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300Y1 - 핸드폰 충전기 - Google Patents

핸드폰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300Y1
KR200217300Y1 KR2020000028631U KR20000028631U KR200217300Y1 KR 200217300 Y1 KR200217300 Y1 KR 200217300Y1 KR 2020000028631 U KR2020000028631 U KR 2020000028631U KR 20000028631 U KR20000028631 U KR 20000028631U KR 200217300 Y1 KR200217300 Y1 KR 200217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bile phone
power supply
vehicle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석
Original Assignee
송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석 filed Critical 송정석
Priority to KR2020000028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3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300Y1/ko

Link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용 교류전원과 차량용 직류전원을 모두 사용하여 핸드폰을 충전할 수 있는 핸드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충전거치대 내부 회로로 연결되는 전선의 단부에 일측 컨넥터를 형성하고, 가정용 전원플러그와 차량용 전원플러그 각각에 상기 컨넥터와 계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타측 컨넥터를 형성하여, 가정용 교류전원 또는 차량용 직류전원을 선택적으로 충전거치대 내부 회로에 연결하여 핸드폰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충전거치대 내부 회로는, 상기 가정용 교류전원을 감압하는 트랜스퍼머 및 감압된 교류를 정류하는 정류회로를 갖는 제1 전원부와, 상기 차량용 직류전원을 감압하여 출력하는 제2 전원부와, 상기 제1 전원부와 상기 제2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핸드폰 충전에 적당한 일정전압으로 안정화하여 공급하는 정전압부를 구비한다. 또, 상기 충전거치대 내부 회로는 상기 제2 전원부를 통하지 않고 차량용 직류전원이 상기 정전압부의 입력단에 직접 연결되어 차량용 12V 직류전원을 정전압부에 의해 핸드폰 충전에 적당한 일정전압으로 감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핸드폰 충전기{charger for handphone}
본 고안은 핸드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가정용 교류전원과 차량용 직류전원을 모두 사용하여 핸드폰을 충전할 수 있는 핸드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핸드폰 충전기는 가정에서 충전하는 핸드폰 충전기와 차량에서 충전하는 핸드폰 충전기가 별도로 구분되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정용 핸드폰 충전기와 별도로 차량용 핸드폰 충전기를 구입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고, 장기간의 여행이나 출장시에는 차량에서 사용할 핸드폰 충전기와 숙박지의 가정용에서 사용할 핸드폰 충전기를 따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하나의 충전기로 가정용 교류전원과 차량용 직류전원을 모두 사용하여 핸드폰을 충전할 수 있는 핸드폰 충전기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핸드폰 충전기는,
충전거치대와 연결된 전선의 단부에 일측 컨넥터를 형성하고,
가정용 전원플러그와 차량용 전원플러그 각각에 상기 컨넥터와 계합되어 상기 충전거치대에 내장된 전원회로부에 필요한 소정의 전원을 연결하는 타측 컨넥터를 형성하여, 가정용 교류전원 또는 차량용 직류전원을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핸드폰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충전거치대에 내장된 전원회로부는, 상기 가정용 전원플러그로부터 공급된 교류전원을 감압하는 트랜스퍼머와 이 감압된 교류를 정류하는 정류회로로 된 제1 전원부와, 상기 차량용 전원플러그로부터 공급된 직류전원을 감압하여 출력하는 제2 전원부와, 상기 제1 전원부와 상기 제2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핸드폰 충전에 적당한 일정전압으로 안정화하여 공급하는 정전압부를 구비한다. 상기 정전압부의 내력이 충분한 경우 상기 제2 전원부를 생략하고 상기 차량용 전원플러그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이 정전압부의 입력단에 직접 인가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충전거치대 내부의 전원회로부 중 일부를 가정용 및 차량용 전원플러그에 내장시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정용 전원플러그는 몸체 내부로 교류전원을 감압하는 트랜스퍼머 및 감압된 교류를 정류하는 정류회로로 이루어진 제1전원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차량용 전원플러그는 몸체 내부로 직류전원을 감압하는 제2전원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거치대는,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 1조와, 이어폰 잭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여 핸드프리 통화가 가능토록 함으로써, 핸드폰 충전기의 차량사용시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 충전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충전기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3a 및 도 3b 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 연결구조도
도 4 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충전기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5a 및 5b 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 연결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가정용 전원플러그 4 - 차량용 전원플러그
6 - 충전거치대 8 - 충전거치대 내부회로
22 - 컨넥터 42 - 컨넥터
62 - 컨넥터 82 - 제1 전원부
84 - 제2 전원부 86 - 정전압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충전거치대(6) 내부의 회로(8)로 연결되는 전선(64)의 단부에 일측 컨넥터(62)를 형성하고, 가정용 전원플러그(2)와 차량용 전원플러그(4) 각각에 상기 컨넥터(62)와 계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타측 컨넥터(22)(42)를 형성하여, 가정용 교류전원 또는 차량용 직류전원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핸드폰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충전거치대(6)는 핸드프리 통화를 위해 스피커(SP) 및 마이크로폰(MP) 1조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이어폰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어폰 잭(EP)을 구비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충전거치대 내부회로(8)의 구성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로 구성 가능하다.
먼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로 도시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충전거치대 내부회로(8)는 가정용 교류전원과 차량용 직류전원을 각각 핸드폰 충전에 적당한 전압으로 변환 공급하기 위한 제1 전원부(82)와 제2 전원부(84), 그리고 상기 제1 전원부(82)와 상기 제2 전원부(84)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핸드폰 충전에 적당한 일정전압으로 안정화하여 공급하는 정전압부(86)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충전거치대 내부 회로(8)의 구성에 대한 기술적 배경에 대해 설명한다.
핸드폰 밧데리(BAT)에서 핸드폰(H)의 내부회로로 공급되는 전원은 제품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DC 3.6V 이다. 따라서, 핸드폰 밧데리(BAT)의 충전을 위해서는 충전전류 흐름상 DC 3.6V 보다 약간 높게 설정되어야 하며 이 때문에 정전압부(86)로부터 출력되어 밧데리(BAT)로 공급되는 전원은 DC 4.4V 정도로 설정하고 있다.
그런데, 가정용 교류전원은 국내의 경우 AC 220V 60HZ이고, 차량용 직류전원은 DC 12V인 바, 가정용 교류전원은 물론이고 차량용 직류전원을 곧바로 밧데리로 공급하면 밧데리는 과열하여 폭발지경에 이르거나 밧데리 내부의 보호회로의 차단에 의해 충전이 불가하게 되고 만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정용 교류전원을 핸드폰 충전에 적당한 전압으로 변환 공급하기 위한 제1 전원부(82)와, 차량용 직류전원을 핸드폰 충전에 적당한 전압으로 변환 공급하기 위한 제2 전원부(84)를 구비하여야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전원부(82)는 통상의 것과 같이 1차측 코일에 인가된 AC 220V 전원을 감압된 교류전원으로서 2차측 코일로 유도하는 트랜스퍼머(T)와 상기 트랜스퍼머에서 출력된 감압된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정류기(BD)로 이루어진다. 상기 정류기(BD)의 후단에 인덕터(L1)와 캐패시터(C1,C2)로 이루어진 평활회로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2 전원부(84)는 차량의 시거잭에서 차량용 전원플러그(4)를 통해 공급되는 DC 12V 전원을 감압하여 DC 5V 정도로 출력한다. 감압을 위해서는, 정전압 IC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너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를 조합한 회로를 사용하거나 여러 개의 다이오드를 직렬 연결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정전압부(86)의 내력(耐力)을 보강한다면 제2 전원부(84)를 생략하고 차량용 DC 12V 전원을 직접 정전압부(86)로 입력되게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1 전원부(82) 및 제2 전원부(84)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은 5V 정도이고, 이를 정전압부(86)에서 안정화된 4.4V의 직류전원으로 유지시켜 충전거치대(6)에 재치된 핸드폰(H)의 밧데리(BAT)로 공급함으로써 밧데리(BAT)의 충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3a은 가정용 전원플러그(2)의 컨넥팅 구조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으로서, 전선(64)의 단부에 충전거치대 내부 회로(8)와 연결되게 설치된 컨넥터(62)는 4개의 도전단자홀(P1∼P4) 중 1번 단자홀(P1), 3번 단자홀(P3)이 가정용 전원플러그(2)의 컨넥터(22)에 구비된 2개 도전단자(A1,A2)들과 접속되어 교류전원을 연결하게 된다.
도 3b은 차량용 전원플러그(4)의 컨넥팅 구조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으로, 전선(64)의 단부에 설치된 컨넥터(62)는 4개의 도전단자홀 중 2번 단자홀(P2), 4번 단자홀(P4)이 차량용 전원플러그(4)의 컨넥터(42)에 구비된 2개 도전단자(B1,B2)들과 접속되어 직류전원을 연결하게 된다.
도 3a 및 도 3b의 컨넥팅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 실시예로 도시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정용 전원플러그(2')는 몸체 내부로 교류전원을 감압하는 트랜스퍼머(T) 및 감압된 교류를 정류하는 정류회로(BD)로 된 제1전원부(82')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용 전원플러그(4')는 몸체 내부로 직류전원을 감압하는 제2전원부(84')를 구비한다. 따라서, 전원플러그(2' 또는 4')로부터 감압된 직류전원을 컨넥터(222,262 또는 242,262)를 통해 충전거치대 내부 회로(8)로 공급받게 된다. 충전거치대 내부회로(8)에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제1전원부(82)와 제2전원부(84)가 생략되고 정전압부(86')만 구비되는 것이므로 간단한 구조로 회로 구성된다. 이때, 충전거치대측 컨넥터(62')는 상기 제1 실시예와 같이 많은 단자홀이 필요하지 않고 가정용 전원플러그(2)의 단자(A1,A2) 및 차량용 전원플러그(4')의 단자(B1,B2)와 계합되는 두 개의 단자홀(P21,P22)만이 구비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정용 전원플러그와 차량용 전원플러그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컨넥팅 구조 및 내부 회로를 가지는 것이므로 하나의 핸드폰 충전기만으로 가정용 전원 및 차량용 전원을 모두 사용하여 핸드폰을 충전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것이다.

Claims (6)

  1. 충전거치대와 연결된 전선의 단부에 일측 컨넥터를 형성하고,
    가정용 전원플러그와 차량용 전원플러그 각각에 상기 컨넥터와 계합되어 상기 충전거치대에 내장된 전원회로부에 필요한 소정의 전원을 연결하는 타측 컨넥터를 형성하여, 가정용 교류전원 또는 차량용 직류전원을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핸드폰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충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거치대의 내부 회로는, 상기 가정용 전원플러그로부터 공급된 교류전원을 감압하는 트랜스퍼머와 이 감압된 교류를 정류하는 정류회로로 된 제1 전원부와, 상기 차량용 전원플러그로부터 공급된 직류전원을 감압하여 출력하는 제2 전원부와, 상기 제1 전원부와 상기 제2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핸드폰 충전에 적당한 일정전압으로 안정화하여 공급하는 정전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충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부의 내력이 충분한 경우 상기 제2 전원부를 생략하고 상기 차량용 전원플러그로부터 공급되는 12V 직류전원이 정전압부의 입력단에 직접 인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충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용 전원플러그는 몸체 내부로 교류전원을 감압하는 트랜스퍼머 및 감압된 교류를 정류하는 정류회로로 된 제1 전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충전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전원플러그는 몸체 내부로 직류전압을 감압하는 제2 전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충전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거치대는,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 1조와, 이어폰잭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여 핸드프리 통화가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충전기.
KR2020000028631U 2000-10-14 2000-10-14 핸드폰 충전기 KR200217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631U KR200217300Y1 (ko) 2000-10-14 2000-10-14 핸드폰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631U KR200217300Y1 (ko) 2000-10-14 2000-10-14 핸드폰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300Y1 true KR200217300Y1 (ko) 2001-03-15

Family

ID=73090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631U KR200217300Y1 (ko) 2000-10-14 2000-10-14 핸드폰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3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773A (ko) * 2002-11-22 2004-05-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773A (ko) * 2002-11-22 2004-05-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0320B2 (en) Portable charging apparatus having a charging battery built-in
JP4261358B2 (ja) 機器に電気エネルギーを供給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50225292A1 (en) Charger and recharger device
US8582268B2 (en) Circuit for preventing inrush current
US20030015991A1 (en) Charging device of mobile phone suitable for mobile phones of various types
US20170133883A1 (en) Feed unit and feed system
US20020195993A1 (en) Structure of an AC adaptor for mobile telephones
CA2608293A1 (en) An energy storage mobile charging adapter
KR200217300Y1 (ko) 핸드폰 충전기
US20020090983A1 (en) Device for charging a battery unit of a mobile telephone handset
US20030162574A1 (en) Mobile phone charger charged by battery
JP3241917B2 (ja) 直流電源装置
TW202019056A (zh) 具有無線電力接收功能的點煙器以及具有無線電力接收功能的可攜式供電裝置
TWM584567U (zh) 多功能電池組充電器
US20030157974A1 (en) Urgent power-supply arrangement using cascaded wireless mobile devices
JP2004015932A (ja) 携帯電話機用携帯型充電器
US20020154527A1 (en) AC/DC PORTABLE CHARGER FOR Li-ION BATTERIES, CELLULAR TELEPHONES AND PDAS
US20030068928A1 (en) Power adapter interfacing between vehicular electrical device and commercial power source
KR200256176Y1 (ko) 휴대폰 장착아답터
KR200253478Y1 (ko) 이동전화 충전장치
KR200253455Y1 (ko)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 충전기
US6518869B1 (en) Power supply transformer for telephone
KR20000044411A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전원공급 및 데이타 통신경로 형성장치
CN213754020U (zh) 一种充电器
KR200305232Y1 (ko) 멀티 충전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