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936Y1 - 하체단련용 운동구 - Google Patents

하체단련용 운동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936Y1
KR200219936Y1 KR2020000029411U KR20000029411U KR200219936Y1 KR 200219936 Y1 KR200219936 Y1 KR 200219936Y1 KR 2020000029411 U KR2020000029411 U KR 2020000029411U KR 20000029411 U KR20000029411 U KR 20000029411U KR 200219936 Y1 KR200219936 Y1 KR 2002199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footrest
exercise equipment
training
suppor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4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관선
Original Assignee
정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관선 filed Critical 정관선
Priority to KR20200000294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9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9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936Y1/ko

Links

Landscapes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장자리에 보강대가 형성되고 사용자가 딛고 서기 위한 원형의 발판과 상기 발판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어 원형의 발판을 지면과 일정간격 이격시키기 위한 받침돌기로 이루어 진 하체단련용 운동구에 관한 것으로, 발판을 받침돌기에 의해 경사진 상태로 회전이 가능하게 하므로써 좁은 공간에서 발목에서 무릎, 골반, 허리에 이르는 하체의 관절 및 근육을 단련할 수 있는 것이며, 하체단련과 동시에 발바닥을 부분별로 강하게 지압하므로써 혈액 순환을 활발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역시 좁은 공간에서 매우 안전하게 균형감각을 단련할 수있는 것이므로 어린 학생들의 균형감각 훈련용 운동기구로도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하체단련용 운동구{Sports Equipment for the Lower Part of the Body Training}
본 고안은 하체단련용 운동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목과 무릎, 골반, 허리의 단련과 동시에 균형감각을 단련하기 위한 훈련이 가능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신체의 일부를 단련하기 위한 여러가지의 운동기구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좁은 공간에서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허리에서 발목까지 이르는 모든 관절과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하체운동기구는 지금까지 개발된 바 없다.
또한 균형감각을 단련하기 위한 운동기구로는 현재 운동장에 설치되는 수평대가 유일한 것이나, 이는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수평대를 걸어가는 동안 발을 헛딛게 되면 큰 부상의 우려가 높은 단점을 갖는 운동기구인 것이다.
본 고안은 지금까지 안출된 바 없는 좁은 공간에서의 하체단련과 균형감각의 단련을 가능하게 하는 운동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가장자리에 보강대가 형성되고 사용자가 딛고 서기 위한 원형의 발판과 상기 발판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어 원형의 발판을 지면과 일정간격 이격시키기 위한 받침돌기로 이루어 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발판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하체단련용 운동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발판의 상부면에 사용자의 발바닥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지압돌기가 형성되어진 하체단련용 운동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 -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의 단면도.
도 2 -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3 -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4 -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5 - 도 4의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6 -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7 -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8 - 도 7의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9 - 본 고안의 제 6실시예의 단면도.
도 10 - 본 고안의 제 7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11 - 도 10의 사용상태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
도 12 -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 하체단련용 운동구(이하 하체단련구라 한다)
10: 발판 11: 보강부 12: 지압돌기
13: 통공 14: 요홈 20,20a,20b: 받침돌기(突起)
21: 볼트결합공 30: 볼트 40: 높이조절보조구
41: 받침돌기 내장홈 50: 지압돌기형성판 60: 볼록부
70: 받침판 71: 만곡홈 A: 바닥면 θ: 경사각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하체단련구(1)의 가장 기본적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가장자리와 저면에 보강대(11)가 형성되고 사용자가 딛고 서기 위한 원형의 발판(10)과, 상기 발판(10)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어 원형의 발판(10)을 지면과 일정간격 이격시키기 위한 받침돌기(20)로 이루어 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 하체단련구(1)는 받침돌기(20)에 의해 발판(10)이 지탱되는 구성이므로 평상시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발판(10)이 받침돌기(20)의 높이만큼 기울어진 형태를 갖는다. 이로인해 본 고안 하체단련구(1)는 상기 기울어진 발판(10)의 구조에 의해 사용자의 하체단련과 균형감각을 단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발판(10) 위에 올라서게 되면 자연히 사용자의 발바닥이 발판의 기울기와 같아지므로 발목이 꺽이게 된다. 이로서 본 고안 하체단련구(1)가 바닥면에 접하는 지점은 받침돌기(20)의 끝단과 발판(10)의 가장자리 일부분만 닿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목을 회전시키거나, 양발에 가하는 힘에 차등을 주게되면 발판(10)은 발목의 회전방향 또는 압력의 차이에 의해 받침돌기(20)를 중심으로 회전하듯이 360°방 향으로 기울게 된다.
이때 몸의 중심을 잡기 위해서는 발목만을 꺽을 수 없으므로 무릎도 회전시키게 되고 동시에 허리도 자연스럽게 회전시킬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하체의 관절 및 근육 전체가 단련되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균형감각(평형감각)의 단련은 사용자가 발판(10) 위에 서서 발판(10)을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한 노력에 의해 가능해진다.
즉 발판(10)의 중앙에 형성된 받침돌기(20)에 의해서만 몸의 평형을 유지하여야 하므로 몸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필요로 하게 되고, 이로인해 몸의 균형감각을 단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 하체단련구(1)는 좀 더 다양한 활용을 위해서 여러가지 실시예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를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와 같이 발판(10)과 일체로 형성된 받침돌기(20)를 발판(10)으로 부터 분리시켜 형성할 수 있음을 보이기 위한 것이다. 이는 높이가 각각 다른 받침돌기(20)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발판(10)의 저면에 미도시된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에 받침돌기(20)를 내삽시켜서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받침돌기(20a)에 볼트결합공(21)을 형성하여 볼트(30)에 의해 발판(10)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발판(10)의 중앙에는 통공(13)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받침돌기(20,20a)에 발판(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높이조절구(40)를 형성한 것이다. 즉 받침돌기(20,20a)를 높이조절구(40)의 받침돌기 내장홈(41)에 내삽하게 되면 높이조절구(40)의 두께만큼 발판(10)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써 발판(10)의 저면에 상기 발판(10)을 좌우로 양분하는 막대형의 받침돌기(20b)를 형성한 것으로, 중앙에 하나만 형성된 받침돌기만으로는 숙련자가 아니고서는 몸의 균형을 잡기가 너무 어렵기 때문에 이를 좀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초보자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구성이다. 즉 막대형의 받침돌기(20b)는 발판(10) 위에서 사용자가 좌우, 또는 앞뒤로만 몸의 균형을 유지하면 되므로 초보자들도 균형감각을 단련함에 있어 보다 용이해지는 것이다.
또 본고안 하체단련구(1)의 발판(10) 상부면에는 사용자의 건강증진을 위해서 다수개의 지압돌기(12)가 형성되어지는데, 상기 지압돌기(12)는 발판(10) 위에 밀착되어 있는 발바닥의 각 부분을 자극시켜 혈액순환 및 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지압돌기(12)의 상단에 자석 또는 옥(玉) 편을 부착시켜 보다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더구나 본 고안은 발바닥이 단순하게 지압돌기(12)와 밀착된 상태가 아닌 발판(10)의 기울림에 따라 한쪽으로 체중이 실리게 되고 따라서 몸이 기울린 쪽의 발바닥은 더욱 강한 자극을 받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발판(10)을 회전시키게 되면 발바닥 전체가 각 부분별로 강하게 지압되어지는 효과를 갖게된다.
도 7은 본 고안 발판(10)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지압돌기(12)와 발판(10)을 분리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발판(10)과 지압돌기(12)가 형성된 지압돌기 형성판(50)을 따로 제작하여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발판(10)의 상부면에는 지압돌기 형성판(5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요홈(14)을 형성하였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발판(10)의 상부면 또는 지압돌기 형성판(50)의 상부면에 역시 지압돌기(12)를 구비하는 볼록부(6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볼록부(60)는 발바닥의 움푹 파여진 부분의 지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도 10은 본 고안 하체단련구(1)를 실내에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실내의 바닥시트가 연질이면 받침돌기(20)에 의해 바닥시트가 눌리면서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에 만곡홈(71)을 구비하는 받침판(70)을 더 구비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만곡홈(71)에 받침돌기(20)가 얹혀 회전하게 되므로 바닥시트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받침판(70)은 발판(10)의 높이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발판(10)의 높이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발판(10)의 높이가 높을수록 발판(10)의 경사각도 커지게 되고, 또한 발바닥의 경사도 커지므로 훨씬 몸의 균형을 유지하기가 힘들게 된다. 또한 발목 및 무릎, 허리의 회전반경도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발판(10)의 높이는 초보자의 경우는 낮게, 숙련자의 경우는 점차 높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운동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이다.
또 본고안의 발판(10) 가장자리와 저면에는 보강대(11)가 형성될 수도 잇는데 이는 사용되는 발판(10)의 두께를 줄여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 받침돌기(20)는 하단이 라운드(round)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회전의 원활함과 바닥시트의 손상을 방지함에서 유리하다.
이처럼 본 고안은 발판을 받침돌기에 의해 경사진 상태로 회전이 가능하게 하므로써 좁은 공간에서 발목에서 무릎, 골반, 허리에 이르는 하체의 관절 및 근육을 단련할 수 있는 것이며, 하체단련과 동시에 발바닥을 부분별로 강하게 지압하므로써 혈액 순환을 활발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역시 좁은 공간에서 매우 안전하게 균형감각을 단련할 수있으므로 어린 학생들의 균형감각 훈련용 운동기구로도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0)

  1. 사용자가 딛고 서기 위한 원형의 발판(10)과, 상기 발판(10)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어 원형의 발판(10)을 지면과 일정간격 이격시키기 위한 받침돌기(2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단련용 운동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0)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지압돌기(12)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단련용 운동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0)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지압돌기(12)가 형성된 지압돌기 형성판(50)이 부착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단련용 운동구.
  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돌기(12)의 상단에 자석 또는 옥편이 부착되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단련용 운동구.
  5.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0)의 상부면 또는 지압돌기 형성판(50)의 상부면에 일측에 지압돌기(12)를 구비하는 볼록부(60)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단련용 운동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0)의 가장자리와 저면에 보강대(11)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단련용 운동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돌기(20)가 발판(10)으로 부터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이로인해 높낮이가 각각 다른 받침돌기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단련용 운동구.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돌기에 받침돌기 내장홈(41)을 구비하는 높이조절구(40)를 끼워 발판(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단련용 운동구.
  9.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돌기를 상부에 만곡홈(71)을 구비하는 받침판(70)으로 받쳐 바닥시트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단련용 운동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돌기는 막대형의 받침돌기(20b)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단련용 운동구.
KR2020000029411U 2000-10-18 2000-10-18 하체단련용 운동구 KR2002199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411U KR200219936Y1 (ko) 2000-10-18 2000-10-18 하체단련용 운동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411U KR200219936Y1 (ko) 2000-10-18 2000-10-18 하체단련용 운동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936Y1 true KR200219936Y1 (ko) 2001-04-16

Family

ID=73059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411U KR200219936Y1 (ko) 2000-10-18 2000-10-18 하체단련용 운동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9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476B1 (ko) * 2002-04-29 2005-03-08 정관선 다이어트용 운동구
KR100955333B1 (ko) * 2007-11-22 2010-04-30 안은별 스트레칭 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476B1 (ko) * 2002-04-29 2005-03-08 정관선 다이어트용 운동구
KR100955333B1 (ko) * 2007-11-22 2010-04-30 안은별 스트레칭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7474A (en) Balancing and exercising device
US6413197B2 (en) Torsion board
US6872175B2 (en) Exercise balance trainer
US7137938B2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705977B1 (en) Balance board
ES2397161T3 (es) Calzado propioceptivo/cinestético
US7488282B2 (en) Exercise device
US6315695B1 (en) Tri-planar controller motion rehabilitation and exercise platform
US20040014571A1 (en) Exercise apparatus
KR20050018637A (ko) 훈련장치
US5490823A (en) Water therapy and fitness device
JP7089111B2 (ja) 身体均衡補助器具
US8827882B2 (en) Proprioception balance and coordination enhancement system
KR101298882B1 (ko)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보드
KR200219936Y1 (ko) 하체단련용 운동구
US20060040796A1 (en) Step/balance apparatus
US20050137511A1 (en) Shoe accessory
EP0917890A2 (en)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US20230232934A1 (en) Stability Training Shoes
JP2002200194A (ja) 運動具
JP3130251U (ja) 足踏み健康歩行器
JP6343763B2 (ja) 下半身強化ボード
US20110152047A1 (en) Calf Exerciser
RU211351U1 (ru) Коррекционная платформа для стопы
US20080064580A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exercis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