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5882A - 치아인상채득방법 - Google Patents

치아인상채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882A
KR20020065882A KR1020020042947A KR20020042947A KR20020065882A KR 20020065882 A KR20020065882 A KR 20020065882A KR 1020020042947 A KR1020020042947 A KR 1020020042947A KR 20020042947 A KR20020042947 A KR 20020042947A KR 20020065882 A KR20020065882 A KR 20020065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impression
divider
pair
t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2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영희
Original Assignee
남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영희 filed Critical 남영희
Priority to KR1020020042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5882A/ko
Publication of KR20020065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88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 A61C2201/002Material properties using colour effect, e.g. for identification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환자의 치악크기에 따라 분류된 다수개의 트레이를 구비하고, 상악의 치조결절(Maxillary tuberosity)과 하악의 구후결절(Retromolar Pad)을 기준으로 해당 치과환자의 치악에 가장 적합한 트레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치아인상채득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사람의 치악크기에 따라서 다수개의 상악 및 하악트레이로 분류하는 트레이분류단계; 동일하게 분류된 한 쌍의 상악 및 하악트레이에는 동일한 고유색상을 부여하고 다르게 분류된 각 쌍의 상악 및 하악트레이에는 상이한 고유색상을 부여하는 고유색상부여단계; 상기 디바이더를 이용해서 상악의 경우에는 치조결절 부위의 좌우 치조제정간의 폭을 계측하고, 하악의 경우에는 구후결절의 전방 부위의 좌우 치조제정간의 폭을 계측하는 디바이더계측단계; 계측된 디바이더를 그대로 둔 채로 후술하게 될 기준테이블에 재어서 대응되는 고유색상을 검출하는 색상검출단계; 상기 기준테이블의 고유색상에 대응된 트레이쌍을 선택하는 트레이선택단계; 선택된 트레이쌍에 소정량의 인상제를 담는 트레이이용단계; 인상제가 담겨진 트레이쌍을 치과환자의 치아에 접촉시켜 치아인상을 채득하는 인상채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아인상채득방법{the Method for Acquiring Tooth Impression}
본 발명은 인상채득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치과환자의 치악크기에 따라 분류된 다수개의 트레이를 구비하고, 상악의 치조결절(Maxillarytuberosity)과 하악의 구후결절(Retromolar Pad)을 기준으로 해당 치과환자의 치악에 가장 적합한 트레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치아인상채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환자의 치아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해당 환자의 구강내 치아인상을 채득하여야 하는데, 이때 이용되는 인상채득장치를 트레이 또는 인상채득용트레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기존의 치아인상채득용 트레이의 구조는 치과보철물을 장착하려는 치과환자의 구강의 내부 인상구조를 채득하기 위하여 인상제를 담을 수 있는 오목한 구조물과 그 구조물에 고정된 손잡이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트레이를 구성하는 재질은 주로 금속물질이 이용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인상채득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사람의 치아형태는 나이에 따라 다르고, 민족에 따라 다르며, 몸집에 따라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크기나 형상의 트레이를 이용해서 치과보철물을 제작하고 있다.
설령, 서로 다른 크기의 트레이를 이용한다고 하여도 진료의사가 눈대중으로 트레이를 선택하기 때문에 경험이 적은 치과의사의 환자는 적절한 치과진료를 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사람의 치아는 사용기간이 적어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매우 정밀하게 제작되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치아인상채득시 치과의사의 경험에만 의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치과의사의 경험여부에 관계없이 해당 치과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트레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아인상채득의 정밀성을 기한 치아인상채득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인상 채득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인상 채득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디바이더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인상 채득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준테이블을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디바이더32 : 계측손잡이
34 : 회동틀36 : 제 1 계측바
38 : 제 2 계측바40 : 기준테이블
A : 명칭란B : 상악기준란
C : 하악기준란D : 제조자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사람의 치악크기에 따라서 다수개의 상악 및 하악트레이로 분류하는 트레이분류단계; 동일하게 분류된 한 쌍의 상악 및 하악트레이에는 동일한 고유색상을 부여하고 다르게 분류된 각 쌍의 상악 및 하악트레이에는 상이한 고유색상을 부여하는 고유색상부여단계; 상기 디바이더를 이용해서 상악의 경우에는 치조결절 부위의 좌우 치조제정간의 폭을 계측하고, 하악의 경우에는 구후결절의 전방 부위의 좌우 치조제정간의 폭을 계측하는 디바이더계측단계; 계측된 디바이더를 그대로 둔 채로 후술하게 될 기준테이블에 재어서 대응되는 고유색상을 검출하는 색상검출단계; 상기 기준테이블의 고유색상에 대응된 트레이쌍을 선택하는 트레이선택단계; 선택된 트레이쌍에 소정량의 인상제를 담는 트레이이용단계; 인상제가 담겨진 트레이쌍을 치과환자의 치아에 접촉시켜 치아인상을 채득하는 인상채득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인상채득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사람의 치악크기에 따라서 다수개의 상악 및 하악트레이로 분류하는 트레이분류단계(S110)를 진행한 다음, 동일하게 분류된 한 쌍의 상악 및 하악트레이에는 동일한 고유색상을 부여하고 다르게 분류된 각 쌍의 상악 및 하악트레이에는 상이한 고유색상을 부여하는 고유색상부여단계(S120)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분류된 트레이가 5종류이고, 고유색상을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색으로 각각 부여하고자 한다면, 1종의 상악 및 하악트레이에는 빨강색을, 2종의 상악 및 하악트레이에는 주황색을, 3종의 상악 및 하악트레이에는 노랑색을, 4종의 상악 및 하악트레이에는 초록색을, 5종의 상악 및 하악트레이에는 파랑색을 각각 부여하면 될 것이다.
이어서, 후술할 디바이더를 이용해서 상악의 경우에는 치조결절 부위의 좌우 치조제정간의 폭을 계측하고, 하악의 경우에는 구후결절의 전방 부위의 좌우 치조제정간의 폭을 계측하는 디바이더계측단계(S130)를 진행한다.
계측된 디바이더를 그대로 둔 채로 후술하게 될 기준테이블에 재어서 대응되는 고유색상을 검출하는 색상검출단계(S140)를 수행한 다음, 상기 기준테이블의 고유색상에 대응된 트레이쌍을 선택하는 트레이선택단계(S150)를 진행한다.
계속해서, 선택된 트레이쌍에 소정량의 인상제를 담는 트레이이용단계(S160)와, 인상제가 담겨진 트레이쌍을 치과환자의 치아에 접촉시켜 치아인상을 채득하는 인상채득단계(S170)를 차례로 수행함으로써 본 루프를 종료한다.
한편, 상기 디바이더 및 기준테이블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인상채득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디바이더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디바이더(30)는 환자의 치악 계측시 손으로 잡기 위한 계측손잡이(32)와, 계측손잡이에 고정되어 계측범위를 정의하는 회동틀(34)과, 회동틀에서 정의된 소정의 각도 만큼 회동가능하도록 하여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제 1 계측바(36)와, 회동틀에서 정의된 소정의 각도 만큼 회동가능하도록 하여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제 2 계측바(38)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인상채득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준테이블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기준테이블(40)은 트레이세트의 브랜드 즉, 명칭이 인쇄된 명칭란(A)과, 치과환자의 윗치아에 적합한 상악트레이를 선택하는 기준색상이 지정된 상악기준란(B)과, 치과환자의 아래치아에 적합한 하악트레이를 선택하는 기준색상이 지정된 하악기준란(C)과, 제조업체명이 인쇄된 제조자란(D)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는 황동,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황동합금, 아연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물질로 이루어지고, 색상을 표시하는 상기 기준색상은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진료환자의 치악에 적합한 트레이를 이용하여 매우 정밀한 치과보철물의 제작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치과의사의 노하우가 중요시되지 않을 정도로 자동화되고, 최적화된 트레이를 제공함으로써 진료서비스의 품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상악트레이와 하악트레이를 서로 색상으로 매칭시킴으로써 별도의 측정장치가 동원되지 않아도 한눈에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치과보철물의 제작상의 실수를 줄여주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사람의 치악 크기에 따른 다수개의 트레이와,
    치과환자의 상악의 경우에는 치조결절 부위의 좌우 치조제정간의 폭을 계측하고, 하악의 경우에는 구후결절의 전방 부위의 좌우 치조제정간의 폭을 계측하는 디바이더와,
    계측되어 길이가 벌어진 디바이더를 원상회복시키지 않은 채로 접촉시켜 서로 대응된 고유색상을 검출하기 위한 기준테이블을 구비하고,
    사람의 치악크기에 따라서 다수개의 상악 및 하악트레이로 분류하는 트레이분류단계,
    동일하게 분류된 한 쌍의 상악 및 하악트레이에는 동일한 고유색상을 부여하고 다르게 분류된 각 쌍의 상악 및 하악트레이에는 상이한 고유색상을 부여하는 고유색상부여단계,
    상기 디바이더를 이용해서 상악의 경우에는 치조결절 부위의 좌우 치조제정간의 폭을 계측하고, 하악의 경우에는 구후결절의 전방 부위의 좌우 치조제정간의 폭을 계측하는 디바이더계측단계,
    계측된 디바이더를 그대로 둔 채로 후술하게 될 기준테이블에 재어서 대응되는 고유색상을 검출하는 색상검출단계,
    상기 기준테이블의 고유색상에 대응된 트레이쌍을 선택하는 트레이선택단계,
    선택된 트레이쌍에 소정량의 인상제를 담는 트레이이용단계,
    인상제가 담겨진 트레이쌍을 치과환자의 치아에 접촉시켜 치아인상을 채득하는 인상채득단계를 포함하는 치아인상채득방법.
KR1020020042947A 2002-07-22 2002-07-22 치아인상채득방법 KR200200658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947A KR20020065882A (ko) 2002-07-22 2002-07-22 치아인상채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947A KR20020065882A (ko) 2002-07-22 2002-07-22 치아인상채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882A true KR20020065882A (ko) 2002-08-14

Family

ID=27727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947A KR20020065882A (ko) 2002-07-22 2002-07-22 치아인상채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58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271B1 (ko) * 2020-10-27 2021-08-05 주식회사 하스 치아 보철수복을 위한 기성 크라운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6266A (ja) * 1997-09-01 1999-03-23 Ichiro Yokota 歯科用の抗菌印象用トレー
JP2001028691A (ja) * 1999-07-14 2001-01-30 Sharp Corp 画像処理装置
JP2002058686A (ja) * 2000-04-07 2002-02-26 Micro Mega Sa 歯内治療器具の収納ケース
KR200272753Y1 (ko) * 2002-01-26 2002-04-19 남영희 치아인상채득용트레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6266A (ja) * 1997-09-01 1999-03-23 Ichiro Yokota 歯科用の抗菌印象用トレー
JP2001028691A (ja) * 1999-07-14 2001-01-30 Sharp Corp 画像処理装置
JP2002058686A (ja) * 2000-04-07 2002-02-26 Micro Mega Sa 歯内治療器具の収納ケース
KR200272753Y1 (ko) * 2002-01-26 2002-04-19 남영희 치아인상채득용트레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271B1 (ko) * 2020-10-27 2021-08-05 주식회사 하스 치아 보철수복을 위한 기성 크라운 제조방법
WO2022092504A1 (ko) * 2020-10-27 2022-05-05 주식회사 하스 치아 보철수복을 위한 기성 크라운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5109C2 (ru) Способ и набор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зубного протеза
Qadeer et al. Relationship between articulation paper mark size and percentage of force measured with computerized occlusal analysis
CA2716490C (en) Integrated modular dental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ntures
Vasantha Kumar et al. The science of anterior teeth selection for a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 a literature review
EP0482000B1 (en) Manufacture of artificial teeth and crowns
Hampé-Kautz et al. A comparative in vivo study of new shade matching procedures
Moussaoui et al. Accuracy,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digital intraoral scanner for shade selection: Current status of the literature
US71285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denture teeth
Bajunaid et al. Evaluating the reliability of facial and hand measurements in determining the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Doukantzi et al. Comparison of the accuracy of optical impression systems in three different clinical situations
Cox A clinical study comparing marginal and occlusal accuracy of crowns fabricated from double‐arch and complete‐arch impressions
O'Sullivan Fixed prosthodontics in dental practice
KR20020065882A (ko) 치아인상채득방법
Teguh et al. Facial and Hand Landmark Measurements for Making Accurate Occlusal Vertical Dimension Determinations
Al–Hamdany et al. Correlation of vertical dimensions of soft tissue facial profiles
Young Jr et al. Assessing shade differences in acrylic resin denture and natural teeth
El-Sheikh et al. Intercanthal distance of a Sudanese population sample as a reference for selection of maxillary anterior teeth size
Rijal et al. A novel shape representation of the dental arch and its applications in some dentistry problems
RU18367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бора цвета зуба и слизистой оболочки альвеолярного отростка, используемое при изготовлении зубного протеза
KR100578822B1 (ko)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
Asad et al. Proportional mesio-distal dimension of permanent maxillary teeth
Pearl et al. Marking the invisible–A review of the various occlusal indicators and techniques
Ryu et al. Morphological investigation of residual ridge in Japanese edentulous elderly for fabrication of edentulous stock tray
EP3900672B1 (en) Assembly type rod for recording occlusal plane
Hottel et al. The SPA factor or not? Distinguishing sex on the basis of stereotyped tooth characteris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