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817Y1 - Multi purpose automobile room mirror - Google Patents

Multi purpose automobile room mirr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817Y1
KR200236817Y1 KR2020010007871U KR20010007871U KR200236817Y1 KR 200236817 Y1 KR200236817 Y1 KR 200236817Y1 KR 2020010007871 U KR2020010007871 U KR 2020010007871U KR 20010007871 U KR20010007871 U KR 20010007871U KR 200236817 Y1 KR200236817 Y1 KR 2002368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rame
sensor
room mirro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87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인득
Original Assignee
(주)엠에이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에이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엠에이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20200100078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81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8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817Y1/en

Link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방카메라와; 후방카메라와; 충격감지센서와; 탑승자감지센서와; 모니터와; 키입력부와; 전방카메라와 후방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저장하다가 충격감지센서에 의해 외부 충격이 감지되면 그 후로 설정된 시간 동안 전방카메라와 후방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더 저장하여 충격이 감지된 시점의 전·후 설정된 시간 동안 저장된 영상을 백업하는 동시에 탑승자감지센서에 의해 탑승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외부 충격이 감지될 때마다 반복 수행하고, 키입력부가 기록 영상의 재생을 명령하면 백업해 둔 영상들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회로를 구비한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기능 차량 룸미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다기능 차량 룸미러는 하나의 완제품이 다양한 기능(블랙박스 기능, 도난방지기 기능, 음주측정기 기능 등)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동시에, 일반적인 차량 룸미러와 마찬가지로 차량 내부의 천장에 고정시킨 다음 배터리 전원만 연결시키면 설치가 완료되기 때문에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모든 부품들이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의 설치를 위해 차량을 훼손시킬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front camera; A rear camera; An impact sensor; A passenger sensor; A monitor; A key input unit; If the external shock is detected by the shock sensor while the images captured by the front and rear cameras are saved in real time, the images captured by the front and rear cameras are further stored for a set time thereafter. If the passengers are not detected by the occupant sensor, the alarm sound is repeatedly generated every time an external shock is detected, and the key input unit commands to play the recorded im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vehicle room mirror including a circuit board having a circuit for displaying backed up images on a monitor. The multifunctional vehicle room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economical and practical since one finished product is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black box function, anti-theft function, breathalyzer function, etc.) and at the same time as the general vehicle room mirror. After fixing it to the ceiling and connecting the battery power, the installation is completed, so anyone can install it easily. Since all the parts are mounted on the frame, there is no need to damage the vehicle to install the parts.

Description

다기능 차량 룸미러{Multi purpose automobile room mirror}Multi purpose automobile room mirror

본 고안은 차량 룸미러(room mirro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룸미러의 고유 기능에 해당되는 후방 모니터링(monitoring) 기능과 더불어 블랙박스 기능과, 도난방지기 기능과, 음주측정기 기능을 모두 겸비하고 있는 다기능 차량 룸미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om mirror of a vehicle, and in particular, a multi-functional system that combines a black box function, an anti-theft function, and a breathalyzer function with a rear monitoring function corresponding to a unique function of the room mirror. It is about a vehicle room mirror.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의 천장에 설치된 룸미러는 운전자가 운행중이나 정차중에 차량의 후방 상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 사각형의 프레임에 거울이 장착된 구조를 가진다.In general, the room mirror installed on the ceiling inside the vehicle is for the driver to easily check the rear of the vehicle while driving or stopping,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mirror is mounted on a rectangular frame.

종래에는 차량 룸미러의 전체적인 형상만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미적인 효과만을 높여 왔을 뿐 기능적인 면을 다양화시켜 사용자(운전자, 탑승자)의 편의를 도모하는데는 소홀히 하였다.In the related art, the overall shape of the vehicle room mirror has been changed in various ways, but only the aesthetic effect has been increased, but the functional aspects have been diversified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driver and passenger).

따라서, 차량에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는 차량 룸미러에 다양한 기능을 접목시키는 것이 요구되었다.Therefore, it has been required to combine various functions in a vehicle room mirror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vehicle.

이에 본 고안은 교통사고가 발생하여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주·정차중인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면 차량의 전·후방 영상을 자동으로 기록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동시에, 주·정차중인 차량 내부에 탑승자가 없을 때 충격이 가해지면 경보음을 발생하는 도난방지기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다기능 차량 룸미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lack box function that automatically records the front and rear images of a vehicle when a traffic accident occurs and the vehicle is impacted or the vehicle is stopped or stopp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conomical and practical multifunctional vehicle room mirror by providing an anti-theft function that generates an alarm sound when an impact is applied when there is no passenger.

또한, 본 고안은 음주측정기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운전자, 탑승자등)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다기능 차량 룸미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multi-function vehicle room mirror that can facilitate the user (driver, passenger, etc.) by having a breathalyzer function.

또한, 본 고안은 외부영상입력단자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다기능 차량 룸미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multi-function vehicle room mirror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by having an external image input termin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다기능 차량 룸미러는 전면에 거울이 장착된 프레임의 후면에 장착되어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는 전방카메라와; 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어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는 후방카메라와; 프레임의 후면에 장착되어 차량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와; 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어 차량의 내부 탑승자를 감지하는 탑승자감지센서와; 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와; 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어 기록 영상의 재생을 명령하는 각종 버튼들을 구비한 키입력부와; 프레임과 거울 사이에 장착되고, 전방카메라와 후방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저장하다가 충격감지센서에 의해 외부 충격이 감지되면 그 후로 설정된 시간 동안 전방카메라와 후방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더 저장하여 충격이 감지된 시점의 전·후 설정된 시간 동안 저장된 영상을 백업하는 동시에 탑승자감지센서에 의해 탑승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외부 충격이 감지될 때마다 반복 수행하고, 키입력부가 기록 영상의 재생을 명령하면 백업해 둔 영상들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회로를 구비한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ulti-function vehicle room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camera mounted on a rear side of a frame on which a mirror is mounted on the front and photographing the front of the vehicle; A rear camera mounted on the front of the frame to photograph the rear of the vehicle; An impact detection sensor mounted on the rear of the frame and detecting an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A passenger sensor mounted on the front of the frame to detect an interior occupant of the vehicle; A monitor mounted on the front of the frame to display an image; A key input unit mounted on the front of the frame and having various buttons for instructing reproduction of the recorded image; It is mounted between the frame and the mirror, and stores the images taken by the front camera and the rear camera in real time, and when the external shock is detected by the shock sensor, the images taken by the front camera and the rear camera are further added for the set time thereafter. Stores the backup image for a set time before and after the shock is detected and at the same time repeats the process of generating an alarm sound every time an external shock is detected. And a circuit board having a circuit for displaying the backed up images on the monitor when the reproduction of the additional recording image is commanded.

상기에서 다기능 차량 룸미러는 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어 차량의 운전자가 입김을 불 때 공기 속에 포함된 알코올성분을 검출하여 운전자의 혈중알코올농도를측정하는 알코올센서와, 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음주측정결과를 표시하는 결과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회로기판의 회로는 알코올센서에 의해 측정된 혈중알코올농도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음주측정결과를 산출한 다음 결과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the multi-function vehicle room mirror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frame and detects the alcohol contained in the air when the driver of the vehicle blows the alcohol sensor for measuring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of the driver, and mounted on the front of the frame Preferably, the display unit further comprises a resul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result of drinking measurement. The circuit of the circuit board compares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alcohol sensor with a set reference value, calculates the result of drinking measurement, and then displays the result on the display unit. It is preferable.

또한, 다기능 차량 룸미러는 프레임에 장착되어 외부 영상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외부영상입력단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키입력부는 외부 영상의 재생을 명령하는 버튼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회로기판에 구비된 회로는 키입력부가 외부 영상의 재생을 명령하면 외부영상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영상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ulti-function vehicle room mirror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external image input terminal mounted on the frame to enable the input of the external image, the key input unit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button for commanding the reproduction of the external image. The circuit provided in the circuit board may display an external image input through the external image input terminal on the monitor when the key input unit commands reproduction of the external imag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차량 룸미러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ultifunction vehicle room mirror is install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차량 룸미러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a multifunction vehicle room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차량 룸미러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multifunctional vehicle room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다기능 차량 룸미러 110: 프레임100: multi-function vehicle room mirror 110: frame

C1 : 전방카메라 C2 : 후방카메라C1: Front Camera C2: Rear Camera

S1 : 충격감지센서 S2 : 탑승자감지센서S1: shock sensor S2: passenger sensor

120: 거울 130: 음주측정기120: mirror 130: breathalyzer

S3 : 알코올센서 132: 결과표시부S3: alcohol sensor 132: result display unit

140: LCD 모니터 150: 키입력부140: LCD monitor 150: key input unit

160: 회로기판 VIN: 외부영상입력단자160: circuit board V IN : external image input terminal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다기능 차량 룸미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multi-function vehicle room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차량 룸미러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차량 룸미러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차량 룸미러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ultifunction vehicle room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multifunction vehicle room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multifunctional vehicle room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차량 룸미러(100)는 프레임(frame, 110)과, 거울(120)과, 전방카메라(C1)와, 후방카메라(C2)와, 충격감지센서(S1)와, 탑승자감지센서(S2)와, 음주측정기(130)와, 외부영상입력단자(VIN)와, LCD 모니터(Liquid Crystal Display monitor, 140)와, 키입력부(150)와, 회로기판(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Multifunctional vehicle room mirr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ame (frame, 110), a mirror 120, the front camera (C1), the rear camera (C2), the impact sensor (S1) And, a passenger sensor (S2), a breathalyzer (130), an external image input terminal (V IN ), an LCD monitor (Liquid Crystal Display monitor) 140, a key input unit 150, a circuit board 16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프레임(110)은 가장자리에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다.The frame 110 has an edge formed at its edge.

상기 거울(120)은 프레임(110)의 전면에 장착된다. 상기 거울(120)은 차량(10)의 후방 상황을 비추어 줌으로써 운전자가 운행중이나 주·정차중에 차량(10)의 후방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mirror 120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frame 110. The mirror 120 illuminates the rear situation of the vehicle 10 so that the driver can check the rear situation of the vehicle 10 while driving or while stopping or stopping.

상기 전방카메라(C1)는 프레임(110)의 후면 테두리 상단부 중앙에 장착된 상태에서 차량(10)의 전방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아날로그 전방촬영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후방카메라(C2)는 프레임(110)의 전면 테두리 하단부 중앙에 장착된 상태에서 차량(10)의 후방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아날로그 후방촬영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전방카메라(C1)와 후방카메라(C2)는 수평 및 수직 화각이 120°인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이다.The front camera C1 continuously outputs an analog front photographing signal by continuously photographing the front of the vehicle 10 while being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edge of the rear edge of the frame 110. The rear camera C2 continuously photographs the rear of the vehicle 10 while being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edge of the front edge of the frame 110 and outputs an analog rear photographing signal. The front camera C1 and the rear camera C2 are charge coupled device (CCD) cameras having a horizontal and vertical angle of view of 120 °.

상기 충격감지센서(S1)는 프레임(110)의 후면 테두리 상단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차량(1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감지하여 충격감지신호를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격감지센서(S1)는 차량(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차체와 함께 흔들리게 되는 프레임(110)의 흔들림을 감지한다.The shock sensor S1 detects an external shock applied to the vehicle 10 while being mounted on the upper edge of the rear edge of the frame 110 and outputs a shock detection signal. More specifically, the impact sensor S1 detects a shake of the frame 110 that is shaken together with the vehicle body when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to the vehicle 10.

상기 탑승자감지센서(S2)는 프레임(110)의 전면 테두리 하단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차량(10)의 내부 탑승자를 감지하여 탑승자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탑승자감지센서(S2)는 인체의 체온을 감지하는 열센서나 인체에서 발생되는 적외선(6.5∼15[㎛])을 감지하는 초전센서(초전형 적외선센서) 등일 수 있다.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S2 detects an internal occupant of the vehicle 10 and outputs a occupant detection signal in a state where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S2 is mounted at the lower edge of the front edge of the frame 110.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S2 may be a thermal sensor for detecting a body temperature of a human body or a pyroelectric sensor (pyroelectric infrared sensor) for detecting infrared rays (6.5-15 [μm]) generated in the human body.

상기 음주측정기(130)는 프레임(110)의 전면 테두리 하단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운전자의 혈중알코올농도를 측정하여 음주측정결과를 단계별(안전, 위험, 운전불가)로 표시한다. 상기 음주측정기(130)는 알코올센서(S3)와 결과표시부(13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알코올센서(S3)는 운전자가 입김을 불 때 공기 속에 포함된 알코올성분의 검출을 통해 운전자의 혈중알코올농도를 측정하여 혈중알코올농도측정치를 출력한다. 상기 결과표시부(132)는 운전자의 혈중알코올농도가 '안전' 상태임을 표시하는 녹색 LED(Light Emitting Diode, G)와, '위험' 상태임을 표시하는 노란색 LED(Y)와, '운전불가' 상태임을 표시하는 빨간색 LED(R)로 구성되어 있다.The breathalyzer 130 measures the alcohol concentration in the blood of the driver in a state mounted on the lower edge of the front edge of the frame 110 and displays the results of the breathalyzer in steps (safety, danger, impossibility of driving). The breathalyzer 130 includes an alcohol sensor S3 and a result display unit 132. The alcohol sensor S3 measures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of the driver through the detection of an alcohol component contained in the air when the driver blows and outputs a blood alcohol concentration measurement value. The result display unit 132 has a green LED (Light Emitting Diode, G) indicating that the driver's blood alcohol concentration is a 'safe' state, a yellow LED (Y) indicating a 'danger' state, and a 'non-driving' state It is composed of red LED (R) indicating that

상기 외부영상입력단자(VIN)에는 각종 외부 영상신호가 입력된다. 일례로, 상기 외부영상입력단자(VIN)에는 차량(10)의 범퍼에 장착되어 거울(120)에 비춰지지 않는 차량(10)의 후방 사각지대를 촬영하는 CCD 카메라의 출력단이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Various external video signals are input to the external video input terminal V IN . For example, the external image input terminal V IN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CD camera, which is mounted on the bumper of the vehicle 10 and photographs the blind spot of the rear of the vehicle 10 that is not illuminated by the mirror 120. have.

상기 LCD 모니터(140)는 프레임(110)의 전면에 장착되어 각종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The LCD monitor 140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frame 110 to display various images.

상기 키입력부(150)는 프레임(110)의 전면에 장착되어 기록 영상이나 외부 영상의 재생 등을 명령하는 각종 버튼들 - 모니터 온/오프버튼(B1)과, 모드설정버튼(B2)과, 업버튼(B3)과, 다운버튼(B4)과, 선택버튼(B5) - 을 구비하고 있다.The key input unit 150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frame 110, and various buttons for instructing playback of a recorded image or an external image, etc.-a monitor on / off button (B1), a mode setting button (B2), and up A button B3, a down button B4, and a selection button B5 are provided.

상기 회로기판(160)은 도면상 도시된 바는 없으나 프레임(110)과 거울(120) 사이에 미관상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장착된다. 상기 회로기판(160)에는 차량(10)의 배터리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회로기판(160)은 제 1 ADC(Analog/Digital Converter, 161)와, 제 2 ADC(162)와, 제 3 ADC(163)와, 제 1 내지 제 4 메모리(M1, M2, M3, M4)와, 경보음발생부(164)와, LCD 구동부(165)와, 제 1 스위칭부(166)와, 제 2 스위칭부(167)와, 마이컴(168)을 구비하고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ircuit board 160 is mounted between the frame 110 and the mirror 120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battery board of the vehicle 10 is supplied to the circuit board 160. The circuit board 160 may include a first ADC (Analog / Digital Converter) 161, a second ADC 162, a third ADC 163, and first through fourth memories M1, M2, M3, and M4. ), An alarm sound generating unit 164, an LCD driving unit 165, a first switching unit 166, a second switching unit 167, and a microcomputer 168.

상기 제 1 ADC(161)는 전방카메라(C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전방촬영신호를 디지털 전방촬영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상기 제 2 ADC(162)는 후방카메라(C2)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후방촬영신호를 디지털 후방촬영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상기 제 3 ADC(163)는 외부영상입력단자(VIN)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한다.The first ADC 161 converts the analog front photographing signal output from the front camera C1 into a digital front photographing signal and outputs the digital front photographing signal. The second ADC 162 converts the analog rear photographing signal output from the rear camera C2 into a digital rear photographing signal and outputs it. The third ADC 163 converts an analog video signal input from an external video input terminal V IN into a digital video signal and outputs the digital video signal.

상기 제 1 메모리(M1)에는 전방카메라(C1)에서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전방촬영신호가 디지털화된 후 실시간으로 저장된다. 상기 제 2 메모리(M2)에는 후방카메라(C2)에서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후방촬영신호가 디지털화된 후 실시간으로 저장된다. 상기 제 3 메모리(M3)에는 차량(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해당 시점의 전·후 설정된 시간 동안(일례로, 충격이 가해진 시점 5초 전에서 10초 후까지의 총 15초 동안) 제 1 메모리(M1)에 저장된 디지털 전방촬영신호가 압축된 후 백업된다. 상기 제 4 메모리(M4)에는 차량(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해당 시점의 전·후 설정된 시간 동안(일례로, 충격이 가해진 시점 5초 전에서 10초 후까지의 총 15초 동안) 제 2 메모리(M2)에 저장된 디지털 후방촬영신호가 압축된 후 백업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메모리(M1∼M4)에는 신호가 프레임(frame) 단위로 저장된다.아울러, 상기 제 3 메모리(M3)와 제 4 메모리(M4)에는 차량(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마다 해당 시점의 전·후 설정된 시간 동안 제 1 또는 제 2 메모리(M1, M2)에 저장된 영상들이 서로 다른 영역에 순서대로 백업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M1, M2)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이고, 제 3 및 제 4 메모리(M3, M4)는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이다.The front photographing signal continuously output from the front camera C1 is digitized and stored in the first memory M1 in real time. The rear photographing signal continuously output from the rear camera C2 is digitized and stored in the second memory M2 in real time. The third memory M3 has a predetermined time period (eg, for a total of 15 seconds from 5 seconds to 10 seconds after the impact is applied) when the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vehicle 10. 1 The digital front photographing signal stored in the memory M1 is compressed and backed up. The fourth memory M4 includes a predetermined time period (eg, for a total of 15 seconds from 5 seconds to 10 seconds after the impact is applied) when the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vehicle 10. 2 The digital back imaging signal stored in the memory M2 is compressed and backed up. Signals are stored in units of frames in the first to fourth memories M1 to M4. In addition, external shocks are applied to the vehicle 10 in the third and fourth memories M3 and M4. Each time, images stored in the first or second memories M1 and M2 are sequentially backed up in different areas for a set time before and after the corresponding point in time.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M1 and M2 are static random access memories (SRAMs), and the third and fourth memories M3 and M4 are flash memories.

상기 경보음발생부(164)는 외부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킨다.The alarm sound generator 164 generates an alarm sound when an external control signal is applied.

상기 LCD 구동부(165)는 LCD 모니터(140)에 디지털 영상신호와 각종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LCD 모니터(140)에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킨다.The LCD driver 165 displays an image on the LCD monitor 140 by applying a digital image signal and various driving signals to the LCD monitor 140.

상기 제 1 스위칭부(166)는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제 3 ADC(163)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LCD 구동부(165)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The first switching unit 166 selectively transmits the digital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third ADC 163 to the LCD driver 165 according to an external control signal.

상기 제 2 스위칭부(167)는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배터리 전원을 LCD 모니터(140)에 선택적으로 공급한다.The second switching unit 167 selectively supplies battery power to the LCD monitor 140 according to an external control signal.

상기 마이컴(168)은 제 1 ADC(16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전방촬영신호를 제 1 메모리(M1)에, 제 2 ADC(162)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후방촬영신호를 제 2 메모리(M2)에 각각 실시간으로 저장시키다가 충격감지센서(S1)로부터 충격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그 후로 설정된 시간 동안(일례로, 10초 동안) 제 1 ADC(161)와 제 2 ADC(162)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전방촬영신호와 디지털 후방촬영신호를 제 1 또는 제 2 메모리(M1, M2)에 더 저장시킨 다음 충격감지신호가 입력된 시점의 전·후 설정된 시간 동안(전 5초, 후 10초) 제 1 및 제 2 메모리(M1, M2)에 저장된 디지털 전방영상신호와 디지털 후방영상신호를 제 1 및 제 2 메모리(M1, M2)로부터 읽어들여 압축한 다음 제 3 메모리(M3)와 제 4 메모리(M4)에 각각 백업시키는 동시에 탑승자감지센서(S2)로부터 탑승자감지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여 입력되지 않으면 경보음발생부(164)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과정을 충격감지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반복 수행한다. 상기에서 마이컴(168)은 신호를 MPEG4(Motion Picture Experts Group 4) 방식으로 압축한다. 또한, 상기 마이컴(168)은 키입력부(150)로부터 기록 영상의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제 3 메모리(M3)와 제 4 메모리(M4)로부터 디지털 압축 전방촬영신호와 디지털 압축 후방촬영신호를 읽어들여 압축을 푼 다음 LCD 구동부(165)로 출력하여 LCD 모니터(140)에 기록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이컴(168)은 키입력부(150)로부터 외부 영상의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제 1 스위칭부(166)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 3 ADC(163)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가 제 1 스위칭부(166)를 거쳐 LCD 구동부(165)에 입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이컴(168)은 알코올센서(S3)로부터 혈중알코올농도측정치(d)가 입력되면 해당 측정치(d)를 사전 설정된 제 1 기준값(α) 및 제 2 기준값(β, β>α)과 비교하여 d<α이면 결과표시부(132)의 녹색 LED(G)를 점등시키고, α≤d≤β이면 결과표시부(132)의 노란색 LED(Y)를 점등시키고, d>β이면 결과표시부(132)의 빨간색 LED(R)를 점등시킨다. 또한, 상기 마이컴(168)은 키입력부(150)로부터 모니터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제 2 스위칭부(167)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LCD 모니터(140)에 공급되고 있던 차량(10)의 배터리 전원이 제 2 스위칭부(167)에 의해 차단되도록 한다.The microcomputer 168 outputs the digital front photographing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ADC 161 to the first memory M1 and the digital rear photographing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ADC 162 to the second memory M2, respectively. When the shock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shock detection sensor S1 while being stored in real time, the digital front photograph output from the first ADC 161 and the second ADC 162 for a set time thereafter (for example, 10 seconds). The signal and the digital back-shooting signal are further stored in the first or second memories M1 and M2, and then the first and the second times for a predetermined time (5 seconds before and 10 seconds after) before and after the shock detection signal is input. 2 The digital front image signal and the digital rear image signal stored in the memories M1 and M2 are read from the first and second memories M1 and M2 and compressed, and then compressed into the third memory M3 and the fourth memory M4. At the same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ccupant detection signal is inputted from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S2. If it is not input, the process of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164 to generate an alarm sound is repeated every time the shock detection signal is input. In the above, the microcomputer 168 compresses the signal by the Motion Picture Experts Group 4 (MPEG4) scheme.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168 reads the digital compressed front photographing signal and the digital compressed rear photographing signal from the third memory M3 and the fourth memory M4 when a playback command of the recorded image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150. After decompression, the LCD driver 165 outputs the recorded image to the LCD monitor 140.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168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first switching unit 166 when a command for reproducing an external image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150 to output a first digital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third ADC 163. Input to the LCD driver 165 via the switching unit 166. In addition, when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measurement d is input from the alcohol sensor S3, the microcomputer 168 converts the measurement value d into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α and a second reference value β and β> α. In comparison, if d <α, the green LED (G) of the result display unit 132 is turned on, and if α≤d≤β, the yellow LED (Y) of the result display unit 132 is turned on; if d> β, the result display unit 132 is turned on. The red LED (R) of) lights up. In addition, when the monitor off command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150, the microcomputer 168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switching unit 167 so that the battery power of the vehicle 10 supplied to the LCD monitor 140 is reduced. To be blocked by the second switching unit 167.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차량 룸미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multi-function vehicle room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차량 룸미러(100)는 차량(10)의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면 전방카메라(C1)가 차량(10)의 전방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제 1 ADC(161)에 아날로그 전방촬영신호를 출력하고, 제 1 ADC(161)가 전방카메라(C1)로부터 입력받은 아날로그 전방촬영신호를 디지털화하여 마이컴(168)으로 디지털 전방촬영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후방카메라(C2)가 차량(10)의 후방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제 2 ADC(162)에 아날로그 후방촬영신호를 출력하고, 제 2 ADC(162)가 후방카메라(C2)로부터 입력받은 아날로그 후방촬영신호를 디지털화하여 마이컴(168)으로 디지털 후방촬영신호를 출력한다. 아울러, 마이컴(168)은 배터리 전원이 공급된 후 운전자의 키입력부(150) 조작에 의해 별다른 작동모드로 설정되지 않는 한 자동기록모드로 작동한다.In the multifunction vehicle room mirror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ttery power of the vehicle 10 is supplied, the front camera C1 continuously photographs the front of the vehicle 10 to the first ADC 161. The analog front photographing signal is output, the first ADC 161 digitizes the analog front photographing signal received from the front camera C1, and outputs the digital front photographing signal to the microcomputer 168, while the rear camera C2 The rear of the vehicle 10 is continuously photographed to output an analog rear photographing signal to the second ADC 162, and the second ADC 162 digitizes the analog rear photographing signal received from the rear camera C2 to obtain a microcomputer ( 168) to output a digital back-shooting signal. In addition, after the battery power is supplied, the microcomputer 168 operates in the automatic recording mode unless a different operation mode is set by the driver's key input unit 150.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마이컴(168)은 크게 5가지 모드(자동기록모드, 수동기록모드, 기록재생모드, 기록삭제모드, 외부영상재생모드)로 작동하는바, 각 작동모드를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computer 168 operates in five modes (automatic recording mode, manual recording mode, recording playback mode, recording deletion mode, and external video playback mode). Explain.

먼저, 각 작동모드의 설정은 키입력부(150)에 구비된 버튼들(B2∼B4)에 의해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모드설정버튼(B2)을 누르면 LCD 모니터(140)에 모드 항목들(자동기록모드, 수동기록모드, 기록재생모드, 기록삭제모드, 외부영상재생모드)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가 업버튼(B3)과 다운버튼(B4)을 이용하여 그 중 하나에 커서를 이동시킨 다음 선택버튼(B5)을 누르면 선택된 모드가 설정되거나 선택된 모드의 세부 항목들이 LCD 모니터(140)에 디스플레이된다.즉, 자동기록모드와 수동기록모드와 외부영상재생모드의 경우 선택버튼(B5)을 누르면 바로 모드의 설정이 이루어지고, 기록재생모드의 경우 선택버튼(B5)을 누르면 세부 항목들(전방영상재생, 후방영상재생)이 디스플레이되고, 기록삭제모드의 경우 선택버튼(B5)을 누르면 세부 항목들(전방영상모두삭제, 전방영상선택삭제, 후방영상모두삭제, 후방영상선택삭제, 전·후방영상모두삭제)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기록재생모드와 기록삭제모드의 세부 항목들도 모드 설정시와 마찬가지로 업버튼(B3)과 다운버튼(B4)과 선택버튼(B5)의 조작에 의해 선택 및 설정된다. 상기에서 LCD 모니터(140)에 디스플레이되는 모드설정용 화면들은 마이컴(168)과 LCD 구동부(165)에 의해 구성된다.First, each operation mode is set by the buttons B2 to B4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150. 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presses the mode setting button B2, the mode items (auto recording mode, manual recording mode, recording playback mode, recording deletion mode, external video playback mode) are displayed on the LCD monitor 140, and the user By moving the cursor to one of the buttons using the up button B3 and the down button B4 and then pressing the select button B5, the selected mode is set or the detailed items of the selected mode are displayed on the LCD monitor 140. In other words, in auto recording mode, manual recording mode and external video playback mode, pressing the select button (B5) makes the setting of the mode immediately. Playback, rear view playback) is displayed, and in case of record delete mode, press the select button (B5) to delete the detailed items (delete all front image, delete front image, delete rear image, delete rear image, front / rear The Delete All) is displayed. The details of the recording reproduction mode and the recording deletion mode are also selected and set by the operation of the up button B3, the down button B4 and the selection button B5 as in the case of the mode setting. Mode setting screens displayed on the LCD monitor 140 are configured by the microcomputer 168 and the LCD driver 165.

1) 자동기록모드시 마이컴(168)은 제 1 ADC(161)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전방촬영신호를 제 1 메모리(M1)에 연속적으로 저장시키고, 제 2 ADC(162)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후방촬영신호를 제 2 메모리(M2)에 연속적으로 저장시킨다. 이 상태에서 교통사고, 차량훼손 등으로 인해 차체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충격감지센서(S1)가 마이컴(168)으로 충격감지신호를 출력하는데, 마이컴(168)은 충격감지센서(S1)로부터 충격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충격감지신호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간 동안(일례로, 10초 동안) 제 1 ADC(161)와 제 2 ADC(162)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전방촬영신호와 디지털 후방촬영신호를 제 1 메모리(M1)와 제 2 메모리(M2)에 각각 더 저장시킨다. 그 후, 마이컴(168)은 충격감지신호가 입력된 시점의 전·후 설정된 시간 동안(일례로 전 5초, 후 10초 동안) 제 1 메모리(M1)와 제 2 메모리(M2)에 저장된 디지털 전방촬영신호와 디지털 후방촬영신호를 제 1메모리(M1)와 제 2 메모리(M2)로부터 읽어들여 압축시킨 다음 제 3 메모리(M3)와 제 4 메모리(M4)에 각각 백업시킨다. 아울러, 마이컴(168)은 충격감지센서(S1)로부터 충격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탑승자감지센서(S2)로부터 탑승자감지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여 탑승자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경보음발생부(164)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경보음발생부(164)에서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마이컴(168)은 충격감지센서(S1)로부터 충격감지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신호를 압축 및 백업하고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또한, 자동기록모드시 마이컴(168)은 운전자의 키입력부(150) 조작에 의해 모니터 온이 선택되면 제 1 ADC(161)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전방촬영신호를 제 1 메모리(M1)에 저장시키는 동시에 LCD 구동부(165)로 출력하여 LCD 모니터(140)에 전방 촬영 영상 화면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차량 룸미러(100)는 교통사고가 발생하거나 주·정차중에 차량(10)이 훼손될 때 사고(교통사고, 차량훼손)가 일어난 시점의 전·후 설정된 시간 동안 차량(10)의 전방 및 후방 영상을 촬영하여 기록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함으로써 추후 사용자(운전자, 탑승자, 소유주 등)가 교통사고 가해자를 판별하거나 차량(10)을 훼손한 범인을 찾아내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차량 룸미러(100)는 차량(10) 내부에 아무도 타고 있지 않을 때 도난이나 차량훼손 등으로 인해 차체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경보음을 발생하는 도난경보기 기능을 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10)의 도난이나 훼손 사실을 즉시 인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1) In the automatic recording mode, the microcomputer 168 continuously stores the digital front photographing signal input from the first ADC 161 in the first memory M1, and the digital rear photographing signal input from the second ADC 162. Is continuously stored in the second memory M2. In this state, when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to the vehicle body due to a traffic accident or damage to the vehicle, the shock sensor S1 outputs a shock detection signal to the microcomputer 168, and the microcomputer 168 shocks from the shock sensor S1.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input, the digital front photographing signal and the digital rear photographing signal input from the first ADC 161 and the second ADC 162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for 10 seconds) from the input point of the impact detection signal are removed. The first memory M1 and the second memory M2 are further stored. Thereafter, the microcomputer 168 stores the digital data stored in the first memory M1 and the second memory M2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5 seconds before and 10 seconds after) at the time when the shock detection signal is input. The front photographing signal and the digital rear photographing signal are read from the first memory M1 and the second memory M2, compressed, and then backed up to the third memory M3 and the fourth memory M4,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168 determines whether an occupant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S2 when an impact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impact detection sensor S1, and if the occupant detection signal is not input, an alarm sound generating unit 164. By 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164 to generate an alarm sound. In the above, the microcomputer 168 repeatedly compresses and backs up the signal and generates an alarm sound whenever the shock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shock detection sensor S1. In the automatic recording mode, the microcomputer 168 stores the digital front photographing signal input from the first ADC 161 in the first memory M1 when the monitor on is selected by the driver's key input unit 150. Output to the LCD driver 165 to display the front-photographed video screen on the LCD monitor 140 in real time. As described above, the multi-function vehicle room mirr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where a traffic accident occurs (when the vehicle 10 is damaged during a parking accident or a traffic accident). After the black box function to record and record the front and rear images of the vehicle 10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user (driver, occupant, owner, etc.) later determine the traffic offender or find a criminal who damaged the vehicle 10 You can help. In addition, the multi-function vehicle room mirr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ti-theft alarm that generates an alarm when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to the vehicle due to theft or damage to the vehicle when no one is riding inside the vehicle 10. The function allows the user to immediately recognize that the vehicle 10 has been stolen or damaged, and take appropriate measures.

2) 사용자(운전자, 탑승자)의 키입력부(150) 조작에 의해 [수동기록모드]가 선택되면 마이컴(168)은 충격감지센서(S1)로부터 충격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아도 자동기록모드시와 마찬가지로 수동기록모드가 선택된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간 동안(일례로 10초 동안) 제 1 ADC(161)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전방촬영신호를 제 1 메모리(M1)에, 제 2 ADC(162)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후방촬영신호를 제 2 메모리(M2)에 더 저장시킨 다음 제 1 메모리(M1)와 제 2 메모리(M2)로부터 수동기록모드가 선택된 시점의 전·후 설정된 시간 동안(일례로 전 5초, 후 10초 동안) 저장된 디지털 전방촬영신호 및 디지털 후방촬영신호를 읽어들여 압축한 후 제 3 메모리(M3)와 제 4 메모리(M4)에 백업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차량 룸미러(100)는 충격감지센서(S1)가 고장이 났을 때, 차량(10)에 충격감지센서(S1)에 의해 감지되지 않을 정도의 미미한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 차량(10)의 주변 상황을 기록해두고 싶을 때 등 유사시에 대비하여 사용자(운전자, 탑승자 등)가 수동으로 차량(10)의 전·후방 상황을 촬영하여 기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다.2) When [manual recording mode] is selected by the user (driver, passenger) key input unit 150 operation, the microcomputer 168 is the same as in the automatic recording mode even if the shock detection signal is not input from the shock detection sensor (S1). The digital front photographing signal input from the first ADC 161 to the first memory M1 and the digital rearward input from the second ADC 162 for a set time (for example, 10 seconds) from the time when the manual recording mode is selected. The recording signal is further stored in the second memory M2, and then for a set time before and after the time when the manual recording mode is selected from the first memory M1 and the second memory M2 (for example, 5 seconds before and 10 after The digital front photographing signal and the digital back photographing signal stored are read and compressed and backed up in the third memory M3 and the fourth memory M4. As described above, the multifunction vehicle room mirro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light degree that is not detected by the impact sensor S1 in the vehicle 10 when the shock sensor S1 has failed. In case of an external shock, the user (driver, passenger, etc.) can manually record and record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10 in case of emergency, such as when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vehicle 10 is to be recorded. By doing so, the user's convenience is achieved.

3) 사용자의 키입력부(150) 조작에 의해 [기록재생모드]가 선택되고, 기록재생모드의 세부 항목들 중 [전방영상재생]이나 [후방영상재생]이 선택되면 마이컴(168)은 제 3 메모리(M3)나 제 4 메모리(M4)의 첫 번째 영역에 저장된 신호를 읽어들여 압축을 푼 다음 LCD 구동부(165)로 출력하여 LCD 모니터(140)에 첫 번째 기록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이후 키입력부(150)의 다운버튼(B4)이 조작되어 두 번째 기록 영상의 재생이 선택되면 제 3 메모리(M3)나 제 4 메모리(M4)의 두 번째 영역에 저장된 신호를 읽어들여 압축을 푼 다음 LCD 구동부(165)로 출력하여 LCD 모니터(140)에 두 번째 기록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과정을 제 3 메모리(M3) 또는 제 4 메모리(M4)의 신호가 저장된 모든 영역에 대하여 반복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차량 룸미러(100)는 교통사고 후 가해자와 피해자의 판별이 모호하여 시비가 발생하거나, 주·정차중에 차량(10)이 훼손되어 있을 때 차량(10)의 운전자로 하여금 고통사고 발생시 또는 차량훼손시의 기록 영상 재생을 통해 교통사고 가해자를 쉽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10)을 훼손시킨 범인도 쉽게 찾아낼 수 있도록 한다.3) When [record play mode] is selected by the user's key input unit 150, and [front video play] or [rear video play] is selected among the detailed items of the record play mode, the microcomputer 168 performs a third operation. Read and decompress the signal stored in the first area of the memory M3 or the fourth memory M4 and output it to the LCD driver 165 to display the first recorded image on the LCD monitor 140. When the down button B4 of the input unit 150 is operated to select playback of the second recorded image, the signal stored in the second area of the third memory M3 or the fourth memory M4 is read and decompressed, and then the LCD is read. The process of outputting to the driver 165 to display the second recorded image on the LCD monitor 140 is repeated for all regions in which the signals of the third memory M3 or the fourth memory M4 are stored. As described above, the multifunction vehicle room mirr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mbiguous when discrimination between the offender and the victim after a traffic accident occurs, or when the vehicle 10 is damaged during parking or stopping ( The driver of 10) can easily identify the traffic offender by reproducing the recorded image at the time of suffering accident or damage to the vehicle, and also easily finds the offender who damaged the vehicle 10.

4) 사용자의 키입력부(150) 조작에 의해 [기록삭제모드]가 선택되고, 기록삭제모드의 세부 항목들 중 [전방영상모두삭제]나 [후방영상모두삭제]나 [전·후방영상모두삭제]가 선택되면 마이컴(168)은 제 3 메모리(M3)나 제 4 메모리(M4) 또는 제 3 메모리(M3)와 제 4 메모리(M4)에 저장된 신호를 모두 삭제한다. 반면, 사용자의 키입력부(150) 조작에 의해 [전방영상선택삭제]나 [후방영상선택삭제]가 선택되면 마이컴(168)은 먼저 제 3 메모리(M3)나 제 4 메모리(M4)의 첫 번째 영역에 저장된 신호를 읽어들여 압축을 푼 다음 LCD 구동부(165)로 출력하여 LCD 모니터(140)에 첫 번째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이후 키입력부(150)의 설정버튼(B5)이 조작되어 해당 동영상의 삭제가 선택되면 제 3 메모리(M3)나 제 4 메모리(M4)의 첫 번째 영역에 저장된 신호를 삭제하고, 키입력부(150)의 다운버튼(B4)이 조작되어 해당 동영상의 보존이 선택되면 제 3 메모리(M3)나 제 4 메모리(M4)의 다음 영역에 저장된 신호를 읽어들여 압축을 푼 다음 LCD구동부(165)로 출력하는 과정을 신호가 저장된 모든 영역에 대해 순서대로 반복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차량 룸미러(100)는 사용자(운전자, 탑승자 등)가 기록 영상을 한번에 모두 삭제할 수도 있고, 원하는 기록 영상만 선택하여 삭제할 수도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다.4) [Record Delete Mode] is selected by the user's key input unit 150, and [Delete All Front Image], [Delete Rear Image] or [Delete Front / Rear Image] among the detailed items of the Record Delete Mode. Is selected, the microcomputer 168 deletes all signals stored in the third memory M3 or the fourth memory M4 or the third memory M3 and the fourth memory M4. On the other hand, if [Front image selection delete] or [Rear image selection deletion] is selected by the user's key input unit 150, the microcomputer 168 firstly selects the first of the third memory M3 or the fourth memory M4. Read and decompress the signal stored in the area and output it to the LCD driver 165 so that the first video is displayed on the LCD monitor 140. Then, the setting button B5 of the key input unit 150 is operated to operate the corresponding video. When deleting is selected, the signal stored in the first area of the third memory M3 or the fourth memory M4 is deleted, and the down button B4 of the key input unit 150 is operated to select the preservation of the corresponding video. The process of reading the signal stored in the next area of the third memory M3 or the fourth memory M4, decompressing it, and outputting the signal to the LCD driver 165 is repeated in order for all areas in which the signal is stored. As described above, the multi-function vehicle room mirr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o that a user (driver, passenger, etc.) may delete all the recorded images at once, or may select and delete only the desired recorded images. Promote.

5) 사용자의 키입력부(150) 조작에 의해 [외부영상재생모드]가 선택되면 마이컴(168)은 제 3 ADC(163)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외부영상신호를 LCD 구동부(165)로 출력하여 LCD 모니터(140)에 외부 입력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차량 룸미러(100)는 외부영상재생모드로 인해 룸미러 고유의 기능(후방 모니터링 기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10)의 범퍼 부분에 CCD 카메라를 장착하고 CCD 카메라의 출력라인을 외부영상입력단자(VIN)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외부영상재생모드를 선택하면 거울(120)을 통해서는 확인하기 어려웠던 차량(10)의 후방 사각지대의 화면이 CCD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LCD 모니터(140)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운전자는 LCD 모니터(140)의 확인을 통해 차량(10)의 후방 상황을 보다 상세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각종 사고(특히 후진시 차량(10) 뒤에서 놀고 있던 어린이들을 발견하지 못해 발생하던 사고)가 미연에 방지된다.5) When [external video playback mode] is selected by the user's key input unit 150, the microcomputer 168 outputs the digital external video signal input from the third ADC 163 to the LCD driver 165 to display the LCD monitor. An external input image is displayed at 140. The multifunction vehicle room mirr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enhance a unique function of the rearview mirror (rear monitoring function) due to an external image playback mode. More specifically, when the CCD camera is mounted on the bumper portion of the vehicle 10 and the output line of the CCD camera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image input terminal V IN , the external image reproduction mode is selected through the mirror 120. Since the screen of the blind spot of the vehicle 10, which was difficult to confirm, is captured by the CCD camera and displayed on the LCD monitor 140, the driver can confirm the rear situation of the vehicle 10 in detail through the confirmation of the LCD monitor 140. It can be monitored. As a result, various accidents (in particular, accidents caused by not finding children playing behind the vehicle 10 at the time of reversing) are prevented in advance.

그 외에도, 사용자의 모니터 온/오프버튼(B1) 조작에 의해 [모니터 오프]가 선택되면 마이컴(168)은 제 2 스위칭부(167)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 2 스위칭부(167)에 의해 LCD 모니터(140)에 공급되던 배터리 전원이 차단되어 LCD 모니터(140)가 오프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Monitor Off] is selected by the user's operation of the monitor ON / OFF button B1, the microcomputer 168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switching unit 167 and is operated by the second switching unit 167. The battery power supplied to the LCD monitor 140 is cut off so that the LCD monitor 140 is turned off.

아울러, 운전자가 음주측정을 위해 알코올센서(S3)를 향해 입김을 불면 알코올센서(S3)가 공기 속에 포함된 알코올성분의 검출을 통해 운전자의 혈중알코올농도를 측정하여 혈중알코올농도측정치(d)를 마이컴(168)에 출력하고, 마이컴(168)은 알코올센서(S3)로부터 입력받은 혈중알코올농도측정치(d)를 사전 저장된 제 1 기준값(α) 및 제 2 기준값(β, β>α)과 비교하여 d<α이면 혈중알코올농도가 '안전' 상태임을 표시하는 녹색 LED(G)를 점등시키고, α≤d≤β이면 혈중알코올농도가 '위험' 상태임을 표시하는 노란색 LED(Y)를 점등시키고, d>β이면 혈중알코올농도가 '운전불가' 상태임을 표시하는 빨간색 LED(R)를 점등시킨다. 운전자는 음주측정기(130)의 결과표시부(132)에 구비된 3개의 LED(G, Y, R)들 중 어떤 것이 점등되었는가를 확인한 다음 운전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driver blows toward the alcohol sensor (S3) to measure the alcohol, the alcohol sensor (S3) measures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of the driver by detecting the alcohol content contained in the air to measure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d). The microcomputer 168 outputs to the microcomputer 168, and the microcomputer 168 compares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measurement value d input from the alcohol sensor S3 with the pre-stored first reference value α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β and β> α. If d <α turns on the green LED (G) to indicate that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is 'safe', if α≤d≤β to turn on the yellow LED (Y) to indicate that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is 'danger' , d> β, the red LED (R) lights up to indicate that the alcohol concentration in the 'operational state'. The driver checks which of the three LEDs G, Y, and R provided in the result display unit 132 of the breathalyzer 130, and then decides whether to drive the vehicle.

상기에서 본 고안은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어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y being limited to one embodimen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각 구성요소들의 종류와 장착 위치는 변경될 수 있고, TV(TeleVision) 수신기와 스피커를 추가하여 모니터를 통해 TV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type and mounting position of each component may be changed, and a TV (TeleVision) receiver and a speaker may be added to enable watching TV through a monitor.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다기능 차량 룸미러는 하나의 완제품이 다양한 기능(블랙박스 기능, 도난방지기 기능, 음주측정기 기능 등)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동시에, 일반적인 차량 룸미러와 마찬가지로 차량 내부의 천장에 고정시킨 다음 배터리 전원만 연결시키면 설치가 완료되기 때문에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모든 부품들이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의 설치를 위해 차량을 훼손시킬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Thus, the multifunctional vehicle room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economical and practical since one finished product is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black box function, anti-theft function, breathalyzer function, etc.) and at the same time as a general vehicle room mirror It can be installed easily by all ages and sexes because all installations are installed on the frame because the installation is completed by only fixing the battery to the ceiling and connecting the battery power. There is no need to damage the vehicl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parts.

Claims (3)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된 거울을 구비하고 있으며 차량 내부의 천장에 고정되는 차량 룸미러에 있어서,A vehicle room mirror having a frame and a mirror mounted to the front of the frame and fixed to a ceiling inside the vehicle,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는 전방카메라와;A front camera mounted on a rear of the frame to photograph the front of the vehicle;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는 후방카메라와;A rear camera mounted on the front of the frame to photograph the rear of the vehicle;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와;An impact sensor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ame to sense an external shock applied to the vehicle;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의 내부 탑승자를 감지하는 탑승자감지센서와;A passenger sensor mounted on the front of the frame to detect an interior occupant of the vehicle;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와;A monitor mounted on the front of the frame to display an image;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어 기록 영상의 재생을 명령하는 각종 버튼들을 구비한 키입력부와;A key input unit mounted on the front of the frame and having various buttons for instructing reproduction of a recorded image; 상기 프레임과 상기 거울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전방카메라와 상기 후방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저장하다가 상기 충격감지센서에 의해 외부 충격이 감지되면 그 후로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전방카메라와 상기 후방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더 저장하여 충격이 감지된 시점의 전·후 설정된 시간 동안 저장된 영상을 백업하는 동시에 상기 탑승자감지센서에 의해 탑승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외부 충격이 감지될 때마다 반복 수행하고, 상기 키입력부가 기록 영상의 재생을 명령하면 백업해 둔 영상들을 상기 모니터에디스플레이시키는 회로를 구비한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룸미러.The front camera and the rear camera are mounted between the frame and the mirror, and store images captured by the front camera and the rear camera in real time, and when an external shock is detected by the shock sensor. The external shock may be detected by further storing the image taken by the controller and backing up the stored image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and after the shock is detected, and generating an alarm sound when the occupant is not detected by the occupant sensor. And a circuit board having a circuit which repeatedly executes each time, and displays the backed up images on the monitor when the key input unit commands the reproduction of the recorded imag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다기능 차량 룸미러는The multifunctional vehicle room mirror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입김을 불 때 공기 속에 포함된 알코올성분을 검출하여 상기 운전자의 혈중알코올농도를 측정하는 알코올센서와,An alcohol sensor mounted on the front of the frame to detect an alcohol component contained in the air when the driver of the vehicle blows the air and to measure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of the driver;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운전자의 음주측정결과를 표시하는 결과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result display unit mounted on the front of the frame to display the driver's drinking measurement results, 상기 회로기판의 회로는 상기 알코올센서에 의해 측정된 혈중알코올농도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음주측정결과를 산출한 다음 상기 결과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룸미러.The circuit of the circuit board is a multi-functional vehicle room mirror, characterized in that the alcohol alcohol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alcohol sensor is compared with the set reference value to calculate the drinking result and then displayed on the result displa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다기능 차량 룸미러는The multifunctional vehicle room mirror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외부 영상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외부영상입력단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external image input terminal mounted to the frame to enable the input of an external image,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외부 영상의 재생을 명령하는 버튼을 더 구비하고,The key input unit further includes a button for commanding reproduction of the external image, 상기 회로기판에 구비된 회로는 상기 키입력부가 외부 영상의 재생을 명령하면 상기 외부영상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영상을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룸미러.The circuit provided in the circuit board may display an external image input through the external image input terminal on the monitor when the key input unit commands reproduction of an external image.
KR2020010007871U 2001-03-22 2001-03-22 Multi purpose automobile room mirror KR20023681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871U KR200236817Y1 (en) 2001-03-22 2001-03-22 Multi purpose automobile room mirr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871U KR200236817Y1 (en) 2001-03-22 2001-03-22 Multi purpose automobile room mirr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817Y1 true KR200236817Y1 (en) 2001-10-08

Family

ID=73098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871U KR200236817Y1 (en) 2001-03-22 2001-03-22 Multi purpose automobile room mirr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817Y1 (en)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1317B1 (en) 2005-04-13 2006-05-17 손부현 Car camera system for 360 degree watch utilizing room-mirror
KR100830649B1 (en) * 2007-02-02 2008-05-20 정종찬 A room-mirror black box
KR100872782B1 (en) 2006-11-29 2008-12-09 정종찬 A room-mirror black box
KR100950541B1 (en) 2008-12-01 2010-03-30 유현호 A rear view mirror
US9841259B2 (en) 2015-05-26 2017-12-12 Digital Ally, Inc. Wirelessly conducted electronic weapon
US10013883B2 (en) 2015-06-22 2018-07-03 Digital Ally, Inc. Tracking and analysis of drivers within a fleet of vehicles
US10074394B2 (en) 2013-08-14 2018-09-11 Digital Ally, Inc. Computer program,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ultiple data recording devices
US10075681B2 (en) 2013-08-14 2018-09-11 Digital Ally, Inc. Dual lens camera unit
US10257396B2 (en) 2012-09-28 2019-04-09 Digital Ally, Inc. Portable video and imaging system
US10521675B2 (en) 2016-09-19 2019-12-31 Digital Ally, Inc. Systems and methods of legibly capturing vehicle markings
US10730439B2 (en) 2005-09-16 2020-08-04 Digital Ally, Inc. Vehicle-mounted video system with distributed processing
US10904474B2 (en) 2016-02-05 2021-01-26 Digital Ally, Inc. Comprehensive video collection and storage
US10911725B2 (en) 2017-03-09 2021-02-02 Digital Ally, Inc. System for automatically triggering a recording
US10917614B2 (en) 2008-10-30 2021-02-09 Digital Ally, Inc. Multi-functional remote monitoring system
US10964351B2 (en) 2013-08-14 2021-03-30 Digital Ally, Inc. Forensic video recording with presence detection
US11024137B2 (en) 2018-08-08 2021-06-01 Digital Ally, Inc. Remote video triggering and tagging
US11310399B2 (en) 2012-09-28 2022-04-19 Digital Ally, Inc. Portable video and imaging system
US11950017B2 (en) 2022-05-17 2024-04-02 Digital Ally, Inc. Redundant mobile video recording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1317B1 (en) 2005-04-13 2006-05-17 손부현 Car camera system for 360 degree watch utilizing room-mirror
US10730439B2 (en) 2005-09-16 2020-08-04 Digital Ally, Inc. Vehicle-mounted video system with distributed processing
KR100872782B1 (en) 2006-11-29 2008-12-09 정종찬 A room-mirror black box
KR100830649B1 (en) * 2007-02-02 2008-05-20 정종찬 A room-mirror black box
US10917614B2 (en) 2008-10-30 2021-02-09 Digital Ally, Inc. Multi-functional remote monitoring system
KR100950541B1 (en) 2008-12-01 2010-03-30 유현호 A rear view mirror
US11310399B2 (en) 2012-09-28 2022-04-19 Digital Ally, Inc. Portable video and imaging system
US11667251B2 (en) 2012-09-28 2023-06-06 Digital Ally, Inc. Portable video and imaging system
US10257396B2 (en) 2012-09-28 2019-04-09 Digital Ally, Inc. Portable video and imaging system
US10757378B2 (en) 2013-08-14 2020-08-25 Digital Ally, Inc. Dual lens camera unit
US10075681B2 (en) 2013-08-14 2018-09-11 Digital Ally, Inc. Dual lens camera unit
US10885937B2 (en) 2013-08-14 2021-01-05 Digital Ally, Inc. Computer program,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ultiple data recording devices
US10074394B2 (en) 2013-08-14 2018-09-11 Digital Ally, Inc. Computer program,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ultiple data recording devices
US10964351B2 (en) 2013-08-14 2021-03-30 Digital Ally, Inc. Forensic video recording with presence detection
US10337840B2 (en) 2015-05-26 2019-07-02 Digital Ally, Inc. Wirelessly conducted electronic weapon
US9841259B2 (en) 2015-05-26 2017-12-12 Digital Ally, Inc. Wirelessly conducted electronic weapon
US11244570B2 (en) 2015-06-22 2022-02-08 Digital Ally, Inc. Tracking and analysis of drivers within a fleet of vehicles
US10013883B2 (en) 2015-06-22 2018-07-03 Digital Ally, Inc. Tracking and analysis of drivers within a fleet of vehicles
US10904474B2 (en) 2016-02-05 2021-01-26 Digital Ally, Inc. Comprehensive video collection and storage
US10521675B2 (en) 2016-09-19 2019-12-31 Digital Ally, Inc. Systems and methods of legibly capturing vehicle markings
US10911725B2 (en) 2017-03-09 2021-02-02 Digital Ally, Inc. System for automatically triggering a recording
US11024137B2 (en) 2018-08-08 2021-06-01 Digital Ally, Inc. Remote video triggering and tagging
US11950017B2 (en) 2022-05-17 2024-04-02 Digital Ally, Inc. Redundant mobile video recor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6817Y1 (en) Multi purpose automobile room mirror
GB2373392A (en) Image recording and voice monitoring for vehicle
KR100581317B1 (en) Car camera system for 360 degree watch utilizing room-mirror
KR100663930B1 (en) Room mirror for providing rear moving picture system etc.
JP3182941U (en) In-vehicle video recording device
US20060250501A1 (en) Vehicle security monitor system and method
WO2002095757A2 (en) Vehicle incident recorder
CN112004066B (en) Vehicle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1400419B1 (e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room mirror of vehicle
KR20090105257A (en) Single unit video camera recoder
US20090273672A1 (en) Vehicle recording system and method
JP2006352391A (en) On-vehicle image recording device
US20100077437A1 (en) Vehicle entertainment system with video surround
KR100790310B1 (en) System for monitoring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19980033498A (en) Driving Environment Video Recorder of Car
KR101580567B1 (en) Apparatus of recording event based image data
TW200823088A (en) Security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WO2002093521A1 (en) Security system for road vehicles
JPH10210395A (en) Image-recording device
KR100650126B1 (en) Side mirror using digital camera
JPH08265611A (en) On-vehicle monitor
JP3775272B2 (en) Car interior monitor system
KR20160146400A (en) The rear image display apparatus of vehicle
KR20050018566A (en) Side, front and rear watch system for car
JP2000016352A (en) Image recording device for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