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8667A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facility using electronic signal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facility using electronic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8667A
KR20020088667A KR1020010027471A KR20010027471A KR20020088667A KR 20020088667 A KR20020088667 A KR 20020088667A KR 1020010027471 A KR1020010027471 A KR 1020010027471A KR 20010027471 A KR20010027471 A KR 20010027471A KR 20020088667 A KR20020088667 A KR 20020088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electronic
electronic marker
marker sea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4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81066B1 (en
Inventor
최성욱
Original Assignee
최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욱 filed Critical 최성욱
Priority to KR10-2001-0027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1066B1/en
Priority to CNA028119568A priority patent/CN1761964A/en
Priority to PCT/KR2002/000944 priority patent/WO2002097704A2/en
Publication of KR20020088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6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1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1066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and apparatus is provided to prevent damage or loss of geodetic reference and manage geodetic reference with low cost through the use of inexpensive electronic signal. CONSTITUTION: A facility management method, comprises a first step of recognizing coordinates of an electronic signal in accordance with preset reference coordinates; a second step of checking state of the facility by using one or more sensors, in accordance with the coordinates of the electronic signal; and a third step of transmitting the result of checking to a remote detection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ting/receiving devices. An electronic signal(301) includes a solar battery cell(401), a power unit(403), an RF transmitter/receiver module(405), a sensor unit(407), a data processing unit(409) and an antenna unit(411).

Description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facility using electronic signal}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facility using electronic signal

본 발명은 전자 표지석(ES: Electronic Signal)을 이용하여 시설물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시설물에는 국립 지리원, 수자원 공사, 가스 공사, 송유관 공사, 난방 공사 및 지방 자체 단체 등에서 보유하고 관리하는 시설물에 대한 각종 표지석 및 측지 기준점의 표지석, 전국 지적도 기준으로 사용하는 지적 도근점의 표지석 등이 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facility by using an electronic signal (ES). Here, the facilities include national landmarks, water resources construction, gas construction, oil pipeline construction, heating construction, and other landmarks for facilities that are owned and managed by local organizations, such as landmarks of the geodetic reference point, and landmarks of cadastral custody points used as national cadastral map standards. This can be

측지 기준점은 측지 기준계의 기준이 되는 점으로 지오이드와 지구 타원체가 일치하는 점에 관한 위치와 방위각이 명시되어 있는 기준점을 의미한다. 측지 기준점은 삼각점 또는 수준점이라고도 하며 지도 제작, 지적 측량, 건설 공사, 국토 개발 사업 및 방제 사업 등에 국토의 정확한 위치 기준을 제공한다. 또한, 측지 기준점은 토지 정보에 대한 기초 정보로서 활용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새로운 기술 환경, 국제화 및 정보화 사회는 기준점의 성과가 요구되기 때문에 측지 기준점을 이용한 보다 정확한 위치 정보의 제공이 시급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측지 기준점의 변화는 국가의 경쟁력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The geodetic reference point is the base point of the geodetic reference system. It is a reference point that specifies the position and azimuth of the point where the geoid coincides with the ellipsoid of the earth. Geodetic reference points, also called triangular points or level points, provide accurate location criteria for national territory in cartography, cadastral surveys, construction projects, land development projects, and control projects. In addition, the geodetic control point is increasingly used as basic information on land information. Since new technological environment, internationalization and information society require the performance of reference point, it is urgent to provide more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using geodetic reference point. For the above reasons, the change of geodetic control poin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competitiveness of a country directly or indirectly.

한 국가의 측지 기준계(Geodetic Reference System)는 위치 정보의 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그 적용 범위는 한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및 국제 협력을 통하여 전세계적으로 활용되는 경우 등 다양하다. 국가 단위의 측지 기준계(Geodetic Reference System)는 일반적으로 법령에 기초하여 국가가 정의하고 유지 및 관리한다.The Geodetic Reference System of a country is a reference for location information, and its scope of application is diverse, such as targeting a country and being used worldwide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 national Geodetic Reference System is generally defined, maintained and managed by the state based on legislation.

6.25동란후 대부분의 기준점이 망실 또는 손실되어 삼각점의 복구(상부 표지석의 복구)는 1958년 국방부지리연구소가 창설되면서 우선 1,2등 삼각점의 복구(상부 표지석의 복구)부터 시작하였다. 삼각점의 복구는 다음과 같이 실행되었다.After the June 25 disturbance, most of the reference points were lost or lost, and the restoration of the triangular point (recovery of the top cover stone) began with the resto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triangular points (recovery of the top cover stone) when the Defense Geographical Institute was established in 1958. The restoration of the triangle point was performed as follows.

육군은 전국에 설치된 삼각점 16,090점(남한)에 대하여 그 표지석 상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전방지역에 대해 1,2,3,4등 삼각점을 조사하고, 1957년 국방부 지리 연구소가 창설되어 상기 국방부 지리 연구소는 1958년부터 서해안 지역(일부 도서 지역 포함)에 대한 삼각점을 우선 조사하여 파손된 총점수 11,929점(약 74%)중 1,2등 삼각점을 복구 대상으로 삼았다. 당시의 삼각점 표지석은 콘크리트 표주에 주물로 제작된 삼각점 표지를 사용하였다.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the cover stones for the 16,090 triangular points (South Korea) installed throughout the country, the Army first inspects triangular points such as 1,2,3,4 in the front area, and in 1957, the Ministry of Defense Geography Research Institute was established. Since 1958, the Institute first investigated triangular points on the West Coast (including some islands) and targeted the 1st and 2nd triangular points out of a total of 11,929 points (74%) that were damaged. At that time, the triangular marker was used as a cast on the concrete column.

1961년 2월 국립 건설 연구소가 창설되어 국립 건설 연구소는 본격적인 삼각점조사와 복구 작업을 병행하여 추진하였다. 삼각점 복구 작업은 1960년대초부터 1970년대초까지 지역 우선 순위에 따라 시행하였다. 삼각점 복구 작업은 1975년부터는 정밀기준점 측량으로 추진되고 있다. 삼각점 복구 작업은 1,2등 경위의(Wild T₃및 T₂)를 도입하여 실시하였으며 1974년부터는 주물제의 삼각점 표지판의 도난및 파괴의 사례가 많아 화강암제의 삼각점 표지석으로 바꾸었다. 현 삼각점 표지석은 측량법 시행규칙 별표에 의거 표주석과 반석을 매설하는데 표주석이 망실되었을 때에는 반석의 중심인 +자에 맞추어 상부 표지석을 복구하면 관측없이도 종전의 성과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삼각점 복구 사업은 5~10년 주기로 계획되어 실시하였다. 특히 전방의 군작전 지역내의 3,4등 삼각점조사, 복구 및 재설은 기본 측량 및 지도 제작을 위한 상호 지원 협정(건설부,국방부,교통부 1970.5.8)에 의거 육군 지도창(측지부대)에 위탁하고 있다.In February 1961, the National Institute of Construction was established,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Construction carried out a full-fledged triangular survey and restoration work. Triangular restoration work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regional priorities from the early 1960s to the early 1970s. Triangulation has been undertaken as a precision reference point survey since 1975. The triangular point restoration work was carried out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first and second-large theodolites (Wild T₃ and T₂). Since 1974, there have been many cases of theft and destruction of the triangular sign made of casting, so it was changed to granite triangular marker. The current triangular marker stones are laid out in accordance with the asterisk of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Surveying Law. When they were lost, they were able to use the previous results without observation if the upper marker stones were restored to the + character, the center of the rock. The tripod restoration project was planned and carried out every 5 to 10 years. In particular, three- and four-point triangular surveys, restorations and re-establishments in military operations in front of the military are entrusted to the Army Guidance Window (Geometric Unit) under the mutual support agreement (Ministry of Construction, Ministry of Defense, Ministry of Transportation 1970.5.8) for basic surveying and mapping. Doing.

지도는 중요 지형 및 시설물 등 땅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져 각각 해당 분야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자료의 근원이었다. 그러나, 지도는 수시로 변하는 내용들을 수록하지 못함으로써 이용에 한계를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 처리 및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자료 이용 방안이 필요하게 되어 종합적 공간 처리 기술인 지리 정보 시스템이 개발되었다.Maps were the source of data that recorded information about the land, such as important topography and facilities, to provide the information needed for each area. However, maps have been limited in their use because they do not contain frequently changing contents. Therefore, an effective data utilization plan is needed by collecting, processing, and analyzing data using a computer, and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 comprehensive spatial processing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은 지리적 자료를 수집, 저장, 분석 및 출력할 수 있는 컴퓨터 응용 시스템이다.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은 지형 공간에 관한 모든 정보를 컴퓨터에 저장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간이 사는 공간과 관련된 의사 결정을 효율적으로 하려는 시스템이다.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s a computer application system that can collect, store, analyze, and print geographic dat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s a system that stores all the information about geospatial space on a computer and makes efficient decisions about the space where human beings live.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처리하는 대상은 공간적 현상의 지리 자료이다. 지리 자료는 분포의 특성을 가진 모든 것을 의미한다. 지리 자료에 흔히 사용되는 주제도(Thematic Map)는 지형도, 지질도, 토양도, 지적도 및 지하 시설물인 상·하수도, 지하 전화 배선, 지하 가스관 등을 표시한 지도이다.The objects processed by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re geographic data of spatial phenomena. Geographic data means anything with characteristics of a distribution. Thematic maps commonly used in geographic data are maps showing topographic maps, geological maps, soil maps, cadastral maps and underground facilities such as water and sewerage, underground telephone wiring, and underground gas pipelines.

지리 자료는 부호로 표시되는데 그 밖의 주소나 발생 건수 등은 글과 숫자로 기재되기도 한다. 완벽한 지리 자료는 공간 자료(Spatial Data)와 속성 자료(Attribute Data)가 함께 정의 되어야 한다. 공간 자료는 각종 지리 현상의 위치와 형상 및 사상간의 공간상 상대적 위치 관계이며 지도상에서는 점, 선 및 면을 사용하여 표시된다. 속성 자료는 점, 선 및 면으로 표시된 각종 지표상의 지리적 사상의 특성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점으로 표시된 지표 공간을 수질 관측소라고 할 경우, 공간 자료는 한 쌍의 위치 좌표(X, Y)가 되고, 속성 자료는 관측소의 명칭, 기호, 특정한 시간에 측정한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 및 용존산소량(DO) 등이 될 수 있다. 도로의 경우, 선 자료는 일련의 점을 상호 연관시켜 나타내고, 속성 자료는 도로의 명칭, 노폭, 노면 재료 및 교통량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속성 자료는 문자와 숫자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다각형 또는 면 자료인 행정 구획도 및 토양도의 경우, 공간 자료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선분으로 구성되는 폐곡선으로 만들어지고, 속성 자료는 폐곡선으로 구분되어진 지역의 인구 특성 및 토양의 성질 등이 될 수 있다.Geographical data are indicated by signs. Other addresses and occurrences may be written in letters and numbers. The complete geographic data should be defined together with the spatial data and the attribute data. Spatial data is the spatial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geographic phenomena, shapes, and mappings and is represented on the map using points, lines, and faces. Attribute data are the characteristics of geographic events on various land surfaces represented by points, lines, and faces. For example, if the surface space represented by a point is called a water quality station, the spatial data is a pair of location coordinates (X, Y), and the attribute data is the name, symbol, and biochemical measurement of the station at a specific time. Oxygen demand (BOD), dissolved oxygen (DO), and the like. In the case of roads, line data correlate a series of points, and attribute data may be the name of a road, road width, road material, and traffic volume. The attribute data is stored in the database in letters and numbers. For administrative plots and soil plots, which are polygonal or facet data, spatial data may be made of closed curves consisting of one or several line segments, and the attribute data may 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and soil properties of the area separated by the closed curves. .

범 국가적인 국책 사업으로 수행중인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사업은 국토의 정확한 지형 정보를 수치화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국토 및 각종 공공 시설물의 계획, 시공 및 유지 관리의 전 단계에 걸쳐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project, which is implemented as a national national project, builds a database by quantifying accurate geographic information of the national land, thereby improving efficiency across all stages of planning,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the land and various public facilities. Aim to increase.

종래의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사업은 지리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의 구축 과정 중에 데이터의 획득에 기본이 되는 국가 측지 기준점의 훼손 및 망실로 인한 데이터의 부정확성이 결정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project, the inaccuracy of the data due to the loss and loss of the national geodetic control point, which is the basis for the acquisition of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s crucial. Is emerging.

종래의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사업은 국가 측지 기준점의 훼손 및 망실로 인한 재설치시에 예산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project, a problem arises in that a large amount of budget is required for re-installation due to damage and loss of the geodetic reference point.

종래의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사업은 산림의 성장으로 인한 사용자의 기준점 식별 곤란으로 인한 시간 낭비와 지적 기준점이나 무용지물이 된 기준점 등과 같은 다양한 기준점들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혼란을 초래하는 부정확한 위치 정보를 발생시킴으로써 재측량의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conven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business, inaccuracies that cause user confusion by installing various reference points, such as waste of time due to difficulty in identifying the user's reference point due to the growth of the forest, and reference points that become intellectual or obsolete, are installed. Generating a location information causes the economic loss of re-measurement.

본 발명의 목적은 국가 측지 기준점의 훼손 및 망실의 우려가 없고 즉각적인 대응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전자 표지석(ES: Electronic Signal)을 이용한 측지 기준점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geodetic reference points using electronic signals (ES), which enables immediate response and management without fear of damage or loss of geodetic reference points.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한 가격의 전자 표지석(ES: Electronic Signal)을 설치 함으로써 저 예산으로 국가 측지 기준점을 관리할 수 있는 전자 표지석(ES: Electronic Signal)을 이용한 측지 기준점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odetic reference point management using an electronic signal (ES) which can manage a national geodetic reference point at a low budget by installing an electronic signal (ES) of low cost. .

본 발명의 목적은 국가 측지 기준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전자표지석(ES: Electronic Signal)을 이용한 측지 기준점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geodetic reference points using electronic signals (ES), which can grasp the precise location of a national geodetic reference point.

도 1은 종래의 국가 기준점을 나타내는 표지석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cover stone showing a conventional national reference point.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표지석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marker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표지석과 원격 감지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3 is a schematic view of an electronic indicator seat and a remote sens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표지석의 내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4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interior of the electronic beac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의 내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interior of the data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감지 시스템의 내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6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interior of the remote sen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데이터 처리부의 내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7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inside of the main data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표지석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n electronic marker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감지 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processing procedure in a remote sens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성과 및 데이터 이용 경로를 나타낸 도면.10 illustrates performance and data usage pathways in accordance with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위치 파악을 나타낸 도면.11 is a view showing the location using the electronic marker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훼손 시설물 관리를 나타낸 도면.12 is a view showing the management of damage facilities using an electronic marker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1…전자 표지석 303…원격 감지 시스템301... Electronic beacon 303. Remote sensing system

401…태양 전지 403…전원부401... Solar cell 403... Power supply

405…RF 송수신 모듈 407…센서부405... RF transceiver module 407. Sensor part

409…데이터 처리부 411…안테나부409... Data processing unit 411. Antenna part

501…위치 데이터 처리부 503…상태 데이터 처리부501... Position data processing unit 503... Status data processing unit

505…메모리부 601…안테나부505... Memory section 601... Antenna part

603…RF 송수신 모듈 605…메인 데이터 처리부603... RF transceiver module 605... Main data processor

607…GPS 모듈 609…정보표시부(LCD Display)607... GPS module 609... Information Display (LCD Display)

611…방위 표시부 613…전원부611... Direction display section 613. Power supply

615…입출력부 701…데이터 선별부615... Input / output unit 701. Data selector

703…메인 위치 데이터 처리부 705…메인 상태 데이터 처리부703... Main position data processing unit 705... Main state data processor

707…메인 메모리부707... Main memory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전자 표지석은 상기 시설물에 상응하며, 내부 프로세서를 구비함-, 미리 정해진 기준 좌표에 따라서,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에 따라서, 상기 시설물의 훼손 여부를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 감지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상기 방법에 상응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a method for managing a facility using an electronic marker stone, wherein the electronic marker stone corresponds to the facility, and has an internal processor, a predetermined reference coordinat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ognizing the coordinates of the electronic marker seat, checking whether the facility is damaged using at least one sensor accor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electronic marker seat, and confirming the result of the confirmation to the remote sensing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Provided is a facility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it can provide a system corresponding to the method.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설물은 측지 기준점의 표지석, 지적 도근점의 표지석 및 특정 시설물의 유지 관리용 표지석 중 적어도 하나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acility is at least one of a marker stone of the geodetic reference point, a marker stone of the cadastral approach point and a marker stone for maintenance of a particular facility.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시설물의 훼손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미리 정해진 기간마다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o check whether the facility is damaged is to check periodically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는 위치 감지 센서, 진동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및 누수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sensor may be at least one of a position sensor, a vibration sensor, a gas sensor and a leak sensor.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확인 결과는 시설물의 훼손시에 추출되는 응급 데이터이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verification result is emergency data extracted in the event of damage to the facility.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 감지 시스템과 연결된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전자 표지석은 상기 시설물에 상응하며, 내부 프로세서를 구비함-, 상기 원격 감지 시스템으로부터 식별자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기준 좌표에 따라서 인식한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전자 표지석의 좌표에 따라서, 상기 시설물의 훼손 여부를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를 상기 원격 감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상기 방법에 상응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managing a facility using an electronic beacon which is connected to a remote sensing system via a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electronic beacon corresponds to the facility and has an internal processor; Receiving an identifier call signal from a detection system, extracting coordinates of the recognized electronic marker sea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coordinate, and using at least one sensor to determine whether the facility is damaged according to the extracted coordinates of the electronic marker seat By confirming and transmitting the result of the confirmation to the remote sensing system, it can provide a facility management method, a system corresponding to the method.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전자 표지석의 고유한 식별자이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identifier is a unique identifier of the electronic marker seat.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 네트 워크를 통하여 원격 감지 시스템과 연결된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전자 표지석은 상기 시설물에 상응하며, 내부 프로세서를 구비함-, 상기 전자 표지석으로부터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 및 응급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 및 상기 응급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설물의 방위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 및 상기 응급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설물의 훼손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훼손 데이터는 시설물의 위치 변동 수치 및 파손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상기 방법에 상응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managing a facility using an electronic beacon which is connected to a remote sensing system via a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electronic beacon corresponds to the facility and has an internal processor, Receiving coordinates and emergency data of the electronic marker seat, displaying coordinates of the electronic marker seat and orientation of the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data, and facilities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electronic marker seat and the emergency data; Outputting the damage data of the facility data, wherein the damage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a position change value and a damage value of the facility. have.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 네트 워크를 통하여 원격 감지 시스템과 연결된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전자 표지석은 상기 시설물에 상응하며, 내부 프로세서를 구비함-, 상기 전자 표지석에 식별자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 표지석으로부터 상기 식별자 호출 신호에 상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응답 신호는 적어도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 및 상기 전자 표지석에 상응하는 시설물의 훼손 여부를 포함함-; 및 상기 응답 신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 상기 방법에 상응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managing a facility using an electronic beacon which is connected to a remote sensing system via a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electronic beacon corresponds to the facility and has an internal processor, Transmitting an identifier call signal to the electronic marker seat, receiving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call signal from the electronic marker seat, wherein the response signal is at least a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electronic marker seat and the electronic marker seat. Includes the damage of; And outputt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signal. A facility management method, and a system corresponding to the method may be provided.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Nex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의 국가 기준점을 나타내는 표지석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marker stone showing a conventional national reference point.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국가 기준점을 나타내는 표지석은 상단부(101)와 하단부(103)로 구분되고, 하단부(103)에 홈을 파서 고정시킨 형태로 분리 가능하고 재질은 화강암이다.Referring to FIG. 1, a cover stone representing a conventional national reference point is divided into an upper end 101 and a lower end 103, and is separable in a form in which grooves are fixed in a lower end 103 and the material is granit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표지석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marker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표지석의 상단부(201)는 태양열 전지의 활용이 가능한 일정 수준 이상의 강도를 지닌 합성 수지 또는 합금철로 이루어져 있고 대리석에 비해 가볍고 고강도를 지니고 있다. 상기 태양열 전지의 활용은 전자 표지석의 상단(203) 및 측면(205)을 태양열 판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은 상기 태양열을 이용한 자가 발전 이외에 자체 전원 공급 장치를 내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표지석의 상단부(201)는 내부에 송수신 안테나를 내장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upper end portion 201 of the electronic marker stone is made of synthetic resin or ferroalloy having a certain level or more of strength available for solar cells, and is lighter and has higher strength than marble. Utilization of the solar cell may be possible by using the top 203 and side 205 of the electronic marker stone as the solar plate. Here, the power source may include a self-power supply device in addition to the self-power generation using the solar heat. In addition, the upper end portion 201 of the electronic beacon seat incorporates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therein.

전자 표지석의 하단부(207)는 종래에 설치되어 있는 대리석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상단의 재질과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다.The lower end portion 207 of the electronic beacon stone may be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aterial of the upper portion using the marble which is conventionally installed.

전자 표지석은 종래의 표지석에도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기위해서 부착 및 설치가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Electronic beacons may be manufactured to be attached and installed in order to be applicable to conventional beacon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표지석과 원격 감지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onic indicator seat and a remote sens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전자 표지석(301)은 복수의 원격 감지 시스템(303)에 전자 표지석(301)의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3, the plurality of electronic beacons 301 transmits position information and stat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beacon 301 to the plurality of remote sensing systems 303.

원격 감지 시스템(303)은 상기 전자 표지석(301)의 위치 및 상태가 훼손되었을 경우, 상기 전자 표시석(301)으로부터 상기 전자 표지석(301)의 위치 및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응급 데이터를 수신한다. 따라서, 원격 감지 시스템(303)은 상기 응급 데이터를 확인하여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감지 시스템(303)은 한국 가스 공사의 시설물에 대한 유지 관리용 표지석으로부터 시설물 훼손과 관련된 응급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한국 가스 공사의 시설물에 대한 유지 관리용 표지석에 식별자 호출 신호를 송신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한 후에 현장에 가서 상기 응급 데이터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응급 데이터는 상기 한국 가스 공사의 시설물에 대한 유지 관리용 표지석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receives emergency data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beacon 301 from the electronic beacon 301 when the location and state of the electronic beacon 301 are damaged. Thus,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can check the emergency data and take a corresponding action. For example,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transmits an identifier call signal to the maintenance beacon for the facility of the Korea Gas Corporation when emergency data related to the damage to the facility is received from the maintenance beacon for the facility of the Korea Gas Corporation. After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go to the field and take measures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data. Here, the emergency data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aintenance marker for the facility of the Korea Gas Corporation.

상기 원격 감지 시스템(303)은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 감지 시스템(303)은 컴퓨터 기능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프로그램 구동이 가능한 휴대형 컴퓨터 모형, 단순하게 전자 표지석의 위치 및 상태만을 확인할 수 있는 소형 휴대 장치 모형, 차량 등에 부착하여 사용 가능한 모형 등이 될 수 있다.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kinds according to the purpose. For example,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may be attached to a portable computer model capable of driving a computer function and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program, a compact portable device model capable of simply checking the position and status of an electronic beacon and a vehicle. This may be a usable model.

상기 전자 표지석(301) 및 원격 감지 시스템(303)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electronic beacon 301 and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표지석의 내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interior of the electronic marker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표지석(301)은 적어도 태양 전지(401), 전원부(403), RF 송수신 모듈(405), 센서부(407), 데이터 처리부(409) 및 안테나부(411)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electronic beacon 301 includes at least a solar cell 401, a power supply unit 403, an RF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405, a sensor unit 407, a data processing unit 409, and an antenna unit 411. do.

태양 전지(401)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 전자 표지석 상단부(201, 도2 참조)의 태양열 판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원을 축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olar cell 401 is a part for supplying power using solar heat, and serves to accumulate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solar plate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electronic marker stone 201 (see FIG. 2).

전원부(403)는 전자 표지석(301)내의 전원이 필요한 모든 세션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403)는 상기 태양 전지(401)로부터태양열 전원을 받아 전원 공급을 할 수 있고 자체 전원 공급 장치를 내장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The power supply unit 403 supplies power to all sessions requiring power in the electronic beacon 301. Here, the power supply unit 403 may receive solar power from the solar cell 401 to supply power, and may supply power by embedding its own power supply.

RF 송수신 모듈(405)은 전자 표지석(301)내에서 발생하는 송신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조하고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으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를 식별자 호출 신호로 복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RF 송수신 모듈(405)에 대한 내용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RF transceiver module 405 modulates the transmission data generated in the electronic marker seat 301 into an RF signal and demodulates the RF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see FIG. 3) into an identifier call signal. . Since the details of the RF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405 are general matter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센서부(407)는 시설물의 위치 및 상태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위치 및 상태 변화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409)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센서부(407)는 위치 센서 및 상태 감지 센서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 위치 센서는 미리 정해진 좌표에 상응하여 자기 좌표를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상태 감지 센서는 시설물로부터의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시설물의 상태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상태 감지 센서는 시설물의 종류에 따라 여러 종류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의 가스관에 전자 표지석이 설치되었을 경우, 상기 상태 감지 센서는 가스 센서가 될 수 있다. 상기 가스 센서는 특정 지역 가스관의 가스 누출을 감지하여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에 상기 가스 누출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407 detects a change in location and state of a facility and transmits data corresponding to the change in location and state to the data processor 409. The sensor unit 407 includes a position sensor and a state detection sensor. The position sensor performs a role of recognizing a magnetic coordinat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oordinate, and the state sensor detects a vibration from a facility and checks a state of the facility. Here, the state detection sensor may be installed in various types depending on the type of facility. For example, when an electronic beacon is installed in a gas pipe of a specific region, the condition sensor may be a gas sensor. The gas sensor may detect a gas leak in a specific local gas pipe and transmit data corresponding to the gas leak to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see FIG. 3).

데이터 처리부(409)는 상기 센서부(407)에서 감지되는 위치 및 상태 데이터를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에서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로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409)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data processor 409 processes the position and state data detected by the sensor unit 407 into data that can be checked by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see FIG. 3). The data processor 409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안테나부(411)는 RF 송수신 모듈(405)에서 생성되는 RF 신호를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으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으로부터 식별자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antenna unit 411 transmits an RF signal generated by the RF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405 to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see FIG. 3) and receives an identifier call signal from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see FIG. 3). Do this.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의 내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interior of the data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부(409)는 적어도 위치 데이터 처리부(501), 상태 데이터 처리부(503) 및 메모리부(50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data processor 409 includes at least a position data processor 501, a state data processor 503, and a memory unit 505.

위치 데이터 처리부(501)는 센서부(407)에서 감지되는 위치 데이터를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에서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로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치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위치 좌표에 상응하는 실시간 자기 좌표의 변동 수치의 형태가 될 수 있다.The position data processing unit 501 processes the position data detected by the sensor unit 407 as data that can be confirmed by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see FIG. 3). The position data may be in the form of a variation value of the real time magnetic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coordinate.

상태 데이터 처리부(503)는 센서부(407)에서 감지되는 상태 데이터를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에서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로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의 가스관에 전자 표지석이 설치되었을 경우, 상태 데이터는 가스 누출을 알리는 데이터 및 누출 가스의 농도 등이 될 수 있다.The state data processing unit 503 serves to process the state data detected by the sensor unit 407 into data that can be confirmed by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see FIG. 3). For example, when an electronic beacon is installed in a gas pipe in a specific region, the state data may be data indicating a gas leak and a concentration of the leaked gas.

메모리부(505)는 상기 위치 데이터 처리부(501) 및 상태 데이터 처리부(503)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실시간으로 저장되는 위치 및 상태 데이터는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으로부터 수신되는 식별자 호출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시설물이 훼손되었을 경우, 상태 데이터는 상기 시설물의 훼손 상태를 알리는 응급 데이터 일 수 있다.The memory unit 505 stores data of the position data processor 501 and the state data processor 503. Location and state data stored in real time may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see FIG. 3) corresponding to an identifier cal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see FIG. 3). In addition, when the facility is damaged, the state data may be emergency data indicating the damaged state of the facility.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감지 시스템의 내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interior of the remote sen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원격 감지 시스템(303)은 적어도 안테나부(601), RF 송수신 모듈(603), 메인 데이터 처리부(605),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607), 정보 표시부(LCD Display)(609), 방위 표시부(611), 전원부(613) 및 입출력부(61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includes at least an antenna unit 601, an RF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603, a main data processing unit 605,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module 607, and an information display unit (LCD display). ) 609, a bearing display unit 611, a power supply unit 613, and an input / output unit 615.

안테나부(601)는 특정 시설물의 전자 표지석에 식별자 호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특정 시설물의 전자 표지석으로부터 위치 및 상태 데이터에 상응하는 RF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antenna unit 601 transmits an identifier call signal to the electronic beacon of the specific facility and receives an RF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nd state data from the electronic beacon of the specific facility.

RF 송수신 모듈(603)은 원격 감지 시스템(303)내에서 발생하는 식별자 호출 신호를 RF 신호로 변조하고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으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를 위치 및 상태 데이터로 복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RF 송수신 모듈(603)에 대한 내용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RF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603 modulates an identifier call signal generated in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into an RF signal and demodulates the RF signal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marker seat 301 (see FIG. 3) into position and state data. To perform. Since the details of the RF transceiver module 603 are general matter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메인 데이터 처리부(605)는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및 상태 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메인 데이터 처리부(605)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main data processing unit 605 processes the position and state data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marker seat 301 (see FIG. 3). The main data processing unit 60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607)은 시설물의 위치 및 조사자의 위치 등을 측정하기 위해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할 경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관련 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607)은 조사자 위치의 좌표를 인식하여 상기 조사자 위치에 상응하는 일정 범위 내의 시설물에 상응하는 전자 표지석을 호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607 serves to process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related data when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is used to measure the location of the facility and the position of the investigator. For example,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607 may recognize the coordinates of the investigator's location and call the electronic marker seat corresponding to the facility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corresponding to the investigator's location.

정보 표시부(LCD Display)(609)는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및 상태 데이터를 조사자가 식별하기 좋은 형태로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한국 수자원 공사의 수도관 파열시 정보 표시부(LCD Display)(609)는 응급 신호 발생 지점의 지형상 위치 및 누수 상태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display (LCD Display) 609 serves to display the position and state data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marker 301 (see FIG. 3) in a form that is easy for the investigator to identify. For example, the LCD display 609 of the water pipe rupture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may display information such as the topographic position and the leak state of the emergency signal generation point.

방위 표시부(611)는 특정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의 방향 및 거리를 표시하고 상기 특정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에 조사자가 근접시에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위 표시부(611)는 조사자의 위치점 부근의 수치 지형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The azimuth display unit 611 displays the direction and distance of the specific electronic beacon 301 (see FIG. 3) and may generate a signal when the investigator approaches the specific electronic beacon 301 (see FIG. 3). In addition, the orientation display unit 611 may display numerical terrain information near the investigator's location point.

전원부(613)는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내의 전원이 필요한 모든 세션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power supply unit 613 supplies power to all sessions requiring power in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see FIG. 3).

입출력부(615)는 통신 네트워크 망과 연결되어 각종 자료 및 성과를 송수신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 망은 유선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 output unit 615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network and performs a ro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data and results. Here, the communication network network may include both a wired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데이터 처리부의 내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inside of a main data proces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메인 데이터 처리부(605)는 적어도 데이터 선별부(701), 메인 위치 데이터 처리부(703), 메인 상태 데이터 처리부(705) 및 메인메모리부(707)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main data processing unit 605 includes at least a data selection unit 701, a main position data processing unit 703, a main state data processing unit 705, and a main memory unit 707.

데이터 선별부(701)는 위치 및 상태 데이터를 선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선별부(701)는 선별한 위치 데이터를 메인 데이터 처리부(703)로 전송하고 선별한 상태 데이터를 메인 상태 데이터 처리부(705)로 전송한다.The data selector 701 serves to select location and state data. The data selector 701 transmits the selected position data to the main data processor 703 and transmits the selected state data to the main state data processor 705.

메인 위치 데이터 처리부(703)는 데이터 선별부(701)부로부터 수신한 위치 데이터를 정보 표시부(LCD Display)(609, 도6 참조) 및 방위 표시부(611, 도 6 참조)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형태로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기준 좌표에 상응하는 위치 좌표 데이터가 될 수 있다.The main position data processor 703 can process the position data received from the data selector 701 in the information display (LCD Display) 609 (see FIG. 6) and the orientation display 611 (see FIG. 6). Serves as a form of processing. Here, the position data may be position coordinate data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coordinate.

메인 상태 데이터 처리부(705)는 데이터 선별부(701)부로부터 수신한 상태 데이터를 정보 표시부(LCD Display)(609, 도6 참조) 및 방위 표시부(611, 도 6 참조)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형태로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main state data processing unit 705 can process the state data received from the data selecting unit 701 i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LCD Display) 609 (see FIG. 6) and the orientation display unit 611 (see FIG. 6). Serves as a form of processing.

메인 메모리부(707)는 상기 메인 위치 데이터 처리부(703) 및 메인 상태 데이터 처리부(705)로부터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메인 메모리부(707)에 저장된 데이터는 성과 및 데이터 정보 이용시에 사용될 수 있다.The main memory unit 707 stores data processed by the main position data processing unit 703 and the main state data processing unit 705. Data stored in the main memory unit 707 may be used when using performance and data informa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표지석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n electronic marker sea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은 미리 정해진 기준 좌표에 상응하여 자기 좌표를 인식(단계 801)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은 반복되는 자기 좌표의 인식을 통해서 위치 좌표의 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electronic marker seat 301 (see FIG. 3) recognizes the magnetic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reference coordinates (step 801). Here, the electronic marker seat 301 (see FIG. 3) may detect a change in the position coordinate through repeated recognition of the magnetic coordinate.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은 자기 좌표를 인식한 후, 시설물의 훼손 상태여부를 확인(단계 803)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은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시설물의 훼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센서는 수평 및 수직 진동 상태, 누수 상태 및 가스 누출 상태 등을 감지 할 수 있다.The electronic beacon 301 (refer to FIG. 3) recognizes the magnetic coordinates and then checks whether the facility is damaged (step 803). Here, the electronic beacon 301 (see FIG. 3) may determine whether the facility is damaged by using a detection sensor. For example, detection sensors can detect horizontal and vertical vibrations, leaks and gas leaks.

상기 훼손 상태 여부 확인 결과, 시설물의 훼손이 감지 되었을 경우,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은 훼손 상태에 상응하는 훼손 데이터를 추출(단계 805)한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의 가스관에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이 설치되었을 경우, 상기 훼손 데이터는 상태 감지 센서인 가스 센서에 감지된 가스 누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 누출 데이터는 누출된 가스의 농도 및 가스관의 파손 정도 등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특정 지역의 국가 기준점 표지석의 경우, 상기 훼손 데이터는 상태 감지 센서인 진동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국가 기준점 표지석의 변경된 위치 데이터 및 표지석 파손 데이터 등이 될 수 있다.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the damaged state is detected, when the damage of the facility is detected, the electronic marker stone 301 (see FIG. 3) extracts the damaged data corresponding to the damaged state (step 805).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beacon 301 (refer to FIG. 3) is installed in a gas pipe of a specific region, the damage data may be gas leak data detected by a gas sensor which is a state detection sensor. Here, the gas leak data may be the concentration of the leaked gas and the degree of breakage of the gas pipe. In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a national reference point marker in a specific region, the damage data may be changed location data of the national reference point marker, detected by the vibration sensor, which is a state detection sensor, and marker signal damage data.

훼손 데이터를 추출한 후,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은 상기 추출한 훼손 데이터를 상기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에 상응하는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으로 전송(단계 809)한다. 여기서, 상기 훼손 데이터는 상기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에 상응하는 시설물의 훼손 발생시에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의 호출 신호에 상관 없이 응급 데이터로 전송되는 데이터이다.After extracting the damaged data, the electronic marker stone 301 (see FIG. 3) transmits the extracted damaged data to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see FIG. 3)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marker stone (301, FIG. 3) (step 809). do. Here, the damage data is data transmitted as emergency data regardless of a call signal of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see FIG. 3) when damage of a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marker seat 301 (see FIG. 3) occurs.

상기 훼손 상태 여부 확인 결과, 시설물의 훼손이 감지되지 않았을 경우,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은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으로부터의 전자 표지석 식별자 호출 신호 수신 여부를 확인(단계 807)한다. 상기 전자 표지석 식별자 호출 신호는 조사자가 특정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상기 조사자에 상응하는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이다. 여기서, 상기 전자 표지석은 고유의 식별자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조사자는 상기 식별자에 상응하는 전자 표지석에 전자 표지석 식별자 호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the damaged state is detected, when the damage of the facility is not detected, the electronic marker seat 301 (see FIG. 3) checks whether the electronic marker seat identifier cal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see FIG. 3) (step 807). )do. The electronic marker seat identifier call signal is a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see FIG. 3) corresponding to the investigator when the investigator wants to check the position and state information of a specific electronic marker seat 301 (see FIG. 3). . Here, since the electronic marker seat has a unique identifier, the investigator can transmit the electronic marker seat identifier call signal to the electronic marker sea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전자 표지석 식별자 호출 신호 수신 여부를 확인 결과, 전자 표지석 식별자 호출 신호가 수신됐을 경우,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은 상기 전자 표지석 식별자 호출 신호에 상응하는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으로 상기 전자 표지석 식별자 호출 신호에 상응하는 위치 및 상태 데이터를 송신(단계 809)한다.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the electronic marker seat identifier call signal is received, when the electronic marker seat identifier call signal is received, the electronic marker seat 301 (refer to FIG. 3) may be connected to the remote sensing system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marker seat identifier call signal (see 303 and FIG. 3). In step 809, position and status data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marker seat identifier call signal are transmitted.

전자 표지석 식별자 호출 신호 수신 여부를 확인 결과, 전자 표지석 식별자 호출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은 단계 801을 수행한다. 시설물 관리자는 상기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을 이용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시설물을 유지 관리할 수 있다.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the electronic marker seat identifier call signal is received, if the electronic marker seat identifier call signal is not received, the electronic marker seat 301 (see FIG. 3) performs step 801. The facility manager can continuously maintain the facility by repeating the above process by using the electronic marker seat 301 (see FIG. 3).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감지 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processing procedure in a remote sens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은 특정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에 상응하는 전자 표지석 식별자 호출 신호를 상기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에 송신(단계 901)한다.Referring to FIG. 9,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see FIG. 3) corresponds to the electronic beacon 301 (see FIG. 3) when checking the position and state information of a specific electronic beacon seat 301 (see FIG. 3). The electronic beacon identifier call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beacon 301 (see Fig. 3) (step 901).

그 후, 상기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은 상기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으로부터 상기 전자 표지석 식별자 호출 신호에 상응하는 전자 표지석 응답신호를 수신(단계 903)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 표지석 응답 신호는 상기 전자 표지석에 상응하는 시설물의 의치 및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Thereafter,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see FIG. 3) receives an electronic marker seat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marker seat identifier call signal from the electronic marker seat 301 (see FIG. 3) (step 903). Here, the electronic marker seat response signal includes denture and stat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marker seat.

전자 표지석 응답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은 상기 전자 표지석 응답 신호에 상응하는 수신 데이터를 처리(단계 905)한다.After receiving the electronic beacon response signal,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see FIG. 3) processes the received data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beacon response signal (step 905).

그 후,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은 처리된 데이터를 정보 표시부(LCD Display)(609)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를 표시(단계 907)한다. 또한 상기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은 방위 표시부(611)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의 방향 및 거리를 표시(단계 909)한다.Thereafter,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see Fig. 3) displays the processed data using the information display (LCD display) 609 (step 907). In addition,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see FIG. 3) displays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direction and distance of the electronic marker seat 301 (see FIG. 3) using the orientation display unit 611 (step 909).

조사자는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을 이용하여 상기의 과정에 따라 자신의 위치, 주변 지형 정보 및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까지의 방향, 거리 등을 확인하여 특정 시설물을 유지 관리 할 수 있다. 또한, 조사자는 특정 시설물의 훼손 발생시 응급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시설물에 대해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The investigator maintains a specific facility by using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see FIG. 3) to check his / her location, surrounding topographical information, direction and distance to the electronic marker seat (301, see FIG. 3) according to the above process. Can manage In addition, an investigator can receive emergency data in the event of damage to a particular facility and take immediate action on the facility.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성과 및 데이터 이용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the performance and data usage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전자 표지석(1001)은 시설물의 위치 및 상태 정보 등의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메인 서버(1003)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1003)는 복수의 원격 감지 시스템(1005)과 네트워크 망(1004)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메인 서버(1003)는 상기 위치 및 상태 정보 등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오프라인으로 복수의 원격 감지 시스템(1005)의 성과 및 데이터제공에 이용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원격 감지 시스템(1005)은 특정 시설물의 조사자 및 일반 데이터 이용자가 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원격 감지 시스템(1005)은 상기 메인 서버(1003)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복수의 전자 표지석(1001)으로부터 직접 시설물의 위치 및 상태 정보 등의 데이터를 수신받아 이용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plurality of electronic marker seats 1001 transmits data such as loc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a facility to the main server 1003 online. In addition, the main server 1003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remote sensing systems 1005 through a network 1004. The main server 1003 stores data such as location and status information in a database and uses the data to provide performance and data of the plurality of remote sensing systems 1005 offline. Here, the plurality of remote sensing system 1005 may be an investigator of a specific facility and a general data user. The plurality of remote sensing systems 1005 may receive and use data such as loc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a facility directly from the plurality of electronic beacons 1001 without using the main server 1003.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위치 파악을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the location using the electronic marker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조사자는 특정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으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수신받아 자기 위치 점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사자는 필요한 전자 표지석(301, 도3 참조)을 선택하여 위치 데이터를 수신받아 자기 위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an investigator may receive position data from a specific electronic marker seat 301 (see FIG. 3) to obtain coordinates of a magnetic location point. Here, the investigator may select the required electronic marker seat 301 (see FIG. 3) to receive the position data and obtain the own position coordinates.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훼손 시설물 관리를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management of damage facilities using an electronic marker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조사자(1202)는 원격 감지 시스템(303, 도3 참조)내의 정보 표시부(LCD Display)(609, 도6 참조) 및 방위 표시부(611, 도 6 참조)를 통하여 시설물의 상태를 확인하여 시설물 관리를 할 수 있다. 상기 조사자(1202)는 정보 표시 화면(1201)을 통해 상기 조사자(1202), 정상 신호 장치(1203) 및 오류 신호 장치(1205)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조사자(1202)는 오류 신호를 발견하면 상기 오류 신호 관련 데이터를 시설물 관리 데이터에 입력하여 상기 오류 신호 장치에 상응하는 시설물을 전산 관리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investigator 1202 is a state of the facility through an information display (LCD Display) 609 (see FIG. 6) and the orientation display (611, FIG. 6) in the remote sensing system 303 (see FIG. 3). You can check the facility management. The investigator 1202 may identify the investigator 1202, the normal signal device 1203, and the error signal device 1205 through the information display screen 1201. When the investigator 1202 detects an error signal, the investigator 1202 may input the error signal-related data to facility management data to perform computerized management of facilities corresponding to the error signal device.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국가 측지 기준점의 훼손 및 망실의 우려가 없고 즉각적인 대응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전자 표지석(ES: Electronic Signal)을 이용한 측지 기준점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eodetic reference point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using an electronic signal (ES) capable of immediate response and management without fear of damage or loss of the national geodetic reference point.

본 발명에 의하면, 저렴한 가격의 전자 표지석(ES: Electronic Signal)을 설치 함으로써 저 예산으로 국가 측지 기준점을 관리할 수 있는 전자 표지석(ES: Electronic Signal)을 이용한 측지 기준점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eodetic reference point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using an electronic signal (ES) that can manage a national geodetic reference point at a low budget by installing an electronic signal (ES) of low cost.

본 발명에 의하면, 국가 측지 기준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전자 표지석(ES: Electronic Signal)을 이용한 측지 기준점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eodetic reference point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using an electronic signal (ES) which can grasp the exact position of the national geodetic reference point.

Claims (13)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전자 표지석은 상기 시설물에 상응하며, 내부 프로세서를 구비함-,A method of managing a facility using an electronic beacon, wherein the electronic beacon corresponds to the facility and has an internal processor, 미리 정해진 기준 좌표에 따라서,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를 인식하는 단계;Recognizing a coordinate of the electronic marker sea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coordinate;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에 따라서, 상기 시설물의 상태를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단계;Confirming the state of the facility using at least one sensor accor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electronic marker seat; 상기 확인 결과를 통신 네트워크 및 상호 송수신 장치를 통하여 원격 감지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confirmation result to a remote sensing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utual transceiver; 를 포함하는 것Comprising 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Facility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시설물은 측지 기준점의 표지석, 지적 도근점의 표지석 및 특정 시설물의 유지 관리용 표지석 중 적어도 하나인 것The facility is at least one of a marker seat of the geodetic reference point, a marker seat of the cadastral approach point and a marker seat for maintenance of a specific facility. 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Facility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시설물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은Checking the condition of the facility 미리 정해진 기간마다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것To check regular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Facility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센서는 위치 감지 센서, 진동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및 누수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것The sensor is at least one of a position sensor, a vibration sensor, a gas sensor and a leak detection sensor 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Facility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확인 결과는 시설물의 훼손시에 추출되는 응급 데이터인 것The result of the check is emergency data extracted when the facility is damaged. 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Facility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 감지 시스템과 연결된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전자 표지석은 상기 시설물에 상응하며, 내부 프로세서를 구비함-,A method of managing a facility using an electronic beacon which is connected to a remote sensing system via a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electronic beacon corresponds to the facility and has an internal processor; 상기 원격 감지 시스템으로부터 식별자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n identifier call signal from the remote sensing system; 미리 정해진 기준 좌표에 따라서 인식한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coordinates of the recognized electronic marker sea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coordinate; 상기 추출한 전자 표지석의 좌표에 따라서, 상기 시설물의 상태를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단계;Confirming the state of the facility using at least one sensor according to the extracted coordinates of the electronic marker; 상기 확인 결과를 상기 원격 감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confirmation result to the remote sensing system 를 포함하는 것Comprising 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Facility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식별자는 상기 전자 표지석의 고유한 식별자인 것The identifier being a unique identifier of the electronic marker seat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Facility management method using an electronic marker stone characterized in that. 통신 네트 워크를 통하여 원격 감지 시스템과 연결된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전자 표지석은 상기 시설물에 상응하며, 내부 프로세서를 구비함-,A method of managing a facility using an electronic beacon which is connected to a remote sensing system via a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electronic beacon is corresponding to the facility and has an internal processor; 상기 전자 표지석으로부터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 및 응급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coordinates and emergency data of the electronic marker seat from the electronic marker seat;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 및 상기 응급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설물의 방위를 표시하는 단계; 및Displaying the coordinates of the electronic marker seat and the orientation of the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data; And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 및 상기 응급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설물의 훼손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훼손 데이터는 시설물의 위치 변동 수치 및 파손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Outputting damage data of the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electronic marker and the emergency data, wherein the damage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a position change value and a damage value of the facility; 를 포함하는 것Comprising 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Facility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통신 네트 워크를 통하여 원격 감지 시스템과 연결된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여기서, 상기 전자 표지석은 상기 시설물에 상응하며, 내부 프로세서를 구비함-,A method of managing a facility using an electronic beacon which is connected to a remote sensing system via a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electronic beacon is corresponding to the facility and has an internal processor; 상기 전자 표지석에 식별자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Transmitting an identifier call signal to the electronic marker seat; 상기 전자 표지석으로부터 상기 식별자 호출 신호에 상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응답 신호는 적어도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 및 상기 전자 표지석에 상응하는 시설물의 훼손 여부를 포함함-; 및Receiving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call signal from the electronic marker seat, wherein the response signal includes at least a coordinate of the electronic marker seat and whether a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marker seat is damaged; And 상기 응답 신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Outputt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signal 를 포함하는 것Comprising 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방법.Facility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시설물을 관리하는 전자 표지석의 내부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internal system of the electronic beacon seat that manages the facility,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A memory in which a program is stored;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A processor coupled to the memory to execute the program 를 포함하되,Including but not limited to: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The processor by the program, 미리 정해진 기준 좌표에 따라서,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를 인식하는 단계,Recognizing a coordinate of the electronic marker sea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coordinate,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에 따라서, 상기 시설물의 상태를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단계,Confirming the state of the facility using at least one sensor accor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electronic marker seat, 상기 확인 결과를 통신 네트워크 및 상호 송수신 장치를 통하여 원격 감지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confirmation result to a remote sensing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utual transceiver; 를 실행하는 것Will run 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Facili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시설물을 관리하는 전자 표지석의 내부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internal system of the electronic beacon seat that manages the facility,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A memory in which a program is stored;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A processor coupled to the memory to execute the program 를 포함하되,Including but not limited to: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The processor by the program, 상기 원격 감지 시스템으로부터 식별자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n identifier call signal from the remote sensing system, 미리 정해진 기준 좌표에 따라서 인식한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the coordinates of the recognized electronic marker sea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coordinate; 상기 추출한 전자 표지석의 좌표에 따라서, 상기 시설물의 상태를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단계,Confirming the state of the facility using at least one sensor accor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extracted electronic marker seat, 상기 확인 결과를 상기 원격 감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confirmation result to the remote sensing system 를 실행하는 것Will run 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Facili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전자 표지석을 이용하여 시설물을 관리하는 원격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remote sensing system for managing the facility using the electronic marker seat,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A memory in which a program is stored;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A processor coupled to the memory to execute the program 를 포함하되,Including but not limited to: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The processor by the program, 상기 전자 표지석으로부터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 및 응급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coordinates and emergency data of the electronic marker seat from the electronic marker seat,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 및 상기 응급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설물의 방위를 표시하는 단계 및Displaying the coordinates of the electronic marker seat and the orientation of the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data; and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 및 상기 응급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설물의 훼손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훼손 데이터는 시설물의 위치 변동 수치 및 파손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Outputting damage data of the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electronic marker and the emergency data, wherein the damage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a position change value and a damage value of the facility; 를 실행하는 것Will run 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Facili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전자 표지석을 이용하여 시설물을 관리하는 원격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remote sensing system for managing the facility using the electronic marker seat,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A memory in which a program is stored;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A processor coupled to the memory to execute the program 를 포함하되,Including but not limited to: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The processor by the program, 상기 전자 표지석에 식별자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Transmitting an identifier call signal to the electronic marker seat; 상기 전자 표지석으로부터 상기 식별자 호출 신호에 상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응답 신호는 적어도 상기 전자 표지석의 좌표 및 상기 전자 표지석에 상응하는 시설물의 훼손 여부를 포함함- 및Receiving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call signal from the electronic marker seat, wherein the response signal includes at least the coordinates of the electronic marker seat and whether the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marker seat is damaged; and 상기 응답 신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Outputt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signal 를 실행하는 것Will run 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Facili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1-0027471A 2001-05-19 2001-05-19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facility using electronic signal KR1004810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471A KR100481066B1 (en) 2001-05-19 2001-05-19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facility using electronic signal
CNA028119568A CN1761964A (en) 2001-05-19 2002-05-20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index
PCT/KR2002/000944 WO2002097704A2 (en) 2001-05-19 2002-05-20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inde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471A KR100481066B1 (en) 2001-05-19 2001-05-19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facility using electronic sig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667A true KR20020088667A (en) 2002-11-29
KR100481066B1 KR100481066B1 (en) 2005-04-07

Family

ID=36707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471A KR100481066B1 (en) 2001-05-19 2001-05-19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facility using electronic signa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81066B1 (en)
CN (1) CN1761964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154B1 (en) * 2006-04-20 2007-07-20 한진정보통신(주) System for managing benchmark using the rfid and method therefor
KR100983221B1 (en) * 2007-10-02 2010-09-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Remote control system for mark of position information using the RFID
KR101227683B1 (en) * 2012-06-22 2013-01-29 주식회사 일도엔지니어링 System for managing benchmark using the rfid
KR102432239B1 (en) * 2021-10-18 2022-08-12 송종찬 System for managing integrated underground pipeline indicator by adapting internet of thing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920B1 (en) * 2010-02-02 2010-11-09 비티컨설턴트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structure using gps system
KR101212740B1 (en) 2012-05-10 2012-12-14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Geodetic survey data precision observation system
KR101212731B1 (en) 2012-05-14 2012-12-14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Geodetic survey data management system
KR101217856B1 (en) 2012-05-25 2013-01-02 동아항업주식회사 Topography measurement data update system for reflecting change of positions in gp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7340A (en) * 1992-10-21 1994-06-14 Sekisui Chem Co Ltd Buried marker
JPH07134032A (en) * 1993-11-11 1995-05-23 Fujita Corp Buried label
JP2876389B2 (en) * 1993-12-17 1999-03-31 三井建設株式会社 Installation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device and installation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device
JPH0926320A (en) * 1995-07-12 1997-01-28 Sekisui Chem Co Ltd Marker body and its probing system
JPH0968429A (en) * 1995-08-31 1997-03-11 Ripuro:Kk Position indicator and its installation metho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154B1 (en) * 2006-04-20 2007-07-20 한진정보통신(주) System for managing benchmark using the rfid and method therefor
KR100983221B1 (en) * 2007-10-02 2010-09-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Remote control system for mark of position information using the RFID
KR101227683B1 (en) * 2012-06-22 2013-01-29 주식회사 일도엔지니어링 System for managing benchmark using the rfid
KR102432239B1 (en) * 2021-10-18 2022-08-12 송종찬 System for managing integrated underground pipeline indicator by adapting internet of th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1066B1 (en) 2005-04-07
CN1761964A (en)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48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utility asset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CA2875184C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updating geographical data
US10417264B2 (en) Ticket entry systems and methods
CN103229197B (en) The integrated pipe wire management system of use information means of identification and method
US20100045517A1 (en) Precision GPS Driven Utility Asset Management and Utility Damag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10132951B2 (en) Detection of buried assets using drone apparatus
US20060220955A1 (en) Geographic marking device with RFID transponder
CN202120283U (en) Electronic identification management system
KR101486652B1 (en) A multipurpose function electronic measurement reference station system
KR101958441B1 (en) System for digging,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of country life line using electronic display device and AR
KR1004810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facility using electronic signal
Sterling et al. Encouraging innovation in locating and characterizing underground utilities
KR100877073B1 (en) Device for surveying pipe and method for surveying pipe using the same and system for surveying pipe using the same
KR100883794B1 (en) Device for surveying pipe and method for surveying pipe using the same and system for surveying pipe using the same
KR101705709B1 (en) Geodetic surveying system that improves the underground facility location change
US9759833B2 (en) Buried asset detection including portable transmitter hookup logging
KR102222687B1 (en) Control point system based on mobile app
US20140292486A1 (en) Generation of buffer zones for buried assets
US20150070138A1 (en) Detection of buried assets using current location and known buffer zones
EP3255465B1 (en) Buried asset locate device motion sensing for quality control
Patel et al. Integrat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with laser technology to capture as-built information during open-cut construction
US9086441B2 (en) Detection of buried assets using current location and known buffer zones
Malaperdas et al. Field Surveying, Geostatistical and GIS Methods in Archaeology. The Mycenaean Spercheios-Valley Project (MY. SPE. AR. Project 2018-2022)
Momin et al. Mapping of the assets and utilities: a vision for the development of smart cities in India
Patel et al. Integrating GPS and laser technology to map underground utilities installed using open trench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