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830Y1 - 전기오븐 - Google Patents

전기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830Y1
KR200203830Y1 KR2020000017389U KR20000017389U KR200203830Y1 KR 200203830 Y1 KR200203830 Y1 KR 200203830Y1 KR 2020000017389 U KR2020000017389 U KR 2020000017389U KR 20000017389 U KR20000017389 U KR 20000017389U KR 200203830 Y1 KR200203830 Y1 KR 2002038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hamber
basket
electric oven
main bod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3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륙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륙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륙전자
Priority to KR20200000173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8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8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8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4Rotisserie spits inside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닭 이나 꼬치 등을 회전시키면서 구이할 수 있는 바베큐용 전기오븐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전기오븐은 일측이 개구되고 타측이 폐쇄되게 양측 내벽에 대향되게 연장형성된 제1 및 제2안내홈과, 상기 제1안내홈의 폐쇄측 단부에 제2안내홈을 향하여 형성된 경사면 주위에 고정되며 원형단면의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와, 상기 제2안내홈의 폐쇄측 단부에 형성된 장착공을 가지는 조리실을 구비한 본체; 상기 장착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결합되며 일측에 다각홈을 가진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과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감속수단을 가지며, 상기 본체의 일측에 안착된 구동장치; 원판형상의 제1 및 제2회전판과, 상기 제1 및 제2회전판의 각각의 일면에 부착되며 막대형상을 가진 적어도 2개 이상의 바베큐대와, 상기 제1안내홈에 삽입되어 이동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회전판의 타면의 회전중심부에 부착되는 원기둥형상의 제1축봉과, 상기 제2안내홈에 삽입되어 이동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다각홈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2회전판의 타면의 회전중심부에 부착되는 다각기둥형상의 제2축봉을 가지는 회전구이기;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일측에 부착되는 도어; 및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조리실의 일측에 배치된 히터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바베큐대, 꼬치대, 석쇠, 또는 바스켓을 조리물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구이기에 장착하여 조리하므로 육류, 감자, 과자 등 다양한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으며, 회전시키면서 조리하므로 조리물이 골고루 익혀지며, 제1 및 제2회전판의 중심부에 부착된 제1 및 제2축봉이 조리실에 형성된 제1 및 제2안내홈에 안내되며 일측방으로 이동하여 본체의 일측에 위치한 구동장치와 직접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구이기를 조리실에 쉽게 장착시킬 수 있으며, 다각돌기가 다각홈에 끼워지는 구조이므로 미끄럼이 발생하지 아니하여 전동효율이 높다.

Description

전기오븐{ELECTRICAL OVEN}
본 고안은 닭 이나 꼬치 등을 회전시키면서 구이할 수 있는 바베큐용 전기오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리될 조리물이 회전되면서 조리실의 상부에 부착된 히터에 의한 직열로 골고루 익혀지며, 조리실을 편리하게 개폐시키며, 꼬치 등을 조리하기 위한 바스켓을 쉽게 조리실에 안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바베큐용 전기오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닭 등을 바베큐하기 위하여, 바베큐바에 기모와 내장이 제거되고 세척된 닭 등을 끼운 후 상기 바베큐바를 지지대에 지지시키고, 그 저부에서 열을 가하여 일정시간 두어 구이시키는 재래식 구이방법이 이용되었다.
이러한 재래식 구이방법은 대기중의 각종 먼지들이 조리물에 묻게 되어 비위생적이며, 조리물의 일측으로만 열이 가해지므로 골고루 익혀지지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재래식구이방법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많은 전기오븐들이 제공되었다. 도1a는 종래의 전기오븐의 분해사시도이며, 도1b는 종래의 전기오븐의 기어박스부의 정면도이다.
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류구이기의 본체(10)에 안착된 육류구이기케이스(20)와, 상기 육류구이기케이스의 저부에 착설된 열선(30)과, 상기 육류구이기케이스의 상면과 전면에 형성된 투명유리(40)와, 상기 본체의 측면부에 설치되며 모터에 연결되되 웜기어가 설치되어 1, 2, 3차 기어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기어박스부(50)와, 상기 3차기어에 설치되어 통닭 등을 끼울수 있도록 형성된 축봉(60), 및 상기 2차기어에 설치되어 상기 축봉의 회전시 육류구이케이스 내부의 열을 순환시키는 팬(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기오븐은 먼저 육류구이기 본체(10)에 안착되어 있는 육류구이케이스(20)의 도어를 열고 축봉(60)을 분리시킨 후 축봉(60)에 기모와 내장이 제거된 닭 등을 끼운 다음 분리된 축봉(60)을 다시 재결합시키고 도어를 닫음과 동시에 스위치를 넣어 열선(30)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닭 등을 익힌다.
이상과 같이 작동되는 전기오븐은 종래의 재래식구이방법의 문제점은 해소하고 있으나, 상기 축봉(60)과 팬(70)의 구동을 위해 다수의 기어가 설치되어 넓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으며, 열선(30)이 육류구이케이스(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조리물로 부터 떨어진 기름 또는 먼지 등에 의해 화재의 위험이 있으며, 도어의 개폐가 조리실의 전방에서 이루어지므로 닭 등을 조리실에 넣고 꺼낼 때 불편하며, 별도의 바스켓이 없어 꼬치나 생선 등을 익히기 어려운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특수하게 제작된 회전구이기를 이용하여 조리물을 골고루 익히고 꼬치 등 비교적 작은 조리물을 효과적으로 조리하는 전기오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리물이 끼워진 회전구이기를 효율적으로 장착 및 구동시키는 구조를 가진 조리실을 구비한 전기오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육류 등을 조리실로 넣고 꺼낼 때 방해되지 않고 편리하게 개폐되는 도어구조를 가진 전기오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열효율을 고려하여 히터를 조리실의 상면에 위치시키고, 본체의 상면패널을 통해 방출되는 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전기오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비교적 작은 조리물을 효과적으로 구이하기 위한 전기오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a은 종래의 전기오븐의 분해사시도.
도1b는 종래의 전기오븐의 기어박스부의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오븐의 분해사시도.
도3a는 도2에 도시된 전기오븐의 조리실의 좌측벽의 사시도.
도3b는 도2에 도시된 전기오븐의 조리실의 우측벽의 사시도.
도4는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조리실에 설치될 석쇠의 사시도.
도5는 도2에 도시된 전기오븐의 구동장치의 개략도.
도6a는 도2에 도시된 전기오븐의 회전구이기의 전체사시도.
도6b 및 도6c는 도6a에 도시된 회전구이기의 제1 및 제2회전판의 평면도.
도6d 및 도6e는 도6a에 도시된 회전구이기에 설치될 바베큐대 및 꼬치대의 사시도.
도7a 내지 도7c는 도6a에 도시된 회전구이기의 설치상태도.
도8a는 도2에 도시된 전기오븐의 바스켓의 사시도.
도8b 및 도8c는 도8a에 도시된 바스켓커버의 사용상태도.
도8d 및 도8e는 도8a에 도시된 바스켓취부수단의 설치상태도.
도9a는 도2에 도시된 전기오븐의 본체의 일측면패널과 도어의 분해사시도.
도9b 및 도9c는 도9a에 도시된 도어의 작동상태도.
도10은 도2에 도시된 전기오븐의 히터 및 열반사판의 개략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육류구이기의 본체 20 :육류구이기케이스
30 :열선 40 :투명유리
50 :기어박스부 60 :축봉
100 :본체 110 :조리실
120 :제1안내홈 130 :제2안내홈
140 :석쇠고정홈 150 :찜판얹힘부
160 :기름받이 200 :구동장치
210 :연결부재 220 :감속수단
230 :모터 300 :회전구이기
310 :제1회전판 320 :제2회전판
330 :바베큐대 340 :꼬치대
400 :도어 410 :도어프레임
420 :윈도우 430 :제3결합부재
440 :제4결합부재 450 :도어개폐손잡이
500 :히터 510 :열선
520 :열반사판 600 :바스켓
610 :바스켓본체 620 :바스켓커버
630 :바스켓취부수단 700 :본체의 일측면패널
710 :사이드캡 720 :가동지지대
730 :제1가이드레일 740 :제2가이드레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기오븐은 일측이 개구되고 타측이 폐쇄되게 양측 내벽에 대향되게 연장형성된 제1 및 제2안내홈과, 상기 제1안내홈의 폐쇄측 단부에 제2안내홈을 향하여 형성된 경사면 주위에 고정되며 원형단면의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와, 상기 제2안내홈의 폐쇄측 단부에 형성된 장착공을 가지는 조리실을 구비한 본체; 상기 장착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결합되며 일측에 다각홈을 가진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과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감속수단을 가지며, 상기 본체의 일측에 안착된 구동장치; 원판형상의 제1 및 제2회전판과, 상기 제1 및 제2회전판의 각각의 일면에 부착되며 막대형상을 가진 적어도 2개 이상의 바베큐대와, 상기 제1안내홈에 삽입되어 이동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회전판의 타면의 회전중심부에 부착되는 원기둥형상의 제1축봉과, 상기 제2안내홈에 삽입되어 이동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다각홈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2회전판의 타면의 회전중심부에 부착되는 다각기둥형상의 제2축봉을 가지는 회전구이기;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일측에 부착되는 도어; 및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조리실의 일측에 배치된 히터를 포함 한다.
상기 조리실은 그 양측면에 대향 및 수평하게 연장형성된 다수의 석쇠고정홈을 가지며, 상기 석쇠고정홈에 다단계로 걸칠 수 있으며 망으로 형성된 석쇠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그 테두리부에 미끄럼방지턱이 돌출형성된 찜판얹힘부가 형성되며, 상기 찜판얹힘부에 얹히며 일측이 트여지고 그 하방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찜판과, 상기 찜판내부에 그 바닥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찜선반과, 상기 찜판을 덮는 찜판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회전판은 각각의 외주 주변에 다수의 꼬치대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꼬치대공에 각각 장착되며 일측에 장착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되며 그 단부에는 고정력을 주기 위한 탄성고정편이 부착되며 가늘고 긴 막대형상으로 구성된 다수의 꼬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베큐바들에는 각각의 일단에 수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회전판중의 어느 하나는 그 내면에 상기 수나사에 형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홈을 가진 바베큐고정부재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구이기의 상기 제1회전판과 상기 제1축봉 및 상기 제2회전판과 제2축봉은 각각 일체로 사출될 수 있다.
상기 회전구이기는 제1프레임의 하방으로 망으로 형성된 수납공간을 가지는 바스켓본체와,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을 통하여 상기 바스켓본체의 측면에 다단계로 안착될 수 있으며 그 내부가 망으로 형성된 제2프레임을 가지는 바스켓커버와, 상기 바스켓본체의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바베큐대의 각각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바베큐대사이에 상기 바베큐본체를 장착시키기 위한 바스켓취부수단으로 구성된 바스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커버에는 상기 제2프레임에 고정되어 내측으로 연장되고 탄성복원력을 가진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에서 연장되어 다단절곡되며 상기 제1프레임의 하부의 망에 다단계로 안착되도록 상기 제2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바스켓커버의 상측으로 절곡형성된 손잡이부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 안착부, 및 손잡이부는 대향측에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스켓취부수단은 평판형상이며, 상기 바베큐대가 안착될 안착홈들이 일단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안내공을 가진 안내편들이 상기 안착홈들 사이에 대향되게 각각 돌출형성되며 힌지홈을 가진 힌지편들이 타단부의 양측에 대향되게 각각 돌출형성되어 상기 바스켓본체의 양측면의 중심부에 각각 부착된 취부판들과,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이 연장되어 상기 힌지홈들에 각각 움직일 수 있게 끼워지며 이러서 연장되어 상기 안내공들에 각각 움직일 수 있게 끼워지며 상기 안착홈들을 개폐시키도록 양단이 조절된 탄성부재들과, 상기 바스켓본체의 정면 전방의 상하부에 수평하게 연장되며 양모서리 주위에서 측면과 평행하게 절곡되며 양측면에서 서로 교차되고 상기 탄성부재들의 연장부에 각각 고정되어 외력이 부가될 때 상기 안착홈을 개폐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의 일측면패널은 그 상하부에 각각 수평하게 연장형성된 제1 및 제2안내공을 가지며 전방 단부에 단이형성된 도어고정부를 가지는 사이드캡과, 일면의 상하부 각각에는 제1 및 제2슬라이드가 설치되며 타면의 양단부 각각에는 제1 및 제2결합공을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결합부재가 절곡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안내공의 각각에 끼워지며 상기 사이드캡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동지지대와, 상기 조리실의 측벽의 뒷면의 상하부의 각각에 수평하게 부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의 각각이 끼워져 안내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의 각각에 형합하는 형상을 가진 안내홈이 연장형성된 제1 및 제2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조리실의 개구측에 형합되는 형상을 가진 도어프레임과 , 상기 도어프레임에 장착되며 투명재질의 내열강화유리로 구성된 윈도우와,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의 상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동지지대의 제1 및 제2결합공의 각각에 끼워져 상기 도어프레임을 지지하며 개폐작용시 회전중심이 되는 제3 및 제4결합부재를 가지며, 상기 도어는 상기 제1 및 제2안내공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개폐작용을 수행한다.
상기 제1슬라이드는 막대형상이며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같은 높이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는 상기 제1슬라이드가 접촉하는 부위에 다수의 회전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드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같은 높이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울러를 가지고, 상기 제2슬라이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울러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는 상기 조리실의 상면에 배치된 열선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의 상면 패널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조리실의 상면과 상기 히터사이에 설치된 열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기오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오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오븐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크게 조리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조리실(110)을 구비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우측벽 내에 설치된 구동장치(200), 상기 조리실(110)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장치(200)와 연결된 회전구이기(300), 상기 본체(100)의 정면에 설치된 도어(400), 상기 조리실(110)의 상면에 설치된 열선(500)으로 구성된다.
도3a 및 도3b는 도2에 도시된 전기오븐의 조리실의 양측벽의 사시도이다.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안내홈(120,130)은 상기 회전구이기(300)가 상기 조리실(110)에 장착될 때 안내되는 통로이다. 조리실(110)의 좌측벽에는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된 제1안내홈(120)이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폐쇄측은 좌측벽의 중간에 위치하며, 상기 폐쇄측에는 대향벽을 향한 경사면(122)이 형성되어 완만하게 측평면과 연결된다. 즉, 폐쇄측의 단부는 그 홈의 깊이가 얕아지도록 테이프져서 측평면과 연결되어 있다. 한편, 폐쇄측의 단부는 측평면으로부터 완만하게 돌출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면(122)은 상기 회전구이기(300)를 상기 조리실(110)의 대향 측벽으로 이동시켜 상기 구동장치(200)에 결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폐쇄측의 하방에는 지지부재(124)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구이기(300)는 상기 지지부재(124)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재(124)는 상기 조리실(110)의 측벽과 일체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3b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리실(110)의 우측벽에는 일측이 개구되고 타측이 폐쇄된 제2안내홈(130)이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폐쇄측은 상기 제1안내홈(120)의 폐쇄측과 대향되는 위치에 있으며, 그 하방에는 원형의 장착공(13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공(132)과 폐쇄측 단부는 테이프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3a, 도3b, 및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조리실(110)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안내홈(120,130)의 상하부에 수평하게 및 대향되게 형성된 석쇠고정홈(140)이 형성된다. 상기 석쇠고정홈(140)은 상기 조리실(110)의 뒷면까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석쇠고정홈(140)에는 석쇠(142)가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석쇠(142)는 요철된 평판 형상이며, 다수의 통공(144)과 내측으로 경사진 다수의 경사부(146)가 형성되어 있다. 구이할 때 조리물로부터 나온 기름 등이 상기 경사부(146)에 떨어지면, 상기 기름 등은 상기 경사부(146)를 따라 상기 통공(144)으로 유도된다. 이때, 상기 기름 등이 상기 통공(144)을 통해 상기 조리실(110)의 하부에 설치된 기름받이(160)에 떨어진다. 따라서, 기름 등이 상기 조리실(110)의 측벽에 튀어 더러워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 석쇠(142)는 생선이나 얇게 썰은 돼지고기 등을 익힐 때 사용되어 진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는 그 테두리에 미끄럼방지턱(152)이 돌출형성된 찜판얹힘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찜판얹힘부(150)에는 찜판(154)이 얹히며, 상기 찜판(154)내부에는 찜선반(155)이 설치된다. 또한, 찜판커버(156)가 상기 찜판(154)을 덮는다. 상기 미끄럼방지턱(152)은 상기 찜판(154)이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찜판(154)은 일측이 트여지고 그 하방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찜판얹힘부(150)는 상기 조리실(110)의 상면에 배치된 열선(510)에 의해 가열되며, 그 열에 의해 상기 찜판(154)이 가열된다. 즉, 대기로 방출되는 열을 이용하여 찜요리 등을 할 수 있으므로 열효율을 높인다. 상기 찜선반(155)은 망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찜판(154)의 바닥과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찜판커버(156)는 단열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찜판커버(156)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을 덮고 있어서 사용자가 가열된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접촉하여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찜판(154)의 사용방법은 상기 찜선반(155)을 상기 찜판(154)내에 설치하고, 찜할 조리물을 상기 찜선반(155)위에 얹고 찜판커버(156)를 덮어 찜을 한다.
또한, 도3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조리실(110)의 일측에는 어두운 곳에서 조리상태를 쉽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기구(1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기오븐이 작동될 때 상기 조리실(110) 내부의 온도는 매우 높기 때문에 조리실(110)을 이루는 재질은 내열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어야 한다.
도5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오븐의 구동장치의 개략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구동장치(200)는 모터케이스(240)와 연결부재(210)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케이스(240)는 동력원이 되는 모터(230)와 상기 모터(23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다수의 기어와 피니언(222,224)으로 구성된 감속수단(220)을 내장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재(210)의 일단은 다각홈(212)을 가지며 상기 회전구이기(300)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기어(222)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210)는 상기 장착공(132)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모터케이스(240)에 내장된 다수의 기어와 피니언(222,224)은 기어와 피니언(222,224)의 맞물림이 다단계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부재(210)의 회전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부재(210)와 기어(222)는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감속수단(220)은 체인, 밸트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6a는 도2에 도시된 전기오븐의 회전구이기의 전체사시도이며, 도6b 및 도6c는 도6a에 도시된 회전구이기의 제1 및 제2회전판의 평면도이며, 도6d는 도6a에 도시된 회전구이기에 설치될 바베큐대의 사시도이며, 도6e는 도6a에 도시된 회전구이기에 설치될 꼬치대의 사시도이며, 도7a 내지 도7c는 도6a에 도시된 회전구이기의 설치상태도이다.
도6a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회전구이기(300)는 제1 및 제2회전판(310,320), 2개의 바베큐대(330), 제1축봉(312), 및 제2축봉(322)으로 구성된다.
도6b 및 도6c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1 및 제2회전판(310,329)은 원판형상이며,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소정의 위치에 소정 모양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요철(318)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회전판(310,320)의 각각의 내면에는 상기 바베큐바들(330)이 끼워지도록 상기 바베큐바들(330)의 단면에 형합하는 형상의 고정홈을 가진 바베큐바고정부재(316,32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외주에는 꼬치대(340)가 끼워지는 다수의 꼬치대공(314,324)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축봉(312)은 원기둥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제1회전판(310)의 외면의 중심부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회전판(310)과 상기 제1축봉(31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봉(312)은 상기 제1안내홈(120)에 끼워져 안내되며, 상기 지지부재(124)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구이기(300)를 지지한다.
상기 제2축봉(322)은 다각기둥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제2회전판(320)의 외면의 중심부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회전판(320)과 상기 제2축봉(32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봉(322)은 상기 제2안내홈(130)에 끼워져 안내되며, 상기 연결부재(210)의 다각홈(212)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서 상기 회전구이기(300)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회전구이기(30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즉, 상기 감속수단(220)에 의해 감속된 회전력을 상기 연결부재(210)로 부터 받아 상기 회전구이기(300)를 적절한 속도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축봉(322)은 전동효율 및 결합성을 고려할 때 사각단면 또는 육각단면이 바람직하다.
도6d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바베큐대(330)는 긴 막대형상이며, 열에 강하고 위생적인 재질로 만들어진다. 한편, 닭 등의 조리물을 쉽게 끼우기 위해 일단을 뽀족하게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바베큐대(330)는 조리물이 끼워지는 부분이며, 조리물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바베큐대고정부재(316,326)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바베큐대(330)는 2개 이상이며, 조리물을 끼우는 효율 및 회전균형을 고려할 때 2개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베큐대(330)는 일단에 수나사를 형성시키고, 상기 바베큐대고정부재들(316,326)은 그 내면에 상기 수나사에 형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베큐대(330)의 수나사를 상기 고정홈의 암나사에 체결하여 상기 바베큐대(330)를 상기 제1 또는 제2회전판(310,320)에 고정시킨다. 이 나사결합에 의해 바베큐대(330)의 일단을 상기 제1 또는 제2회전판(310,320)에 확실히 고정한 후 조리물을 상기 바베큐대(330)에 끼우면, 상기 바베큐대(330)의 일측이 고정되므로 조리물을 끼우기 편리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판(310,320) 중의 어느하나의 바베큐대고정부재들(316,326)에 암나사가 형성되면 된다.
도6e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꼬치대(340)는 가늘고 긴 막대형상이며, 일측에는 장착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344)가 형성되며, 그 단부에는 고정력을 주기 위한 탄성고정편(342)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344)는 상기 제1 또는 제2회전판(310,320)에 밀착되는 부분으로써, 상기 꼬치대(340)가 상기 꼬치대공(314,324)에 일정 길이로 장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고정편(342)은 상기 꼬치대(340)가 상기 꼬치대공(314,324)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써, 탄성복원력이 고정력이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고정편(342)은 탄성복원력을 가진 얇고 좁은 판 또는 강선을 굴곡시켜 상기 꼬치대(340)의 일단부에 부착시킨 것이다. 상기 꼬치대(340)는 상기 꼬치대공(314,324)에 끼워지며, 꼬치나 어묵 등 비교적 작은 조리물을 익힐 때 사용된다.
도8a는 도2에 도시된 전기오븐의 바스켓의 사시도이다.
도8a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회전구이기(300)에는 생선 등을 익힐 때 사용되는 바스켓(60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600)은 바스켓본체(610), 바스켓커버(620), 및 바스켓취부수단(630)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바스켓(600)은 생선 등과 같이 상기 바베큐대(330)에 끼우기 어려운 조리물을 익힐 때 사용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바스켓본체(610)는 제1프레임(612)의 하방으로 망으로 구성된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프레임(612)은 사각형상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납공간은 조리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박스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즉 상기 바스켓본체(610)는 일측이 트여진 상태이다. 상기 바스켓본체(610)는 열에 강한 강선으로 만들어진 망으로 형성되어 조리물로 쉽게 열을 전달시킨다.
도8b 및 도8c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바스켓커버(620)는 상기 바스켓본체(610)를 덮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바스켓커버(620)는 상기 제1프레임(612)에 형합하되 축소된 형상을 가진 제2프레임(622)을 가지며, 상기 제2프레임(622)의 내측은 열이 쉽게 통과하도록 강선으로 이루어진 망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스켓커버(620)는 탄성부(624), 안착부(626), 및 손잡이부(628)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624)는 상기 제2프레임(622)에 고정되어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안착부(626)는 상기 탄성부(624)에서 연장되어 다단절곡되어 상기 제2프레임(622)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바스켓본체(610)에 안정적으로 설치되기 위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628)는 사용자가 쉽게 잡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안착부(626)에서 연장되어 상기 바스켓커버(620)의 상방으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624), 안착부(626), 및 손잡이부(628)는 일체로 연장절곡되도록 형성되며 대향측에 걸쳐 쌍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바스켓커버(620)가 조리물을 밀착고정시키도록 상기 바스켓커버(620)를 구성하는 망의 일부를 하측으로 'V'자 또는 'U'형상으로 절곡 돌출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바스켓(600)이 상기 회전구이기(300)에 장착되어 상기 조리실(110)에 설치되어 회전될 때, 상기 바스켓커버(620)가 조리물을 밀착 고정시키며 상기 'V'자 또는 'U'형상의 절곡 돌출부(629)가 조리물의 이동을 저지한다. 따라서 상기 바스켓(600)이 원활히 회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바스켓커버(620)를 상기 바스켓본체(610)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8c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바스켓커버(620)를 상기 바스켓본체(610)에 안착시키는 경우에는, 대향측에 걸쳐 형성된 상기 한쌍의 손잡이부(628)가 서로 접근하도록 잡으면, 상기 한쌍의 탄성부(624)가 서로 접근하며, 이에 따라 상기 한쌍의 안착부(626)가 상기 제2프레임(622)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커버(620)를 상기 제1프레임(612)을 통하여 상기 바스켓본체(610) 내부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손잡이부(628)를 놓으면, 도1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한쌍의 안착부(626)가 상기 제2프레임(62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스켓본체(610)의 대향되는 양측면에 각각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바스켓커버(620)의 안착 깊이는 다단계로 조절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바스켓커버(620)를 상기 바스켓본체(610)로부터 해제시키는 경우, 안착시킬 때와 마찬가지로 대향측에 걸쳐 형성된 상기 한쌍의 손잡이부(628)가 접근하도록 잡으면, 상기 바스켓본체(610)의 소정의 위치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한쌍의 안착부(626)가 상기 제2프레임(622)의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바스켓본체(610)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커버(620)를 상기 바스켓본체(610)로 부터 빼내어 상기 손잡이부(628)를 놓는다. 즉, 상기 바스켓커버(620)의 안착 및 해제는 상기 탄성부(624)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스켓취부수단(630)은 상기 바스켓본체(610)를 상기 회전구이기(300)에 간편하게 장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바베큐대(33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바스켓취부수단(630)은 2개의 취부판들(632), 2개의 탄성부재들(634), 및 손잡이(636)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취부판들(632)은 소정 형상의 평판이며, 바람직하게는 사다리꼴이다. 상기 취부판(632)의 일단부의 양측에는 상기 바베큐대(330)가 장착될 장착홈들(632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홈들(632a) 사이에는 안내공(632b)을 가진 안내편들(632c)이 대향되게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의 양측에는 힌지홈(632d)을 가진 힌지편들(632e)이 대향되게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취부판들(632)은 상기 바스켓본체(610)의 대향되는 양측면 중앙부위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홈들은(632a) 상기 바스켓(600)이 상기 회전구이기(300)에 장착되어 회전할 때 회전중심이 된다.
상기 탄성부재들(634)은 비틀림스프링(634a)의 양단을 연장시켜서 상기 힌지홈들(632d)에 각각 움직일 수 있게 끼워지며, 계속 연장되어 상기안내공들(632b)에 각각 움직일 수 있게 끼워진다. 상기 탄성부재들(634)의 양단은 상기 안내공들(632b)로 끼워질 때 절곡되어 상기 장착홈들(632a)을 폐쇄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636)에 의해 상기 비틀림스프링(634a)의 연장부(634b)에 외력이 부과되면 상기 장착홈들(632a)은 개방되도록 길이가 조절된다.
상기 손잡이(636)는 2가닥의 강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스켓본체(610)의 일측면과 이격된 상하부에 각각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하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바스켓본체(610)의 양모서리 주위에서 직교되는 양측면과 평행하게 절곡되어 있다. 또한, 계속 연장되어 상기 바스켓본체(610)의 양측면에서 서로 교차되며, 상기 탄성부재들((634)의 연장부(634b)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636)의 2가닥이 접근하도록 잡으면, 상기 탄성부재들(634)의 연장부(634b)의 양단이 서로 가까워져서 상기 장착홈들(632a)이 개방된다. 이때, 상기 힌지홈들(632d)은 지렛대의 중심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바스켓(600)이 상기 회전구이기(300)에 장착되어 회전할 때 상기 바스켓본체(610)가 상기 바스켓취부수단(630)의 무게 때문에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바스켓취부수단(630)이 위치한 반대편에 상기 바스켓취부수단(630)에 상당하는 무게를 가진 웨이트(미도시)를 부착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 바스켓(600)을 상기 회전구이기(300)에 장착시키는 방법을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8d 및 도8e는 상기 바스켓취부수단(630)을 상기 회전구이기(300)에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d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바스켓(600)을 상기 회전구이기(300)에 장착시키는 경우, 먼저 상기 손잡이(636)의 2가닥의 강선이 접근하도록 잡으면, 상기 탄성부재들(634)의 연장부(634b)가 서로 접근하여 상기 장착홈들(632a)이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600)을 상기 회전구이기(300)에 설치된 상기 바베큐대들(330)사이로 이동시켜 상기 베베큐대들(330)을 상기 장착홈들(632a)에 장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636)를 놓으면, 도8e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탄성부재들(634)의 탄성복원에 의해 상기 장착홈들(632a)이 폐쇄되어 상기 바스켓(600)이 상기 회전구이기(300)에 장착된다. 즉, 상기 회전구이기(300)가 상기 조리실(1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600)을 상기 회전구이기(30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바스켓(600)을 상기 회전구이기(300)로 부터 해제시키는 경우, 장착시킬 때와 마찬가지로 먼저 상기 손잡이(636)의 2가닥의 강선이 접근하도록 잡아서 상기 장착홈들(632a)을 개방시킨채 상기 손잡이(636)를 상기 조리실(110)의 개방부측으로 당기면, 상기 바스켓(600)이 상기 회전구이기(300)로부터 분리된다.
도9a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본체의 일측면패널(700)과 도어(4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9a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본체(100)의 일측면 패널(700)은 사이드캡(710), 가동지지대(720), 및 제1 및 제2가이드레일(730,7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캡(710)은 수납공간을 가지는 케이스로써, 그 상하부에 제1 및 제2안내공(712,714)이 각각 수평하게 연장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 단부 주위에는 상기 도어(400)가 개방되도록 회전할 때 상기 도어(400)와 상기 본체의 측면패널(700)이 간섭하지 않도록 수직방향으로 단이지게 연장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지지대(720)는 상기 도어(400)를 지지하며 이동시키는 것으로써, 상기 사이드캡(710)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동지지대(720)는 얇고 긴 막대형상으로서, 일면의 상하부 각각에는 제1 및 제2슬라이드(722,724)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면의 양단부의 각각에는 제1 및 제2결합공(726,728)을 가지는 제1 및 제2결합부재(727,729)가 절곡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슬라이드(722)는 막대형상이며 상기 제1가이드레일(730)과 같은 높이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730)의 상기 제1슬라이드(722)가 접촉하는 부위에는 다수의 회전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미도시)는 볼 또는 로울러 등이다. 한편, 상기 제1슬라이드(722)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730)과 같은 높이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울러를 가진 것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슬라이드(740)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울러로 대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슬라이드(722)를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시킨 이유는 상기 도어(400)의 지지력을 분산시켜 상기 도어(400)의 무게로 인해 상기 가동지지대(720)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레일(730,740)은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722,724)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722,724)에 각각 형합하는 형상의 홈을 가지면서 길게 연장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레일(730,740)은 상기 조리실(110)의 측벽의 배면의 상하부에 각각 수평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레일(730,740)의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722,724)가 접촉되는 부분에는 다수의 회전체(미도시)를 설치하여 상기 도어(400)를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722,724) 및 상기 가이드레일(730,740)은 주어진 조건에 따라 각각 2개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400)는 도어프레임(410), 윈도우(420), 및 제3 및 제4결합부재(430,440)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 도어프레임(410)은 상기 조리실(110)의 개방부측에 형합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도어프레임(410)의 외측면 일단부에 도어개폐손잡이(450)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윈도우(420)는 조리실(110)의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재질의 유리로 형성되며, 상기 조리실(110)은 고온이므로 내열강화유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도우(420)는 상기 도어프레임(41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3 및 제4결합부재(430,440)는 상기 가동지지대(720)의 제1 및 제2결합공(726,728)의 각각에 끼워지는 부분으로서, 상기 도어프레임(410)의 내측면의 일단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거나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3 및 제4결합부재(430,440)에는 제1 및 제2결합공(726,728)에 끼워지도록 하향 돌출된 제1 및 제2결합돌기(432,44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도어(400)와 상기 가동지지대(720)는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결합부재(727) 및 제3결합부재(420)와 상기 제2결합부재(729) 및 제4결합부재(430)는 각각 힌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도어(400)의 작동 상태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9b 및 도9c는 상기 도어(400)의 작동상태도이다.
도9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도어(400)를 열고자 하는 경우, 먼저 상기 도어개폐손잡이(450)를 당기면, 상기 도어프레임(410)이 상기 본체(100)로부터 떨어지면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돌기(432,44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계속 회전하여 상기 도어(400)가 상기 본체(100)의 측면패널(700)과 평행하게 되었을 때 상기 도어개폐손잡이(450)를 상기 본체(100)의 측면패널(700)에 평행한 방향으로 밀면, 도9c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도어(400)는 상기 가동지지대(720)에 지지되어 상기 제1 및 제2안내공(712,714)을 따라 상기 본체(100)의 측면패널(700)과 평행하게 상기 본체(100)의 후면까지 이동하여 상기 본체(100)의 측면패널(700)에 장착된다. 즉, 처음에는 여닫이형식으로 작동되며, 나중에는 미닫이형식으로 작동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도어(400)를 닫고자 하는 경우, 상기 도어개폐손잡이(450)를 당기면, 상기 도어(400)는 상기 가동지지대(720)에 지지되어 상기 제1 및 제2안내공(712,714)을 따라 상기 본체(100)의 측면패널(700)과 평행하게 상기 본체(100)의 전면까지 이동한다. 이때 상기 도어개폐손잡이(450)를 우측으로 밀면, 상기 도어(40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조리실(110)을 밀폐시킨다. 즉, 처음에는 미닫이형식으로 작동되며, 나중에는 여닫이형식으로 작동된다.
도10은 도2에 도시된 전기오븐의 조리실에 설치된 히터 및 열반사판의 개략투시도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히터(500)는 상기 조리실(110)의 상면에 설치된 열선(510)일 수 있다. 상기 열선(510)은 상기 조리실(110)의 상면 전체에 걸쳐, 지그재그 모양 또는 다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선(510)은 상기 조리실(510)의 측벽에 형성된 열선인출구(미도시)를 통하여 외부 전원(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조리실(110)의 상면에 배치시키면 열을 위에서 아래로 이동시키므로 수평하게 설치된 석쇠 등을 이용하여 구이할 때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도어(4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작동될 때, 열이 상하로 이동하므로 상기 조리실(110)의 뒷면에 설치된 것보다 전기오븐 외부로의 방열량이 적다. 또한, 조리물로부터 떨어진 기름 등과 접촉하지 아니하므로 화재의 위험이 제거되어 안전하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상기 찜판(154)을 얹어서 찜요리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상면 패널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재질이며, 평판형상의 열반사판(520)이 상기 조리실(110)의 상면과 상기 히터(500)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열반사판(520)은 대기로의 방열을 방지하여 열효율을 높이고, 상기 본체(100)의 상면 패널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접촉에 의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전기구이는 콘트롤박스(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콘트롤박스(미도시)는 상기 구동장치(200), 히터(500), 도어(400) 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상기 본체(100)의 전면의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외표면에는 조작부가 배열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에는 전원스위치, 조리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손잡이, 상기 회전구이기(300)를 소정의 각도로 조절하는 각도조절손잡이, 조리시간을 조절하는 시간조절손잡이,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개방버튼 등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각각은 제어되는 부분과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기오븐의 각종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여 그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부의 내측에는 회로기판(미도시)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상기 구동장치(200), 열선(500), 도어(400) 등에 전달시키며, 이에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기오븐이 자동제어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전기오븐은 기름받이(160)를 더 가질 수 있다. 상기 기름받이(160)는 일측이 트여지며 수납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리실(110)의 하면에 설치된다. 상기 기름받이(160)는 조리물이 구이될 때 떨어지는 기름 등을 받기 위한 것이다. 또한, 석쇠(142)를 상기 기름받이(160)위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석쇠(142)는 요철된 평판형상이며, 다수의 통공(144)과 내측으로 경사진 다수의 경사부(14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이할 때 조리물로부터 나온 기름 등이 상기 경사부(146)에 떨어지면, 상기 기름 등은 상기 경사부(166)에 반사되어 상기 통공(144)으로 유도된다. 따라서, 기름 등이 상기 조리실(110)의 측벽에 튀어 더러워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전기오븐의 사용방법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닭 등의 조리물을 상기 바베큐대들(330)에 천천히 꽃는다. 다음으로 상기 도어(400)를 열어 상기 본체의 측면패널(700)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조리물이 꽃힌 바베큐대들(330)을 상기 제1 및 제2회전판(310,320)에 각각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도12 내지 도1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1축봉(312)을 상기 제1안내홈(120)에 끼우며, 동시에 상기 제2축봉(322)을 상기 제2안내홈(130)에 끼워서 상기 회전구이기(300)를 상기 조리실(1100의 내부로 민다. 이때 상기 제1축봉 및 제2축봉(312,322)은 상기 제1 및 제2안내홈(120,130)의 폐쇄측까지 안내되어 이동되며, 계속해서 상기 폐쇄측의 끝단에 형성된 경사면(122)을 따라 이동된다. 결국, 상기 제1축봉(312)은 상기 지지부재(124)에 장착되며, 상기 제2축봉(322)은 상기 연결부재(210)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구이기(300)는 상기 조리실(110)의 개방부측에서 폐쇄측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경사면(122)을 지날때는 상기 조리실(110)의 좌측벽에서 우측벽으로 이동되어 상기 구동장치(200)와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어(400)를 닫고, 상기 시간조절손잡이 및 온도조절손잡이를 조리물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고, 상기 전기오븐을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구이기(300)가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면서 조리물이 구이된다. 여기서, 조리물이 회전할 때 떨어지지 않도록 실 등의 고정수단(미도시)으로 조리물을 상기 바베큐대들(330)에 고정하면 안전하다. 또한, 상기 회전구이기(300)의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조리물은 상기 회전구이기(330)의 중앙에 오도록 고정시킨다.
한편, 꼬치 등을 구이할 경우에는 구이할 꼬치 등을 상기 꼬치대(340)에 순차로 꽂는다. 꼬치들이 끼워진 꼬치대(340)를 상기 회전구이기(300)의 제1 및 제2회전판(310,320)의 꼬치대공(314,324)에 각각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꼬치대(340)의 일단에 부착된 탄성수단(342)에 의해 고정력이 증가된다. 다음으로 꼬치대(340)가 부착된 회전구이기(300)를 상기와 같이 상기 조리실(110)에 안착시켜 구이한다.
한편, 생선 등을 구이할 경우에는 상기 바스켓본체(610)에 생선 등을 넣고 바스켓커버(620)를 덮는다. 다음으로 상기 바스켓(600)의 손잡이(636)의 2가닥의 강선을 접근하도록 잡아 상기 장착홈들(632a)을 개방시킨 후, 상기 바스켓(600)을 상기 조리실(110)에 장착된 바베큐대들(330)사이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바베큐대들(330) 각각에 상기 장착홈들(632a)을 장착시킨 후, 상기 손잡이(636)를 놓는다. 다음으로 바베큐대들(330)만 부착된 회전구이기(300)를 장착할 때와 마찬가지로 상기 시간조절손잡이 및 온도조절손잡이를 조리물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고, 상기 전기오븐을 작동시켜서 구이한다. 여기서, 조리물이 회전하면서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바스켓커버(620)를 조리물에 밀착되도록 장착한다.
또한, 생선 등을 구이할 경우 상기 석쇠(142) 위에 생선 등을 놓고 상기 석쇠고정홈(140)에 고정시켜 상기 전기오븐을 작동시켜서 한쪽을 익힌 후, 상기 석쇠(142)를 빼내어 조리물을 뒤집고 다시 상기 석쇠고정홈(142)에 고정시켜 다른쪽을 익힌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오븐은 상기 도어(400)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효과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재래식 화로처럼 상기 도어(400)의 개방상태에서 상기 석쇠 등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구이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의 범위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또한, 각 부재 및 부속물의 크기는 설계치수에 의거 변화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바베큐대, 꼬치대, 석쇠, 또는 바스켓을 조리물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구이기에 장착하여 조리하므로 육류, 감자, 과자 등 다양한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으며, 회전시키면서 조리하므로 조리물이 골고루 익혀진다. 또한, 제1 및 제2회전판의 중심부에 부착된 제1 및 제2축봉이 조리실에 형성된 제1 및 제2안내홈에 안내되며 일측방으로 이동하여 본체의 일측에 위치한 구동장치와 직접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구이기를 조리실에 쉽게 장착시킬 수 있으며, 다각돌기가 다각홈에 끼워지는 구조이므로 미끄럼이 발생하지 아니하여 전동효율이 높다. 또한, 모터의 회전력이 회전판의 회전중심에 직접연결되므로 회전구이기의 회전이 원활하다. 또한, 탄성체를 가진 바스켓취부수단을 이용하여 바스켓을 회전구이기에 장착시키므로, 회전구이기가 조리실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바스켓을 간편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바스켓을 이용하여 구이할 때 편리하다. 또한, 도어를 본체의 일측면에 위치시켜 조리실을 개방하므로 도어에 방해받지 않고 조리물을 조리실에 출입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실제 사용시에 주방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히터가 조리실의 상면에 배치되어 열을 상하로 이동시키므로 석쇠 등을 이용할 때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상기 본체의 상면에 상기 찜판을 얹어서 대기로 방출되는 열을 이용하여 조리물을 찔 수 있으며, 조리물에 따라 석쇠의 높이를 다단계로 조정가능하므로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4)

  1.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되게 조리실의 양측 내벽에 대향되게 연장형성된 제1 및 제2안내홈(120,130)과, 상기 제1안내홈(120)의 폐쇄측 단부에 제2안내홈(130)을 향하여 형성된 경사면(122) 주위에 고정되며 원형단면의 제1축봉(312)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24)와, 상기 제2안내홈(130)의 폐쇄측 단부에 형성된 장착공(132)을 가지는 조리실(110)을 구비한 본체(100);
    상기 장착공(13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결합되며 일측에 다각홈(212)을 가진 연결부재(210)와, 상기 연결부재(210)의 타측과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21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감속수단(220)을 가지며, 상기 본체(1000의 일측에 안착된 구동장치(200);
    원판형상의 제1 및 제2회전판(310,320)과, 상기 제1 및 제2회전판(310,320)의 각각의 일면에 부착되며 막대형상을 가진 적어도 2개 이상의 바베큐대(330)와, 상기 제1안내홈(120)에 삽입되어 이동하여 상기 지지부재(124)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회전판(310)의 타면의 회전중심부에 부착되는 원기둥형상의 상기 제1축봉(312)과, 상기 제2안내홈(130)에 삽입되어 이동하여 상기 연결부재(210)의 다각홈(212)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2회전판(320)의 타면의 회전중심부에 부착되는 다각기둥형상의 제2축봉(322)을 가지는 회전구이기(300);
    상기 조리실(110)을 개폐하기위하여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부착되는 도어(400); 및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조리실(110)의 일측에 배치된 히터(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110)은 그 양측면에 대향 및 수평하게 연장형성된 다수의 석쇠고정홈(140)을 가지며, 상기 석쇠고정홈(140)에 다단계로 걸칠 수 있으며 망으로 형성된 석쇠(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는 그 테두리부에 미끄럼방지턱(152)이 돌출형성된 찜판얹힘부(150)가 형성되며, 상기 찜판얹힘부(150)에 얹히며 일측이 트여지고 그 하방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찜판(154)과, 상기 찜판내부에 그 바닥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찜선반(155)과, 상기 찜판(154)을 덮는 찜판커버(15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판(310,320)은 각각의 외주 주변에 다수의 꼬치대공(314,324)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꼬치대공(314,324)에 각각 장착되며 일측에 장착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344)가 형성되며 그 단부에는 고정력을 주기 위한 탄성고정편(342)이 부착되며 가늘고 긴 막대형상으로 구성된 다수의 꼬치대(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베큐바들(330)에는 각각의 일단에 수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회전판(310,320) 중의 어느 하나는 그 내면에 상기 수나사에 형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홈을 가진 바베큐고정부재들(316,3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이기(300)의 상기 제1회전판(310)과 상기 제1축봉(312) 및 상기 제2회전판(320)과 제2축봉(322)은 각각 일체로 사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이기(300)는 제1프레임(612)의 하방으로 망으로 형성된 수납공간을 가지는 바스켓본체(610)와, 상기 제1프레임(612)의 내측을 통하여 상기 바스켓본체(610)의 측면에 다단계로 안착될 수 있으며 그 내부가 망으로 형성된 제2프레임(622)을 가지는 바스켓커버(620)와, 상기 바스켓본체(610)의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바베큐대들(330)의 각각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바베큐대들(330)사이에 상기 바베큐본체(610)를 장착시키기 위한 바스켓취부수단(630)으로 구성된 바스켓(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커버(620)는 상기 제2프레임(622)에 고정되어 내측으로 연장되고 탄성복원력을 가진 탄성부(624)와, 상기 탄성부(624)에서 연장되어 다단절곡되며 상기 제1프레임(612)의 하부의 망에 다단계로 안착되도록 상기 제2프레임(622)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안착부(626)와, 상기 안착부(626)에서 연장되어 상기 바스켓커버(620)의 상측으로 절곡형성된 손잡이부(628)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624), 안착부(626), 및 손잡이부(628)는 그 대향측에 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취부수단(630)은 평판형상이고 상기 바베큐대들(330)가 안착될 안착홈들(632a)이 일단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안내공(632b)을 가진 안내편들(632c)이 상기 안착홈들(632a) 사이에 대향되게 각각 돌출형성되며 힌지홈(632d)을 가진 힌지편들(632e)이 타단부의 양측에 대향되게 각각 돌출형성되어 상기 바스켓본체(610)의 양측면의 중심부에 각각 부착된 취부판들(632)과, 비틀림스프링(634a)의 양단이 연장되어 상기 힌지홈들(632d)에 각각 움직일 수 있게 끼워지며 이어서 연장되어 상기 안내공들(632b)에 각각 움직일 수 있게 끼워지며 상기 안착홈들(632a)을 개폐시키도록 양단이 조절된 탄성부재들(634)과, 상기 바스켓본체(610)의 전면 전방 상하부에 수평하게 연장되며 양모서리 주위에서 양측면과 평행하게 절곡되며 상기 양측면에서 서로 교차되고 상기 탄성부재들(634)의 연장부(634b)에 각각 고정되어 외력이 부가될 때 상기 안착홈들(632a)을 개폐시키기 위한 손잡이(6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패널(700)은 그 상하부에 각각 수평하게 연장형성된 제1 및 제2안내공(712,714)을 가지며 전방 단부에 단이 형성된 도어고정부(716)를 가지는 사이드캡(710)과, 일면의 상하부 각각에는 제1 및 제2슬라이드(722,724)가 설치되며 타면의 양단부 각각에는 제1 및 제2결합공(726,728)을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결합부재(727,729)가 절곡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재(727,729(는 상기 제1 및 제2안내공(712,714)의 각각에 끼워지며 상기 사이드캡(710)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동지지대(720)와, 상기 조리실(110)의 일측벽의 뒷면의 상하부의 각각에 수평하게 부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722,724)의 각각이 끼워져 안내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722,724)의 각각에 형합하는 형상을 가진 안내홈(732,742)이 연장형성된 제1 및 제2가이드레일(730,740)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400)는 상기 조리실(110)의 개방부측에 형합되는 형상을 가진 도어프레임(410)과, 상기 도어프레임(410)에 장착되며 투명재질의 내열강화유리로 구성된 윈도우(420)와, 상기 도어프레임(410)의 일측의 상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동지지대(720)의 제1 및 제2결합공(726,728)의 각각에 끼워져 상기 도어프레임(410)을 지지하며 개폐작용시 회전중심이 되는 제3 및 제4결합부재(430,440)를 가지며, 상기 도어(400)는 상기 제1 및 제2안내공(712,714)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개폐작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드(722)는 막대형상이며 상기 제1가이드레일(730)과 같은 높이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730)에는 상기 제1슬라이드(722)가 접촉하는 부위에 다수의 회전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드(722)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730)과 같은 높이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울러를 가지고, 상기 제2슬라이드(7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500)는 상기 조리실의 상면에 배치된 열선(5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 패널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조리실(110)의 상면과 상기 히터(500)사이에 설치된 열반사판(5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
KR2020000017389U 2000-06-19 2000-06-19 전기오븐 KR2002038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389U KR200203830Y1 (ko) 2000-06-19 2000-06-19 전기오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389U KR200203830Y1 (ko) 2000-06-19 2000-06-19 전기오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830Y1 true KR200203830Y1 (ko) 2000-11-15

Family

ID=19661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389U KR200203830Y1 (ko) 2000-06-19 2000-06-19 전기오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830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706A (ko) * 2001-08-30 2003-03-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렌지용 바베큐 회전장치
KR100425558B1 (ko) * 2001-09-27 2004-04-03 주식회사 파세코 전기 바베큐 구이기용 바스켓구조
KR100427785B1 (ko) * 2001-08-30 2004-04-3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렌지용 바베큐 회전장치
KR101536483B1 (ko) * 2013-12-27 2015-07-1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조리장치
KR101768618B1 (ko) * 2015-08-26 2017-08-17 장정원 전기 오븐기기
CN114081367A (zh) * 2021-11-13 2022-02-25 江苏富佳伟业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架体可自动翻转的烤箱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706A (ko) * 2001-08-30 2003-03-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렌지용 바베큐 회전장치
KR100427785B1 (ko) * 2001-08-30 2004-04-3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렌지용 바베큐 회전장치
KR100425558B1 (ko) * 2001-09-27 2004-04-03 주식회사 파세코 전기 바베큐 구이기용 바스켓구조
KR101536483B1 (ko) * 2013-12-27 2015-07-1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조리장치
KR101768618B1 (ko) * 2015-08-26 2017-08-17 장정원 전기 오븐기기
CN114081367A (zh) * 2021-11-13 2022-02-25 江苏富佳伟业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架体可自动翻转的烤箱
CN114081367B (zh) * 2021-11-13 2023-07-11 江苏富佳伟业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架体可自动翻转的烤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07452B1 (en) Barbecue
KR100493601B1 (ko) 바비큐 그릴 스핏 어셈블리
US8330080B2 (en) Electric oven with adjustable heating element
US5562022A (en) Oven system
US7739948B2 (en) Simplified device to quickly cook food
US7138609B2 (en) Rotisserie oven having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riented cooking elements
US4476848A (en) Countertop oven
US6363836B1 (en) Rotisserie cooker unit
US5694831A (en) Toaster oven appliance
US20200029731A1 (en) Multi-function cooking oven having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riented cooking elements and multi-position horizontal and vertical rotation devices
US2893307A (en) Portable electric cooking device
US20170318629A1 (en) Multifunction Ovens
KR200203830Y1 (ko) 전기오븐
US3208808A (en) Barbecue unit
JPH09508562A (ja) 携帯バーベキュー用器具
US20190120502A1 (en) Articulated device for grilling food in an oven
KR100586732B1 (ko) 구이기
KR200386648Y1 (ko) 산적 및 고기 구이 장치
KR200271705Y1 (ko) 가변형 꼬지바베큐 자동구이기
RU217829U1 (ru) Узел вращения гриля
KR970008620B1 (ko) 구이용 조리기구
CA2550036A1 (en) Barbeque grill spit assembly
KR20030028145A (ko) 전기 바베큐 구이기
KR20000001866U (ko) 가스그릴렌지의 구이용 팬
JPH02136625A (ja) 電気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