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777Y1 - Card Type Marking Pen - Google Patents

Card Type Marking P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777Y1
KR200221777Y1 KR2020000031483U KR20000031483U KR200221777Y1 KR 200221777 Y1 KR200221777 Y1 KR 200221777Y1 KR 2020000031483 U KR2020000031483 U KR 2020000031483U KR 20000031483 U KR20000031483 U KR 20000031483U KR 200221777 Y1 KR200221777 Y1 KR 2002217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ing pen
tip
case
ink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48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이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훈 filed Critical 이승훈
Priority to KR20200000314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77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7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777Y1/en

Link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킹펜으로 사용하면서 책갈피로 겸용할 수 있도록 얇은 구조로 한 카드형 마킹펜에 관한 것으로, 서류의 특정 위치를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마킹펜에 있어서, 지면에 접촉되면 잉크를 배출하는 팁(20, 20a)과; 두께가 얇으면서 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그 일단 내측에 상기 팁(20, 20a)의 중간 부분이 고정되는 고정단(12, 12a)이 형성된 카드형 케이스(10, 10a)와; 잉크를 수용하는 재질로 이루어져 잉크를 함유한 채 상기 케이스(10, 10a)의 중공부에 설치되어 상기 팁(20, 20a)의 일단에 접촉되는 잉크 수용체(15, 15a)와; 상기 케이스(10, 10a)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팁(20, 20a)을 보호하는 캡(30, 30a)으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d-type marking pen which has a thin structure that can be used as a bookmark while being used as a marking pen. In the marking pen used to emphasize a specific position of a document, a tip for discharging ink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20, 20a); A card-shaped case (10, 10a) having a thin thickness and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and fixed ends (12, 12a) at which one end of the tip portion (20, 20a) is fixed; An ink container (15, 15a)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ink and installed in a hollow portion of the case (10, 10a) while containing ink to be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tip (20, 20a);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case (10, 10a) is composed of a cap (30, 30a) to protect the tip (20, 20a).

Description

카드형 마킹펜{Card Type Marking Pen}Card type marking pen {Card Type Marking Pen}

본 고안은 카드형 마킹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킹펜으로 사용하면서 책갈피로 겸용할 수 있도록 얇은 구조로 한 카드형 마킹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d-type marking p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d-type marking pen made of a thin structure to be used as a bookmark while using as a marking pen.

일반적으로, 마킹펜(Marking Pen, 일명 형광펜)은 유색 잉크에 형광 물질을 첨가하여 서류의 중요한 부분에 밑줄을 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필기구이다.In general, a marking pen (also known as a highlight pen) is a writing instrument used to underline an important part of a document by adding a fluorescent material to a colored ink.

특히, 서류에서 강조하고 싶은 부분에 덧칠을 함으로써, 다른 사람의 눈에 띄는 효과를 줄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give a noticeable effect to others by applying a part of the document to be emphasized.

따라서, 눈에 잘 띄는 색 즉, 적색, 황색, 주황색, 초록색 등과 같은 약간 옅은 색의 수성 잉크를 사용하며, 형광 물질을 첨가함으로써 더 돋보이도록 하고 있다.Therefore, a slightly pale water-based ink such as red, yellow, orange, green, etc., is used to make it stand out by adding a fluorescent material.

이러한 기능을 갖는 형광펜의 종래 구조는 보통 그 일단이 넓게 형성되어 서류에 넓은 줄을 그을 수 있도록 된 팁과, 상기 팁이 그 일단에 장착되는 튜브 형태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삽입되어 상기 팁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하여 스펀지 재질로 된 잉크 수용체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된 팁을 보호하기 위하여 케이스의 일단에 결합되는 캡과; 상기 케이스의 타단에 장착되어 상기 잉크 수용체가 밖으로 나오는 것을 막아 주는 키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conventional structure of a highlighter having such a function usually includes a tip having a wide end and a wide line on a document, and a tube-shaped case on which the tip is mounted; An ink container made of a sponge material inserted into the case to supply ink to the tip; A cap coupled to one end of the case to protect the tip mounted to the case; And a keeper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case to prevent the ink container from coming out.

그런데, 상기 구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형광펜은 그 대부분의 형상이 일정한 굵기를 갖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highlighter made as described above is generally made of a cylindrical shape having most of its shape.

이는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잡기 위하여 된 구조로써 적당한 굵기를 갖고 있어야만 손에 잡기 쉽고, 잉크 수용체의 부피를 크게 하여 잉크 수용량을 늘여서 형광펜의 사용 기한을 연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structure is designed to be easily grasped by the user, so that it is easy to grasp only when the user has an appropriate thickness. The expiration date of the highlighter can be extended by increasing the ink capacity by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ink container.

따라서, 종래의 일반적인 형광펜은 보통 직경 1cm 내외의 직경을 갖고 있기 때문에 형광펜의 용도 외의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general highlighter has a diameter of about 1 cm in diameter, so there is a problem to use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use of the highlighter.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형광펜을 사용하면서 책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책갈피 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기존의 펜이나 형광펜 등은 그 굵기가 책갈피 대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굵어서 불편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For example, a user may use a highlighter while using a highlighter instead of a bookmark to display the current position of a book. However, conventional pens or highlighters have a problem that the thickness thereof is too thick to be used as a substitute for a bookmark.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책갈피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는 별도의 책갈피를 항상 준비해야 한다는 부담을 안고 있는 것이다.To solve this inconvenience, a separate bookmark must be used, which is a burden of having to prepare a separate bookmark at all times.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서류의 특정 위치를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마킹펜의 구조를 책갈피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얇은 형태의 카드 구조로 함으로써, 마킹펜과 책갈피 기능을 겸비할 수 있는 카드형 마킹펜을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s purpose is to mark the structure of the marking pen used for emphasizing a specific position of the document by using a thin card structure so as to replace the bookmark. It is to provide a card-type marking pen that can combine a pen and a bookmark func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카드형 마킹펜의 제 1실시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ard-type marking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종단면도.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10a : 케이스 12, 12a : 고정단10, 10a: case 12, 12a: fixed end

15, 15a : 잉크 수용체 20, 20a : 팁15, 15a: ink receptor 20, 20a: tip

30, 30a : 캡 35 : 홀더30, 30a: cap 35: hold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지면에 접촉되면 잉크를 배출하는 팁과; 두께가 얇으면서 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그 일단 내측에 상기 팁의 중간 부분이 고정되는 고정단이 형성된 카드형 케이스와; 잉크를 수용하는 재질로 이루어져 잉크를 함유한 채 상기 케이스의 중공부에 설치되어 상기 팁의 일단에 접촉되는 잉크 수용체와;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팁을 보호하는 캡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마킹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ip for discharging ink when in contact with the ground; A card-shaped case having a thin thickness and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and having a fixed end at which one end of the tip is fixed inside the hollow portion; An ink container which is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ink and is installed in the hollow part of the case while containing the ink and is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tip; It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case provides a card-type marking pe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ap to protect the tip.

상기 캡은 그 일면 중간에 홀더가 형성되어 다른 물체에 고정될 때에 그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er is formed in the middle of one side so that a part of the cap protrudes outward when fixed to another object.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마킹펜의 구조를 카드와 같이 그 두께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마킹펜 역할과 책갈피 역할을 겸비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marking pen is formed to have a thin thickness, such as a card, so as to have a role of a marking pen and a bookmark.

(실시예)(Example)

이하에 상기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preferred embodiments are shown.

첨부한 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카드형 마킹펜의 제 1실시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ard-type marking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본 고안에 따른 카드형 마킹펜은 2가지의 실시예를 제공하는데, 제 1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된 펜타입의 마킹펜에 대한 것이다.The card-type marking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wo embodiments, the first embodiment of which relates to a pen-type marking pen having a thin thickness as shown in FIGS. 1 and 2.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는 지면에 잉크를 배출시켜 마킹 작용을 하는 팁(20)은 그 일단이 어느 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면서, 그 종단부는 칼날과 같이 얇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타단은 아래의 잉크 수용체(15)로부터 잉크를 공급받을 수 있게 상기 잉크 수용체(15)의 내측이 삽입되도록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p 20, which discharges ink onto the ground and has a marking function, is formed so that one end thereof is inclined in one direction, and the end portion thereof is thinly formed like a blade,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below. The inside of the ink container 15 is sharply formed so that ink can be supplied from the ink container 15 of the ink container 15.

상기 팁(20)이 그 일단에 고정되는 케이스(10)는 그 두께가 5mm 이하로 형성되며, 그 일단 내측에 상기 팁(2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단(12)이 형성되어 있고, 잉크 수용체(15)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다.The case 10 in which the tip 20 is fixed at one end thereof has a thickness of 5 mm or less, and a fixed end 12 for fixing the tip 20 inside one end thereof is formed, and an ink container is provided. The hollow part for accommodating 15 is formed.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일단 즉, 팁(20)이 장착되는 부분은 쐐기 형태로 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캡(30)이 장착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case 10, that is, a portion in which the tip 20 is mounted is formed in a wedge shape, and the cap 30 is mounted.

상기 캡(30)은 마킹펜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 팁(20)이 상하는 것과, 잉크가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스의 두께 및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The cap 30 is used to prevent the tip 20 from deteriorating and the ink from evaporating when the marking pen is not used. The cap 30 is form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and width as the case.

또한, 상기 캡(30)은 그 일면 중간 위치에 마킹펜을 다른 물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홀더(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홀더(35)는 마킹펜을 서류에 사용하면서 책갈피용으로 사용할 때에 마킹펜을 서류에 고정시켜 주는 작용을 한다.In addition, the cap 30 has a holder 35 for fixing the marking pen to another object at an intermediate position on one side thereof, and the holder 35 is marked when the marking pen is used for a bookmark while the marking pen is used for documents. It acts to fix the pen to the document.

그리고, 이 홀더(35)는 상기 캡(3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홀더(35)를 서류에 꽂아 놓더라도 캡(30)의 일부분이 서류 밖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다음에 서류를 펼치기 편리하도록 하였다.Since the holder 35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cap 30, even if the holder 35 is inserted into the document, a part of the cap 30 protrudes out of the document so that the document can be unfolded later. It was made.

또한,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그 전체 형태가 직육면체 형태를 갖는 실시예를 나타내었지만, 그 횡단면 형상이 타원형인 형태로도 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hown an embodiment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ross-sectional shape may be an elliptical shape.

상기 케이스(10)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잉크 수용체(15)는 스펀지 재질과 같이 액상의 물질을 저장할 수 있는 소재로 되어 있다.The ink container 15 accommodat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case 10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storing a liquid material, such as a sponge material.

한편, 제 1실시예를 나타낸 도 1 및 도 2에는 케이스(10)의 타단 즉, 팁(20)이 장착된 부분의 반대편에 별도의 수단 없이 막혀 있는 구조로 표시되어 있지만, 상기 잉크 수용체(15)를 삽입하기 위하여 개방형 구조로 될 수 있으며, 이 개방 구조를 밀폐하기 위한 별도의 마개(도면에 미 도시함)가 부가 장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s 1 and 2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is shown as a structure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case 10, that is, the opposite side of the portion on which the tip 20 is mounted without a separate means, but the ink container 15 ) Can be of an open type, and a separate stopper (not shown) can be additionally mounted to seal the open structure.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실시예와 달리 그 폭이 더욱 넓은 구조의 카드 형태의 마킹펜으로써, 케이스(10a)는 그 두께가 5mm 이내이면서 그 폭이 상기 제 1실시예보다 넓은 5cm 정도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rking pen of a card type having a wider structure tha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case 10a has a thickness within 5 mm and its width. This is about 5 cm wider than the first embodim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실시예의 두께보다 더욱 얇게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두께가 얇더라도, 넓이가 넓기 때문에 잉크 수용체(15a)의 부피는 충분한 양의 잉크를 수용할 수 있다.Preferably, the thickness of the ink container 15a can accommodate a sufficient amount of ink because the width of the ink container 15a is wider than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상기 케이스(10a)는 그 내부에 잉크 수용체(15a)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일단 일측에 팁(20a)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단(12a)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단(12a)에는 팁(20a)이 장착되는데, 상기 팁(20a)은 상기 제 1실시예의 팁(20)보다 더 두께가 얇은 것이 채용된다.The case 10a has a hollow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ink container 15a therein, and a fixed end 12a for fixing the tip 20a on one side thereof is formed, and this fixed end ( 12a) is mounted a tip 20a, which is thinner than the tip 20 of the first embodiment.

그리고, 상기 케이스(10a)의 고정단(12a) 부분에 장착되어 팁(20a)을 보호해 주는 캡(30a)은 그 두께가 상기 케이스(10a)의 두께와 같게 형성되며, 상기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홀더(도면에 미 도시함)가 형성되어 있어서 서류에 고정시킬 때에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p 30a, which is attached to the fixed end 12a of the case 10a and protects the tip 20a, is form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as that of the case 10a. Similarly, a holder (not shown in the drawing) is formed and can be used for fixing to documents.

또한, 상기 케이스(10a)의 형태도 상기 제 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횡단면 형상이 타원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면 서류와 접촉이 더욱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 편리성이 더욱 증대된다.In addition, as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shape of the case 10a is made to have an elliptical shape, the convenience of use is further increased because the contact with the document is made more naturally.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마킹펜으로 사용되는 필기구의 형태를 카드와 같이 얇게 형성함으로써 서류 등의 책갈피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bookmarks such as documents by forming a shape of a writing instrument used as a marking pen as thin as a card.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made by those who possess.

Claims (2)

서류의 특정 위치를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마킹펜에 있어서,In the marking pen used to emphasize a specific position of the document, 지면에 접촉되면 잉크를 배출하는 팁(20, 20a)과;Tips 20 and 20a for discharging ink when in contact with the ground; 두께가 얇으면서 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그 일단 내측에 상기 팁(20, 20a)의 중간 부분이 고정되는 고정단(12, 12a)이 형성된 카드형 케이스(10, 10a)와;A card-shaped case (10, 10a) having a thin thickness and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and fixed ends (12, 12a) at which one end of the tip portion (20, 20a) is fixed; 잉크를 수용하는 재질로 이루어져 잉크를 함유한 채 상기 케이스(10, 10a)의 중공부에 설치되어 상기 팁(20, 20a)의 일단에 접촉되는 잉크 수용체(15, 15a)와;An ink container (15, 15a)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ink and installed in a hollow portion of the case (10, 10a) while containing ink to be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tip (20, 20a); 상기 케이스(10, 10a)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팁(20, 20a)을 보호하는 캡(30, 30a)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마킹펜.Card type marking pen,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 (30, 30a)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case (10, 10a) to protect the tip (20, 20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30, 30a)은 그 일면 중간에 홀더(35)가 형성되어, 서류에 고정될 때에 그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마킹펜.The card-type marking pe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p (30, 30a) has a holder (35) formed in the middle of one surface thereof so that a part thereof protrudes outward when the holder (35) is fixed to the document.
KR2020000031483U 2000-11-10 2000-11-10 Card Type Marking Pen KR20022177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483U KR200221777Y1 (en) 2000-11-10 2000-11-10 Card Type Marking P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483U KR200221777Y1 (en) 2000-11-10 2000-11-10 Card Type Marking P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777Y1 true KR200221777Y1 (en) 2001-04-16

Family

ID=7309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483U KR200221777Y1 (en) 2000-11-10 2000-11-10 Card Type Marking P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777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1223B2 (en) Combo pen
US5017034A (en) Marker and pen combination employing transverse and longitudinally spaced tips
US7736080B2 (en) Writing instrument with a tape flag dispenser
BR0113437A (en) Fluorescent ink composition for a typewriter and typewriter
BR9406789A (en) Bleed-resistant aqueous correction fluid for use with ballpoint pens and processes to make a stable water-based correction fluid and to cover a firm ink marking on water on paper
US5947624A (en) Capillary feed ink marker assembly adapted for making erasable markings on the surface of a substantially non-porous marking substrate
CA2507314A1 (en) Flat ink cartridge for writing instruments
KR200221777Y1 (en) Card Type Marking Pen
US10723166B1 (en) See-through highlighter
US20050175390A1 (en) Erasable writing system
US20090097904A1 (en) Multifunction applicator for dispensing fluid
KR200157686Y1 (en) Card ball point pen
KR20100076983A (en) Writing instrument with sheet dispenser
AU2002241798A1 (en) Liquid ink writing pen
KR200409232Y1 (en) Pen with flag tag dispenser
US20060147252A1 (en) Liquid graphite pencil
US20010033765A1 (en) Fingertip pen/stylus
KR100710732B1 (en) Writing tools having sheet dispenser
KR200405138Y1 (en) Tongs Type Ball-Pen
KR200333452Y1 (en) Ball-point pen of slim type
KR200348241Y1 (en) Writig instrument having ad paper
KR200266231Y1 (en) abrasion and spreading prevent rule
US20100158599A1 (en) Writing instrument with sheet dispenser
KR960000953Y1 (en) Optical mark reader writing implement
KR200341678Y1 (en) ru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