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943Y1 - 장농 - Google Patents

장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943Y1
KR200211943Y1 KR2020000022525U KR20000022525U KR200211943Y1 KR 200211943 Y1 KR200211943 Y1 KR 200211943Y1 KR 2020000022525 U KR2020000022525 U KR 2020000022525U KR 20000022525 U KR20000022525 U KR 20000022525U KR 200211943 Y1 KR200211943 Y1 KR 2002119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ousing
incision
cut
comp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5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자현
Original Assignee
송자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자현 filed Critical 송자현
Priority to KR20200000225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9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9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943Y1/ko

Links

Landscapes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농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면 모서리가 포함된 장농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이에 대응되는 보상부를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가진 소정의 결합수단을 통하여 장농의 외부에서 결합시킴으로서, 벽면의 높이에 상당하는 높이를 가진 장농의 설치와 분리가 가능토록 한 장농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장농은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전방을 개폐할 수 있는 함체로 이루어지며, 후면 모서리를 포함한 부위가 절개된 수납체; 상기 수납체의 상기 절개된 부위에 정합되어 상기 수납체의 상기 절개 부위를 복원시키는 보상부; 상기 수납체와 상기 보상부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체의 후면 모서리는 경사진 형태, 단차진 형태 및 후면 모서리를 포함한 상단 전체가 수평으로 절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수납체와 상기 보상부 중의 어느 하나의 양 측벽면의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양 측벽면의 각각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납체와 상기 보상부는 고정부재를 통하여 서로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장농{CABINET}
본 고안은 장농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면 모서리가 포함된 장농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이에 대응되는 보상부를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가진 소정의 결합수단을 통하여 장농의 외부에서 결합시킴으로서, 벽면의 높이에 상당하는 높이를 가진 장농의 설치와 분리가 가능토록 한 장농에 관한 것이다.
장농의 높이는 장농을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의 높이보다 작게 제작되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장농의 높이는 장농을 운반하고 설치하는 과정에 있어서, 기울어진 장농을 회전시킬 때 작용하는 장농의 대각 회전반경을 고려하여 천장 벽에 간섭을 받지 않는 높이로 제한되어지기 때문에 장농의 높이와 벽면 높이사이에 불필요한 공간이 형성되어질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통상의 장농 및 붙박이형 장농은 상기 이유로 인하여 외관상의 미감을 해칠 뿐만 아니라 벽면의 전체의 공간을 장농의 수납공간으로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 20-1999-0025805(일체형으로 된 붙박이형 장농)에서는 장농의 상단 후면 모서리를 절개한 후, 절개된 부분을 채우기 위한 보상부를 장농의 내부에서 조립하는 방법을 통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있다. 도 1은 상기 일체형으로 된 붙박이형 장농 상단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일체형으로 된 붙박이형 장농 상단에 설치된 보상부의 상판과 장농 상판이 연결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상기 일체형으로 된 붙박이형 장농의 상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일체형으로 된 붙박이형 장농은 상부 후면 모서리의 일부가 경사지게 절개된 장농과 상기 절개된 부위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부(1)가 경첩(4)에 의하여 상기 장농의 내부로부터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보상부의 양 측판(5a,5)에 형성된 고정홀을 통하여 나사 등의 고정구로 상기 보상부를 장농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절개된 장농 부위를 보상하는 보상부(1)의 구조와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보상부(1)는 상판(2)과 양 측판(5,5a) 및 뒷판(미도시함)이 결합되어 상기 절개된 장농 부위의 상면과 배면을 채우는 'ㄱ'자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경첩(4)을 이용하여 연결된 보상부(1)는 보상부(1)의 상판(2)과 장농 상판(3)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장농의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보상부(1)의 측판(5a,5)에 있는 상기 고정구를 제거하게 되면 자중에 의하여 회동된 보상부(1)가 장농의 절개부위를 노출시킴으로서, 분리와 이동을 위하여 장농을 기울일 때 모서리가 천장벽의 간섭없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장농을 이동시킨 후 보상부(1)를 조립시킬 때에는 자중에 의하여 바닥으로 회동된 보상부(1)의 상판(2)과 상기 절개된 장농의 상판(3)이 수평을 이루어 절개부위를 가릴 때까지 보상부(1)를 회전시킨 후 상기 양측판(5,5a)에 상기 고정구를 통하여 장농의 내측면에 고정시킴으로서 설치 완료된다.
그런데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경첩(4)을 이용하여 두 상판을 결합시키는 상기 일체형으로 된 붙박이형 장농의 연결 구조에서는 보상부(1)의 상판(2)과 장농의 상판(3)사이에 경첩 회전부의 공간만큼 일정한 틈새부(7)를 갖게 되는데, 이러한 틈새부(7)는 장농이 상치되어질 때 먼지 등과 같은 외부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공간으로 작용된다. 또한, 상기 절개된 부위를 보상하는 보상부(1)의 결합 방법으로 경첩(4)을 사용함으로서 장농 구성에 있어서 불필요한 제작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과, 각 장농마다 수작업으로 보상부(1)과 장농을 나사와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시켜야 하는 구조적인 특성상, 정확한 부재의 고정 위치가 선정이 되지 않고 보상부(1)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틈새부(7)가 더욱 많이 벌어지는 작업상의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또한, 상기 일체형으로 된 붙박이형 장농의 보상부(1)는 장농의 내부로부터 설치되고 장농의 내부로 회동이 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농의 절개된 부위가 그대로 외부로 드러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욱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상부(1)의 양측면에는 측판(5,5a)이 결합되어 설치되고, 측판(5,5a)의 두께만큼 장농 내부에서 일정한 단(8)을 형성하기 때문에 장농 전면으로부터의 특정한 물품(6)의 수납시, 물품(6) 또는 사람의 손이 상기 측판(5,5a)의 단(8)에 걸리는 간섭 현상으로 인하여 물품(6)에 손상이 가거나 손에 상처를 입는 등 사실상의 수납공간으로서의 기능이 상당히 결여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농 상단 또는 하단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절개하고, 상기 장농의 절개된 부분을 보상할 수 있는 동일한 크기의 보상부를 두되 상기 절개된 장농과 상기 보상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통하여 손쉽게 상기 보상부를 외부에서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농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장농은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전방을 개폐할 수 있는 함체로 이루어지며, 후면 모서리를 포함한 부위가 절개된 수납체; 상기 수납체의 상기 절개된 부위에 정합되어 상기 수납체의 상기 절개 부위를 복원시키는 보상부; 상기 수납체와 상기 보상부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체의 후면 모서리는 경사진 형태, 단차진 형태 및 후면 모서리를 포함한 상단 전체가 수평으로 절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수납체와 상기 보상부 중의 어느 하나의 양 측벽면의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양 측벽면의 각각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납체와 상기 보상부는 고정부재를 통하여 서로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의 붙박이형 장농 상단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붙박이형 장농 상단에 설치된 보상부와 장농 상판이 연결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붙박이형 장농의 상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농의 경사식 절개부와 이에 대응되는 보상부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농의 경사식 절개부와 이에 대응되는 보상부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농의 경사식 절개부와 이에 대응되는 보상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농의 계단식 절개부와 이에 대응되는 보상부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농의 계단식 절개부와 이에 대응되는 보상부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농의 계단식 절개부와 이에 대응되는 보상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농의 상단 절개부와 이에 대응되는 보상부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농의 상단 절개부와 이에 대응되는 보상부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장농에 있어서 보상부를 분리한 상태의 장농이 벽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보상부 2, 3: 상판
5,5a: 측판 7: 틈새부
10,40,70: 보상부 30,60,90: 결합돌기
32,62,92: 결합홈 22,82: 전면 장식부
23: 문짝
12,12a,42,42a,72,72a,21,21a,51,51a,81,81a: 측판
11,41,71: 상판 13,43,73: 뒷판
20,50,80: 수납체 31,61: 수용홈
33,63,93: 고정나사 삽입홀 34,64,94: 고정나사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장농이 구성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경사식 절개부와 이에 대응되는 보상부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농의 경사식 절개부와 이에 대응되는 보상부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상단 후면 모서리부를 경사진 형태로 절개한 수납체(20)과 상기 경사식 절개부를 복원시키는 동일한 크기의 보상부(10)로 구성된다. 보상부(10)는 상기 경사식 절개부위를 그대로 보상할 수 있는 동일한 크기의 경사진 형상으로 제작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보상부는 상판(11), 뒷판(13) 및 측판(12,12a)으로 구성되어지되, 측판(12,12a)에는 상기 경사지게 절개된 수납체 측판(21,21a)의 절단면과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인 결합돌기(30)가 적어도 하나이상, 바람직하게는 두개씩 양측에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경사진 형태로 절개된 수납체 측판(21,21a)의 절개면에는 보상부(10)의 양 측판(12,12a)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결합홈(32)을 형성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상기 결합구조는 보상부(10)의 조립될 위치가 수납체 측판(21,21a)의 절단면에 미리 지정되고, 상기 지정된 조립위치에 상기 보상부를 끼워 넣음으로서 수납체의 절단부에 대한 보상부(10)의 정확한 조립작업을 손쉽게 이룰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납체 외부에서의 이러한 보상부(10)의 조립작업은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체의 전면 장식부(22)에 의하여 천장벽과 수납체(20)사이에 형성되는 일정한 공간을 통하여 천장벽과의 간섭 없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23는 문짝을 나타낸다.
한편, 조립된 보상부(10)는 상기 수납체(20)와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를 수납체(2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상부(10)를 수납체 측판(21,21a)에 고정시키는 고정나사(34), 수납체의 내부에서 결합홈(32)까지 횡으로 관통하는 고정나사 삽입홀(33) 및 고정나사(34)를 수용할 수 있는 고정나사 수용홈(31)이 수납체에 내향되도록 결합돌기(3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를 통하여 고정된 상기 수납체는 사용중이나 이동 중에 보상부(10)가 쉽게 수납체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고정시킴으로서 작업중의 안전사고 방지와 사용상의 편리함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본 고안의 장농은 절개 부위의 외부 및 내부 결합면에 결합 단차가 발생되지 않는 매끄러운 마감처리가 가능한 구조로서, 보상부(10)가 수납체내에서의 실질적인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상기 경사진 형태의 절개부를 가진 장농의 다른 실시 예로서, 경사진 절개면을 수납체의 상단 후면의 모서리가 아닌 하단 후면의 모서리에 형성시키고 이에 대응하는 보상부(10')를 제작함으로서, 수압체의 이동시 기울어진 상기 수납체를 회전시켜 벽면에 설치할 때 바닥면의 간섭을 받지 않고 벽면 높이에 상당한 장농을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농의 단차를 갖는 계단식 절개부와 이에 대응되는 보상부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농의 단차를 갖는 계단식 절개부와 이에 대응되는 보상부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7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장농을 구성하는 다른 실시 예로서, 상단 후면 모서리부를 단차를 갖는 계단 형상으로 절개한 수납체(50)과 상기 계단식 절개부를 보상할 수 있는 동일한 크기의 보상부(40)로 구성된다. 보상부(40)는 상기 계단식 절개부위를 그대로 보상할 수 있는 계단 형상으로 제작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보상부는 상판(41), 뒷판(43) 및 측판(42,42a)으로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측판(42,42a)의 하단에는 결합돌기(60)가 적어도 하나이상, 바람직하게는 두개씩 양측에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계단형상으로 절개된 수납체 측판(51,51a)의 절개면에는 결합홈(62)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상부(40)를 수납체 측판(51,51a)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는 고정나사(64)와 상기 수납체의 내부에서 결합홈(62)까지 횡으로 관통하는 고정나사 삽입홀(63) 및 고정나사(64)를 수용할 수 있는 고정나사 수용홈(61)이 수납체에 내향되도록 결합돌기(6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상기 계단식 절개부를 갖는 장농의 다른 실시 예이며,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계단식 보상부(40')의 구성 및 작용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농의 상단 절개부와 이에 대응되는 보상부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농의 상단 절개부와 이에 대응되는 보상부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0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장농을 구성하는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전면 장식부(82)를 포함한 상단 전체를 소정의 높이로 절개한 수납체(80)와 상기 절개부를 보상할 수 있는 동일한 크기의 보상부(70)로 구성된다. 보상부(70)는 상기 계단식 절개부위를 그대로 보상할 수 있는 상단 전체의 형상으로 제작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보상부는 상판(71), 뒷판(73) 및 측판(72,72a)으로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측판(72,72a)에는 결합돌기(90)가 적어도 하나이상, 바람직하게는 두개씩 양측에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계단형상으로 절개된 수납체 측판(81,81a)의 절개면에는 결합홈(92)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상부(70)를 수납체 측판(81,81a)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는 고정나사(94)와 수납체의 내부에서 결합홈(92)까지 횡으로 관통하는 고정나사 삽입홀(93) 및 고정나사(94)를 수용할 수 있는 고정나사 수용홈(91)이 수납체에 내향되도록 결합돌기(9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계단식 보상부(70)의 구성 및 작용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고안의 장농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납체(20,50,80) 상단의 일부분을 절개하는 경사식 절개부위의 형태는 수납체(20,50,80) 상단 전체에 걸쳐서 절개할 수 있을 것이며 그 절개선 또한 직선, 호, 자유곡선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절개선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상부(10,10',40,40',70,7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로는 전술한 고정나사외에 걸림턱이 형성된 고정 핀이 될 수도 있을 것이며, 결합돌기(30,60,90)를 후크 형태로 제작하고 상기 결합홈 또한 상기 후크 형태를 수용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나사와 수용홈이 없는 간단한 구조의 고정부재를 갖는 장농을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상부(10,20,30,10',20')의 하단부와 수납체 측판(15,25,35)의 절개면 모두에 결합홈을 설치하고 별도로 구비되는 결합돌기가 수납체 절개면의 홈과 보상부하단에 형성된 홈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의 장농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장농에 따르면, 절개된 수납체의 절개부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보상부가 수납체으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됨으로서, 외부의 이물질이 수납체 내부로 침투될 수 있는 틈새부가 발생되지 않고, 외부의 미관이 수려하며 절개 부위의 외부 및 내부 결합면에 결합 단차가 발생되지 않는 매끄러운 마감처리가 가능함으로서 상기 보상부의 실질적인 수납공간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경첩과 같은 별도의 결합부재가 필요없으므로 장농의 제작단가를 줄일 수 있다.

Claims (7)

  1.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전방을 개폐할 수 있는 함체로 이루어지며, 후면 모서리를 포함한 부위가 절개된 수납체;
    상기 절개된 수납체에 정합되어 상기 절개된 수납체를 복원하기 위해 상기 후면 모서리를 포함한 절개된 부위로 이루어진 보상부;
    상기 절개된 수납체와 상기 보상부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장농.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절개된 수납체와 상기 보상부 각각의 양 측벽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농.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모서리를 포함한 절개부위는 상단 후면 모서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농.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모서리를 포함한 절개부위는 하단 후면 모서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농.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된 부위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농.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된 부위가 단차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농.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에는 횡으로 관통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는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농.
KR2020000022525U 2000-08-08 2000-08-08 장농 KR2002119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525U KR200211943Y1 (ko) 2000-08-08 2000-08-08 장농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525U KR200211943Y1 (ko) 2000-08-08 2000-08-08 장농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943Y1 true KR200211943Y1 (ko) 2001-02-01

Family

ID=73086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525U KR200211943Y1 (ko) 2000-08-08 2000-08-08 장농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9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66087S1 (en) Optical fiber connection cabinet
GB2298127A (en) A display case
US5195214A (en) Hinge housing
US6629339B2 (en) Refrigerator handle mounting arrangement
US6314691B1 (en) Inspection opening frame
KR200211943Y1 (ko) 장농
JPH09511898A (ja) 配電盤キャビネット
CA2506264A1 (en) Corner cover for a cabinet
JP4465317B2 (ja) ハウジング開口をカバーするフロントフレームを備えたハウジング
KR100687802B1 (ko) 조립식 가구의 조립방법
JP3294480B2 (ja) 冷蔵庫
US5653059A (en) Housing structure
EP0507720A2 (en) Automatic device for panel assembly
CN217129335U (zh) 一种门板结构
CN219713776U (zh) 一种冰箱
KR200298042Y1 (ko) 김치 냉장고의 도어 힌지
JP3530969B2 (ja) 合成樹脂製引き出しの前部構造
JP3126105U (ja) 壁開口部の開口枠
KR200227873Y1 (ko) 장농
KR102062145B1 (ko) 조립식 옷장
CN217872470U (zh) 一种分体式的掩门及安装有掩门的储物柜
US20070215295A1 (en) Sectional door
CN111691774B (zh) 双层壁家具中的埋铰链***
KR100438196B1 (ko) 납골함 안치단의 조립구조
EP3981940A1 (en) Door kit comprising a frame and interchangeable jamb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