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155Y1 -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155Y1
KR200224155Y1 KR2020000032219U KR20000032219U KR200224155Y1 KR 200224155 Y1 KR200224155 Y1 KR 200224155Y1 KR 2020000032219 U KR2020000032219 U KR 2020000032219U KR 20000032219 U KR20000032219 U KR 20000032219U KR 200224155 Y1 KR200224155 Y1 KR 2002241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accessory
connection
decorative member
decora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2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택
Original Assignee
유정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택 filed Critical 유정택
Priority to KR20200000322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1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1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155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 링크장식부재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연결부재의 생략에 따른 부품비용을 절감하고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를 간단히 함으로서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동시에 링크장식부재간 연결버팀력을 강화시켜 링크장식부재를 적용하고 있는 목걸이, 팔찌, 발찌, 장식 허리벨트 등의 액세서리 제품의 사용중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일단으로 설치홈에 의해 대향 형성된 양 지지편과, 타단으로 연결단에 연결구멍이 형성된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에 있어서, 상기 양 지지편 중 한쪽의 지지편 내면에 상기 연결구멍을 일측에서 관통하여 링크장식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핀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LINK DECORATION MEMBER LINKAGE STRUCTURE OF ACCESSORIES}
본 고안은 액세서리의 링크장식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를 간단히 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동시에 링크장식부재간 연결버팀력을 강화시켜 액세서리 제품의 사용중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걸이, 팔찌, 발찌, 장식 허리벨트와 같이 몸에 치장하는 액세서리는 다양한 부재들을 사용하여 제조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링크장식부재를 목걸이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50은 링크장식부재를 도시한 것으로, 이 링크장식부재(50)는 소정의 장식외형을 이루면서 그 양단에는 연결구멍(50a)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도면부호 60은 C형 연결고리로서, 일단이 절단되어 이를 통하여 상기 링크장식부재(50)의 연결구멍(50a)에 끼워 걸게 됨에 따라 상기 링크장식부재(50)는 C형 연결고리(60)를 매개로 서로가 연결되게 된다.
도면부호 70은 상기 C형 연결고리(60)로 연결되어 소정의 길이로 연결된 링크장식부재(50)의 맨 끝단에 연결 설치되어 연결 및 풀림되도록 하는 통상의 록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목걸이의 경우에는 각 링크장식부재(50)를 C형 연결고리 (60)로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조립이 쉬운 장점을 갖고 있으나, 각 링크장식부재 (50)를 연결하는 C형 연결고리(60)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게 되어 이 C형 연결고리(60)가 목걸이 전체의 외관디자인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됨으로써 제품을 고급화시키는데 한계성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C형 연결고리(60)로 연결된 각 링크장식부재(50)에 외력에 의한 당김력이 발생될 때, 그 당김력에 의해 C형 연결고리(60)가 잘 벌어져 결국 링크장식부재(50)간에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링크장식부재(50)의 연결 시에 C형 연결고리(60)를 반드시 필요로 하기 때문에 C형 연결고리(60)에 대한 부품비용이 추가되어 제조원가를 상승시키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종래 또 다른 링크장식부재를 목걸이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도 1 및 도 2와는 달리 C형 연결고리(60)를 사용하지 않고 링크장식부재(50)가 연결장식구(80)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의 연결장식구(80)는 도 4의 상세 분해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장신구(80)의 뒷면에 공구작업에 의한 외관둘레 변형이 이루질 수 있는 홈(80a) 및 이 홈(80a)과 직각방향으로 관통되는 슬릿(80b)이 형성되고, 이 슬릿(80b)의 내벽에는 대향하는 돌출핀(80c)이 각각 형성되어 구성된 것으로, 상기 링크장식부재 (50)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구멍(50a)을 상기 슬릿(80b)에 위치시켜 플라이어 등의 전용공구를 이용하여 연결장식구(80)의 외관둘레를 조이게 되면 이 외관둘레의 변형에 의한 외경이 축소됨에 따라 슬릿(80b)의 간격이 좁혀져 슬릿(80b)에 형성된 돌출핀(80c)이 상기 연결구멍(50a)에 삽입이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링크장식부재 (50)는 연결장식구(80)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링크장식부재(50)가 연결장식구(80)를 매개로 연결되기 때문에 연결 부분에서의 장식 효과를 갖고 있으나, 상기 연결장식구(80)에 의한 링크장식부재(50)의 연결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상기 연결장식구(80)에 의한 링크장식부재(50)를 연결시 조립에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액세서리제품에 사용되는 각종 부품들의 조립은 대부분이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바, 상기 연결장식구(80)의 조립도 마찬가지로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는 직경이 약 3-6㎜로 매우 작은 연결장식구(80)를 작업자가 플라이어 등의 전용공구를 사용하여 연결장식구(80)의 외관둘레를 변형시켜 슬릿(80b)의 간격을 좁힘에 따라 슬릿(80b)에 형성된 돌출핀(80c)이 링크장식부재(50)의 연결구멍(50a)의 양측을 통해 삽입되어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상기 슬릿 (80b)의 폭(간격)이 매우 좁고(약 1.5㎜내외) 돌출핀(80c)이 잘 보이지 않아 링크장식부재(50)의 연결구멍(50a)이 돌출핀(80c)에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확인이 곤란하여 조립불량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고, 그 결과 제품불량을 초래하게 되어 바이어로부터 클레임을 당하게 되고 작업성을 크게 저하시키게 된다.
둘째, 링크장식부재(50)를 연결장식구(80)에 연결시 슬릿(80b)의 간격이 적정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간격이 크게 좁아지게 되면 조립자체가 뻑뻑하게 되어 링크장식부재(50)가 연결장식구(80)에서 움직임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이를 목걸이로 착용시 링크장식부재(50)가 원활하게 펼쳐지지 않아 사용에 불편을 가져오게 되어 결국 제품불량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셋째, 상기 링크장식부재(50)의 연결시 연결장신구(80)를 반드시 필요로 하기 때문에 연결장신구(80)에 대한 부품비용이 추가되어 제조원가를 상승시키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종래 또 다른 링크장식부재를 목걸이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장식부재(90)의 일단으로 설치홈(92)에 의해 대향된 양 지지편(94)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양 지지편(94)의 내면에 대향된 형태로 연결핀(96)이 각각 형성되며, 타단의 연결단(98)에는 연결구멍(98a)이 형성되어 각 링크장식부재(90)를 상기 연결핀(96)과 연결구멍(98a)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각 링크장식부재(90)들은 도 6a와 같이 각각 제조된 상태에서는 조립을 용이하게 하게 위하여 양 지지편(94)을 사전에 벌려 놓는다. 이를 연결 조립시에는 도 6b와 같이 하나의 링크장식부재(90)와 인근의 링크장식부재 (90)를 서로 연결할 때 링크장식부재(90)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단(98)을 설치홈 (92)에 위치시켜 연결구멍(98a)을 양 연결핀(96)과 일치시킨 다음 벌어진 양 지지편(94)을 플라이어 등의 전용공구를 이용하여 누름에 따라 양 지지편(94)이 도 6c와 같이 링크장식부재(20)의 단면과 동일하게 윈위치 변형되어 각 링크장식부재 (90)가 서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링크장식부재(90)의 연결구조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C형 연결고리(60) 또는 연결장식구(80)와 같은 연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각 링크장식부재(90)를 곧바로 연결함으로서 조립의 신속성과 함께 부품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링크장식부재(90)의 연결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즉, 양 지지편(94)에 대향 형성된 연결핀(96)이 양쪽에서 연결구멍(98a)에 ½씩 삽입되어 각 연결핀(96)의 단부가 연결구멍(98a)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링크장식부재(90)간에 당김력이 발생되면 그 힘에 의하여 연결핀(96)이 연결구멍(98a)에서 쉽게 빠져 링크장식부재(90)간에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링크장식부재(90)의 조립을 위해 양 연결핀(96)을 연결구멍(98a)에 삽입시 양 지지편(94)이 벌어진 상태에서 플라이어 등 전용공구를 이용하여 누름에 따라 양 지지편(94)이 변형되어 링크장식부재(90)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양 연결핀(96)이 연결구멍(98a)에 ½씩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연결핀 (94)의 조립오차 등에 의하여 양 연결핀(96)의 삽입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거나 또는 삽입이 이루어지더라도 양 연결핀(96)의 삽입이 원활하지 않고 뻑뻑하게 되어 연결핀(96)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링크장식부재(90)의 움직임 동작성을 나쁘게 한다.
그리고 링크장식부재(90)의 연결시 양 연결편(96)을 양쪽에서 연결구멍(98a)에 ½씩 삽입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생산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각 링크장식부재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연결부재의 생략에 따른 부품비용을 절감하고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를 간단히 함으로서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동시에 링크장식부재간 연결버팀력을 강화시켜 링크장식부재를 적용하고 있는 목걸이, 팔찌, 발찌, 장식 허리벨트 등의 액세서리 제품의 사용중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단으로 설치홈에 의해 대향 형성된 양 지지편과, 타단으로 연결단에 연결구멍이 형성된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에 있어서,
상기 양 지지편 중 한쪽의 지지편 내면에 상기 연결구멍을 일측에서 관통하여 링크장식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핀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핀이 형성된 지지편의 대향측 지지편의 내면에는 연결구멍을 관통한 연결핀의 단부를 수용 지지하는 지지홈이 추가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링크장식부재에 형성된 연결핀과 연결구멍의 조립을 쉽게 하기 위하여 양 지지편이 사전에 벌림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링크장식부재를 상기 연결핀과 연결구멍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액세서리부재는, 목걸이, 팔찌, 발찌, 장식 허리벨트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액세서리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를 예시한 목걸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상세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또 다른 액세서리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를 예시한 목걸이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상세 분해사시도.
도 5는 종래 또 다른 액세서리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를 예시한 목걸이의 사시도.
도 6a, 도 6b, 도 6c는 도 5에 도시된 링크장식부재의 상세 연결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액세서리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를 예시한 목걸이의 사시도.
도 8a, 도 8b, 도 8c는 도 7에 도시된 링크장식부재의 상세 연결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링크장식부재의 변형 연결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목걸이 20, 20a : 링크장식부재
22 : 연결핀 24 : 지지홈
92 : 설치홈 94 : 지지편
98 : 연결단 98a : 연결구멍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액세서리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를 예시한 목걸이의 사시도이고, 도 8a, 도 8b, 도 8c는 도 7에 도시된 링크장식부재의 상세 연결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로서, 목걸이(1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목걸이(1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링크장식부재(20)들이 서로 연결되어 소정하는 길이를 갖게 되고 이 링크장식부재(20)의 양 끝단에는 통상의 록부재(7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링크장식부재(20)는 도 8a와 같이 일단으로 설치홈(92)이 형성되고 이 설치홈(92)에 의해 대향된 양 지지편(94)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양 지지편(94) 중 어느 한쪽의 지지편(94) 내면에 연결핀(22)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링크장식부재 (20)의 타단에는 연결단(98)에 연결구멍(98a)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각 링크장식부재(20)들은 도 8b와 같이 하나의 링크장식부재(20)와 인근의 링크장식부재(20)를 서로 연결할 때 링크장식부재(20)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단(98)을 설치홈(92)에 위치시켜 연결구멍(98a)을 연결핀(22)과 일치시킨 다음 벌어진 양 지지편(94)을 플라이어 등의 전용공구를 이용하여 누름에 따라 양 지지편(94)이 도 8c와 같이 링크장식부재(20)의 단면과 동일하게 윈위치 변형되어 각 링크장식부재(20)가 서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각 링크장식부재(20)를 연결하여 소정의 연결된 길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 링크장식부재(20)의 제조시 연결핀(22)과 연결구멍(98a)의 연결을 쉽게 하기 위하여 도 8a와 같이 각 링크장식부재(20)의 양 지지편(94)을 사전에 약간 벌어진 상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링크장식부재(20)는 굽힘 변형이 양호한 주석합금을 재료로 하여 캐스팅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동합금으로도 제조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각 링크장식부재(20)에 있어 외형을 단순한 형태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링크장식부재(20)의 몸체부를 단순한 형태로 디자인 할 수 있고, 꽃모양 등 다양한 형태로 할 수 있으며, 큐빅 등 인조 보석알 등으로 치장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면부호 20a로 나타낸 링크장식부재는 그 양측에 설치홈(92)이 형성되고 이 설치홈(92)에 의해 양 지지편(94)이 형성되고, 이 한쪽의 지지편(94) 내면에 연결핀(22)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이 링크장식부재(20a)는 링크장식부재 (20)의 어느 한 끝단에 연결되어 통상의 록부재(70)와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링크장식부재의 변형 연결 예시도로서, 이는 연결핀(22)이 형성된 지지편(94)의 대향측 지지편(94)의 내면에는 연결구멍(98a)을 관통한 연결핀(22)의 단부를 수용 지지하는 지지홈(24)이 추가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각각의 링크장식부재(20)들이 양 지지편(94) 중 어느 한쪽의 지지편(94)에 형성된 연결핀(22)이 연결구멍 (98a)을 한쪽에서 관통하여 지지하게 되고 동시에 지지편(94)이 연결단(98)을 받침 형태로 지지하게 됨으로서 연결버팀력이 강화되게 되고, 더욱이 상기 연결구멍 (98a)을 관통한 연결핀(22)의 단부가 대향측의 지지편(94)에 형성된 지지홈(24)에 위치되어 지지됨으로서 그 연결버팀력이 더욱 강화되어 액세서리 제품 사용중 링크장식부재(20)간에 외력(당김력)이 발생될 때 연결핀(22)이 연결구멍(98a)에서 잘 빠지지 않고 견뎌내어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 링크장식부재(20)가 지지편(94)에 형성된 연결핀(22)과 연결단(98)에 형성된 연결구멍(98a)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액세서리부재는, 링크장식부재(20)를 적당한 크기(길이)로 조립함으로써 목걸이, 팔찌, 발찌, 장식 허리벨트용으로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에 의하면, 링크장식부재의 연결 조립시 종래처럼 C형 연결고리나 연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연결됨으로써 연결부품의 생략으로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각 링크장식부재의 조립이 간단히 이루어지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되며, 특히 링크장식부재의 연결 조립부분에서 지지편의 한쪽에만 형성된 연결핀이 연결구멍을 관통하여 연결됨으로써 링크장식부재가 연결핀을 중심으로 움직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동시에 연결버팀력이 종래에 비해 크게 강화되어 액세서리 제품 사용중 링크장식부재간에 당김력이 발생될 때 연결핀이 연결구멍에서 잘 빠지지 않고 견뎌내어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일단으로 설치홈에 의해 대향 형성된 양 지지편과, 타단으로 연결단에 연결구멍이 형성된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에 있어서,
    상기 양 지지편 중 한쪽의 지지편 내면에 상기 연결구멍을 일측에서 관통하여 링크장식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핀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이 형성된 지지편의 대향측 지지편의 내면에는 연결구멍을 관통한 연결핀의 단부를 수용 지지하는 지지홈이 추가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링크장식부재에 형성된 연결핀과 연결구멍의 조립을 쉽게 하기 위하여 양 지지편이 사전에 벌림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링크장식부재를 상기 연결핀과 연결구멍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액세서리부재는, 목걸이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링크장식부재를 상기 연결핀과 연결구멍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액세서리부재는, 팔찌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링크장식부재를 상기 연결핀과 연결구멍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액세서리부재는, 발찌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링크장식부재를 상기 연결핀과 연결구멍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액세서리부재는, 장식 허리벨트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KR2020000032219U 2000-11-17 2000-11-17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KR2002241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219U KR200224155Y1 (ko) 2000-11-17 2000-11-17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219U KR200224155Y1 (ko) 2000-11-17 2000-11-17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155Y1 true KR200224155Y1 (ko) 2001-05-15

Family

ID=73091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219U KR200224155Y1 (ko) 2000-11-17 2000-11-17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1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48566B2 (ja) ブレスレット
US4269026A (en) Connector pin for link bracelets
JP3631678B2 (ja) 各々が一般に球状の形状を有する次々の要素で構成される装飾チェーン
US6212869B1 (en) Jewelry link assembly
KR200224155Y1 (ko)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KR20010024631A (ko) 띠모양 장신구에 있어서의 블록과 연결 기구의 고정 구조,연결 핀 및 블록의 구조
JP2001153970A (ja) 時計用連結構造および時計
KR200179630Y1 (ko)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JP5148226B2 (ja) 装飾品用駒および装飾品
KR200173070Y1 (ko)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KR200413018Y1 (ko) 손목 시계용 밴드
JP3148398U (ja) 時計バンド用ウレタン駒およびそれを備えた時計バンド
KR100341858B1 (ko) 장신용 액세서리 체인의 제조방법
KR200353269Y1 (ko) 장신구용 단위체
KR102506896B1 (ko) 귀금속 장신구의 힌지 연결장치
KR200293746Y1 (ko) 시계줄의 연결마디
KR200229314Y1 (ko) 금속제 장신구 연결 구조
KR200260666Y1 (ko) 귀걸이 체결구조
KR900008815Y1 (ko) 1초 귀걸이
KR970004943Y1 (ko) 시계줄용 버클
KR200272561Y1 (ko) 장신구 세트
KR200261243Y1 (ko) 장신구용 연결구의 조립구조
FR2794618A1 (fr) Bijou a motif ornemental interchangeable
KR200293747Y1 (ko) 목걸이용 단위체의 결합구조
KR200229299Y1 (ko) 장신구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