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907Y1 -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 Google Patents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907Y1
KR200201907Y1 KR2020000017696U KR20000017696U KR200201907Y1 KR 200201907 Y1 KR200201907 Y1 KR 200201907Y1 KR 2020000017696 U KR2020000017696 U KR 2020000017696U KR 20000017696 U KR20000017696 U KR 20000017696U KR 200201907 Y1 KR200201907 Y1 KR 2002019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mooring
breeding
ventilation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6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우
정병현
Original Assignee
정병현
정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3402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57052B1/ko
Application filed by 정병현, 정진우 filed Critical 정병현
Priority to KR20200000176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9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9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9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1Cages for laboratory animals; Cages for measuring metabolism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험용 동물(생쥐, 랫트, 기니아피그, 토끼, 염소, 면양, 산양, 돼지 등)이나, 애완동물(개, 고양이, 설치류, 조류, 파충류 등)을 케이지(cage)에서 사육하고 실험동물과 애완동물이 치료를 목적으로 입원하였을 때 사용하는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실험용 동물이나, 애완동물을 케이지에서 사육하는 동안 발생되는 오줌 및 분변을 자동으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케이지내에서 발생되는 악취(암모니아 가스, 동물 냄새, 세균, 투여약물냄새 등)를 실외로 자동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1)와, 상기 함체의 바닥면에 설치된 철망(2)과, 상기 함체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도어(18)로 구성된 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철망의 하방에 호퍼형상으로 설치되고 중심부에는 낙하되는 오물을 하방으로 배출하는 배출구(3)가 형성된 오물포집통(4)과, 상기 오물포집통의 하방으로 환기통로(5)가 구비되게 설치된 환기집합통(6)과, 상기 오물포집통에 형성된 배출구의 직하방에 위치되게 환기집합통에 설치되어 환기집합통내에 항상 일정량의 잔수(7)가 존재하도록 하는 사이폰(8)과, 상기 오물포집통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오물포집통을 세척함과 동시에 사이폰내의 오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세척수 공급관(10)과, 상기 환기집합통과 통하여지게 설치된 닥트(15)와, 상기 닥트상에 설치되어 환기집합통과 닥트를 통해 함체내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기(16)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본 고안은 실험용 동물(생쥐, 랫트, 기니아피그, 토끼, 염소, 면양, 산양, 돼지 등)이나, 애완동물(개, 고양이, 설치류, 조류, 파충류 등)을 케이지(cage)에서 사육하고 실험용 동물과 애완동물이 치료를 목적으로 입원하였을 때 사용하는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첨단과학이라 함은 생명과학분야가 으뜸가는 분야로서, 인간이 필요로 하는 식량자원, 환경관리, 의약품개발, 유전공학, 의료기술 개발 등에 관한 연구에 필연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실험용 동물이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실험용 동물들은 짧게는 수일에서부터 길게는 수년 또는 수십년동안 사육을 하면서 이들의 생체변화를 실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장기간 사육하는 과정에서 실험용 동물을 실험조건에 맞게 사양관리(사료급여, 음수급여, 사료그릇 및 음수그릇의 청소, 배설물 청소, 실험조건 및 실험동물의 종류에 따라 제각기 다른 온도조절, 동물의 행동 관찰 등)하여 최적의 환경조건 하에서 실험이 이루어지기를 과학자들은 간절히 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조건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사양조건이 달라야 하는 동물임에도 불구하고 연구조건이 열악한 곳에서는 서로 다른 사양조건을 요구하는 실험용 동물군을 같은 사육실 공간에서 사육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온도관리에서 실험용 동물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환경온도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무리한 실험을 강행하여 실험의 결과가 왜곡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또한, 실험용 동물을 사육하는 과정에서 배설물로부터 발생되는 악취와 발효가스로 인한 정상적인 사양관리 실패로 실제와 다른 실험결과를 얻거나, 호흡기 질병이 발생하여 실험 전체를 망치는 경우도 발생된다.
특히, 전염성 질병의 발생으로 실험군 전체가 질병이 걸릴 경우 장기간에 걸친 연구를 망치게 하는 경우도 발생되었다.
한편, 번식장에서 많은 실험용 동물과 새끼를 기르는 과정에서도 사육환경이 불량하여 전염병이 발생할 경우 많은 동물이 한꺼번에 폐사하거나, 감염 발생으로 실험동물로써의 가치를 상실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전염병으로부터 전체가 노출되지만 기존의 사육시설로는 개선할 방법이 없다.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으로 애완동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어 동물병원이나 애견센타 및 애견의 번식장에서 동물을 계류하여야 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때, 동물병원에서는 질병동물을 관리하는 입원실에서 개체관리를 하기 위한 케이지 및 계류시설, 애견센터와 번식장의 케이지 및 계류시설의 미비로 관리에 많은 인력이 요구되는 것은 물론 환기 및 오물배설 기능이 없으므로 질병이 많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가장 이상적이라 할 수 있는 기존의 애완동물의 입원실 구실을 하는 케이지를 입원실 혹은 동물병원의 일정한 장소에 설치하여 관리하여야 된다.
이러한 케이지는 단순한 사각틀형태로 제작된 것들로 철사망으로 동물의 행동을 제한하고, 전면 또는 상면에 동물의 출입과 먹이를 줄 수 있는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바닥은 스텐인레스판이나 철망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바닥이 철망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어를 개폐하지 않고도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한 스텐인레스 설합이 슬라이드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지 내에 동물을 장기간 넣어두면 수시로 오줌이나 분변을 배설하게되는데, 특히 소화기질환에 걸린 동물인 경우에는 20-30분 간격으로 분변을 보기 때문에 그때마다 청소를 하여야 된다.
만약, 주기적인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분변의 냄새와 병균이 공기와 혼합되어 실내 전체를 오염시키게 된다.
이러한 케이지는 환기나 오물 배출기능이 없으므로 여름철과 같이 외기의 온도가 높은 계절에 오줌이나 분변을 20-30분 동안 청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발효되어 암모니아 가스와 유화수소 및 세균이 실내공기를 오염시켜 초기의 질병을 더욱 악화시키거나, 오히려 호흡기질병을 일으키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입원실에서 사용되는 기존의 입원실용 케이지는 입원동물에게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키기 위해 오줌이나 분변을 배설할 때마다 즉시 청소를 실시하여야 되기 때문에 1인이 관리할 수 있는 입원동물은 5 - 6두이지만, 적정인원이 입원동물을 관리하더라도 야간에는 입원동물을 적절히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사육실 실내공기가 오염될 수밖에 없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환풍기로 전체 실내의 공기를 강제로 빨아내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지만, 실내의 공기오염은 막을 수 없다.
이에 따라 보온과 난방에 어려움이 있으며, 배설물은 모두 개체 또는 군마다 일일이 청소하는 수밖에 없다
한편, 설치류를 이용하여 실험하는 경우에는 4면과 바닥이 밀폐된 플라스틱그릇과 같은 4각통형태의 사육통에 깔집을 넣어 오줌과 분변이 깔집에 흡수되어 건조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들의 신속한 처리가 불가능하여 실내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주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그래서 사육통을 수용하는 사육실(시설)은 여건에 따라 다르지만 비교적 좋은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개체 또는 군별로 분류되는 사육 케이지의 결함인 개별환기장치나 개별적 오물의 배출장치가 없으므로 분변에서 나오는 가스와 냄새로 사육실 내의 공기가 오염된 상태에서 이들을 사육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연구의 목적 또는 실험동물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환경온도 및 사육조건이 달라야 하지만, 기존의 사육통은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사육실 전체의 온도를 동일한 조건으로 유지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꼭 필요할 경우 별도의 사육실을 각각 이용하여야 되므로 냉, 난방에 따른 에너지 비용 및 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실험용 동물이나, 애완동물을 케이지에서 사육하는 동안 발생되는 오줌 및 분변을 자동으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케이지내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실외로 자동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케이지내에 음용수 및 먹이를 자동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음용수통 및 먹이통을 자동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지내에 복수개의 사육통을 내장, 사육통내에 설치류를 군(Group)별로 구분하여 사육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도어를 개폐시킨 상태의 일부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a는 음용수통을 나타낸 상세도
도 4b는 먹이통을 나타낸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종단면도
도 6은 사육통의 사시도
도 7은 2개의 사육통이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8은 함체내에 장착되는 사육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종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함체 2 : 철망
3 : 배출구 4 : 오물포집통
5 :환기통로 6 : 환기집합통
8 : 사이폰 10 : 세척수 공급관
11 : 물탱크 14 : 환기관
15 : 닥트 16 : 송풍기
18 : 도어 19 : 흡입공기 제어판
22 : 음용수통 24 : 먹이통
28 : 사육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바닥면에 설치된 철망과, 상기 함체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로 구성된 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철망의 하방에 호퍼형상으로 설치되고 중심부에는 낙하되는 오물을 하방으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오물포집통과, 상기오물포집통의 하방으로 환기통로가 구비되게 설치된 환기집합통과, 상기 오물포집통에 형성된 배출구의 직하방에 위치되게 환기집합통에 설치되어 환기집합통내에 항상 일정량의 잔수가 존재하도록 하는 사이폰과, 상기 오물포집통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오물포집통을 세척함과 동시에 사이폰내의 오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세척수 공급관과, 상기 환기집합통과 통하여지게 설치된 닥트와, 상기 닥트상에 설치되어 환기집합통과 닥트를 통해 함체내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도어를 개폐시킨 상태의 일부 종단면도이고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1)의 바닥면에 철망(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철망의 하방에는 중심부에 낙하되는 오물을 하방으로 배출하는 배출구(3)가 형성된 오물포집통(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오물포집통의 하방으로는 환기통로(5)가 구비된 환기집합통(6)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오물포집통(4)과 환기집합통(6)은 호퍼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철망(2)은 수용되는 동물의 종류나 크기 및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할 수 있지만, 공통된 사항은 동물의 배설물인 오줌이나 분변이 하방으로 떨어지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오물포집통(4)에 형성된 배출구(3)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환기집합통(6)에는 상기 환기집합통(6)내에 항상 일정량의 잔수(7)가 존재하도록 하는 사이폰(8)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사이폰(8)은 오물을 정화조(도시는 생략함)측으로 배출하는 오물 배설관(9)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오물포집통(4)의 가장자리에는 오물포집통(4)을 세척함과 동시에 사이폰(8)내의 오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세척수 공급관(10)이 설치되어 세척수가고압으로 분출됨에 따라 오물포집통(4)이 세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함체(1)의 상측에 물탱크(11)를 구비하고 상기 물탱크와 세척수 공급관(10)사이에는 급수파이프(12)를 연결하여 물탱크(11)에 설치된 레버(13)를 당김에 따라 일정량의 세척수가 세척수 공급관(10)상에 형성된 분출공(10a)을 통해 오물포집통(4)으로 흘러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물탱크(11)를 설치하지 않고 급수파이프(12)를 급수라인과 직결한 다음 상기 급수파이프상에 잠금장치(콕)을 설치하여 상기 잠금장치를 인위적으로 조절하더라도 세척수 공급관(10)상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오물포집통(4)과 환기집합통(6)사이에 형성된 환기통로(5)의 최상측에 환기공(14a)이 형성된 환기관(1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환기관에는 외부와 통하여지게 닥트(15)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닥트상에는 환기관(14)과 닥트(15)를 통해 함체(1)내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기(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닥트(15)상에 함체(1)내의 악취 발생정도에 따라 배출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레버(17)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도어(18)의 전면 하부에는 실내공기가 함체(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신선한 공기가 함체의 상측으로 고르게 유입되도록 하여 함체내에서 발생된 악취 등이 완전히 닥트(15)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흡입공기 제어판(19)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흡입공기 제어판(19)은 도 1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식으로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케이지내에 개와 같은 중동물을 수용할 경우, 함체(1)의 천정이 높아야 하므로 천정에 오염된 공기의 저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천정에 자연환기가 가능한 환기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닥트(15)와 더불어 함체(1)의 상측으로 실내, 외의 온도차 이에 따라 함체내의 공기를 대류현상에 의해 자동으로 배출하기 위한 또 다른 닥트(20)를 설치하고 상기 닥트상에는 배출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레버(21)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4a는 음용수통을 나타낸 상세도이며 도 4b는 먹이통을 나타낸 상세도로서, 상기 함체(1)내에 음용수통(2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음용수통내에는 함체의 외부로부터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음용수를 공급하는 음용수 공급관(2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함체(1)의 다른 일측에는 먹이통(2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먹이통내에는 함체의 외부로부터 수동 또는 자동으로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 공급관(25)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먹이통(24)내에는 청소기능을 갖는 세척파이프(26)가 설치되어 있고 먹이통의 바닥면에는 청소가 완료된 상태에서 잔수가 배출되도록 배출공(24a)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먹이통(24)내의 청소를 완료한 상태에서 먹이통(24)을 항상 청결 및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종단면도이고 도 6은 사육통의 사시도이며 도 7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사육통이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로서, 상기 함체(1)의 내부 둘레면에 안착돌기(2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돌기상에는 바닥면 전체에 걸쳐 유통공(28a)이 무수히 형성된 사육통(28)의 플랜지(29)가 안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 때, 상기 안착돌기(27)의 상면 또는 플랜지(29)의 저면에 고무 등과 같은 실링부재(30)를 고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송풍기(16)의 구동으로 함체(1)내에 흡입력이 발생될 때 함체(1)내의 오염된 공기가 함체(1)와 사육통(28)의 틈새사이로 배출되지 않고, 반드시 사육통(28)에 형성된 유통공(28a)만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함체(1)와 사육통(28)내의 오염된 공기가 닥트(15)를 통해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8은 함체내에 장착되는 사육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종단면도로서, 함체(1)내에 형성된 안착돌기(27)상에 사육통(28)을 안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삽입공(32a)이 형성된 안착판(32)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 삽입공(32a)내에 사육통(28)을 안착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사육통(28)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플랜지(29)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2변이 나머지 2변보다 플랜지 두께만큼 낮게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함체(1)내에 2개 이상의 사육통(28)을 안치시킬 때, 사육통의 안정과 상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사육통(28)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유통공(28a)은 실험용 동물의 종류나 환경온도에 따라 사육통의 바닥면 전체에 걸쳐 형성하거나, 바닥면의 일부분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바닥면의 일부분에만 유통공(28a)을 형성하고 나머지 일부분은 막히는 구조로 형성하는 이유는 생쥐와 같이 비교적 몸집이 작은 설치류인 경우, 유통공(28a)을 통과하는 바람에 의해 생쥐의 체감온도가 달라져 생육에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온도가 높을 경우에는 생쥐가 유통공(28a)이 형성된 부위에서 더위를 식히도록 하고, 이와는 반대로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유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서 수면과 휴식을 취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함체(1)의 내벽에는 필요에 따라 히터 또는 라디에이터와 같은 발열체(도시는 생략함)를 내장하여 같은 사육실내에서도 각각의 케이지마다 함체(1)내의 온도를 인위적으로 다르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1)은 케이지에 있는 동물에게 찜팩을 사용하여야 할 경우 찜팩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콘센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함체(1)내에 실험용 동물이나, 애완동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이들을 사육함에 따라 오줌 또는 분변과 같은 배설물인 오물이 발생되는데, 특히 소화기 계통의 질병에 걸린 애완동물인 경우에는 오물의 발생량과 배변회수가 더욱 많다.
이들로부터 오물이 발생되면 발생된 오물은 철망(2)을 통해 하방으로 자유 낙하되어 오물포집통(4)내에 포집된 다음 흘러내려 배출구(3)를 통해 배출되므로 사이폰(8)상에 잔류하고 있는 잔수(7)내에 잠기게 된다.
이렇게 잔수(7)내에 잠기는 오물을 1일 정도 혹은 필요에 따라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관리자가 물탱크(11)의 하방으로 설치된 레버(13)를 잡아 당기기만 하면 된다.
이에 따라, 수세식 변기와 같이 물탱크(11)내에 있던 세척수가 급수 파이프(12) 및 세척수 공급관(10)의 분출공(10a)을 통해 오물포집통(4)상으로 고압 분출되면서 오물포집통상에 잔류하고 있던 오물을 하방으로 씻어내게 되므로 함체(1)의 내부 및 오물포집통의 내부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세척수의 분출로 오물포집통(4)을 씻어내고 나면 오물포집통의 중심부에 형성된 배출구(3)를 통해 세척수가 사이폰(8)에 고이게 되는데, 상기 사이폰의 상단에 고인 물의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처음에는 수압에 의해 물이 오물 배설관(9)을 통해 배출되다가 사이폰(8)에 잔류하고 있던 오물의 배출이 완료되고 나면 초기 상태와 같이 나머지 세척수가 사이폰(8)에 잔류하게 되므로 오물의 처리가 완료된다.
따라서 케이지의 내부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함체(1)의 내부에서 발생된 오염공기를 배출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닥트(15)상에 설치된 송풍기(16)의 구동으로 환기통로(5)상에 흡입력이 발생하면 실내의 공기가 도어(18)를 통해 함체(1)의 내부로 유입되었다가 함체내의 악취와 함께 닥트(15)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데, 상기 오염된 공기의 배출경로를 살펴보면, 흡입공기 제어판(19)을 넘어 함체(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함체(1)내의 오염된 공기와 함께 철망(2) - 배출구(3) - 오물포집통(4)과 환기집합통(6)사이에 형성된 환기통로(5) - 닥트(15)를 통해 실외로 강제 배출되므로 악취가 실내로 빠져 나오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실내에서는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이 때, 철망(2)과 오물포집통(4)의 내측 경사면에 뭍은 오줌과 분변 그리고 사이폰(8)상의 잔수(7)에 있던 동물의 분변과 오줌에서 나오는 가스 및 냄새도 오염된 공기와 함께 닥트(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송풍기(16)를 끄지 않는 한 악취가 실내로 빠져 나오지 않게 된다.
그리고 함체(1)의 내부에는 강제환기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과 동일한 양의 신선한 공기가 도어(18)의 하단에 설치된 흡입공기 제어판(19)을 넘어 함체(1)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함체의 내부에는 항상 신선한 공기만이 존재하므로 함체의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시 함체(1)내의 공간 넓이에 따라 흡입공기 제어판(19)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면 송풍기(16)의 구동으로 실내의 신선한 공기가 함체(1)의 내부로 고르게 분산되면서 유입됨에 따라 함체(1)내의 오염된 공기는 유입된 공기의 양만큼 닥트(15)를 통하여 배출되므로 함체내의 동물은 항상 신선한 공기를 마실 수 있게 되고, 오염된 공기가 실내 측으로 빠져 나오지 않는다.
즉, 항상 일정한 방향(함체)으로 신선한 공기가 들어가고 오염된 공기는 닥트(15)측으로 빠져 나간다.
이 때, 실내의 효율적인 냉, 난방을 위하여 닥트(15)상에 설치된 조절레버(17)를 조작하거나, 송풍기(16)에 설치된 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므로써 동물에게 가장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환기 속도(0.2-0.4m/sec)로 환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 3 및 도 4와 같이 함체(1)내에 음용수통(22)과 먹이통(24)를 구비한 경우에는 함체의 외부로부터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동물에게 음용수 및 먹이를 투입할 수 있게 되므로 이들의 관리가 더욱 용이해지게 된다.
즉, 음용수 공급관(23)을 통해 음용수통(22)으로 음용수가 공급되면 초기에는 음용수가 음용수통으로 분출되어 도 4a의 화살표방향과 같이 세척된 물이 넘치게 되므로 음용수통(22)이 세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음용수의 공급이 중단되면 음용수의 분출압력이 떨어져 음용수통으로부터 넘치던 음용수가 음용수통내에 잔류하게 되므로 동물이 음용수통내의 음용수를 먹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먹이 공급관(25)을 통해 먹이통(24)의 내부에 먹이가 공급되면 동물이 먹이통내의 먹이를 먹을 수 있게 되는데, 반복적으로 먹이통내에 먹이를 공급하면 먹고 남은 먹이 또는 이물질 등에 의해 먹이통(24)이 더러워지게 되므로 먹이통을 청소하여야만 동물의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먹이통(24)이 더러워지면 본 고안에서는 먹이의 공급 전에 먹이통(24)을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즉, 먹이통(24)내에 위치된 세척파이프(26)를 통해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면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출되므로 먹이통내의 이물질과 함께 도 4b의 화살표방향과 같이 세척된 물이 먹이통으로부터 넘치게 되므로 먹이통(24)이 자동으로 세척되는데, 설정된 시간동안 분출되던 세척수의 분출이 중단되면 잔류하고 있던 세척수가 먹이통(24)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공(24a)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므로 먹이통(24)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 5와 같이 함체(1)의 내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사육통(28)을 내장한 경우에는 연구용 실험동물로 사용되는 설치류를 기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설치류는 애완동물로 기르는 경우와 특별한 실험을 하거나, 공기오염의 최소화 또는 질병전파의 위험 등이 고려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1마리씩 기르는 경우는 그리 흔치 않다.
따라서 연구에서는 실험군을 최소한 6마리 이상을 1군으로 하여 기르고 있는데, 상기한 바와 같은 설치류의 배설물은 소량의 오줌과 건조가 쉬운 분변을 배설하기 때문에 사육통(28)의 바닥면에 대패밥과 같은 깔집을 깔아 오줌이 깔집에 흡수되도록 하여 1주일에 2 - 3회 정도 깔집을 교환하여 청결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깔집에 오줌이 반복적으로 흡수되면 흡수된 오줌으로부터 심한 악취가 발생되는데, 발생되는 악취가 워낙 특이하여 사육실 전체는 물론 사육실이 있는 건물 전체를 오염시키기 때문에 이의 해결이 시급하지만, 본 고안의 케이지에서는 이러한 악취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송풍기(16)의 구동에 따른 흡입력이 발생될 때 실내의 신선한 공기가 함체(1)의 내부로 흡입되었다가 사육통(28)내의 냄새와 함께 오염된 공기가 사육통(28)의 바닥면에 형성된 유통공(28a) - 배출구(3) - 오물포집통(4)과 환기집합통(6)사이에 형성된 환기통로(5) - 닥트(15)를 통해 실외로 강제 배출되므로 실내로 악취가 나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함체(1)에 형성된 안착돌기(27)와 사육통(28)의 플랜지(29)사이에 실링부재(30)가 설치된 경우에는 함체(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전량 사육통(28) 바닥에 형성된 유통공(28a)을 통해서만 외부로 배출되므로 깔집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보다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케이지를 동물사육실에 대량 설치하여 사용되지만, 오줌 및 분변을 신속하게 처리함과 동시에 케이지내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신속하게 실외로 배출시켜 실내에는 항상 오염되지 않은 신선한 공기만 존재하므로 소수의 케이지일 경우에는 별도의 동물사육실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케이지를 실험실, 연구실, 동물병원 입원실 등의 실내에 설치하여 동물을 사육할 수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케이지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동물이 배설하는 오줌과 분변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암모니아 가스 그리고 배설물을 청결하게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어 계류하고 있는 동물이 항상 쾌적한 환경에서 신선한 공기를 마실 수 있게 되므로 동물을 건강한 상태로 보전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각각의 케이지가 독립적으로 공기의 환기는 물론 분변의 배출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같은 장소의 사육시설에서 집단사육으로 인한 개체간의 질병전파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좁은 공간의 사육실이라 할지라도 칸막이를 하지 않고도 여러 가지의 실험동물 및 여러 마리의 동물을 동시에 수용하면서도 목적에 따라 케이지마다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시설관리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므로 경제적이다.
넷째, 각각의 케이지는 원격조작에 의한 독자적인 자동급식, 음수급수, 환기, 분뇨배출, 급식기 및 급수용기의 자동세척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므로 사양관리에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바닥면에 설치된 철망과, 상기 함체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로 구성된 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철망의 하방에 호퍼형상으로 설치되고 중심부에는 낙하되는 오물을 하방으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오물포집통과, 상기 오물포집통의 하방으로 환기통로가 구비되게 설치된 환기집합통과, 상기오물포집통에 형성된 배출구의 직하방에 위치되게 환기집합통에 설치되어 환기집합통내에 항상 일정량의 잔수가 존재하도록 하는 사이폰과, 상기 오물포집통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오물포집통을 세척함과 동시에 사이폰내의 오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세척수 공급관과, 상기 환기집합통과 통하여지게 설치된 닥트와, 상기 닥트상에 설치되어 환기집합통과 닥트를 통해 함체내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상측에 물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와 세척수 공급관사이에는 급수파이프가 연결되어 물탱크에 설치된 레버를 당김에 따라 일정량의 물이 세척수 공급관상에 형성된 분출공을 통해 오물포집통으로 흘러내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닥트상에 배출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레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전면 하부에 실내공기가 함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흡입공기 제어판이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상측으로 실내, 외의 온도차이에 따라 함체내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닥트가 설치되고 상기 닥트상에는 배출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레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내에 설치된 음용수통과, 상기 음용수통내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음용수를 음용수통내에 공급하는 음용수 공급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내에 설치된 먹이통과, 상기 먹이통내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수동 또는 자동으로 먹이를 먹이통내에 공급하는 먹이 공급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통내에 청소기능을 갖는 세척파이프가 설치되고, 먹이통의 바닥면에는 청소가 완료된 상태에서 잔수가 배출되도록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둘레면에 안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돌기상에는 바닥면에 유통공이 무수히 형성된 사육통의 플랜지가 안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통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유통공이 바닥면의 일부분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통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플랜지의 2변이 나머지 2변보다 플랜지 두께만큼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KR2020000017696U 2000-06-20 2000-06-21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KR2002019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696U KR200201907Y1 (ko) 2000-06-20 2000-06-21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023A KR100357052B1 (ko) 2000-06-20 2000-06-20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KR2020000017696U KR200201907Y1 (ko) 2000-06-20 2000-06-21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023A Division KR100357052B1 (ko) 2000-06-20 2000-06-20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907Y1 true KR200201907Y1 (ko) 2000-11-01

Family

ID=26637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696U KR200201907Y1 (ko) 2000-06-20 2000-06-21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90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039B1 (ko) * 2014-07-15 2014-11-11 박천귀 다단형 만성흡입독성 실험챔버
CN108770714A (zh) * 2018-07-20 2018-11-09 闽清县金沙大龙湾生态养殖场有限公司 一种养羊用食料存放投料装置
CN109258491A (zh) * 2018-10-17 2019-01-25 山西医科大学 一种用于大鼠或小鼠糖水偏好实验的鼠笼
KR102492883B1 (ko) * 2022-06-14 2023-01-27 손정모 설치류 뇨채취용 케이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039B1 (ko) * 2014-07-15 2014-11-11 박천귀 다단형 만성흡입독성 실험챔버
CN108770714A (zh) * 2018-07-20 2018-11-09 闽清县金沙大龙湾生态养殖场有限公司 一种养羊用食料存放投料装置
CN109258491A (zh) * 2018-10-17 2019-01-25 山西医科大学 一种用于大鼠或小鼠糖水偏好实验的鼠笼
CN109258491B (zh) * 2018-10-17 2023-10-24 山西医科大学 一种用于大鼠或小鼠糖水偏好实验的鼠笼
KR102492883B1 (ko) * 2022-06-14 2023-01-27 손정모 설치류 뇨채취용 케이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8771A (en) Veterinarian infectious waste containment system
KR20060086648A (ko) 포유모돈과 자돈이 분리기거 가능한 친환경 돈사
KR102330905B1 (ko) 반려동물용 배변판
KR100357052B1 (ko)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KR200441134Y1 (ko) 축사의 배기 및 환기장치
KR200201907Y1 (ko)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CN112470951B (zh) 全自动宠物猫厕所
CN113016627A (zh) 一种多层楼房养猪***
KR20020012085A (ko)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JP2008079599A (ja) 畜舎
KR20080005062U (ko) 컨테이너형 축사의 배기 및 환기장치
US4998506A (en) Piggy deck
CN206238017U (zh) 便于通风排粪的猪舍
CN111887177B (zh) 一种鹅舍
KR100357051B1 (ko) 소동물용 사육케이지내의 악취 배출장치
KR20050103112A (ko) 애완동물의 사료 공급과 배설물 수집 장치
KR200402341Y1 (ko) 송아지용 사육사
KR100576603B1 (ko) 애완동물의 사료공급과 배설물 수집장치
KR200211811Y1 (ko)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KR20230012109A (ko) 빌딩형 스마트 가축 사육장
CN113040054A (zh) 一种多层楼房养猪***
CN206238026U (zh) 猪场排粪干湿分离***
KR200211812Y1 (ko) 사육 케이지용 사육통
US20240206421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Cat Excrement And Smell From Cat Litter
CN219323050U (zh) 宠物多功能笼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