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695Y1 - 전자 도어락 - Google Patents

전자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695Y1
KR200212695Y1 KR2020000023759U KR20000023759U KR200212695Y1 KR 200212695 Y1 KR200212695 Y1 KR 200212695Y1 KR 2020000023759 U KR2020000023759 U KR 2020000023759U KR 20000023759 U KR20000023759 U KR 20000023759U KR 200212695 Y1 KR200212695 Y1 KR 2002126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lever
dead bolt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신준
정옥성
Original Assignee
장신준
정옥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신준, 정옥성 filed Critical 장신준
Priority to KR2020000023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6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6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695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 외부에 형성된 키버튼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비접촉식카드를 소지한 사람만이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도어락이 스스로 인식하여 도어가 닫힘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잠금하도록 하며, 고정브라켓트를 사용하여 비전문가도 도어락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조작 및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도 간단히 할 수 있고, 또한, 방범기능을 보강하여 방범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또한, 레버핸들을 양방향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이는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잠금해제수단이 구비되고, 레버핸들이 형성된 외측조작부와, 상기 외측조작부와 대향되도록 레버핸들이 형성되어 있고, 밧데리부가 구비된 내측조작부와, 상기 외측조작부와 내측조작부 사이에 위치하는 락케이스에 수용되어 있고, 전자신호에 의해 출몰되어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키는 데드볼트와, 상기 데드볼트를 동작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락케이스에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내ㆍ외측 레버핸들의 동작에 의해 출몰되는 래칫볼트와, 상기 래칫볼트를 출몰시키는 연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 도어락{AN ELECTROIC DOOR LOCK}
본 고안은 전자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 외부에 형성된 키버튼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비접촉식카드를 소지한 사람만이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도어락이 스스로 인식하여 도어가 닫힘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잠금하도록 하며, 고정브라켓트를 사용하여 비전문가도 도어락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조작 및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도 간단히 할 수 있고, 또한, 방범기능을 보강하여 방범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또한, 레버핸들을 양방향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도어락은 보안성과 방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쇠를 사용하지 않고 카드나 키 버튼조작으로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자 도어락들은 도어를 개방하고 난 후 자동닫힘장치에 의해 도어가 문틀에 닫히더라고 별도의 키조작을 하여야 도어가 잠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실수로 출입자가 도어를 잠그지 않으면, 도어는 외부에서 열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도어락은 비밀번호를 잊져 버리거나 카드를 분실하였을 때를 대비해서 비상키를 제작하고 있고, 외측조작부에는 키구멍이 형성되어 열쇠전문가라면 쉽게 문을 개방할 수 있는 위험에 놓여 방범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도어락은 내ㆍ외 조작부 및 락케이스를 설치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내ㆍ외 조작부를 도어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봉이 구비되고, 이를 각각 도어 상에 형성된 체결공에 삽입하여 결합시키게 되는데 전문가 아니면 설치가 쉽지 않고 설치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도어락은 일방향으로만 도어록 장치를 문에 설치하고자 할 때 도어록장치를 설치할 문이 좌측으로 열리는지 우측으로 열리는지의 여부에 따라 손잡이의 방향이 바뀌어야 할 뿐만 아니라 빗장을 동작시키는 구조적인 문제 때문에 좌측으로 열리는 문짝용 도어록과 우측으로 열리는 문짝용 도어록이 별도로 분리되어 판매되었으며 이때 사용자나 시공자는 항상 문의 열리는 형태를 숙지하여 도어록장치를 선택하여야 하는데 이를 착각하여 문의 열리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구성된 도어록 장치를 준비하게 되면 다시 교환하여야 하며 한번 구입하여 사용하다가 다른 문에 다시 사용하려면 방향이 맞지 않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 많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도어락이 스스로 인식하여 도어가 닫힘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잠금하도록 하는 전자도어락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정브라켓트를 사용하여 비전문가도 도어락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도어락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방범기능을 보강하여 방범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전자도어락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레버핸들을 양방향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 도어락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락케이스의 구성부품을 분해해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락케이스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데드볼트 및 래칫볼트가 락케이스에 후진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3에서 구동기어와 데드볼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데드볼트가 후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전자 도어락이 도어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도난방지장치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10은 도 9의 평면도로서, 수동해정구가 도어 내측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 도어가 잠금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은 본 고안의 내측조작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서 도어를 내측에서 수동으로 잠금해제하도록 하는 도면.
도 14는 도 12에서 양방향으로 레버핸들을 위치변경시키는 주요부품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본 고안의 레버핸들이 좌측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도 15에서 레버핸들이 우측으로 위치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고안의 잠금해제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도어락 10: 외측조작부
11: 외측바디 12: 레버핸들
12a: 카드안테나 13: 비접촉식 카드
14: 캡 15: 감지센서
20: 내측조작부 21: 내측바디
21a: 밧데리부 22: 레버핸들
23: 레버핀 24: 결합핀
25: 회전핀 26: 누름캡
27: 핸들연결구 27a: 돌출편
28: 체인지레버판 28a: 대경부
28b: 소경부 28c: 결합홈
29; 멈춤판 30: 락케이스
31: 본체 31a: 원호장공
31b: 데드볼트 안내장공 31c: 래칫볼트 안내장공
32: 데드볼트 32a: 수직안내장공
32b: 수평안내장공 32c: 래크
32d: 차광편 33: 래칫볼트
34: 레버축 35: 수동해정축
40: 구동수단 41: 구동모터
42: 구동기어 50: 연동수단
51: 제 1회동체 51a: 작동돌기
52: 제 2회동체 52a: 걸림편
52b: 결합홈 53: 작동편
53a: 관통공 53b: 돌출부
54: 토션스프링 55: 고정축
56: 연결체 56a: 제 1래칫볼트아암
56b: 제 2래칫볼트아암 56c: 스프링스탑퍼
56d: 스프링 60: 전ㆍ후진센서
70: 잠김센서 80: 바디플레이트
90: 고정브라켓트 91: 돌출편
200: 도어 210: 결합홈
220: 죠인트핀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잠금해제수단이 구비되고, 레버핸들이 형성된 외측조작부와, 상기 외측조작부와 대향되도록 레버핸들이 형성되어 있고, 밧데리부가 구비된 내측조작부와, 상기 외측조작부와 내측조작부 사이에 위치하는 락케이스에 수용되어 있고, 전자신호에 의해 출몰되어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키는 데드볼트와, 상기 데드볼트를 동작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락케이스에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내ㆍ외측 레버핸들의 동작에 의해 출몰되는 래칫볼트와, 상기 래칫볼트를 출몰시키는 연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도어가 열린 후 자동닫힘장치에 의해 문이 닫히게 되면 자동 감지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데드볼트를 도어틀 내에 잠금하도록 하는 상기 락케이스에 설치된 잠금센서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잠금센서은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광센서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로킹해제수단은 출입자가 소지하는 카드와, 상기 카드의 주파수 및 코드를 인식하도록 상기 외측조작부에 카드안테나가 구비된 것이다.
또한, 상기 로킹해제수단은 다수의 키버튼을 구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락.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정ㆍ역회전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된 구동기어와, 상기 데드볼트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어진 래크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의 정ㆍ역회전은 상기 구동모터와 연동되는 상기 데드볼트에 돌출 형성된 차광편과, 상기 차광편에 의해 위치를 감지하여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도록 하는 락케이스에 설치된 전ㆍ후진센서로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전ㆍ후진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 한쌍이 좌ㆍ우측에 각각 설치된 광센서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내ㆍ외레버핸들을 연결하는 레버핀과, 상기 레버핀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작동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축에 결합되어 자유롭게 회전되는 제 1회동체와, 상기 제 1회동체의 작동돌기에 걸림편이 결합되고, 하측에 결합홈이 형성된 제 2회동체와, 일측은 락케이스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 2회동체의 결합홈에 중앙이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원호운동하는 작동편과, 상기 작동편의 단부와 연결되어 도어틀 내에 출몰되도록 이루어진 상기 래칫볼트에 일측이 연결되고 스프링이 고정된 연결체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의 도 1에서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이의 도면에서 부호 100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락을 표시하고 있고, 부호 200은 도어를 나타내고 있다.
도어락(100)은 외측조작부(10), 내측조작부(20)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함과 동시에 작동부를 수용하는 락케이스(30)로 크게 구성되어져 있다.
외측조작부(10)는 도어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측바디(11)와 상기 외측바디의 중앙에 구비된 레버핸들(12)로 이루어져 있다.
레버핸들(12)에는 마이컴(도면상 미도시)과 연결된 카드안테나(12a)가 설치되어 있고, 이는 출입자가 소지하는 비접촉식 카드(13)와 무선으로 주파수 및 코드를 확인하여 도어를 잠금해제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비접촉식 카드(13)는 일명 R.F(radio frequency)카드로서, 중앙에 특정코드가 메모리 되어 있고, 주위에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이 감겨져 있다.
또한, 카드안테나(12a)에도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이 감겨져 있어 비접촉식 카드(13)와 무선으로 전파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내측조작부(20)는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측바디(21)와, 상기 내측바디(21)의 하단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부(21a)와 외측 레버핸들(12)과 연결되어진 내측 레버핸들(22)로 이루어져 있다.
락케이스(30)는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의 일측면 내측에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서, 이는 좌,우로 분리되는 함체형상의 본체(31)와, 상기 본체(31) 내부에 수용되어 조작신호에 의해 출몰되는 데드볼트(32)와 내ㆍ외측 레버핸들(22)(12)에 연동되는 래칫볼트(33)와, 상기 데드볼트(32)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40)과, 상기 래칫볼트(33)를 작동시키는 연동수단(50)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본체에는 원호장공(31a), 데드볼트안내장공(31b) 및 래칫볼트안내장공(31c)이 형성되어 있다.
원호장공(31a)에는 내ㆍ외핸들레버(22)(12)를 연결하는 레버핀(23)이 삽입되어 내ㆍ외핸들레버(22)(12) 어느 일측을 동작시키게 되면 연동되어 래칫볼트(33)를 도어틀 내의 결합홈에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것이다.
데드볼트안내장공(31b)에는 데드볼트(32)가 축으로 결합되어 있고, 래칫볼트안내장공(31c)에는 작동편(53)이 고정축(55)에 고정되어 있다.
데드볼트(32)는 본체(31)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어 진퇴작동하는 것으로서, 일측면은 도어틀 내의 걸림홈에 삽입되고, 타측에는 수직안내장공(32a)이 형성 되어 있으며, 중간에는 수평안내장공(3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안내장공(32a)과 수평안내장공(32b) 사이에는 래크(3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데드볼트(32)의 하측에는 차광편(33d)이 돌출형성되어 후술할 전ㆍ후진센서(60)의 신호를 차단함으로서, 데드볼트(32)의 전ㆍ후진 시키는 것이다.
전ㆍ후진센서(60)는 양측에 한쌍을 이루고 있고, 광센서로서 일측에는 발광부(61)와 수광부(62)가 대응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데드볼트(32)에 형성된 차광편(33d)에 의해 발광부(61)와 수광부(62)를 차단하게 되면 전원을 차단하게 되어 후술할 구동모터(41)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래칫볼트(33)는 일측이 경사져 있고, 내ㆍ외측 레버핸들(22)(12)의 동작에 의해 문틀 내의 걸림홈에 잠금 또는 잠금해제되는 것이다.
구동수단(40)은 구동모터(41)와, 상기 구동모터(41)의 축에 결합된 구동기어(42)와, 상기 구동기어(42)에 치합되고, 데드볼트(32)에 일체로 형성된 래크(32c)로 구성되어져 있다.
구동모터(41)는 락케이스(30)의 상측에 고정되어 있고, 마이컴의 신호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정ㆍ역회전하는 것이다.
구동기어(42)는 구동모터(41)의 축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래크(32c)에 전달하는 것으로, 락케이스(30)의 내측의 위치하는 래크(32c)가 형성된 데드볼트(32)를 전ㆍ후진 시켜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도록 하는 것이다.(첨부도면 도 5 및 도 6 참조)
또한, 데드볼트(32)의 수직안내장공(32a)에 일측이 결합된 레버축(34)이 레버핸들(22)(12)과 동축에 위치하고 있다.
연동수단(50)은 레버축(34)상에 지지되어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고 내ㆍ외 레버핸들(22)(12)과 연동되는 제 1 회동체(51)와 상기 제 1회동체(51)와 연동되는 제 2회동체(52)와, 상기 제 2연동체(52)에 연동되는 작동편(53)과 상기 작동편(53)의 동작에 의해 래칫볼트(33)를 출몰시키는 연결체(54)로 구성되어져 있다.
제 1회동체(51)는 레버축(34)의 동축에 결합되어 있고, 양측에 작동돌기 (51a)가 구비되어 있다.
제 2회동체(52)는 제 1회동체(51)의 작동돌기(51a)에 걸리는 걸림편(52a)과, 중앙 하단에 작동편(53)에 고정되는 결합홈(52b)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작동편(53)은 락케이스(30)의 하측에 위치하고, 일측이 락케이스(30)에 힌지결합됨과 동시에 토션스프링(54)이 구비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관통공(53a)이 천공되어 있어 제 2회동체(52)의 결합홈(52b)에 고정축(55)으로 결합되어져 있다.
또한, 작동편(53)의 타측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돌출부(53b)가 형성되어 있다.
래칫볼트(33)는 작동편(53)의 작동으로 연동되어 도어틀 내의 잠금홈에 잠금 또는 잠금해제 되는 것으로, 내측에 스프링(56d)이 끼워져 있다.
연결체(56)는 작동편(53)과 래칫볼트(33)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제 1래칫볼트아암(56a), 제 2래칫볼트아암(56b) 및 스프링스탑퍼(56c)로 구성되어져 있다.
제 1래칫볼트아암(56a)는 ㄷ자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면이 래칫볼트(33)와 결합되고 상ㆍ하측이 제 2래칫볼트아암(56b)이 결합되는 요홈이 형성되어져 있다.
제 2래칫볼트아암(56b)은 일측은 제 1래칫볼트아암(56a)의 요홈(56a')에 결합되는 결합돌기(56b')가 형성되고, 타측은 케이스의 래칫볼트안내장공(31c)과 축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작동편(53)의 돌출부(53b)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락케이스 본체(31)의 래칫볼트안내장공(31c)과 제 2래칫볼트아암(56b)의 관통공 사이에 축(56e)이 끼워지고 이 축(56e)이 작동편(53)의 회동에 의해 돌출부(53b)에 걸려 연동되는 것이다.
스프링스탑퍼(56c)는 케이스에 돌기(56c')에 의해 고정되어져 있고 래칫볼트(33) 사이에 스프링(56d)이 끼워져 있어 래칫볼트(33)를 진퇴작동시키는 복귀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도어가 자동 닫힘되었을 때 감지되어 데드볼트(32)를 전ㆍ후진 시키는 잠김센서(70)가 락케이스 본체(31) 일측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잠김센서(70)는 반사형 광센서로서 발광부(71)와 수광부(72)가 형성되어져 있고 반사판(도면상 미도시)이 도어틀 내의 잠금홈 내측에 구비되어 발광부(71)에서 발광된 적외선이 반사되어 수광부(72)에 도달하게 되면 신호를 감지하여 구동모터(41)를 구동시켜 데드볼트(32)를 동작시켜 도어를 잠금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7 및 도 8에서는 본 고안의 내ㆍ외측조작부(20)(10)를 도어에 설치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는 외측조작부(10)에 고정되어진 바디플레이트(80)와 도어의 내측 상ㆍ하에 삽입 설치된 죠인트핀(220)과 내측조작부(20)를 고정하는 고정브라켓트(90)로 이루어져 도어에 고정되는 것이다.
즉, 외측바디(11)는 바디플레이트(80)에 고정되어 있고, 이 바디플레이트 (80)는 도어를 관통해서 설치된 죠인트핀(220)에 나사결합되어져 있다.
고정브라켓트(90)는 사각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죠인트핀(2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멍이 천공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내측조작부(20)가 고정되는 돌출편(91)이 형성되어져 있다.
즉, 외측조작부(10), 바디플레이트(80) 및 죠인트핀(220)이 일체로 제조되어 판매되고, 도어에 시공시에는 도어에 관통되는 구멍을 천공하여 죠인트핀(220)을 삽입하고, 고정브라켓트(90)를 내측에서 나사로 조립하게 된다.
또한, 고정브라켓트(90)의 측면의 돌출편(91)에 내측조작부(20)를 끼워 넣고 외측에서 나사조립하게 되면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9 내지 도 11에서는 비접촉식 카드를 분실했을 경우에 외부에서 도어를 열수 있도록 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외측조작부(10)의 레버핸들(12)의 중앙에 합성수지재의 캡(14)이 고정되어 있고, 도어의 내측에는 수동해정축(35)이 락케이스(30)의 레버축(34)에 고정되어 수동으로 데드볼트(32)를 잠금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즉, 외측조작부(10)에는 잠금장치를 풀 수 있는 비상키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별도의 제공되는 해정구(S)를 사용하여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캡(14)에 구멍을 천공하거나, 제거한 후 해정구(S)를 레버핸들(12) 내측에 삽입하고 인위적으로 수동해정축(35)을 회전시키게 되면, 이와 연동된 레버축(34)을 회전시켜 레버축(34)과 연동된 데드볼트(32)를 락케이스(30) 내측으로 후진시켜 도어를 해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외부 침입자가 도어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캡(14)에 손상을 가하게 되면 감지하여 경보음을 울리게하는 감지센서(15)가 레버핸들(12) 내측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부에 통지하도록 마이컴에 설정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경우뿐만 아니라 내부에서 문을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데 첨부도면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조작부(20)의 레버핸들(22) 중앙에 내측으로 유동되는 결합핀(24)과 상기 결합핀(24)과 끼워맞춤되어 수동해정축(35)을 회전시키는 회전핀(25)으로 구성되어 화재 등의 비상시 문을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 누름캠(26)을 눌러 수동으로 도어를 개방하도로 이루어져 있다.
첨부도면 도 12 및 도 14에서는 양방향으로 레버핸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내ㆍ외측조작부(20)(10)에 각각 적용되는 것이므로 내측조작부(20)를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레버핸들(22) 내측에 핸들연결구(27)가 설치되고, 상기 핸들연결구(27)에 결합되는 체인지레버판(28)과, 상기 체인지레버판(28)이 걸리는 멈춤판(29)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핸들연결구(27)는 내측조작부(20)의 레버핸들(22)에 연결하는 것으로, 일측은 레버핸들(22)에 고정되고, 타측에는 결합공이 형성된 돌출편(27a))이 돌출형성되어져 있다.
체인지레버판(28)은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중앙을 기준으로 대경부(28a)와 소경부(28b)로 구분되어지며, 전면에는 핸들연결구(27)의 돌출편(27a)이 안착되는 결합홈(28c)이 형성되어져 있다.
멈춤판(29)은 체인지레버판(28)의 대경부(28a)의 측면에 면접촉되어 레버핸(22)을 첨부도면 도 15 및 도 1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셋팅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도면 도 17에서는 외측조작부의 잠금해제 수단이 버튼으로 구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외측바디(11)의 상측에 다수개의 버튼을 갖는 키패드(11a)가 구비됨으로서, 이를 통해 다수자리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비밀번호를 내장된 마이컴이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도어록의 잠금상태를 잠금해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에 내ㆍ외측조작부(20)(10) 및 락케이스(30)를 설치한 후, 사용하고자 하는 카드(13)를 등록하게 되는데 카드(13) 등록수는 최소 1개∼초대 20개로 한다.
카드(13)등록은 내측조작부(20)의 밧데리 커버 내측에 설치된 선택스위치(도면상 미도시)를 누르후 외측조작부(10)의 레버핸들(12) 중앙에 1개의 카드(13)를 근접시킬 때마다 1회의 부저음이 울리면서 등록이 이루어지고 마지막 카드(13) 등록 부저가 울리면 선택스위치를 다시 눌러 카드(13)등록을 종료하게 된다.
등록된 카드(13)를 해지하는 경우에도 밧데리 커버 내측에 설치된 선택스위치를 누루고 신규카드(13)를 등록하게 되면 기존에 입력되어 있는 카드(13)는 등록이 해지된다.
이와 같이 등록 되어진 카드(13)를 소지하고 외부에서 도어를 개방하는 과정부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접촉식 카드(13)를 소유한 출입자가 외측조작부(10)의 레버핸들(12)의 중앙으로 부터 반경30°, 근접거리 30㎝ 범위에 접근하여 오픈버튼을 조작하게 되면 부저음이 발생되면서 도어가 개방되는데 이는 오픈버튼(도면상 미도시)를 누름과 동시에 카드안테나(12a)에서 주파수가 발생되고, 이 주파수는 비접촉식 카드(13)에 송수신하면서 코드를 발생시켜 마이컴에 미리 설정된 코드와 비교판단하여 코드가 일치하면 도어를 개방하게 되는 구동모터(41)에 전원이 인가 된다.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구동모터(41)가 구동하게 되고 이에 축결합된 구동기어(42)가 데드볼트(32) 상의 래크(32c)와 치합된 상태에서 데드볼트(32)를 도어틀 내의 삽입홈에서 락케이스(30) 내로 후진시키게 된다.
또한, 데드볼트(32)가 후진함과 동시에 수직안내장공(32a)내에 삽입된 레버축(34)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출입자는 외측조작부(10)의 레버핸들(12)을 회전시키게 되면 래칫볼트(33)가 락케이스(30) 내부로 후진되는 것이다.
이는 내ㆍ외측 레버핸들(22)(12)은 레버핀(23)에 의해 연결되어져 있고 레버핀(23)은 제 1회동체(51)를 회전시키게 되며, 제 1회동체(51) 양측의 작동돌기 (51a)에 의해 제 2회동체(52)을 상측으로 끌어 당김과 동시에 제 2회동체(52)와 연결된 작동편(53)이 일측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향된다.
여기서 상향되는 작동편(53)에 의해 연결체(56)가 당겨지면서 래칫볼트(33)를 락케이스(30) 내측으로 후진시키게 되면 도어는 잠금해제되어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개방된 도어 내부로 출입자가 들어간 후에는 자동닫힘장치에 의해 도어가 서서히 도어틀 내로 닫혀진 상태가 되면 레버핸들(22)(12)이 작동편의 힌지축에 결합된 토션스프링(54)과 래칫볼트(33)을 전ㆍ후진 시키는 스프링(56d)에 의해 원상복귀 즉, 도어에 잠금되어지고, 데드볼트(32)는 락케이스(30)의 내측의 잠금센서(70)에 의해 잠금되어진다.
즉, 잠금센서(70)의 발광부에서 적외선을 도어틀 내의 반사판에 발광부(71)에서 발광하고, 이 발광된 적외선은 반사판에서 반사되어 수광부(72)에서 감응하여 전원을 인가시켜 구동모터(41)를 회전시키며, 이에 연동된 데드볼트(32)와 래칫볼트(33)를 도어틀 내의 삽입홈에 잠금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어의 내부에서 외부로 나오기 위해서는 내측조작부(20)의 오픈버튼을 누루게 되면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이다.
또한, 실내용 리모콘을 사용하여 방문자가 있을 경우에 도어를 개방해 줄 수도 있다.
또한, 실내에서 도어를 개방하고 외부로 나 온 후에는 자동 기능인 경우에는 도어가 자동잠김되어 지지만 수동 기능에서는 클로즈버튼을 1회 눌러 도어를 잠금할 수 있다.
한편, 카드(13)를 분실했을 경우에는 별도의 해정구(S)를 사용하여 도어를 개방하게 되는데 이는 허가 받지 않은 사람이 문을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되며 방범기능을 보강한 것이다.
즉, 해정구(S)를 외측조작부(10)의 레버핸들(12) 내측에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캡(14)에 구멍을 천공하든지 파손하여야 하는데 감지센서(15)가 감지하여 경보음을 송출하거나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에 전화로 도어의 이상을 알려 주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어의 레버핸들(22)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체인지레버판(28)을 내측으로 밀게 되면 멈춤판(29)과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레버핸들(22)은 자유롭게 회전되고 변경하고자 하는 위치를 샛팅한 후 다시 체인지레버판(28)과 멈춤판(29)을 결합시키게 되면 위치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전자 도어락은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도어락이 스스로 인식하여 도어가 닫힘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잠금하여 조작성이 우수하고 편리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전자도어락은 고정브라켓트를 사용하여 비전문가도 도어락을 손쉽게 설치할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전자도어락은 방범기능을 보강하여 방범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전자도어락은 레버핸들을 양방향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위치변경이 가능함으로서, 좌ㆍ우측 어떤 도어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9)

  1.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잠금해제수단이 구비되고, 레버핸들(12)이 형성된 외측조작부(10);
    상기 외측조작부(10)와 대향되도록 레버핸들(22)이 형성되어 있고, 밧데리부(21a)가 구비된 내측조작부(20);
    상기 외측조작부(10)와 내측조작부(20) 사이에 위치하는 락케이스(30)에 수용되어 있고, 전자신호에 의해 출몰되어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키는 데드볼트(32);
    상기 데드볼트(32)를 동작시키는 구동수단(40);
    상기 락케이스(30)에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내ㆍ외측 레버핸들(22)(12)의 동작에 의해 출몰되는 래칫볼트(33);
    상기 래칫볼트(33)를 출몰시키는 연동수단(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락.
  2. 제 1항에 있어서,
    도어가 열린 후 자동닫힘장치에 의해 문이 닫히게 되면 자동 감지하여 상기 구동수단(40)을 동작시켜 상기 데드볼트(32)를 도어틀 내에 잠금하도록 하는 상기 락케이스에 설치된 잠금센서(7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도어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센서(70)은 발광부(71)와 수광부(72)로 이루어진 광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해제수단은 출입자가 소지하는 카드(13);
    상기 카드(13)의 주파수 및 코드를 인식하도록 상기 외측조작부(10)에 카드안테나(12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해제수단은 다수의 키버튼을 구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0)은 정ㆍ역회전하는 구동모터(41);
    상기 구동모터(41)의 축에 결합된 구동기어(42);
    상기 데드볼트(32)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기어(42)에 치합되어진 래크(32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락.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41)의 정ㆍ역회전은 상기 구동모터(41)와 연동되는 상기 데드볼트(32)에 돌출 형성된 차광편(33d)과, 상기 차광편(33d)에 의해 위치를 감지하여 구동모터(41)를 정지시키도록 하는 락케이스(30)에 설치된 전ㆍ후진센서(60)로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락.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ㆍ후진센서(60)는 발광부(61)와 수광부(62) 한쌍이 좌ㆍ우측에 각각 설치된 광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락.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50)은 상기 내ㆍ외레버핸들(22)(12)을 연결하는 레버핀(23);
    상기 레버핀(23)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작동돌기(51a)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축(34)에 결합되어 자유롭게 회전되는 제 1회동체(51);
    상기 제 1회동체(51)의 작동돌기(51a)에 걸림편(52a)이 결합되고, 하측에 결합홈(52b)이 형성된 제 2회동체(52);
    일측은 락케이스(30)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 2회동체(52)의 결합홈(52b)에 중앙이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원호운동하는 작동편(53);
    상기 작동편(53)의 단부와 연결되어 도어틀 내에 출몰되도록 이루어진 상기 래칫볼트(33)에 일측이 연결되고 스프링(56d)이 고정된 연결체(5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락.
KR2020000023759U 2000-08-22 2000-08-22 전자 도어락 KR2002126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759U KR200212695Y1 (ko) 2000-08-22 2000-08-22 전자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759U KR200212695Y1 (ko) 2000-08-22 2000-08-22 전자 도어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695Y1 true KR200212695Y1 (ko) 2001-02-15

Family

ID=73087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759U KR200212695Y1 (ko) 2000-08-22 2000-08-22 전자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69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2475A1 (en) * 2001-11-15 2003-05-22 Shin Jung Gi Youn Co. Ltd. Digital door lock capable of detecting its operation states
KR100429065B1 (ko) * 2001-11-15 2004-04-29 주식회사 뉴웰 도어록 잠김상태 자동감지장치
KR100469556B1 (ko) * 2001-11-17 2005-02-02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다인그룹 도어 잠금장치
KR100473888B1 (ko) * 2002-09-02 2005-03-10 (주)휴먼텍코리아건축사사무소 도어록 장치
KR100485613B1 (ko) * 2000-09-05 2005-04-27 주식회사 잠그미 자동 문잠금과 자동 문잠금해지가 되는 도어록장치
KR100743507B1 (ko) 2004-01-09 2007-07-30 아빈메리터 라이트 비이클 시스템즈 - 프랑스 도어 등의 외측 개방조작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613B1 (ko) * 2000-09-05 2005-04-27 주식회사 잠그미 자동 문잠금과 자동 문잠금해지가 되는 도어록장치
WO2003042475A1 (en) * 2001-11-15 2003-05-22 Shin Jung Gi Youn Co. Ltd. Digital door lock capable of detecting its operation states
KR100429065B1 (ko) * 2001-11-15 2004-04-29 주식회사 뉴웰 도어록 잠김상태 자동감지장치
KR100469556B1 (ko) * 2001-11-17 2005-02-02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다인그룹 도어 잠금장치
KR100473888B1 (ko) * 2002-09-02 2005-03-10 (주)휴먼텍코리아건축사사무소 도어록 장치
KR100743507B1 (ko) 2004-01-09 2007-07-30 아빈메리터 라이트 비이클 시스템즈 - 프랑스 도어 등의 외측 개방조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43208B1 (en) Door locking device
CA3012377A1 (en) Access handle for sliding doors
KR101853053B1 (ko) 데드볼트용 무부하 제어수단을 구비한 모티스
KR100888514B1 (ko) 푸쉬풀식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101142425B1 (ko) 도어록 해정장치
US20100156594A1 (en) Biometric Lock
US20180106077A1 (en) Inner Operating Device for a Door Lock
KR200212695Y1 (ko) 전자 도어락
KR100763885B1 (ko) 도어록 장치
JP4205081B2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KR200352026Y1 (ko) 모티스 록킹 장치
JP4487458B2 (ja) 住宅用ドア自動開閉システム
JP3133714U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KR20050011936A (ko) 도어 잠금장치
KR101383289B1 (ko)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WO2007054728A2 (en) Improved locking system
KR101912128B1 (ko)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갖춘 출입문 구조
KR100380836B1 (ko) 잠금장치
KR101826692B1 (ko) 디지털 도어 록 장치
KR102599729B1 (ko) 도어락 모티스
KR102575824B1 (ko) 도어락 모티스
KR200448138Y1 (ko) 이중잠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KR100538705B1 (ko) 디지털 도어락
CN113167086B (zh) 具有钥匙式机械优先的机电式把手锁定的凸轮锁
KR100562053B1 (ko) 보조 자물쇠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