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022Y1 -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전원공급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전원공급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022Y1
KR200219022Y1 KR2019980025355U KR19980025355U KR200219022Y1 KR 200219022 Y1 KR200219022 Y1 KR 200219022Y1 KR 2019980025355 U KR2019980025355 U KR 2019980025355U KR 19980025355 U KR19980025355 U KR 19980025355U KR 200219022 Y1 KR200219022 Y1 KR 2002190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mobile phone
protrusion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3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391U (ko
Inventor
이정규
Original Assignee
장상욱
주식회사협진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상욱, 주식회사협진아이엔씨 filed Critical 장상욱
Priority to KR2019980025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022Y1/ko
Publication of KR200000123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3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0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022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 전화기등의 무선 단말장치에 배터리로부터 휴대 전화기 본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전원공급 커넥터는 배터리가 결합되는 휴대 전화기 본체에 설치되며, 터미널을 지지하는 하우징의 공간부 양측면에 걸림턱을 일체로 성형하며, 터미널의 유동부에는 돌출부와, 그 자유단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터미널의 돌출부가 접히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하우징의 걸림턱과 터미널의 걸림돌기가 서로 접촉됨으로써 터미널의 돌출부가 접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전원공급용 커넥터
본 고안은 휴대 전화기등의 무선 단말장치(이하 ″휴대 전화기″라 함)에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단자에 대응되는 전원공급용 터미널과 하우징의 구조가 개선된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전원공급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기의 전원공급 커넥터는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되는 휴대 전화기의 본체에 위치하며, 금속제로 되어 있는 터미널과, 그 터미널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를 가지는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터미널은 그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내에서 상하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터미널은, 자체 텐션을 가지고 있으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배터리와 접촉되는 부위에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배터리와 결합시 배터리 단자와 계속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의 일례를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휴대 전화기는 본체(1)와 배터리(2)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2)는 상기 휴대 전화기 본체(1)의 배면에 결합되며, 배터리(2)의 단자(3)가 본체(1)에 설치된 커넥터(4)의 터미널(6)에 접촉되어 그 터미널(6)을 통해 배터리(2)로부터 본체(1)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도 1에 있어서 괄호내의 참조번호 20 및 40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해 부여해둔 것이다.
한편, 종래의 커넥터(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터미널(6)을 지지하는 하우징(7)을 구비하며, 하우징(7)의 중앙에는 외부 신호를 유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신호 연결부(5)가 마련되어 있다. 터미널(6)은 통상적으로 금속제 박판을 벤딩가공하여 형성되며, 하우징(7)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배터리의 단자(3)와 접촉하는 부위에 돌출부(8)가 형성되며, 그 돌출부(8)에는 통상적으로 엠보싱부(9)를 형성하여 터미널(6)의 강도를 보강한다.
그런데 상기 터미널(6)은 상기와 바와 같이 엠보싱부(9)를 마련하더라도 그 자유단부에 화살표(A; 도 3 참조)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돌출부(8)가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접히게 되어 그 돌출부(8)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터미널이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하우징 및 터미널의 구조가 개량된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전원공급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 전화기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에 적용되는 종래의 커넥터의 발췌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일부절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배터리 단자와 접속된 상태를 보인다.
도 6는 도 4에 도시된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배터리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보인다.
도 7는 도 6에 도시된 터미널의 Ⅶ-Ⅶ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 2...배터리 3...단자 10...하우징 11...공간부 14...걸림턱 20...터미널 21...고정부 22...유동부 23...텐션부 24...돌출부 25...걸림돌기 26...덧살 27...날개 40...커넥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휴대 전화기의 본체에 설치되며 공간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터미널을 구비하며, 상기 터미널은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유동부와, 양단이 상기 고정부의 일단과 상기 유동부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텐션부와, 상기 유동부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그 상면이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전원공급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터미널 유동부의 자유단부에 상기 걸림턱과 마주하도록 형성된 걸림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터미널 유동부의 자유단부에 상기 텐션부쪽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간섭됨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접히는 것이 억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일부절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도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커넥터(40)는 하우징(10)과 터미널(20)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공간부(11)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11)의 하면에는 바닥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공간부(11)의 양측면에는 스토퍼(13)와 걸림턱(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20)은 금속제 박판을 벤딩가공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고정부(21)와, 유동부(22)와, 텐션부(2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정부(21)는 상기 하우징(10)의 바닥부(12)에 고정되며, 상기 유동부(22)는 고정부(21)의 상방에 위치된다. 상기 텐션부(23)의 일단은 고정부(21)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텐션부(23)의 타단은 유동부(22)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텐션부(23)는 상기 유동부(22)가 상기 공간부(11)내에서 상하 유동할 수 있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터미널(20)의 유동부(22)에는 하우징(10)의 상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24)가 마련된다. 이 돌출부(24)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엠보싱부(28)가 마련되어 있으며, 엠보싱부(28) 상면은 배터리의 단자(3)와 접촉한다.
한편 돌출부(24)의 양측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연장되는 덧살(26)이 굽힘가공에 의해 형성되며, 유동부(22)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하우징(10)의 걸림턱(14)과 마주하도록 걸림돌기(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20)에는 하우징(10)의 공간부(11) 양측면과 대면하는 부위에 상기 유동부(22)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날개(2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날개(27)는 굽힘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휴대 전화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에 있어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3)는 상기 터미널(20)의 자유단부가 하우징(10)의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걸림돌기(25)를 구속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 유동부(22) 자유단부에 화살표(B)방향으로 즉, 텐션부(23)쪽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걸림돌기(25)가 상기 걸림턱(14)에 간섭됨으로써 상기 돌출부(24)가 접히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터미널(20)의 돌출부(24) 양측에는 덧살(2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출부(24)의 강도가 보강되어, 그 돌출부(24)가 화살표(B)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이 더욱 억제된다.
그리고 터미널(20)의 유동부(22)에 측방향으로 즉, 도 7에 도시한 화살표(C)방향으로 외력을 받더라도 상기 날개(27)들 중 어느 하나가 하우징(10)에 접촉됨으로써 유동부(22)의 측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받게 된다. 따라서 유동부(22)가 측면으로 휘는 것이 억제되므로 유동부(22)의 파손 및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전원공급용 커넥터는, 터미널을 지지하는 하우징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터미널 자유단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터미널의 자유단부에 돌출부가 접히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터미널의 걸림돌기가 상기 하우징의 걸림턱에 간섭됨으로써 상기 터미널의 돌출부가 접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4)

  1. 휴대 전화기의 본체에 설치되며 공간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터미널을 구비하며, 상기 터미널은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유동부와, 양단이 상기 고정부의 일단과 상기 유동부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텐션부와, 상기 유동부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그 상면이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전원공급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터미널 유동부의 자유단부에 상기 걸림턱과 마주하도록 형성된 걸림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터미널 유동부의 자유단부에 상기 텐션부쪽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간섭됨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접히는 것이 억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전원공급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의 돌출부 양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덧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전원공급용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덧살은 상기 돌출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된 부위를 굽힘가공함으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전원 공급용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의 유동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 양측면과 대면하는 부위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날개가 굽힘가공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전원공급용 커넥터.
KR2019980025355U 1998-12-17 1998-12-17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전원공급용 커넥터 KR2002190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355U KR200219022Y1 (ko) 1998-12-17 1998-12-17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전원공급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355U KR200219022Y1 (ko) 1998-12-17 1998-12-17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전원공급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391U KR20000012391U (ko) 2000-07-05
KR200219022Y1 true KR200219022Y1 (ko) 2001-04-02

Family

ID=69507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355U KR200219022Y1 (ko) 1998-12-17 1998-12-17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전원공급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0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275B1 (ko) 2007-10-30 2015-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충전배터리 콘택트모듈, 그 충전배터리 콘택트모듈을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충전배터리 콘택트모듈을이용한 충전배터리 폭발 방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500B1 (ko) * 2006-06-02 2007-09-10 황규복 휴대폰 접촉 단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275B1 (ko) 2007-10-30 2015-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충전배터리 콘택트모듈, 그 충전배터리 콘택트모듈을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충전배터리 콘택트모듈을이용한 충전배터리 폭발 방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391U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337B1 (ko) 커넥터
JP3905518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EP1686663B1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plying force when the connector is coupled to a mating connector
KR920704366A (ko) 일체형의 제한된 이동 가이드 레일을 갖는 배터리 하우징 조립체
US20090170378A1 (en) Contact Member and Electrical Connector
KR200219022Y1 (ko)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전원공급용 커넥터
JP4482568B2 (ja) 電気コネクタ
KR100664240B1 (ko) 배터리 전원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H118027A (ja) 基板用コネクタ
JP4007506B2 (ja) 電子機器用充電器の端子構造
JPH11111369A (ja) バッテリー用コネクタ
KR200266630Y1 (ko) 신호 입력용 단자핀 및 이를 이용한 모빌 스위치
JP3612493B2 (ja) 携帯通信機の充電構造
KR200238089Y1 (ko) 휴대 전화기용 충전기
JP2002359026A (ja) バッテリー用コネクタ
KR20050111066A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KR200157400Y1 (ko) 충전기용 콘택단자의 구조
JP3357759B2 (ja) 電気機器
KR200225331Y1 (ko) 핸드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용 배터리 접속단자구조
KR10054258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소켓 커넥터
KR200317235Y1 (ko) 휴대폰 밧데리의 단자 설치구조
JPH10247542A (ja) 端 子
KR200285382Y1 (ko) 전자기기용 커넥터
JPH10336906A (ja) 充電台
KR19990025857U (ko) 휴대 전화기용 충전기의 콘텍트 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