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619Y1 - 상수도 주철관 및 이음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상수도 주철관 및 이음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619Y1
KR200231619Y1 KR2020010005367U KR20010005367U KR200231619Y1 KR 200231619 Y1 KR200231619 Y1 KR 200231619Y1 KR 2020010005367 U KR2020010005367 U KR 2020010005367U KR 20010005367 U KR20010005367 U KR 20010005367U KR 200231619 Y1 KR200231619 Y1 KR 2002316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 iron
pipe
connection
iron pipe
connection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3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복동
Original Assignee
금비주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비주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비주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53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6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6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619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송수관을 구성하는 상수도 주철관 및 이음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주철관본체 및 이음관본체 각각의 외주에 별도 제작된 연결부속을 미리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주철관본체의 일단에 형성된 확관접속단 속으로 타단에 형성된 직선접속단을 삽입하고 미리 삽입된 연결부속을 체결보트로 나사체결하거나 또는 상기 주철관본체의 확관접속단에 이음과본체의 직선접속단을 삽입한 후 연결부속을 체결볼트로 나사체결하는 구조로서 상수도용 주철관 및 이음관을 연결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주철관본체의 확관접속단 속으로 삽입되는 직선접속단 외주에 상기 확관접속단을 은폐시키면서 체결볼트에 의하여 나사체결되는 연결부속을 일체로 형성하며, 또한 상기 주철관본체의 확관접속단 속으로 삽입되는 이음관본체의 직선접속단 외주에 연결부속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상수도 주철관 및 이음관 연결구조{Pipe connecting structure of water supply facilities}
본 고안은 수도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송수관을 구성하는 상수도 주철관 및 이음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물을 공급하는 송수관은 주철제로 제조된 주철관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송수관으로 사용되는 상수도 주철관은 통상 6m 정도로 길게 제조된 것을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송수관 설치조건에 따라 6m 보다 짧거나 또는 길게 제조된 것이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송수관 설치시 다수의 상수도 주철관을 연속적으로 연결시킬 때 상수도 주철관보다 짧은 길이로 제조된 이음관으로 연결해야 하는 구간이 발생되는데, 상기 이음관은 송수관을 직선이나 곡선으로 연결해야 하는 구간 등이 발생됨에 따라 직선형이나 곡선형으로 된 것이 있을 뿐 아니라 'T'자형, 'Y'자형, '+'자형 등으로 된 여러 종류의 이음관이 있으며, 또는 지름이 다른 상수도 주철관을 연결시키고자 할 때에는 양단의 지름이 서로 다른 이음관(일명 : 편락관)이 있다.
종래 기술의 상수도 이음관 및 각종 이음관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철관본체(100) 및 이음관본체(200) 각각은 서로간에 연결될 수 있도록 일단에는 확관접속단(101)(201)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직선접속단(102)(20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확관접속단의 내경과 직선접속단의 외경은 서로 일치하도록 하여 상기한 확관접속단 속으로 직선접속단이 꼭끼인 상태로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주철관본체(100)를 연속적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주철관본체(100)와 이음관본체(200)를 연결할 때에는 연결부속(300)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연결부속(300)은 주철관본체(100) 및 이음관본체(200) 각각의 직선접속단(102)(202)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을 가지는 내경부(301)와 상기한 확관접속단(101)(201)에 형성된 플랜지(101a)(201a)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을 가지는 외경부(30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내경부(301)는 상기 주철관본체 및 이음관본체 각각의 확관접속단(101)(201) 내경측에 삽입되면서 패킹(400)을 압착할 수 있도록 짧게 돌출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 외경부(302)는 확관접속단(101)(201) 전체를 은폐시킬 수 있을 정도로 길게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속(300)에는 체결볼트(500)으로 확관접속단(101)(201)과 결속시킬 수 있게 하는 체결공(303)이 일정한 간격으로 3개 또는 4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볼트(500)는 상기한 확관접속단의 플랜지(101a)(201a) 각각에 걸림될 수 있도록 'ㄱ'자형으로 된 머리부(501)와 너트(600)가 나사조립되는 나사부(502)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연결부속(300)이 주철관본체(100) 및 이음관본체(200)와는 별개로 제조되고 또한 내경부(301)의 내경이 주철관본체(100) 및 이음관본체(200) 각각의 직선접속단(102)(202)들의 외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부속(300)을 용이하게 끼워줄 수 있는 반면에 주철관본체(100)및 이음관본체(200) 각각의 외주와 연결부속(300)의 내경부(301) 사이에 틈새(S)가 형성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상기 주철관본체(100) 및 이음관본체(200) 각각의 직선접속단(102)(202) 외주에 연결부속(300)이 설치될 때 내경부(301)의 정중심에 상기한 직선접속단이 위치하지 못하고 한쪽으로 쏠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체결볼트(500)로 체결할 때 상기 연결부속(300)의 내경부(301)가 주철관본체(100)및 이음관본체(200) 각각의 확관접속단(101)(201)에 끼이지 못하고 어는 한쪽에 걸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패킹(600)을 정확하게 압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연결부속(300) 자체가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이러한 연결부위의 불량으로 인하여 송수관이 누수되거나 심한 경우 연결부위가 수압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는 문제점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속(300)의 외주에 일정간격으로 수개의 돌편(700)을 일체로 형성시킨 다음 각 돌편(700)의 나사공을 통해 나사조립되는 조절볼트(800)의 선단에 조임구(900)를 끼워주는 부속물을 구비하는 구조로서 상기 연결부속(300)을 주철관본체(100) 및 이음관본체(200) 각각의 직선접속단에 설치할 때 상기한 조절볼트(800)들을 적당히 나사조임하여 각 조임구(900)가 직선접속단(102)(202) 외주를 압착케 하는 수단으로 연결부속(300)의 내경부(301) 중심에 직선접속단(102)(202)이 위치하도록 조절함과 동시 조절볼트(800)의 나사조임력에 의한 조임구(900)의 압착력으로 연결부속(300)을 붙잡아주어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상기한 돌편(700)을 연결부속(300)에 일체로 형성해야 하고 또한 조절볼트(800)와 조임구(900)를 별도로 제조해야 하는 관계로 비용이 추가로 소요될 뿐 아니라 상기 조절볼트와 조임구를 조립하는 데에도 시간과 노력이 추가로 소요되어 상수도 주철관을 연결하는데 따른 시간과 인력 및 비용이 많이들고 또 공기도 길어지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조절볼트(800)와 조임구(900)는 연결부속(300)과 분리된 상태로서 크기가 작기 때문에 따로 보관 및 운반하는 과정에서 자주 분실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수도용 주철관본체 및 주철관본체를 연결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각종 이음관본체 각각에 연결부속을 일체로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주철관본체끼리의 연결작업은 물론이고 주철관본체와 이음관본체와의 연결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연결부위를 보다 정밀하게 연결되게 하여 누수가 발생되지 않고 또 수압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이음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주철관본체 및 이음관본체 각각의 외주에 별도 제작된 연결부속을 미리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주철관본체의 일단에 형성된 확관접속단 속으로 타단에 형성된 직선접속단을 삽입하고 미리 삽입된 연결부속을 체결보트로 나사체결하거나 또는 상기 주철관본체의 확관접속단에 이음과본체의 직선접속단을 삽입한 후 연결부속을 체결볼트로 나사체결하는 구조로서 상수도용 주철관 및 이음관을 연결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주철관본체의 확관접속단 속으로 삽입되는 직선접속단 외주에 상기 확관접속단을 은폐시키면서 체결볼트에 의하여 나사체결되는 연결부속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주철관본체의 확관접속단 속으로 삽입되는 이음관본체의 직선접속단 외주에 연결부속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도 1 실시예의 상수도 주철관 및 이음관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의 (A)∼(G)는 본 고안의 일요부인 이음관의 여러 실시예들.
도 5는 종래 기술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X-X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철관본체 2 : 이음관본체
3,4 : 연결부속 5 : 패킹
6 : 체결볼트 11,21 : 확관접속단
12.22 : 직선접속단 31,41 : 내경부
32,42 : 외경부 33,43 : 관통공
61 : 머리부 63 : 너트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도 1 실시예의 상수도 주철관 및 이음관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4의 (A)∼(G)는 본 고안의 일요부인 이음관의 여러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주철관본체를, 도면부호 2는 이음관본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주철관본체(1)은 통상 6m 또는 그 이상의 길이로 길게 제조되며, 상기 이음관본체(2)는 1m 내외의 길이로 비교적 짧게 제조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주철관본체(1) 및 이음관본체(2) 각각의 양단에는 확관접속단(11)(21)과 직선접속단(12)(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철관본체(1)와 이음관본체(2)가 같은 규격일 경우에는 상기한 확관접속단과 직선접속단들 역시 같은 규격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한편 연결하고자 하는 주철관본체(1)의 규격이 다를 경우에는 이음관본체(2)의 확관접속단과 직선접속단 각각은 양측의 주철관본체(1)의 확관접속단(11)과 직선접속단(12)의 규격에 따라 각기 크고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주철관본체(1) 자체는 비교적 긴 길이(통상적으로 6m 정도)를 가지면서 직선형으로 제조되므로 주철관본체(1)끼리는 주로 직선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음관본체(2)의 경우는 상기 주철관본체(1)의 연결구조 즉, 송수관의 설계에 따라 여러 형태 예를 들면, 직선형, 곡선형, 'T'자형, '+'자형 등이있으며, 또한 이음관본체(2)의 경우에는 규격이 다른 두개의 주철관본체(1)를 연결할 수 있도록 양단의 규격 즉, 확관접속단(21)의 지름은 크고 직선접속단(22)의 지름은 작게 제조되거나 또는 그 반대로 확관접속단(21)의 지름은 작고 직선접속단(22)의 지름이 크게 제조된 것(도 4의 D, E 참조)과 그외 여러 종류가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한 주철관본체(1) 및 이음관본체(2) 각각의 직선접속단(12)(22)에 연결부속(3)(4)을 일체로 형성한 것에 있다.
또한 상기 주철관본체(1) 및 이음관본체(2) 각각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속(3)(4)은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주철관본체(1)의 경우 상기 연결부속(3)은 내경부(31)가 주철관본체(1)의 직선접속단(12) 외주에 일체로 붙어진 상태로 형성되므로서 상기 연결부속(3)의 중심에 직선접속단(12)이 위치하게 되며, 또한 직선접속단(12)을 확관접속단(11) 속으로 삽입시킬 때 내경부(31)가 패킹(5)을 정위치에서 압착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체결볼트(6)를 이용하여 나사체결할 때 내경부(31)가 패킹(5)을 정위치에서 압착하면서 확관접속단(11) 내경속으로 삽입되는 특징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음관본체(2)의 경우에도 직선접속단(22)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연결부속(4) 역시 내경부(41)의 중심에 직선접속단(22)이 위치하도록 하며, 패킹(5)을 정위치에서 압착하는 한편, 체결볼트(6)가 나사체결될 때 패킹(5)을 정확하게 압착하면서 주철관본체(1)의 확관접속단(11) 내경속으로 정확히 삽입될 수 있게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한 연결부속(3)(4) 각각의 외경부(32)(42)는 확관접속단(11)(21)의 플랜지(11a)(21a) 외주는 물론 상기한 확관접속단 전체를 수용하여 은폐시킬 수 있으며, 또 체결볼트(6)의 삽입을 허용하여 상기 체결볼트의 머리부(61)가 플랜지(11a)(21a)에 걸림되게 하는 한편, 관통공(33)(43)을 관통한 나사부(62)에 나사조립되는 너트(63)의 나사체결력에 의해 확관접속단(11)(21)을 보다 견고하게 체결되게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도 1의 실시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주철관본체(1)와 이음관본체(2)를 연결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주철관본체(1)의 직선접속단(12)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속(3)은, 상기 주철관본체(1)의 직선접속단(12)을 이음관본체(2)의 확관접속단(21) 속으로 삽입하한 상태에서 체결볼트(6)의 나사부(62)에 너트(63)를 나사조임하게 되면 내경부(31)가 패킹(5)을 압착하면서 상기 확관접속단(21) 속으로 삽입되는데, 이때 상기한 내경부(31)의 외경이 확관접속단(21)의 내경과 밀착되는 상태로 삽입되므로 상기 주철관본체(1)의 직선접속단(12)과 이음관본체(2)의 확관접속단(21)이 긴밀하게 연결됨과 동시 연결부속(3)의 내경부(31)도 확관접속단(21) 내경에 긴밀하게 삽입된 상태가 되므로서 주철관본체(1)의 직선접속단(12)과 이음관본체(2)의 확관접속단(21)이 긴밀하고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주철관본체(1)의 확관접속단(11)에 연결되는 이음관본체(2)의 직선접속단(22) 역시 상기 직선접속단(22)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속(4)의 내경부(41)가 패킹(5)을 정확하게 압착하면서 확관접속단(11) 내경에 삽입되면서 연결되므로 그 연결상태가 긴밀하고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양측의 주철관본체(1)을 이음관본체(2)로 연결시키는 것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다수의 주철관본체(1)을 연속해서 연결할 경우에도 직선접속단(12) 외주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속(3)에 의해 각 주철관본체(1)를 긴밀하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주철관본체(1)를 연결시키는 이음관본체(2)는 송수관의 설치구조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종류가 있는 바, 이들 이음관본체(2) 각각은 주철관본체(1)의 직선접속단(12)의 삽입을 허용하는 확관접속단(21)과 주철관본체(1)의 확관접속단(11)에 삽입되는 직선접속단(22)의 외주에는 연결부속(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주철관본체(1)를 직선상으로 연결하는 것을 비롯하여 곡선형으로 연결할 때 연결부위를 긴밀하고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으며(도 4의 A,B 참조), 또한 연결하고자 하는 주철관본체(1)가 서로 다른 규격 예를 들면, 큰 직경의 직선접속단(12)과 작은 직경의 확관접속단(11)을 연결할 때에는 도 4의 (D)에 도시된 이음관본체(2)을 사용하고, 그 반대로 작은 직경의 확관접속단(11)과 큰 직경의 직선접속단(12)을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도 4의 (E)에 도시된 이음관본체(2)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음관본체(2)가 도 4의 (C),(G)와 같이 'T'자형, '+'자형으로 구성되어 주철관본체(1)를 연결시킴과 더불어 밸브를 장착할 수 있는 것과, 도 4의 (F)와 같이 드레인관을 형성된 것 및 그외의 각종 기능을 수반하는 모든 이음관본체(2) 각각의 직선접속단(22)에 연결부속(4)을 일체로 형성하는 구조로서 주철관본체(1)를 누수없이 그리고 수압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주철관본체 및 이음관본체 각각의 직선접속단에 연결부속을 일체로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다수의 주철관본체를 연속해서 연결할 때 및 주철관본체를 이음관본체로 연결할 때 확관접속단 속으로 직선접속단을 한차례 삽입시키는 작업으로 연결부속의 내경부가 확관접속단 내측에 설치되는 패킹을 정확하게 압착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외경부가 확관접속단 전체를 감싸면서 은폐시킴과 동시 확관접속단과 연결부속을 나사체결하는 체결볼트의 머리부도 함께 은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주철관본체 및 이음관본체를 연결시키는 연결작업을 간소화시키면서 연결부위를 누수없이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송수관 설치비를 절감시키고 나아가 설치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주철관본체 및 이음관본체 각각의 외주에 별도 제작된 연결부속을 미리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주철관본체의 일단에 형성된 확관접속단 속으로 타단에 형성된 직선접속단을 삽입하고 미리 삽입된 연결부속을 체결보트로 나사체결하거나 또는 상기 주철관본체의 확관접속단에 이음과본체의 직선접속단을 삽입한 후 연결부속을 체결볼트로 나사체결하는 구조로서 상수도용 주철관 및 이음관을 연결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주철관본체의 확관접속단 속으로 삽입되는 직선접속단 외주에 상기 확관접속단을 은폐시키면서 체결볼트에 의하여 나사체결되는 연결부속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주철관 및 이음관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철관본체의 확관접속단 속으로 삽입되는 이음관본체의 직선접속단 외주에 연결부속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주철관 및 이음관 연결구조.
KR2020010005367U 2001-02-28 2001-02-28 상수도 주철관 및 이음관 연결구조 KR2002316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367U KR200231619Y1 (ko) 2001-02-28 2001-02-28 상수도 주철관 및 이음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367U KR200231619Y1 (ko) 2001-02-28 2001-02-28 상수도 주철관 및 이음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619Y1 true KR200231619Y1 (ko) 2001-07-19

Family

ID=73063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367U KR200231619Y1 (ko) 2001-02-28 2001-02-28 상수도 주철관 및 이음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6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1479B (fi) Polttoaineen syöttöputki
US5941576A (en) Connector and coupling means
US5230537A (en) Pipe coupling
KR100555145B1 (ko) 상수도관 연결구조
KR200231619Y1 (ko) 상수도 주철관 및 이음관 연결구조
DE69808773D1 (de) Rohrklemme
US6349980B1 (en) Joining/connector piece for corrugated pipes
JP3051839B1 (ja) 伸縮及び可撓性絶縁管継手
KR200177938Y1 (ko)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KR200258641Y1 (ko) 스테인리스 배급수관 연결기구
KR200360240Y1 (ko) 벽체에 매립되어 가스관을 보호하는 슬리브.
JPH09242914A (ja) 接続装置用喰込部材とこれを用いた継手とバルブ
JPH067268Y2 (ja) 水道用薄肉官継手
KR200388731Y1 (ko) 밸브용 캡구조
KR960010289Y1 (ko) 밸브접관의 체결장치
KR200374241Y1 (ko) 관연결구
KR960000436Y1 (ko) 관 연결구
KR200170296Y1 (ko) 에스.피이 편수칼라관
KR200251838Y1 (ko) 배급수관 연결부를 구비한 밸브
KR0116938Y1 (ko) 건물용 난간 고정구
KR200269741Y1 (ko) 엘형 이중관 이음구
ES2160438A1 (es) Conexion de tubo.
JPH0113908Y2 (ko)
KR200152194Y1 (ko) 밸브의 관연결구조
KR100475582B1 (ko) 볼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