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406Y1 - 창문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창문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406Y1
KR200216406Y1 KR2019980015019U KR19980015019U KR200216406Y1 KR 200216406 Y1 KR200216406 Y1 KR 200216406Y1 KR 2019980015019 U KR2019980015019 U KR 2019980015019U KR 19980015019 U KR19980015019 U KR 19980015019U KR 200216406 Y1 KR200216406 Y1 KR 2002164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pinion
adjustment knob
stopper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0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541U (ko
Inventor
황인철
Original Assignee
황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철 filed Critical 황인철
Priority to KR20199800150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406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5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5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4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406Y1/ko

Link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을 일정량 열은 상태에서 창문을 잠그도록 하여 창문을 외부에서 더 이상 개폐시킬 수 없도록 한 창문의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조절손잡이(5)의 끝단에 피니언(6)을 고정하고, 상기 피니언(6)에는 랙(8)을 결합시켜 랙(8)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봉(10)이 조절손잡이(5)의 회동에 따라 상,하강 되도록 하는 창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손잡이(5)와 피니언(6) 사이에 코일스프링(12)을 개재하고, 상기 피니언(6)에는 스톱퍼(7)를 돌출하며, 본체(1)의 측면에 결합되는 커버(2)에는 고정공(13)을 상하로 형성하여 상기 고정공(13)에 스톱퍼(7)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잠금장치를 해제시킬 수 없게하여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한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문용 잠금장치
본 고안은 창문을 일정량 열은 상태에서 창문을 잠그도록 하여 창문을 외부에서 더 이상 개폐시킬 수 없도록 한 창문의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조절손잡이의 끝단에 피니언을 고정하고, 상기 피니언에는 랙을 결합시켜 랙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봉이 조절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상,하강 되도록 하는 창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손잡이와 피니언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개재하고, 상기 피니언에는 스톱퍼를 돌출하며, 본체의 측면에 결합되는 커버에는 고정공을 상하로 형성하여 상기 고정공에 스톱퍼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걸림봉이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해 있을 경우 걸림봉이 하부 또는 상부로 쉽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완전히 닫은 상태에서는 창문의 일측에 설치된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창문이 개폐되지 않도록 할 수는 있으나 창문을 일정량 만큼 열어 놓은 상태에서는 더 이상 열리거나 닫히지 않도록 하는 잠금 수단이 없어 외부에서 창문을 손쉽게 열수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같은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1998. 5. 29자에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98-9041호로 출원한 창문용 잠금장치가 있으나, 이는 조절손잡이를 회동시킴에 따라 걸림봉이 상,하강하여 위치조절판의 위치홈에 걸리도록 하며, 걸림봉은 스프링에 의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어서 창문이 약간 열린 틈새로 긴 막대등을 넣거나 창문과 창문 사이의 틈새로 얇은 판재를 넣어 걸림봉을 상승시키면 걸림봉이 상승되어 창문을 개폐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걸림봉은 단순히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스프링의 탄성력은 걸림봉을 쉽게 상,하강시킬 수 있는 정도의 힘이므로 걸림봉에 약간의 힘만을 가하면 걸림봉은 쉽게 상,하강하게됨으로 외부에서 손쉽게 잠금장치를 해제시킬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결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방, 각 가정, 사무실 및 창고등에 설치된 창문을 원하는 양만큼 열어넣은 상태에서 창문용 잠금장치를 잠금 상태로 유지해 놓을 경우 외부에서 잠금장치를 해제시킬 수 없는 창문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로서,
제2(a)도는 잠김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2(b)도는 열리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좌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도로서,
제4(a)도는 잠김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제4(b)도는 열리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덮개
3 : 안내홈 4 : 돌기
5 : 조절 손잡이 6 : 피니언
7 : 스톱퍼 8 : 랙
9 : 요홈 10 : 걸림봉
11 : 걸림판 12 : 코일스프링
13 : 고정공 14 : 위치조절판
15 : 위치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조절손잡이의 끝단에 피니언을 고정하고, 상기 피니언에는 랙을 결합시켜 랙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봉이 조절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상,하강 되도록 하는 창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손잡이와 피니언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개재하고, 상기 피니언에는 스톱퍼를 돌출하며, 본체의 측면에 결합되는 커버에는 고정공을 상하로 형성하여 상기 고정공에 스톱퍼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걸림봉이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해 있을 경우 걸림봉이 하부 또는 상부로 쉽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본체 일부를 절개한 분해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로서, 제1(a)도는 스톱퍼가 고정공에 잠겨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1(b)도는 스톱퍼가 고정공에서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부분 절개 좌측면도로서 도면 부호중 1은 본체, 2는 덮개, 3은 안내홈, 4는 돌기, 5는 조절 손잡이, 6은 피니언, 7은 스톱퍼, 8은 랙, 9는 요홈, 10은 걸림봉, 11은 걸림판, 12는 코일스프링, 13은 고정공, 14는 위치조절판, 15는 위치홈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창문의 일측에 고정되는 본체(1)의 배면에는 안내홈(3)을 상하로 길게 형성하고, 상기 본체(1)의 내측에는 돌기(4)를 상하로 길게 형성하며, 상기 본체(1)의 일측에는 조절손잡이(5)를 회동되게 설치하되, 상기 조절 손잡이(5)의 끝단에는 피니언(6)을 고정하여 조절손잡이(5)를 회동시킴에 따라 피니언(6)이 회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6)에는 랙(8)을 치합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랙(8)의 저면에는 요홈(9)을 형성하여 본체(1)의 내측에 돌출된 돌기(4)가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랙(8)의 일츠으로는 걸림봉(10)을 돌출시키고, 상기 걸림봉(10)의 끝단에는 걸림판(11)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봉(10)이 상기 본체(1)의 안내홈(3)을 따라 상,하강되도록 하며,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덮개(2)를 볼트(17)로 고정한다.
또한, 또 다른 창문의 내측에는 위치조절판(14)를 고정하고, 상기 위치 조절판(14)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위치홈(15)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판(11)이 삽탈되도록 한 통상의 창문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손잡이(5)와 피니언(6) 사이에 코일스프링(12)을 개재하되, 코일스프링(12)의 일단은 피니언(6)에 접촉하고, 타단은 본체(1)의 내벽에 접촉되도록 설치하여 조절손잡이(5)을 잡아당기면 코일스프링(12)은 압축되고, 조절손잡이(5)를 놓으면 코일스프링(12)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손잡이(5)가 원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랙(8)에 형성된 기어는 길게 형성하여 상기 피니언(6)이 랙(8)의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피니언(6)의 일측에는 스톱퍼(7)를 돌출하며, 본체(1)의 측면에 결합되는 커버(2)에는 고정공(13)을 상하로 2개 형성하여 상기 고정공(13)에 스톱퍼(7)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걸림봉(10)이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해 있을 경우 걸림봉(10)이 하부 또는 상부로 쉽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걸림봉(10)을 하강시키고자 할때에는 제2(b)도와 같이 조절손잡이(5)를 잡아 당겨 스톱퍼(7)를 고정공(13)에서 이탈시킨 후 제4(b)도와 같이 조절손잡이(5)를 회동시키면 랙(8)이 하강되어 걸림봉(10)이 하강하게 되며, 그와 같은 상태에서 조절손잡이(5)를 놓게 되면, 코일스프링(12)의 탄성력에 의해 피니언(6)이 원위치되어 스톱퍼(7)가 하부의 고정공(13)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걸림봉(10)을 상승시키고자 할때에는 조절손잡이(5)를 잡아 당겨 스톱퍼(7)를 고정공(13)에서 이탈시킨 후 조절손잡이(5)를 상기와 반대로 회동시키면 랙(8)이 상승되어 걸림봉(10)이 상승하게 되며, 그와 같은 상태에서 조절손잡이(5)를 놓게 되면, 코일스프링(12)의 탄성력에 의해 피니언(6)이 원위치되어 스톱퍼(7)가 상부의 고정공(13)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창문을 개폐시키기 위해서는 걸림봉(10)이 상,하강되어야 하고, 걸림봉(10)의 상,하강은 조절손잡이(5)가 회동되어야 하는데 조절손잡이(5)에 고정된 피니언(6)의 스톱퍼(7)가 커버(2)의 고정공(13)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단순히 걸림봉(10)만을 상,하강시킬 수가 없게 된다.
즉, 조절손잡이(5)를 잡아 당겨야만 조절손잡이(5)가 회동되므로 외부에서 막대나 판재등으로 걸림봉(10)을 상,하강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주방, 각 가정, 사무실 및 창고등에 설치된 창문을 원하는 양만큼 열어놓은 상태에서 창문용 잠금장치를 잠금 상태로 유지해 놓을 경우 외부에서 잠금장치를 해제시킬 수 없으므로 외부인의 침입을 확고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조절손잡이(5)의 끝단에 피니언(6)을 고정하고, 상기 피니언(6)에는 랙(8)을 결합시켜 랙(8)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봉(10)이 조절손잡이(5)의 회동에 따라 상,하강 되도록 하는 창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손잡이(5)와 피니언(6) 사이에 코일스프링(12)을 개재하고, 상기 피니언(6)에는 스톱퍼(7)를 돌출하며, 본체(1)의 측면에 결합되는 커버(2)에는 고정공(13)을 상하로 형성하여 상기 고정공(13)에 스톱퍼(7)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걸림봉(10)이 상부 또는 외부에 위치해 있을 경우 걸림봉(10)이 하부 또는 상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잠금장치.
KR2019980015019U 1998-08-10 1998-08-10 창문용 잠금장치 KR2002164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019U KR200216406Y1 (ko) 1998-08-10 1998-08-10 창문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019U KR200216406Y1 (ko) 1998-08-10 1998-08-10 창문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541U KR20000004541U (ko) 2000-03-06
KR200216406Y1 true KR200216406Y1 (ko) 2001-03-15

Family

ID=69519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019U KR200216406Y1 (ko) 1998-08-10 1998-08-10 창문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4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541U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87112C (en) Drawer lock mechanism
EP2935741B1 (en) Latch mechanism
EP1521891B1 (en) Door locking mechanism
US9097038B1 (en) Slide lock device
JPS63197780A (ja) ドア,窓,その他のロック装置
KR20210066762A (ko) 도어 개방이 용이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200216406Y1 (ko) 창문용 잠금장치
US4524590A (en) Door latch with lock
US7246829B1 (en) Sliding door latch for handicapped people
KR101756863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1722709B1 (ko) 건축용 안전 창문구조
US1063260A (en) Sash-lock.
KR101122311B1 (ko) 여닫이문의 3지점 잠금장치
JP2524824Y2 (ja) 開き窓のあおり止め装置
KR100427402B1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US11505966B2 (en) Locking device to secure a door and methods for installing and operating the locking device
JPH0118771Y2 (ko)
US20190226251A1 (en) Locking Device to Secure a Door and Methods of Installing and Operating the Locking Device
KR101115424B1 (ko)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KR100316385B1 (ko) 미닫이 문의 잠금장치
KR101880207B1 (ko) 창호용 잠금장치
EP1167668A2 (en) Security device for movable closing elements of windows, doors and the like
JPH0546606Y2 (ko)
KR900010934Y1 (ko) 캐비넷 잠금장치
KR200273483Y1 (ko) 베란다 창문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