열시키면, 열수축관(210)은 열수축됨과 동시에 그 내부에 함유된 접착제가 스며나옴으로써 슬리브(138)와 광케이블(240)을 접착 고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열수축관(210)은 슬리브(138) 주위에서 광케이블(240)을 고정함과 동시에 광케이블(240)과 슬리브(138)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킴으로써 인입구(139)나 인입구(139')에서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광케이블 지지편(230)은, 용접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하여 인입구(139)나 인입구(139')에 인접된 본체(130) 내측면에 부착되거나 일체로 성형되어, 광케이블(240)을 본체(130) 내측면에서 지지 고정한다.
광케이블 지지편(230)에 광케이블(240)을 본체(130) 내부에서 지지 고정하기 위해 예컨데, 연성링 밴드(220)를 사용하며, 연성링 밴드(220)는 슬리브(138)를 통하여 삽입된 광케이블(240)과 광케이블 지지편(230)이 서로 압착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체(130) 내측면에서의 광케이블 고정은, 본체(130) 외측면에서의 고정에 부가하여. 본체(130) 외측면에 광케이블(240)을 고정하는 작업 즉, 열수축관(210)을 가열 고정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이러한 슬리브와 광케이블 지지편(230)을 이용하여 인입 또는 인출된 광케이블과 광섬유의 분선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심의 광케이블(240)은 광케이블 인입구(139)에 부착된 슬리브(138)를 통하여 인입되고, 본체(130) 외부에서 열수축관(210)에 의하여 밀봉 고정되고, 본체(130) 내부에서 광케이블 지지편(230)과 연성벤드에 의하여 고정된다.
본체(130) 내부에서 광케이블(240) 내의 광섬유(242)들은, 저장판 트레이(136)내에 저장되는 융착접속자나 기계적접속자에 의하여 융착 접속되거나 기계적 접속되고 분배되어 분기하고자 하는 광케이블 인출구(139')나 점퍼코드 입출입부(140)를 통하여 인출된다.
이와 같이, 광단자함(100)의 내부에 공간을 차지하는 별도의 설치 브래킷 등이 필요없기 때문에 다분기 광단자함(100)을 형성하는데 유익하며, 다분기 광단자함(100)에 의하여 광케이블 인출구(139')를 통해 인출된 광케이블(240)은, 여장된 후, 시외망이나, 기지국사이의 국간망 또는 가입자 선로구간으로 분기된다. 그리고, 점퍼코드 입출입부(140)를 통한 점퍼코드(242')는, 단거리 가입자에 분기된다.
도 4a는 도 1의 본체 배면에 고정 브래킷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밴드홈에 삽입되는 스테인레스 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그리고, 도 4c는 도 4a의 밴드홈에 스테인레스 밴드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A-A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광단자함(100) 본체(130)의 배면에는 예컨데, 두 개의 밴드홈(160)이 형성되며, 밴드홈(160)과 교차되도록 판상의 고정 브래킷(400)이 용접 등에 의하여 부착된다.
고정 브래킷(400)은 그 양단이 본체(130)에서 돌출된 길이를 가지며, 양단에는 고정 수단으로서 못이나 고정용 나사 등에 의하여 광단자함(100)이 벽면 등에 고정할 수 있도록 관통홀(400a)이 형성된다.
서로 교차되는 밴드홈(160)과 고정 브래킷(400) 사이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을 구비한 띠 형상의 스테인 레스 밴드(41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벽면에 광단자함(100)을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판상의 고정브래킷 양단에 형성된 관통홀(400a)에 못이나 고정용 나사등을 이용하여 광단자함(100)을 고정하고, 전주나 지지용 철주에 광단자함(100)을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판상의 고정브래킷과 밴드홈(160) 사이의 공간에 스테인레스 밴드(410)를 삽입하여 전주 등에 광단자함(100)을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상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광단자함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고안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등록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광단자함에 따라 광케이블을 인입하거나 인출할 경우에 다수개의 슬리브만으로도 광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다분기 광단자함을 제공하는데 유익하며, 광케이블의 인입 또는 인출 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다.

Claims (23)

  1. 광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제1홀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상기 제1홀과 연통되도록 연결된 슬리브를 구비하여 광케이블을 분기하는데 사용되는 광단자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광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단자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원통의 튜브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단자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슬리브와 상기 광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단자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수단은, 열수축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단자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에 인접된 본체 내측면에 위치한 광케이블 지지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단자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측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단자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며,
    상기 지지편과 상기 광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단자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연성링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단자함.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또는 상기 지지편은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단자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또는 상기 지지편은 적어도 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단자함.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또는 상기 지지편은, 설치시, 하부로 되는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단자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적어도 하나는 광케이블이 인입될 수 있는 인입부를 이루며,
    상기 하부로 되는 본체의 측면에 점퍼코드가 통과될 수 있는 점퍼코드 입출입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단자함.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를 개폐시키기 위한 착탈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커버에 부착된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차지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고리에 착탈되며 상기 본체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차지하는 결합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단자함.
  15. 제1항 내지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외측면에 소정의 밴드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2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단자함.
  16. 제1항 내지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은, 설치시, 하부로 되는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홀은, 설치시, 벽면에 고정되는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단자함.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외측면에 고정된 판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홀은 상기 판과 상기 본체에 형성된 홈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단자함.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적어도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단자함.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판과 상기 홈은 각각 띠형상을 가지며,
    상기 판과 상기 홀은 서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단자함.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적어도 2개이며, 상기 본체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단자함.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소정의 외부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단자함.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판의 돌출부에는 제3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단자함.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3홀은 상기 판의 양 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단자함.
KR2020010006460U 2001-03-10 2001-03-10 광케이블이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슬리브가 본체의외측면에 부착된 광단자함 KR2002379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460U KR200237992Y1 (ko) 2001-03-10 2001-03-10 광케이블이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슬리브가 본체의외측면에 부착된 광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460U KR200237992Y1 (ko) 2001-03-10 2001-03-10 광케이블이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슬리브가 본체의외측면에 부착된 광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992Y1 true KR200237992Y1 (ko) 2001-10-06

Family

ID=73053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460U KR200237992Y1 (ko) 2001-03-10 2001-03-10 광케이블이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슬리브가 본체의외측면에 부착된 광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99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080B1 (ko) 2009-04-10 2011-07-22 주식회사 엔티코아 통신기기함의 광케이블 배선설치방법과 그 배선설치구조
WO2012157946A2 (ko) * 2011-05-16 2012-11-22 Ryu Yun Moo 이중 구조를 가지는 케이블 함체
KR20160001573U (ko) * 2014-10-31 2016-05-13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광케이블 접속함체와 케이블을 결합시키는 케이블 인입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080B1 (ko) 2009-04-10 2011-07-22 주식회사 엔티코아 통신기기함의 광케이블 배선설치방법과 그 배선설치구조
WO2012157946A2 (ko) * 2011-05-16 2012-11-22 Ryu Yun Moo 이중 구조를 가지는 케이블 함체
KR101222156B1 (ko) 2011-05-16 2013-01-14 유연무 이중 구조를 가지는 케이블 함체
WO2012157946A3 (ko) * 2011-05-16 2013-03-21 Ryu Yun Moo 이중 구조를 가지는 케이블 함체
KR20160001573U (ko) * 2014-10-31 2016-05-13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광케이블 접속함체와 케이블을 결합시키는 케이블 인입부
KR200481988Y1 (ko) 2014-10-31 2016-12-06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광케이블 접속함체와 케이블을 결합시키는 케이블 인입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0409B2 (en) Multi-port optical connection terminal
US7653282B2 (en) Multi-port optical connection terminal
EP2318868B1 (en) Optical fiber cable inlet device with integral optical device
CA2531263C (en) Optical fiber termination apparatus, entry sealing member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6766094B2 (en) Aerial closure for local convergence point
JP4733115B2 (ja) 複合成形中間分岐点を有する配線ケーブル組立体
CN102062914B (zh) 光纤电缆保持装置
US7340144B2 (en) Optical fiber splice enclosure
CN101799574B (zh) 用于光学接头的接头保护装置
US7840109B2 (en) Factory spliced cable assembly
JP2008502946A (ja) 一体型ケーブル処理シール特徴部を備えた光ファイバクロージャ
US20020079697A1 (en) Y-branch splittable connector
JP2010521707A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入線装置及び電気通信エンクロージャシステム
KR19980703282A (ko) 돔형의 광섬유용 폐쇄체
CA2424741A1 (en) Below grade closure for local convergence point
WO2008094421A2 (en) Multi-drop closure systems and methods for fiber optic cabling
WO2007037845A2 (en) Preterminated fiber optic cable including downstream splitter
KR20070044449A (ko) 원격 통신 케이블 수납체
CN116583770A (zh) 具有拉手组件的光纤电缆组件和相关方法
KR200237992Y1 (ko) 광케이블이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슬리브가 본체의외측면에 부착된 광단자함
KR200294692Y1 (ko) 광단자함
JPH0980239A (ja) 光ケーブルの接続函及び接続方法
KR101158256B1 (ko) 광케이블 분기 접속 함체
CN115867843A (zh) 电信设备
JP3487972B2 (ja) 光ファイバ分岐用防水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40228

Effective date: 20040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