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098Y1 - 피씨비 회로 구조에 의한 전화용 회선분리기 - Google Patents

피씨비 회로 구조에 의한 전화용 회선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098Y1
KR200212098Y1 KR2020000023806U KR20000023806U KR200212098Y1 KR 200212098 Y1 KR200212098 Y1 KR 200212098Y1 KR 2020000023806 U KR2020000023806 U KR 2020000023806U KR 20000023806 U KR20000023806 U KR 20000023806U KR 200212098 Y1 KR200212098 Y1 KR 2002120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line
separator
circui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철
윤창혁
Original Assignee
김성철
윤창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철, 윤창혁 filed Critical 김성철
Priority to KR2020000023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0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0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098Y1/ko
Priority to AU2001280222A priority patent/AU2001280222A1/en
Priority to PCT/KR2001/001393 priority patent/WO2002017437A1/en

Links

Abstract

(1)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주거용 또는 업무용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통신용 인출구에 연결하여 인출구가 보유하고 있는 최대한의 용량을 별도의 인출구를 설치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 회선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2)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기존의 벽부형 인출구에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모듈잭을 꽂을 수 있는 outlet을 구비하는 분리기를 제공함으로써 통신규격에 적합한 품질을 제공하면서도 최대회선 용량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하고 기술적, 비용적인 문제점을 해결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3)고안의 구성
본 고안의 회선분리기는 케이스 형태로 구성하되 일측에 모듈아답타 형태의 인입구(2)를 한개 구성하여 벽면에 설치되는 벽면인출구(10)와 연결 가능토록 하고 타측에는 역시 모듈아답타 형태의 인출구(3)(3')를 2개 구성하며, 회선분리기(1)의 내부에는 상기 인입구(2) 및 인출구(3)(3')와 연결되는 회로기판(4)을 구성하되 인입구(2)의 8개 핀 중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4개의 핀을 각 2개씩 분리하여 각각의 인출구(3)(3')로 연결시킨 것이다. 4개의 국선을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 경우에는 4개의 인출구를 구성한 후 내부의 회로기판에는 8개의 핀을 각 2개씩 분할하여 각각의 인출구로 연결할 수도 있다.
(4)고안의 효과
본 고안은 내부에서 회선이 분리되어 있는 회선분리기를 제공하여 벽면의 인출구에 연결하여 사용토록 함으로써, 회선을 증설시 신규회선을 선로 체크하여 신설용 전화콘센트를 추가로 부착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회선분리기의 다른 인출구에 증설되는 전화기를 연결만 하면 사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회선증설에 따른 시간적, 비용적인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씨비 회로 구조에 의한 전화용 회선분리기{A circuit separator for telephone based on PCB circuit constitution}
본 고안은 주거용 또는 업무용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통신용 인출구에 연결하여 인출구가 보유하고 있는 최대한의 용량을 별도의 인출구를 설치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 회선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주거용 건물에서 음성급 국선이 추가되어야 할 경우, 먼저 새로운 국선을 M. D. F에 연결하고 통신용 케이블(2pair or 4pair)에 접속된 세대내의 벽부형 전화콘센트 플레이트(뚜껑)를 분리한 후 해당 신규회선을 선로 체크하여 신설용 전화콘센트를 추가 부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국선의 추가 작업은 전문적인 기술을 요구하여 사용자가 직접 설치할 수 없으며 시간과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업무용 건물이나 사무실의 경우에는 국선/내선의 신·증설시에는, 신·증설될 가입자가 모여진 위치로 통신용 케이블을 배선한 후 케이블을 1pair씩 분리한 후 해당 전화기의 플레이트에 직접 연결하는 것으로, 이때에도 상기한 주거용 건축물에서와 같은 단점이 있으며, 이후에 이전이나 신설이 발생할 경우 연결된 접속점을 단선 또는 재배선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뒤따른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기존의 벽부형 인출구에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모듈잭을 꽂을 수 있는 outlet을 구비하는 분리기를 제공함으로써 통신규격에 적합한 품질을 제공하면서도 최대회선 용량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하고 기술적, 비용적인 문제점을 해결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회선분리기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회선분리기의 회로기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회선분리기
2:인입구
3,3':인출구
4:회로기판
10:벽면인출구
본 고안의 회선분리기에 대한 바람직한 구성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설명하여보면, 케이스 형태로 회선분리기(1)를 구성하되 일측에 모듈아답타 형태의 인입구(2)를 한개 구성하여 벽면에 설치되는 벽면인출구(10)와 연결 가능토록 하고 타측에는 역시 모듈아답타 형태의 인출구(3)(3')를 2개 구성하며, 회선분리기(1)의 내부에는 상기 인입구(2) 및 인출구(3)(3')와 연결되는 회로기판(4)을 구성하되 인입구(2)의 8개 핀 중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4개의 핀을 각 2개씩 분리하여 각각의 인출구(3)(3')로 연결시킨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회선분리기(1)를 사용시에는 먼저 인입구(2)를 벽면인출구(10)와 연결하여야 하는데, 벽면인출구(10)가 종래에 사용되던 4개의 구멍이 있는 콘센트 형태의 것일 경우에는 일측에는 상기 벽면인출구(10)에 삽입 가능한 플러그가 구성되고 다른 쪽에는 모듈잭이 구성되는 별도의 연결선을 이용하여 연결을 하며, 벽면인출구(10)가 모듈아답타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양측에 모듈잭이 구성된 별도의 연결선을 이용하여 연결을 하거나 또는 본 고안의 회선분리기(1)를 구성시 인입구(2)를 모듈잭 형태로 구성하여 곧바로 모듈아답타 형태의 벽면인출구(10)에 결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회선분리기(1)를 벽면인출구(10)에 결합한 후 회선분리기(1) 타측의 인출구(3)(3')중에서 국선이 국제규격(T568A)에 의해 우선적으로 연결되는 한쪽의 인출구(3)에 전화기를 연결하여 사용을 하면 되고, 국선이 증설되는 경우에는 M. D. F에서 연결만 하여주면 회선분리기(1)의 다른 인출구(3')에 다른 전화기를 연결하여 곧바로 신설된 전화를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도 3의 경우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8개의 핀을 모두 사용하여 4개의 국선을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 경우의 회선분리기(1')로서 4개의 인출구(3a)(3b)(3c)(3d)를 구성하였고 내부의 회로기판(4')에는 8개의 핀을 각 2개씩 분할하여 각각의 인출구(3a)(3b)(3c)(3d)로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PCB 회로에 의해 내부에서 회선이 분리되어 있는 회선분리기를 제공하여 벽면의 인출구에 연결하여 사용토록 함으로써, 회선을 증설시 신규회선을 선로 체크하여 신설용 전화콘센트를 추가로 부착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회선분리기의 다른 인출구에 증설되는 전화기를 연결만 하면 사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회선증설에 따른 시간적, 비용적인 낭비를 막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라 할 수 있다.

Claims (2)

  1. 케이스 형태로 회선분리기(1)를 구성하되 일측에 모듈아답타 형태의 인입구(2)를 한개 구성하여 벽면에 설치되는 벽면인출구(10)와 연결 가능토록 하고 타측에는 역시 모듈아답타 형태의 인출구(3)(3')를 2개 구성하며, 회선분리기(1)의 내부에는 상기 인입구(2) 및 인출구(3)(3')와 연결되는 회로기판(4)을 구성하되 사용할수 있는 인입구(2)쪽의 4개 핀을 각 2개씩 분리하여 각각의 인출구(3)(3')로 연결시키도록 회로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PCB회로 구조에 의한 전화용 회선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8개의 핀을 모두 사용하여 4개의 국선을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 경우에 사용토록 4개의 인출구(3a)(3b)(3c)(3d)를 구성하였고 내부의 회로기판에는 8개의 핀을 각 2개씩 분할하여 각각의 인출구(3a)(3b)(3c)(3d)로 연결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PCB회로 구조에 의한 전화용 회선분리기.
KR2020000023806U 2000-08-19 2000-08-19 피씨비 회로 구조에 의한 전화용 회선분리기 KR2002120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806U KR200212098Y1 (ko) 2000-08-19 2000-08-19 피씨비 회로 구조에 의한 전화용 회선분리기
AU2001280222A AU2001280222A1 (en) 2000-08-19 2001-08-17 Communication line separator
PCT/KR2001/001393 WO2002017437A1 (en) 2000-08-19 2001-08-17 Communication line sepa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806U KR200212098Y1 (ko) 2000-08-19 2000-08-19 피씨비 회로 구조에 의한 전화용 회선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098Y1 true KR200212098Y1 (ko) 2001-02-01

Family

ID=73057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806U KR200212098Y1 (ko) 2000-08-19 2000-08-19 피씨비 회로 구조에 의한 전화용 회선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0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7866A (en) Indoor XDSL splitter assembly
KR200212098Y1 (ko) 피씨비 회로 구조에 의한 전화용 회선분리기
US20020111077A1 (en) Universal splitter for xDSL modems
US20020071533A1 (en) User programmable telephone wiring access terminal
KR200167794Y1 (ko) 알제이45 다기능 멀티포트 브릿지 아답터
KR200227868Y1 (ko) 8핀 알제이45 버스형 인출구
GB2402269A (en) Switched telecommunications connection device
WO2002017437A1 (en) Communication line separator
KR100419078B1 (ko) 홈멀티플렉서구조
KR200215652Y1 (ko) 피씨비회로 구조에 의한 모듈아답터형 통신 브릿지 단자대
KR200287754Y1 (ko) 다중화 허브
KR200171299Y1 (ko) 8핀과 4핀 겸용 간선망 정보통신선 단자접속기
KR200241843Y1 (ko) Pcb를 이용한 통신용 통합 분배기
KR200321028Y1 (ko) 4단자 전화플러그
KR100282653B1 (ko) 통신선로 분배 접속용 커넥터
KR200212154Y1 (ko) 정보통신선용 멀티 복합 단자대
KR200273699Y1 (ko)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통합 단자 시스템
KR100319900B1 (ko) 알제이45 다기능 멀티포트 브릿지 아답터
KR200264579Y1 (ko) 멀티 어댑터
KR20010111067A (ko) 다중화 허브
KR200311814Y1 (ko) 티형 멀티잭
KR200357721Y1 (ko) 경사모듈러방식단자대
KR200265700Y1 (ko) 음성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데이터 신호 전송을 위한복합 신호처리 월잭
KR20020000754A (ko) 멀티 허브
JP2004178864A (ja) ケーブル接続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