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841Y1 - apparatus for eliminating a stench for a toilet seat bow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liminating a stench for a toilet seat bow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841Y1
KR200210841Y1 KR2020000019105U KR20000019105U KR200210841Y1 KR 200210841 Y1 KR200210841 Y1 KR 200210841Y1 KR 2020000019105 U KR2020000019105 U KR 2020000019105U KR 20000019105 U KR20000019105 U KR 20000019105U KR 200210841 Y1 KR200210841 Y1 KR 2002108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plate
toilet seat
exhaust duc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10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성호
Original Assignee
문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호 filed Critical 문성호
Priority to KR20200000191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84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8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841Y1/en

Links

Landscapes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변이 담기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둔부가 접촉케 하는 좌판을 구비한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판(12)의 저면에는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 있는 공기가 흡입되는 다수의 흡입구(30)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30)는 좌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흡입통로(32)를 통해 송풍기에 연통되며, 상기 송풍기의 토출구는 배기닥트(40)를 매개로 배수통로(24)에 연통되어 있으므로, 용변 중에 변에서 나오는 냄새를 제거하여 배수관을 통해 배출시킴으로써, 화장실 내외에 있는 사용자의 불쾌감을 없애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toilet having a body containing a side and a seat plat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allow the buttocks of the user to come in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plate 12 has air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30 are suctioned, and the suction ports 30 communicate with the blower through the suction passages 32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eat plate, and the discharge ports of the blowers drain through the exhaust duct 40. Since it communicates with the passage 24, by removing the odor coming out of the stool in the toilet and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ipe, there is an effect of eliminating the discomfort of the user in and outside the toilet.

Description

좌변기의 냄새제거장치{apparatus for eliminating a stench for a toilet seat bowl}Deodorizer of toilet seat {apparatus for eliminating a stench for a toilet seat bowl}

본 고안은 좌변기의 냄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dor removing device of the toilet seat.

최근에 화장실에는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보게 하는 좌변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Recently, toilets are widely used in toilets where users sit and watch toilets.

종래 좌변기는 몸체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둔부가 직접 접촉하는 좌판이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좌판의 상측에는 덮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후측에는 물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덮개 및 좌판은 상기 물탱크에 가까운 부분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Conventionally, the toilet sea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of the user's buttock directly contact, while the upper side of the seat is provided with a cover, the rear side of the body is provided with a water tank. The cover and the seat plate are hinged to a portion close to the water tank.

이러한 좌변기에서, 사용자는 덮개를 뒤로 제치고 상기 좌판에 앉아서 용변을 보고 난 후, 도시하지 않은 핸들을 눌러 물탱크의 물을 유출시킴에 의해 몸체의 내부를 세척한다.In such a toilet, the user cleans the inside of the body by pressing the handle (not shown) and drain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by pressing the cover back and sitting on the seat and looking at the toilet.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좌변기에서 용변을 마친 후에 물로 세척하여 변을 세척하기는 하지만, 용변 중에 변 냄새가 화장실의 내부 및 근처에 퍼지게 되어 타인을 불편하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toilet bow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fter washing the toilet to wash the stool by wat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cent smell spreads inside and near the toilet inconvenient to discomfort others.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변 중에 변에서 나오는 냄새를 제거하여 불쾌감을 없애는 좌변기의 냄새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dor removing device of the toilet seat to remove the odor from the stool to remove the discomfort.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의 냄새제거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the odor removing device of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FIG.

도3은 도2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의 냄새제거장치에서 공기차단수단이 결합된 닥트를 나타내는 구성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uct coupled air blocking means in the odor removing device of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도4의 공기차단수단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blocking means of Figure 4 is operated;

도6은 도4에서 공기유로가 막혔을 경우의 닥트의 단면도,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ct when the air flow path is blocked in FIG. 4;

도7은 도4에서 공기유로가 열렸을 경우의 닥트의 단면도,FIG. 7 is a sectional view of the duct when the air flow path is opened in FIG. 4;

도8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좌변기 냄새제제거장치의 구성도,8 is a block diagram of a toilet seat odo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좌변기의 냄새제거장치의 정면도,9 is a front view of the odor removing device of the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도9의 평면도이다.10 is a plan view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몸체 12 : 좌판10 body 12 seat plate

18 : 송풍유니트 24 : 배수통로18: Blowing unit 24: Drainage passage

26 : 배수관 30 : 공기 흡입구26: drain pipe 30: air intake

32 : 흡입통로 40 : 배기닥트32: suction passage 40: exhaust duct

44 : 공기차단수단44: air blocking means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의 냄새제거장치는 내부에 변이 담기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둔부가 접촉케 하는 좌판을 구비한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판의 저면에는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 있는 공기가 흡입되는 다수의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는 좌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흡입통로를 통해 송풍기에 연통되며, 상기 송풍기의 토출구는 배기닥트를 매개로 배수통로에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eodorizer of the toil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ilet seat having a toilet containing a side and a seat plat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contact the buttocks of the user,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plate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are formed in which the air is sucked in, the suction ports are communicated to the blower through the suction passag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eat plate, the discharge port of the blower is connected to the drain passage via the exhaust duct. do.

상기 배기닥트에는 상기 송풍기의 작동에 따라 배기통로를 여닫는 공기차단수단이 결합되어 있다.The exhaust duct is coupled to the air block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xhaust passag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blower.

상기 배기닥트는 좌변기의 배수통로에 연통되거나 세면기의 배수통로에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The exhaust duct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passage of the toilet seat or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passage of the wash basi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실 바닥(F)에는 좌변기 몸체(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좌변기 몸체(10)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둔부가 직접 접촉하는 좌판(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좌판(12)의 상측에는 좌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 몸체의 상측을 덮도록 덮개(1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상단 후측에는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공급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6)가 벽(W)에 인접하여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판(12)과 물탱크(16) 사이에는 상기 몸체(10)의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배수통로로 내보내는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유니트(18)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toilet floor (F) is provided with a toilet seat body 10,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body 10 is provided with a seat plate 12 for direct contact of the buttocks of the user, The lid 14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at plate 12 so as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body when the toilet seat is not used. In addition, a water tank 16 for storing wate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ody 10 is adjacent to the wall W at the upper rear side of the body 10. In addition, a blowing unit 18 is installed between the seat plate 12 and the water tank 16 to generate the blowing force to suck the internal air of the body 10 and to discharge it into the drain passage.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물탱크(16)에서 나온 물이 변과 함께 배수된 후 항상 소정 높이로 고여 있도록 배수구(20)는 상승하는 유로(22)로 이어 지게 되어 있다. 상기 상승하는 유로(22)는 다시 리턴하여 하강하는 배수통로(24)에 이어져 있다.Inside the body 10, the drain 20 is led to an upward flow path 22 so that the water from the water tank 16 is always drained together with the sides and then accumul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rising flow passage 22 is connected to the drain passage 24 that returns and descends again.

상기 배수통로(24)는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부분과 별도의 배수관(26)에 의해 형성된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배수관(26)은 벽(W)의 내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배수관(28)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배수관(28)은 도시하지 않은 정화조에 연결되어 있다.The drain passage 24 is composed of a portion formed by the inside of the body 10 and a separate drain pipe 26, the drain pipe 26 is a separate drain pipe is installed inside the wall (W) 28). The drain pipe 28 is connected to a septic tank not shown.

상기 좌판(12)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송풍유니트(18)에 인접한 부분의 몸체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있고, 그 형상은 앞측이 트인 고리형으로 되어 있다. 도2에서 덮개(14)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As shown in Fig. 2, the seat plate 12 is hin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of the portion adjacent to the blower unit 18, and the shape of the seat plate 12 is an annular shape with a front side open. In Fig. 2 the lid 14 is not shown.

그리고, 상기 좌판(12)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판의 안쪽부분은 몸체(10)의 상단 내측에서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된 부분에는 몸체(10)의 내부 공간에 있는 공기가 유입하도록 좌판(12)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공기 흡입구(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 흡입구(3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좌판의 내부에 형성된 흡입통로(32)를 통하여 상기 송풍유니트(18)의 내부에 들어가게 되어 있다. 상기 흡입통로(32)는 상기 좌판(12)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And, the seat plate 12, as shown in Figure 3 the inner part of the seat plate protrudes from the upper inner side of the body 10, so that the air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0 flows into the protruding portion A plurality of air inlets 30 ar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eat plate 12, and the air sucked through the air inlet port 30 passes through the suction passage 32 formed in the seat plate. It is supposed to go inside. The suction passage 32 is formed along an edge of the seat plate 12.

상기 덮개(14)는 몸체(10)의 상면에 상기 좌판(12)과 함께 힌지결합된 공지의 구조이고, 상기 물탱크(16)도 공지의 구조로 되어 있다.The cover 14 is a known structure hinged with the seat plate 1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the water tank 16 is also a known structure.

상기 송풍유니트(18)는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33)와, 상기 케이스(33)의 내부에 설치되며 접선방향으로 공기가 유입하여 축방향으로 공기가 유출하는 팬(34)과, 상기 팬(34)을 구동하는 모터(36)와, 상기 모터(36)에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38)로 이루어진 송풍기로 되어 있다. 상기 송풍유니트(18)의 공기 토출측에는 배기닥트(40)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blower unit 18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33 and the case 33 and includes a fan in which air flows in a tangential direction and air flows out in an axial direction. 34, a motor 36 for driving the fan 34, and a battery 38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36. An exhaust duct 40 is provided on the air discharge side of the blower unit 18.

상기 배기닥트(40)의 저면에는 상기 송풍유니트(18)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곳에 배출구(42)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송풍유니트(18)의 작동에 따라 배출구(42)를 여닫는 공기차단수단(44)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42)에는 상기 배수통로(24)에 연통하는 배기관(46)이 연결되어 있다.A discharge port 42 is formed at a bottom of the exhaust duct 40 spaced apart from the blowing unit 18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rein, an air shutoff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42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unit 18. The means 44 are coupled. In addition, an exhaust pipe 46 connected to the drain passage 24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42.

상기 송풍유니트의 케이스(33)에는 상기 흡입통로(32)에 연통하는 흡기관(48)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밧테리(38)는 교류전원으로 대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유니트(18)에는 도시하지 않은 작동스위치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작동스위치는 사람을 감지하여 작동하는 자동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n intake pipe 48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assage 32 is connected to the case 33 of the blower unit. The battery 38 may be replaced with an AC power source. In addition, an operation switch (not shown) is coupled to the blower unit 18. The operation switch is preferably made of an automatic switch that operates by sensing a person.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차단수단(44)은, 상기 배기관(46)의 상단 즉, 상기 배출구(42)에 여닫히는 제1개폐부재(50)와, 상기 배기닥트(40)의 내부를 상하로 이등분하여 하측을 막는 가로막이 부재(52)와, 상기 가로막이 부재(52)의 일단을 힌지점으로 하여 회동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재(54)로 이루어져 있다.4 and 5, the air blocking means 44 includes a first opening / closing member 50 which opens and closes at an upper end of the exhaust pipe 46, that is, the outlet 42, and the exhaust duct ( It is composed of a barrier member 52 which bisects the inside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40 and blocks the lower side, and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mber 54 that opens and closes the flow path by rotating one end of the barrier member 52 as a hinge point. .

상기 제1개폐부재(50)는 대체로 둥근판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중간부는 한쪽으로 치우친 지점에서 상기 배출구(42)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개폐부재(50)는 제1힌지선(H1)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우측부(작은 부분)(50a)가 상기 배기관(46)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크기의 곡률반경을 가지고 있고, 좌측부(큰 부분)(50b)가 상기 배기관(46)의 상단면에 걸리는 크기의 곡률반경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부(50b)의 좌단부에는 밴드(56)가 끼워져 묶이는 구멍(50c)이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 has a generally round plate shape, and the middle portion thereof is hinged to the outlet 42 at a point biased to one side. The first opening / closing member 50 has a radius of curvature of a size at which the right portion (small portion) 50a enters the inside of the exhaust pipe 46 with the first hinge line H1 as the center of rotation, and the left portion ( Large portion) 50b has a radius of curvature of the size that is caught on the top surface of the exhaust pipe 46. In the left end portion of the left portion 50b, there is formed a hole 50c in which the band 56 is fitted.

상기 가로막이 부재(52)는 수평판부(52a)와 수직판부(52b)가 ㄱ 단면형을 이루어, 수직판부(52b)의 높이는 상기 배기닥트(40)의 내측 높이의 반으로 되어 있으며, 수평판부(52a)의 좌측단에는 수평판부를 받치는 다리(53)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판부(52a)의 중간 좌측부에는 유로방향으로 슬릿홈(52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로막이 부재(52)의 폭은 상기 배기닥트(40)의 내측 폭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The barrier member 52 has a horizontal cross-section 52a and the vertical plate portion 52b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height of the vertical plate portion 52b is half the height of the inner side of the exhaust duct 40, and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52b. A leg 53 supporting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is fixed to the left end of the 52a. A slit groove 52c is formed in the middle left portion of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52a in the flow path direction. The width of the barrier member 52 is equal to the inner width of the exhaust duct 40.

상기 제2개폐부재(54)는 상기 가로막이 부재(52)의 수평판부(52a)의 좌측단에 제2힌지선(H2)을 따라 힌지결합되어 상기 가로막이 부재(52)의 상측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판부(54a)와, 상기 개폐판부(54a)의 중간에서 상기 개폐판부(54a)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기 개폐판부(54a)의 힌지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개폐부재(50)에 상기 밴드(56)로 연결된 1/4원판부(54b)로 이루어져 있다.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mber 54 is hinged to the left end of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52a of the barrier member 52 along the second hinge line H2 to open and close the upper flow path of the barrier member 52. To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54a and the middl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54a to stand perpendicular to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54a and protrudes from the hinge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54a to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 It consists of a quarter disk portion 54b connected by the band 56.

상기 1/4원판부(54b)는 상기 슬릿홈(52c)을 통과하면서 안내되어 상기 제2힌지선(H2)을 회동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있으며, 이 1/4원판부(54b)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개폐판부(54a)가 회동하면서 유로를 막게 되어 있다. 상기 1/4원판부(54b)는 보강편(54c)와 일체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편(54c)이 상기 개폐판부(54a)의 중간에 고정되어 있다.The quarter disk portion 54b is guid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lit groove 52c to rotate the second hinge line H2 to the center of rotation, and to rotate the quarter disk portion 54b. Accordingly,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portion 54a rotates to block the flow path. The quarter disk portion 54b is integrated with the reinforcing piece 54c, and the reinforcing piece 54c is fixed in the middl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part 54a.

상기 공기차단수단(44)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댐퍼로 이루어 질 수도 있고,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되는 개폐밸브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The air blocking means 44 may be made of a damper controlled by a control means (not shown), or may be made of an on / off valve operated by a solenoi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의 냄새제거장치에서, 사용자가 좌판(12)에 앉아 도시하지 않는 스위치를 온(on)하거나, 사용자가 좌판(12)에 앉으면 도시하지 않은 감지센서의 신호를 받아 제어수단에 의해 스위치가 온(on)되어, 모터(36)의 작동에 의해 팬(34)이 회전한다.In the odor removing device of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plate 12 and turns on the switch (not shown), or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plate 12, the user receives a signal of a sensor not shown. The switch is turned on by the control means, and the fan 34 rotates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36.

상기 팬(34)의 회전에 따라 몸체(10)내의 공간에 있던 공기는 공기흡입구(30)을 통해 흡입통로(32) 및 흡입관(48)을 따라 팬(34)으로 빨려 들어간 후, 배기닥트(40)의 내부로 토출된다.As the fan 34 rotates, the air in the space in the body 10 is sucked into the fan 34 along the suction passage 32 and the suction pipe 48 through the air suction port 30, and then the exhaust duct ( 40 is discharged into the interior.

상기 배기닥트(40)의 내부로 토출된 공기는 도6의 화살표 A방향으로 흐르면서 제2개폐부재(54)의 개폐판부(54a)를 밀게 되고, 이로 인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판부(54a)가 수평으로 유지하게 되므로, 유로가 열린다. 이때, 상기 개폐판부(54a)가 제2힌지선(H2)을 회동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1/4원판부(54b)도 상기 슬릿홈(52c)을 따라 상승하며, 밴드(56)로 연결된 제1개폐부재(50)도 제1힌지선(H1)을 회동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배기관(46)으로 유로가 열리게 된다.The air discharged into the exhaust duct 40 flows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n FIG. 6 and pushes the opening / closing plate portion 54a of the second opening / closing member 54. As a result, the opening / closing plate portion ( 54a) is kept horizontal, the flow path is opened. At this time,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portion 54a rotates the second hinge line H2 counterclockwise toward the rotation center, the quarter disc portion 54b also rises along the slit groove 52c, and the band 56 is formed. Also connected to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 also rotates the first hinge line (H1) clockwise to the center of rotation to open the flow path to the exhaust pipe (46).

상기 배기관(46)을 통해 유출하는 공기는 몸체 내에 형성된 배수통로(24)와, 배수관(26) 및 배수관(28)을 순차적으로 통해 정화조로 나가게 된다.The air flowing out through the exhaust pipe 46 exits to the septic tank through the drain passage 24 formed in the body, and the drain pipe 26 and the drain pipe 28 sequentially.

따라서, 사용자가 용변을 하는 중에 생기는 악취는 계속적으로 정화조로 빠지게 되므로, 화장실의 외부로 냄새가 퍼지지 않게 된다.Therefore, the odor generated while the user is going to stool continuously falls into the septic tank, so that the smell does not spread to the outside of the toilet.

사용자가 용변을 보고 난 후에, 사용자가 도시하지 않는 스위치를 오프(off)하거나, 사용자가 좌판(12)에서 일어서면 도시하지 않은 감지센서의 신호를 받아 제어수단에 의해 스위치가 오프(off)되어, 모터(36)의 작동이 중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2개폐부재(54)의 개폐판부(54a)를 미는 힘이 없어지고, 제1개폐부재(50)의 좌측부(50b)가 무거우므로, 제1개폐부재(50)는 제1힌지선(H1)을 회동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2개폐부재(54)는 제2힌지선(H2)를 회동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므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가 닫힌 상태가 된다.After the user views the toilet, the user turns off the switch (not shown), or when the user stands up on the seat 12, the switch is turned off by the control means in response to a signal from a sensor not shown. , The operation of the motor 36 is stopped. Therefore, since the force pushing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portion 54a of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mber 54 is eliminated, and the left portion 50b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 is heavy,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50 may be the first. The hinge opening H1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t the center of rotation, and the second opening / closing member 54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t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econd hinge line H2, as shown in FIG. Becomes closed.

도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좌변기의 냄새제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닥트(40)에 형성된 배출구(42')에는 좌변기의 외부에 연결된 배수관(26)에 연통된 배기관(60)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배출구(42')는 상기 배기닥트(4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dor removing device of a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outlet 42 'formed in the exhaust duct 40 communicates with a drain pipe 26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toilet. The exhaust pipe 60 is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outlet 42 'is preferably formed on the side of the exhaust duct (40).

도9 및 도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좌변기의 냄새제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유니트(118)와 배기닥트(140)가 좌변기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고, 좌판(12)의 흡입통로(32)는 흡기관(148)을 통해 상기 송풍유니트(118)의 흡입구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닥트(140)의 배출구는 배기관(126)을 통해 세면대(162)의 배수관(164)에 연통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배기관(126)은 상기 배수관(164)의 U자형상부위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9 and 10 are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n odor removing device of the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air blowing unit 118 and the exhaust duct 140 is installed outside the toilet. In addition, the suction passage 32 of the seat plate 12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blower unit 118 through the intake pipe 148, the outlet of the exhaust duct 140 through the exhaust pipe 126 washbasin ( 162 communicates with the drain pipe 164. At this time, the exhaust pipe 126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shaped portion of the drain pipe (164).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modifications.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의 냄새제거장치에 의하면, 용변 중에 변에서 나오는 냄새를 제거하여 배수관을 통해 배출시킴으로서, 화장실 내외에 있는 사용자의 불쾌감을 없애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odor removing device of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moving the odor coming from the stool in the toilet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ipe, there is an effect of eliminating the discomfort of the user inside and outside the toilet.

Claims (4)

내부에 변이 담기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둔부가 접촉케 하는 좌판을 구비한 좌변기에 있어서,In the left toilet having a body containing the sides and a seat plat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the user's buttocks contact, 상기 좌판의 저면에는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 있는 공기가 흡입되는 다수의 흡입구가 형성되고,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through which air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body is sucked, 상기 흡입구는 좌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흡입통로를 통해 송풍기에 연통되며,The suction por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blower through a suction passag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eat plate, 상기 송풍기의 토출구는 배기닥트를 매개로 배수통로에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냄새제거장치.The discharge port of the blower is a odor removing device of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 passage via the exhaust duc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기닥트에는 상기 송풍기의 작동에 따라 배기통로를 여닫는 공기차단수단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냄새제거장치.The exhaust duct is an odor removing device of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block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xhaust passag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blower is coupl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기닥트는 좌변기의 배수통로에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냄새제거장치.The exhaust duct is odor removal device of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 passage of the toilet se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기닥트는 세면기의 배수통로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냄새제거장치.The exhaust duct is odor removal device of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drain passage of the washbasin.
KR2020000019105U 2000-07-04 2000-07-04 apparatus for eliminating a stench for a toilet seat bowl KR20021084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105U KR200210841Y1 (en) 2000-07-04 2000-07-04 apparatus for eliminating a stench for a toilet seat bow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105U KR200210841Y1 (en) 2000-07-04 2000-07-04 apparatus for eliminating a stench for a toilet seat bow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7969 Division 2000-07-04 2000-07-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841Y1 true KR200210841Y1 (en) 2001-01-15

Family

ID=7305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105U KR200210841Y1 (en) 2000-07-04 2000-07-04 apparatus for eliminating a stench for a toilet seat bow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841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641B1 (en) * 2002-10-28 2005-05-30 이복식 Chamber pot the has of function a smell compulsion remov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641B1 (en) * 2002-10-28 2005-05-30 이복식 Chamber pot the has of function a smell compulsion remov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357B1 (en) Water-saving toilet
US20090307831A1 (en) Odor-free toilet
JP2002047715A (en) Deodorizing device for western-style toilet stool
KR200492905Y1 (en) Toilet bowl with smell removal device
KR200210841Y1 (en) apparatus for eliminating a stench for a toilet seat bowl
KR100767287B1 (en) Device removing bad smell for toilet stool
KR100491641B1 (en) Chamber pot the has of function a smell compulsion removal
KR20060088521A (en) Smell exclude equipment attached sanitary ware
KR101492182B1 (en) Water saving closet with urinal
JP7411926B2 (en) Flush toilets and toilet devices
KR200306436Y1 (en) Chamber pot the has of function a smell compulsion removal
KR20020003501A (en) apparatus for eliminating a stench for a toilet seat bowl
KR200438551Y1 (en) A toilet stool having equipment of removing odour and preventing its backflow
KR101123971B1 (en) Deodoriztion apparatus for toilet
CA2347273C (en) System for directly venting odour air from toilet bowl
KR20190089256A (en) Toilet bowl with smell removal device
JP2010090621A (en) Sanitary washing device
JP3894069B2 (en) Bathroom drainage unit
JPH08270042A (en) Vacuum type toilet device
KR200220526Y1 (en) device for discharging bad smell of toilet stool
KR200161161Y1 (en) Ventilating structure for a toilet bowl
KR0178581B1 (en) Siphon urinal having ventilation facilities
KR200438550Y1 (en) A toilet stool having equipment of removing odour and preventing its backflow
KR200277599Y1 (en) A bad exhaust apparatus of a chamber pot
KR200217576Y1 (en) Removel apparatus of stench for a toilet s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