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3826A - 자동차용 로드 리미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로드 리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3826A
KR20020083826A KR1020010023485A KR20010023485A KR20020083826A KR 20020083826 A KR20020083826 A KR 20020083826A KR 1020010023485 A KR1020010023485 A KR 1020010023485A KR 20010023485 A KR20010023485 A KR 20010023485A KR 20020083826 A KR20020083826 A KR 20020083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spool
locking
load
tors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3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3826A/ko
Publication of KR20020083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82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6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deformation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로드 리미터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추돌사고가 일어남과 동시에 시트 벨트의 록킹시, 순차적인 걸림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시트 벨트의 록킹 상태가 단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로드 리미터에 있어서, 추돌사고의 초기에 시트 벨트의 하중이 높게 작용할 때까지 탑승자를 구속시킴으로써, 승객을 좌석에 단단히 유지시키고, 핀부재가 파단된 후에는 다시 상기 시트 벨트의 하중이 감소하여 시트 벨트에 의한 상해로 부터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용 로드 리미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로드 리미터{Loadlimite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로드 리미터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추돌사고가 일어남과 동시에 시트 벨트의 록킹시, 순차적인 걸림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시트 벨트의 록킹 상태가 단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로드 리미터에 있어서, 추돌사고의 초기에 시트 벨트의 하중이 높게 작용할 때까지 탑승자를 구속시킴으로써, 승객을 좌석에 단단히 유지시키고, 핀부재가 파단된 후에는 다시 상기 시트 벨트의 하중이 감소하여 시트 벨트에 의한 상해로 부터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용 로드 리미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 벨트는 자동차의 추돌 사고시나 돌발적인 급정거시에 탑승자가 차체와 충돌 또는 차밖으로 방출되는 치명적인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모든 시트에 필수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탑승자 전원이 의무적으로 착용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 벨트는 어깨에서 가슴을 경유하는 대각선 착용방식과 허리에서 복부를 경유하는 수평 착용방식으로 구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트 벨트는 일단 착용하고 나면 사고시에는 시트 벨트 어셈블리에서 시트 벨트가 인출되지 못한다.
만약 시트 벨트 어셈블리에서 시트 벨트가 인출된다면 안전을 위한 목적성에 위배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동차의 추돌 사고시나 돌발적인 급정거시에 인체에 관성이 발생하면 가슴이나 복부가 시트 벨트에 강하게 조여지는 힘을 받게 되어 심한 손상을 받게 된다.
물론 안전을 위한 시트 벨트의 취지 상으로는 이러한 장애는 감수해야 되겠지만 사실은 사고시 인체가 앞으로 약간 더 이동하는 것이 의학적 차원에서 더욱 안전한 것이 인정된 바 있다.
즉, 무리한 인체의 결속보다도 약간의 이동을 가해줌으로서 일종의 관성 완충 역할을 하게 됨으로 사고에 대한 충격을 예방함과 동시에 인체의 시트 벨트에 의한 손상과 관성 억제에 대한 거부 반응을 해소시킬 수 있다.
종래의 시트 벨트의 구조 개념을 간략하면 다음과 같다.
시트 하단 측면에 고정된 시트 벨트 어셈블리가 있고, 이 시트 벨트 어셈블리의 시트 벨트가 어깨 상단의 어퍼 앵커 플레이트를 경유하여 로커를 끼우고 다시 시트 벨트 어셈블리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반대편 하단 측면에 버클 어셈블리를 브라켓으로 연결하고 이 브라켓을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시켜 놓는다.
시트 벨트의 착용시는 로커를 잡고 시트 벨트를 시트 벨트 어셈블리의 정방향에서 당김으로서 시트 벨트를 시트 벨트 어셈블리에서 인출하여 가슴이나 복부에 감은 후 로커를 버클에 끼워 고정시키게 된다.
이런 착용 상태에서 자동차의 추돌 사고시나 돌발적인 급정거시에 앞으로 쏠리는 인체의 하중이 심하게 가해지더라도 시트 벨트 어셈블리의 정방향으로는 하중이 가해지지 않음으로 시트 벨트는 조금도 인출되지 않아 인체가 고정되어 보호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 한계 이상의 하중이 걸리면 오히려 약간은몸을 시트 벨트로부터 완충시켜 주는 것이 유리한데 종래에는 무조건 억지로 인체를 고정시킴으로써, 한계 이상의 하중에서는 가슴이나 복부 부분이 시트 벨트에 의한 압박과 관성에 의한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종래의 자동차용 로드 리미터는 도 4 및 5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14), 토션바(11) 및 스풀(12)의 구속 작용에 의해 록킹이 이루어지는데, 탑승자가 감속을 받아 시트 벨트(10)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토션바(11)가 비틀림을 받고, 소성 변형하여 스풀을 회전시키면 시트 벨트(10)가 풀리면서 흉부 상해치를 낮출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자동차용 로드 리미터는 자동차의 추돌 사고시의 초기에 일정한 하중에서 로드 리미터가 작동하여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를 좌석에 단단히 고정시켜주지 못하므로 전방의 핸들이나 크래쉬 패널에 부딪혀 상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추돌사고의 초기에 시트 벨트의 하중이 높게 작용할 때까지 탑승자를 구속시킬수 있도록 디스크와 스풀 사이에 핀부재를 고정시킴으로써, 승객을 좌석에 단단히 유지시키고, 상기 핀부재가 파단된 후에는 다시 상기 시트 벨트의 하중이 감소하여 시트 벨트에 의한 상해로 부터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용 로드 리미터를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로드 리미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로드 리미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간에 따른 탑승자가 시트 벨트에 의해 받는 하중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일반적인 로드 리미터의 스풀 및 토션 바를 나타낸 사시도
도 5∼6은 종래의 로드 리미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 벨트 11 : 토션 바
12 : 스풀12a : 플랜지
13 : 프레임14 : 록킹부
15 : 디스크부16 : 핀부재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추돌사고가 일어남과 동시에 시트 벨트(10)의 록킹시, 순차적인 걸림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시트 벨트(10)의 록킹 상태가 단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로드 리미터에 있어서, 스풀(12)의 일측면과 대향되게 형성되고, 록킹부(14)와 일체로 형성된 디스크부(15)의 외측단을 관통하여 상기 스풀(12)의 플랜지(12a)에 핀부재(16)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핀부재(16)는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그 핀부재(16)의 갯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로드 리미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로드 리미터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시간에 따른 탑승자가 시트 벨트(10)에 의해 받는 하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는 토션 바(11), 스풀(12), 프레임(13) 등이 포함되어 있는 리트렉터에서, 상기 토션 바(11) 및 스풀(12)과 프레임(13)에 각각 상호 걸림 수단을 구비하고, 이것들의 걸림 작용에 의해 시트 벨트(10)의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풀(12)의 선택적인 걸림 기능은 기존의 걸림 기능과 다를 바가 없으므로, 시트 벨트(10)의 감김 및 풀림은 기존과 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토션 바(11)의 일측에는 록킹부(14)가 형성되어 있어 자동차의 추돌 사고시에 시트 벨트(10)를 록킹시킨다.
상기 록킹부(14)와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디스크부(15)는 스풀(12)의 일측면과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부(15)의 외측단에는 핀부재(16)가 그 디스크부(15)를 관통하여 스풀(12)의 플랜지(12a)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핀부재(16)는 토션 바(11)의 작동으로 스풀(12)의 회전시에 일정 하중 이상이 되면 파단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핀부재(16)의 갯수는 시트 벨트(10)를 착용하는 탑승자의 체중과 비례하여 장착되며, 상기 핀부재(16)의 갯수를 조절하여 초기 하중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풀(12)은 시트 벨트(10)가 감겨져 있으며, 상기 토션 바(11)와 연결되어 그 토션 바(11)의 회전시에 시트 벨트(10)를 풀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원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 추돌사고시나 급정거시와 같은 충격에 의해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의 신체가 전방으로 쏠리면서 시트 벨트(10)에 일정 한계 이상의 장력이 가해지게 되면, 로드 리미터의 록킹부(14)가 동작되면서 시트 벨트(10)를 록킹시켜 줄 수 있게 되어 스풀(12)이 고정되게 된다.
이후, 일정 하중 이상 발생시에 토션 바(11)가 비틀림 모멘트를 받아서 소성 변형하게 되면 상기 스풀(12)의 회전하려는 힘에 의해 핀부재(16)가 파단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풀(12)은 핀부재(16)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핀부재(16)가 부러지기 전까지는 탑승자의 신체에 받는 하중이 상승하게 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초기의 하중이 높게 작용하여 탑승자를 구속시키면 좌석에 탑승자의 신체가 단단히 유지하게 되어 관성에 의한 핸들과 크래쉬 패드에 충돌하게 되는 시점을 벗어나도록 하여 전방의 방해물로 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핀부재(16)가 파단하게 되어 로드 리미터가 작동하게 되고, 스풀(12)이 순차적으로 회전하여 시트 벨트(10)가 인출하게 되는데, 상기 토션 바(11)의 비틀림 변형에 의해 시트 벨트(10)는 소정의 시간을 거쳐 완충영역을 가지면서 록킹되므로 탑승자의 흉부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줄여주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로드 리미터는 추돌사고의 초기에 시트 벨트의 하중이 높게 작용할 때까지 탑승자를 구속시킬수 있도록 디스크와 스풀 사이에 핀부재를 고정시킴으로써, 승객을 좌석에 단단히 유지시키고, 상기 핀부재가 파단된 후에는 다시 상기 시트 벨트의 하중이 감소하여 시트 벨트에 의한 상해로 부터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자동차의 추돌사고가 일어남과 동시에 시트 벨트(10)의 록킹시, 순차적인 걸림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시트 벨트(10)의 록킹 상태가 단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로드 리미터에 있어서, 스풀(12)의 일측면과 대향되게 형성되고, 록킹부(14)와 일체로 형성된 디스크부(15)의 외측단을 관통하여 상기 스풀(12)의 플랜지(12a)에 핀부재(16)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로드 리미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16)는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그 핀부재(16)의 갯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로드 리미터.
KR1020010023485A 2001-04-30 2001-04-30 자동차용 로드 리미터 KR200200838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485A KR20020083826A (ko) 2001-04-30 2001-04-30 자동차용 로드 리미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485A KR20020083826A (ko) 2001-04-30 2001-04-30 자동차용 로드 리미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826A true KR20020083826A (ko) 2002-11-04

Family

ID=2770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485A KR20020083826A (ko) 2001-04-30 2001-04-30 자동차용 로드 리미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38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565B1 (ko) * 2002-10-16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로드 리미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5411A (ja) * 1996-07-18 1998-02-10 Nippon Seiko Kk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2001106025A (ja) * 1999-09-30 2001-04-17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5411A (ja) * 1996-07-18 1998-02-10 Nippon Seiko Kk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2001106025A (ja) * 1999-09-30 2001-04-17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565B1 (ko) * 2002-10-16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로드 리미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50589B1 (en) Belt retractor
EP1024064B1 (en) Seat belt retractor
US8302995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four-point occupant restraint belt system
US20110133439A1 (en) Restraint system load limiter
CN101554866B (zh) 座椅安全带***及车辆
GB2387576A (en) Seat belt retractor with two force limiting means
US20020149191A1 (en) Seat belt apparatus
JPH04126665A (ja) 車両乗員保護装置
JP3608769B2 (ja) シートベルト用バックル装置
GB2387573A (en) Seat belt retractor with first and second force limiting means
US20220324402A1 (en) Vehicle side collision occupant restraint system
KR20020083826A (ko) 자동차용 로드 리미터
RU2319625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глощения энергии с ограничением перемещения туловища пассажира
CN111942322B (zh) 安全带锁扣结构及汽车
US10752202B2 (en) Three-point seat belt with additional safety features
KR100371540B1 (ko) 자동차용 로드리미터
KR100435382B1 (ko) 자동차용 로드리미터
JP2003025939A (ja) 乗員保護装置
EP3323671A1 (en) Method of reducing the values of deccelerations acting on motor vehicle occupant&#39;s body during an accident and safety automotive seat where this method is used
KR0150904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GB2277494A (en) Vehicle child safety seat
KR100590957B1 (ko) 로드리미터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버클장치
KR100362113B1 (ko) 시트벨트용 미니앵커의 취부구조
KR102634408B1 (ko) 차량의 서브마린 방지 시트 벨트 및 그 작동 방법
KR0142251B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어퍼 앵커 플레이트 브라켓 설치식 로드 리미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