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165Y1 - 휴대용 단말 카메라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165Y1
KR200202165Y1 KR2020000013354U KR20000013354U KR200202165Y1 KR 200202165 Y1 KR200202165 Y1 KR 200202165Y1 KR 2020000013354 U KR2020000013354 U KR 2020000013354U KR 20000013354 U KR20000013354 U KR 20000013354U KR 200202165 Y1 KR200202165 Y1 KR 2002021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imaging module
image
main body
terminal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3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국환
Original Assignee
오국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국환 filed Critical 오국환
Priority to KR20200000133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1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1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1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휴대용 단말 카메라는 외관을 형성하며 일면에 기억된 화상의 출력이 가능한 화상표시부를 가진 본체,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외부 사물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촬상모듈, 촬상모듈이 내측에 결합되며 본체의 일측에 축결합되는 설치축을 일측 양면에 구비하여 촬상모듈의 일방향 회전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위치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이 위치조절수단은 촬상모듈의 타방향 회전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타측 양면에 촬상모듈과 축결합되는 회동축을 구비한 것으로, 본 고안의 휴대용 단말 카메라는 PDA에서 사용되는 부품들을 공용으로 사용하며 CCD와 광학부 등 극히 일부분만이 별도로 추가되기 때문에 그 크기를 초소형, 경량화 할 수 있으며, 적외선 통신으로 입력된 화상을 다른 휴대용 단말기 등에 송수신 가능하며, 기억된 화상정보를 다른 일반 컴퓨터로 전송 처리 가능하다. 그리고 별도의 IC 카드의 내장이 가능하므로 손쉬운 화상 및 정보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고, 필요할 경우 음성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하며 원격으로 촬상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그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 카메라{A portable personal digital assistant camera}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로 알려진 마이크로 컴퓨터 시스템에 화상의 촬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카메라 장치가 일체로 설치된 휴대용 단말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전자기술의 발달로 컴퓨터 기능, 팩스기능, 전자수첩기능을 갖추어 휴대가 간편하도록 소형화된 개인 휴대용 단말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이와 함께 별도의 필름이 없는 디지털 카메라 또한 개발되어 범용화 되고 있다.
이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는 사물을 촬상하여 메모리에 촬상기록을 보관한 후 통상적인 데스크 탑 컴퓨터 또는 노트북 컴퓨터로 디지털 카메라에 저장된 촬상기록을 불러와서 화상에 대한 편집 출력 등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는 그 부피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시 휴대하기에는 상당한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통상적인 종래의 카메라와 같이 촬상이 필요한 경우에만 휴대하여 사용해 오고 있다. 반면에 종래의 개인 휴대용 단말기는 소규모 용량의 데이터 처리가 충분히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더욱이 화상 표시부를 함께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로 사물을 촬상한 후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접속하여 화상의 편집과 출력이 가능하나 이럴 경우에 두 개의 장치를 함께 휴대하여야만 이와 같은 작업의 수행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와 디지털 카메라 촬상부를 일체로 구비시켜 별도의 디지털 카메라를 휴대하지 않고 필요한 사물에 대한 촬상, 영상정보의 저장, 편집이 가능하게 하고, 더욱이 기본적인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작동 또한 가능하게 한 개인 휴대용 단말 카메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과 관련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된 카메라 촬상부가 좌우, 상하 다양한 각도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그 촬상 위치 확보와 조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개인 휴대용 단말 카메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 카메라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 카메라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 카메라의 카메라 설치부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다른 휴대용 단말 카메라의 카메라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 카메라의 위치조절수단에서 접속선들의 접속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 카메라의 스타일러스 팬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케이스
20...이미지 제어 보드
50...촬상모듈
60...위치조절장치
70...스타일러스 팬
80...초음파 발생장치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개인 휴대용 단말 카메라는 외관을 형성하며 일면에 기억된 화상의 출력이 가능한 화상표시부를 가진 본체,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외부 사물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촬상모듈, 촬상모듈이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일측에 축결합되는 설치축을 일측 양면에 구비하여 상기 촬상모듈의 일방향 회전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위치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촬상모듈의 타방향 회전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타측 양면에 상기 촬상모듈과 축결합되는 회동축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외부의 초음파를 인식하여 상기 촬상모듈의 작동신호를 제공하도록 하는 음성입력장치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의 개인 휴대용 단말 카메라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사각 형상의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전면에 구현되어 화상이 출력되는 화상출력장치인 LCD 화상표시부(23)가 구현되고, 화상표시부(23)의 하측에는 소형 키보드(12)가 구현된다. 그리고 상단 좌측부에는 촬상모듈(50)이 마련되는데, 이 촬상모듈(50)은 CCD(Change Coupled Device)모듈로 이루어지고, 촬상모듈(50)이 설치되어 상하, 좌우 모든 각도로 회전 동작 가능하게 하는 위치조절수단(60)이 구현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 카메라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들이 배치되어 있다.
이를 설명하면, 먼저 촬상모듈(50)로부터 입력된 화상이 처리되는 이미지 제어보드(20)가 마련되고, 개인 휴대용 단말 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21) 구비된다. 그리고 이 중앙처리장치(21)에는 외부 메모리(22)(external RAM)가 접속 설치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의 표시를 위하여 평판 표시장치(Flat Penal Display)인 LCD로 된 화상표시부(23)가 구비된다.
계속해서 화상표시부(23)인 LCD의 구동을 위하여 VGA 카드로 된 화상표시부 구동장치(24)가 구현되며 외부 채널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적외선 입출력장치(25)가 구비되고, 외부의 다른 컴퓨터 장치, 또는 외부 IC 메모리 카드 등과의 접속을 위한 입출력보드(26)가 장착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개인 휴대용 단말 카메라의 입력을 위하여 별도의 키보드(12)와 함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타일러스 팬(70) 등으로 화상에 대한 접촉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력인식장치(27)가 마련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타일러스 팬(70)에는 별도의 초음파 발생장치(80)인 휘슬(Whistle)이 마련되며, 단말 카메라 케이스(10)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팬(70)의 초음파를 인식하여 전술한 카메라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되며, 동시에 일반 음성 입력이 가능하도록 된 음성입력장치(28)(Micro phone)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 음성의 출력을 위하여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음성출력장치가 구현하여 음성의 입력과 출력이 모두 실행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개인 휴대용 단말 카메라의 구성은 전체적으로 개인 휴대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의 구성에 CCD 카메라와 음성입력장치 등이 부가되어 개별적으로 또는 상호 연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휴대용 단말 카메라에서의 촬상모듈(50)과 위치조절수단(60) 그리고 초음파발생장치(80)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촬상모듈(50)과 위치조절수단(60)은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케이스(10)의 상단 좌측부에 형성된 설치홈부(13)에 설치된다.
이 설치홈부(13)에 설치되는 촬상모듈(50)은 사각의 상자체로 형성되며 내부에 피사체의 촬상을 위한 렌즈와 별도의 조명장치가 부설되어 있다. 여기서 조명장치(29)는 적외선 램프(IR-Lamp)와 드라이버(30)로 구현되어 낮은 조광 상태에서 사물에 대한 조명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촬상모듈(50)의 외측으로는 사각의 고리 형상으로 된 위치조절수단(60)이 장착된다. 이 위치조절수단(60)은 서로 상대하는 내측면으로 두 개의 회동축(62)이 내향 돌출하여 있고, 외측면 중의 회동축(62)과 반대하는 면의 서로 상대하는 면에는 두 개의 설치축(64)이 돌출하여 있다.
여기서 설치축(64)은 전술한 케이스(10) 설치홈부(13)의 양측면에 형성된 설치홀(14)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회동축(62)은 촬상모듈(50)의 양측면에 형성된 장착홀(51)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촬상모듈(50)은 설치축(64)으로부터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고, 동시에 위치조절수단(60)의 회전으로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물의 위치에 따라 적절히 그 촬상위치가 가변 조절되게 된다.
한편, 촬상모듈(50)과 케이스(10) 내부의 작동 구성요소들과의 접속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축(64)과 회동축(62)의 외주에 다수의 접속홈(65)들을 형성하고, 이 접속홈(65)들의 바닥에 접속단자(66)들을 구현한다.
그리고 접속단자(66)와 접속되는 각종 장치들로부터 인가된 접속선(68)들의 단부를 금속 도전체로 된 접속돌기(67)에 접속하고, 이 접속돌기(67)들이 접속홈(65)들의 외주와 접하도록 함으로써 그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속은 단말기 케이스(10)와 설치축(64), 그리고 회동축(62)과 촬상모듈(50)이 서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설치축(64)과 회동축(62) 서로간의 접속은 위치조절수단(60)의 외주에 형성된 안내홈(61)을 따라 접속선(68)들이 연장되어 배치됨으로써 이루어지고, 안내홈(61)들은 접속선(68)들이 배치된 후 외관 처리된다. 그리고 이 안내홈(61)은 위치조절수단(60)의 내측부분에 형성될 수 도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팬(70)은 스타일러스 팬(70)의 상단에 원격 제어용 초음파 발생장치(8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초음파 발생장치(80)는 촬상모듈(50)의 촬상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팬(70)의 상단으로 두 개의 관형상으로 된 공진 주파수 조절관(83)을 구현시키고, 이 각각의 공진주파수 조절관(83)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결관(84)을 구비시킨다.
그리고 이 연결관(84)의 상단으로는 에어 펌프(85)를 설치하고, 그 외측단으로는 팬(70)의 외주와 동일한 외주로 되며 하단에 스타일러스 팬 본체부(71)와 결합되는 나사부(82)가 구현된 삽입통(81)을 마련하며, 펌프(85)의 상단으로는 누름버튼(86)을 설치시킨다. 이 누름버튼(86)은 통상적인 스프링 구조로 복원 가능하게 할 수 도 있고, 에어 펌프 자체를 탄성재질로 하여 복원 가능하게 할 수 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원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 카메라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되, 일반적인 PDA의 작동 상태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는 생략한다.
먼저 화상인식은 피사체의 모양이 촬상모듈(50)의 렌즈를 통해 CCD에 조사되면 CCD에서의 화상은 이미지 제어 보드(20)(Image Control Board)로 보내어 진다. 이때 피사체의 밝기를 측정하여 그 빛의 량이 부족하면 램프가 작동하여 피사체에 조명을 조사하게 되고 다시 이미지 제어 보드(20)가 밝기를 측정한 후 화상에 대한 촬상이 이루어지고, 이미지 제어 보드(20)에서 처리된 화상신호는 중앙처리장치(21)를 거쳐 메모리에 저장된다.
그리고 저장된 화상 및 음성신호는 중앙처리장치(21)의 명령에 따라 수정, 삭제가 가능하며, 이때의 작동은 케이스(10)의 전면에 마련된 키보드(12) 또는 터치-스크린에 의하여 조작이 이루어진다.
한편, 촬상은 원격제어용 초음파 발생장치(80)를 사용함으로써 원격 제어가 가능한데, 이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 카메라를 소정위치에 두고, 대략 5m 이내의 거리에서 스타일러스 팬(70)의 초음파발생장치(80)의 누름버튼(86)을 눌러 펌프(85)를 작동시키면 각각의 공진 주파수 조절관(83)에서 별도의 특정 초음파가 발진하게 되고, 이 초음파는 음향입력장치(28)를 통해 입력되어 중앙처리장치(21) 보내어진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21)에서는 촬상모듈(50)에 화상의 촬상을 지시함으로써 촬상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 두 개의 공진 주파수 조절관(83)은 오동작 방지를 위하여 2개의 특정음이 혼합되어 발생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때의 초음파는 사람의 실제적인 가청 주파수를 넘는 18 - 19 Khz 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른 별도의 소음을 유발시키지는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게 초음파 발생장치를 사람이 입으로 불어서 하는 구조로도 구현가능하며, 또 다르게 전파 또는 적외선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전파 또는 적외선의 경우는 전파의 혼신, 또는 적외선 차단 등의 오동작 및 기기 설치에 복잡함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가 최상이라고 할 수 있으나 별도로 실시는 가능하다.
한편, 촬상모듈(50)은 상, 하, 좌, 우 어느 각도로도 회동이 가능하다. 이때의 촬상모듈(50)의 회전 동작은 촬상모듈(50)을 케이스(10) 전면에서 케이스(10)의 후방 측면 측으로 회동시킬 경우 위치조절수단(60)을 설치축(64)을 축심으로 후방으로 회전시킨 후 다시 촬상모듈(50)을 회동축(62)을 축심으로 측방으로 회동시키면 그 촬상 위치가 확보되게 된다.
그리고 그 외의 다른 위치이동에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촬상모듈(50) 또는 위치조절수단(60)의 위치를 조절 가변 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촬상모듈(50)은 거의 대부분의 각도로 회전동작이 가능하여 그 장착상태에 관계없이 피사체의 촬상 방향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위치조절수단(60)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촬상모듈(50)에 회동축(62)을 축심으로 직접 결합하여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일방향 회전과 다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PDA에 카메라를 설치하는 것은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 카메라는 PDA에서 사용되는 부품들을 공용으로 사용하며 CCD와 광학부 등 극히 일부분만이 별도로 추가되기 때문에 그 크기를 초소형, 경량화 할 수 있으며, 적외선 통신으로 입력된 화상을 다른 휴대용 단말기 등에 송수신 가능하며, 기억된 화상정보를 다른 일반 컴퓨터로 전송 처리 가능하다. 그리고 별도의 IC 카드의 내장이 가능하므로 손쉬운 화상 및 정보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고, 필요할 경우 음성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하며 원격으로 촬상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그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외관을 형성하며 일면에 기억된 화상의 출력이 가능한 화상표시부를 가진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외부 사물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촬상모듈,
    상기 촬상모듈이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일측에 축결합되는 설치축을 일측 양면에 구비하여 상기 촬상모듈의 일방향 회전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위치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 카메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촬상모듈의 타방향 회전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타측 양면에 상기 촬상모듈과 축결합되는 회동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 카메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외부의 초음파를 인식하여 상기 촬상모듈의 작동신호를 제공하도록 하는 음성입력장치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카메라.
KR2020000013354U 2000-05-10 2000-05-10 휴대용 단말 카메라 KR2002021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354U KR200202165Y1 (ko) 2000-05-10 2000-05-10 휴대용 단말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354U KR200202165Y1 (ko) 2000-05-10 2000-05-10 휴대용 단말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165Y1 true KR200202165Y1 (ko) 2000-11-15

Family

ID=19655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354U KR200202165Y1 (ko) 2000-05-10 2000-05-10 휴대용 단말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16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435A (ko) * 2001-09-20 2003-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간의 블루투스 기술을이용한 화상데이터 전송방법
KR100433821B1 (ko) * 2002-02-01 2004-06-04 주식회사 시스기어 카메라를 갖는 피디에이
CN103067653A (zh) * 2013-01-04 2013-04-24 苏州云都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数码摄相设备及其操作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435A (ko) * 2001-09-20 2003-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간의 블루투스 기술을이용한 화상데이터 전송방법
KR100433821B1 (ko) * 2002-02-01 2004-06-04 주식회사 시스기어 카메라를 갖는 피디에이
CN103067653A (zh) * 2013-01-04 2013-04-24 苏州云都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数码摄相设备及其操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4077B2 (en) PDA compatible text scanner
US6933981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system provided with the same
US7542781B2 (e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TWI258307B (en) Image preview system and digital camera and image preview method used between an image capturing devic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CN1197329C (zh) 折叠式信息装置
US7522830B2 (en) Placement of light-emitting section in image sensing apparatus
US6670985B2 (en) Image sensing apparatus including a card device connectable to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N1645910B (zh) 书画照相机和书画照相机***
EP1705875A2 (en) Mobile terminal having multi-directional camera
US20030040346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having camera feature
US8235291B2 (en) PDA compatible text scanner
CN202600994U (zh) 摄像式点读机及其笔头模组
CN101542388A (zh) 具有投影取景器的成像设备
WO2003091801A1 (fr) Unite
KR200202165Y1 (ko) 휴대용 단말 카메라
US20140184826A1 (en) Imaging device having multiple optics
CN107241535A (zh) 闪光灯调节装置及终端设备
CN206918720U (zh) 可对讲的手电筒
US8474720B2 (en) PDA compatible text scanner
CN201986025U (zh) 伸缩式多功能照相机
JP3839749B2 (ja) 携帯電話機
JP2003110895A (ja) カメラ機能を有する携帯型情報端末機器
JP2005250396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
US20060001743A1 (en) Tablet PC and digital camera arrangement
US20050186987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