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903Y1 -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 Google Patents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903Y1
KR200230903Y1 KR2020010001524U KR20010001524U KR200230903Y1 KR 200230903 Y1 KR200230903 Y1 KR 200230903Y1 KR 2020010001524 U KR2020010001524 U KR 2020010001524U KR 20010001524 U KR20010001524 U KR 20010001524U KR 200230903 Y1 KR200230903 Y1 KR 2002309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mobile phone
plate
connection terminal
pres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5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고알파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고알파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고알파트로닉스
Priority to KR20200100015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903Y1/ko
Priority to PCT/KR2001/000795 priority patent/WO2001089057A1/en
Priority to JP2001585375A priority patent/JP3829094B2/ja
Priority to CNB018112668A priority patent/CN100446379C/zh
Priority to AU2001258881A priority patent/AU200125888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9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903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판(10)과, 상기 지지판(10)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판(20)과, 상기 누름판(20)과 지지판(10)의 사이에 설치되는 리턴 스프링(24)과, 상기 누름판(2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판(10)과 함께 휴대폰을 고정하는 압착판(23)과, 상기 지지판(10)의 중심부에 형성된 세로벽에 설치된 다수의 핀형 접속단자(30)와, 상기 핀형 접속단자(30)와 인접하며 상기 지지판(10)의 윗면에 형성된 다수의 판스프링형 접속단자(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A charging device for various types of cellular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하는 휴대폰의 종류에 관계없이 별도의 구조의 변경이나 조정을 하지 않고 충전할 수 있는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서 휴대폰(cellular phone)은 점차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필수품목으로서 자리잡아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휴대폰은 휴대성이라는 특징으로 인해 전원공급 장치로서 충전식 건전지(이하 충전지라고 한다)를 사용하고 있는데, 사용되는 충전지의 종류나 휴대폰의 기종에 따라서 다르지만 주기적으로 충전을 하여야 한다.
도1은 휴대폰의 충전에 사용되는 종래의 충전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본체의 모양과 동일한 홈을 갖는 몸체와 충전지와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접속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충전기의 경우 상기 홈과 접속단자는 충전되는 휴대폰의 형상과 충전지의 형상 및 충전지 상의 접속단자의 거리에 맞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서 본체의 형상과 접속단자의 위치가 다른 휴대폰은 삽입이 불가능하므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폰의 패션화 경향 및 신기술 개발로 인한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이 짧아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신제품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제품마다 별도의 충전기를 개발하여야 하므로 개발기간의 증가 및 제품의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폰을 교체하는 경우 기존의 충전기 역시 변경하여야 하므로 국가적으로도 자원의 낭비가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휴대폰의 모양이나 크기에 관계없이 충전이 가능한 충전기가 제안되고 있는데, 이동식 접속단자를 사용하여 충전지의 접속단자의 위치에 맞도록 충전기의 접속단자의 위치를 수동으로 조절하도록 하고 있으며, 휴대폰을 고정하는 방식으로는 도1에 도시된 충전지 몸체의 홈의 측면에 스프링으로 연결된 고정판을 설치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휴대폰의 측면을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일일이 접속단자의 위치를 조정해야 하는 불편이 있고 또한 고정될 수 있는 휴대폰의 크기에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충전기의 구조도 복잡해지므로 제조비용도 증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충전되는 휴대폰의 크기나 모양에 관계없이 충전할 수 있으며, 충전시 별도의 조작이 필요없이 휴대폰의 접속단자와 연결할 수 있는 휴대폰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1은 종래의 휴대폰 충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4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판, 20 …누름판,
22 …연결부, 23 …압착판,
24 …리턴 스프링, 30 …핀형 접속단자,
31 …판스프링형 접속단자, 40, 41 …힌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지지판(10)과, 상기 지지판(10)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판(20)과, 상기 누름판(20)과 지지판(10)의 사이에 설치되는 리턴 스프링(24)과, 상기 누름판(2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판(10)과 함께 휴대폰을 고정하는 압착판(23)과, 상기 지지판(10)의 중심부에 형성된 세로벽에 설치된 다수의 핀형 접속단자(30)와, 상기 핀형 접속단자(30)와 인접하며 상기 지지판(10)의 윗면에 형성된 다수의 판스프링형 접속단자(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할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당업자는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른 변형예나 개선예를 쉽게 안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판(10)은 직사각형의 판재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중앙부에 단이 형성되어 있어 'ㄴ'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단이 형성되어 있는 세로벽에는 다수의 핀형 접속단자(30)가 2열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핀형 접속단자(30)는 탄성부재(예를 들어 스프링, 도시되지 않음)를 개재하여 상기 지지판(10)의 세로벽에 설치되어 있어 휴대폰의 접속단자가 접촉하는 경우에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휴대폰의 접속단자와 밀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핀형 접속단자(30)와 인접한 지지판(10)의 윗면에는 다수의 판스프링형 접속단자(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핀형 접속단자(30)와 판스프링형 접속단자(31)는 지지판(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한쪽의 접속단자들은 양극, 다른 쪽의 접속단자들은 음극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형 접속단자(30)와 판스프링형 접속단자(31)는 일반적인 충전기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며 외부의 전원 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있으나, 그 연결방법 및 회로에 관한 사항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지지판(10)의 상부에는 누름판(20)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40)로 결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누름판(20)은 지지판(10)과의 힌지(40) 고정점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이때 회동각도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 뒷부분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을 형성하여 지지판(10)과의 간격을 크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름판(20)의 앞부분은 'ㅅ'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하부에는 연결부(22)가 돌출되어 있고, 압착판(23)이 상기 연결부(22)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압착판(23)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상부에는 상기 연결부(22)와 힌지(41)로 연결되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착판(23)의 하면은 고무와 같이 잘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지지판(10)과 누름판(20)의 사이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 스프링(2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리턴 스프링(24)은 누름판(20)에 탄성력을 작용시켜서 이로 인해 상기 압착판(23)은 충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지지판(10)의 상부에 닿아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예의 작동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충전기에 휴대폰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휴대폰을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 먼저 상기 누름판(20)의 뒷부분을 눌러서 압착판(23)과 지지판(10)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생기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휴대폰 또는 충전지를 그 접속단자가 상기 충전지의 접속단자에닿도록 한 후 누름판(20)에서 손을 떼면 상기 리턴 스프링(24)의 탄성력으로 인해서 휴대폰 또는 충전지가 상기 지지판(10)과 압착판(23) 사이에서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본 고안은 접속단자가 상기 지지판(10)의 세로벽 및 지지판(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충전지 배면 또는 하면에 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누름판(20)의 앞부분은 'ㅅ'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압착판(23)이 휴대폰 또는 충전지를 누름과 동시에 상기 세로벽쪽으로 미는 힘을 적용시키게 되므로 충전기와 휴대폰 간의 접속단자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압착판(23)의 하부는 고무 등의 재질을 사용하므로 충전중인 휴대폰이나 충전지가 미끄러져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에 의해서 여러가지의 형태와 크기를 갖는 휴대폰이나 충전지를 하나의 충전기에 의해서 충전할 수 있으므로 제조업자로서는 충전기를 공용화하여 생산 단가 및 제조시간을 줄일 수 있고 소비자로서도 제품의 단가 하락에 의한 경제적이익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휴대폰의 교체시에도 기존의 충전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폰 만을 구입하여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지지판(10)과, 상기 지지판(10)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판(20)과, 상기 누름판(20)과 지지판(10)의 사이에 설치되는 리턴 스프링(24)과, 상기 누름판(2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판(10)과 함께 휴대폰을 고정하는 압착판(23)과, 상기 지지판(10)의 중심부에 형성된 세로벽에 설치된 다수의 핀형 접속단자(30)와, 상기 핀형 접속단자(30)와 인접하며 상기 지지판(10)의 윗면에 형성된 다수의 판스프링형 접속단자(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기.
KR2020010001524U 2000-05-16 2001-01-19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KR2002309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524U KR200230903Y1 (ko) 2001-01-19 2001-01-19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PCT/KR2001/000795 WO2001089057A1 (en) 2000-05-16 2001-05-16 A battery charging device for various type of cellular phone
JP2001585375A JP3829094B2 (ja) 2000-05-16 2001-05-16 多機種携帯フォーン用バッテリー充電器
CNB018112668A CN100446379C (zh) 2000-05-16 2001-05-16 用于各类型蜂窝式电话的电池充电装置
AU2001258881A AU2001258881A1 (en) 2000-05-16 2001-05-16 A battery charging device for various type of cellular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524U KR200230903Y1 (ko) 2001-01-19 2001-01-19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903Y1 true KR200230903Y1 (ko) 2001-07-19

Family

ID=73095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524U KR200230903Y1 (ko) 2000-05-16 2001-01-19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9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850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ecured battery
KR20130129489A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6348776B2 (en) Flexible battery charger adaptable to the batteries of the mobile phones of different sizes
CN110460699B (zh) 全面屏手机
EP4171059A1 (en) Wearable device assembly
KR200230903Y1 (ko)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KR200201081Y1 (ko)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CN208522801U (zh) 移动终端
CN217217089U (zh) 一种可调节角度的移动电源
JP3378675B2 (ja) 異なる形状のパック電池を充電できる充電器
JP2004159409A (ja) 携帯電話機用の充電器
JP3776851B2 (ja) 充電用卓上ホルダ
KR100714500B1 (ko) 이동전화기의 휴대용 충전기
CN221201456U (zh) 一种电池正负极控制结构
CN217740939U (zh) 一种充电器的转接头
CN220209298U (zh) 一种新型充电头
CN220043064U (zh) 可叠式多级联无线充电器
CN219419741U (zh) 兼具手机支架功能的插线板
CN217387763U (zh) 一种充电电源
CN219553753U (zh) 圆柱电池、电池包、用电设备
CN216450542U (zh) 一种高稳定性侧按型轻触开关
CN217405869U (zh) 一种可互换插头的适配器
CN2554881Y (zh) 一种改进的手机电池板
KR100478840B1 (ko) 휴대단말기의 스프링 충전단자 구조
KR100370649B1 (ko) 휴대 기기용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