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6231A - 전회전가마 - Google Patents

전회전가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6231A
KR20020046231A KR1020017015257A KR20017015257A KR20020046231A KR 20020046231 A KR20020046231 A KR 20020046231A KR 1020017015257 A KR1020017015257 A KR 1020017015257A KR 20017015257 A KR20017015257 A KR 20017015257A KR 20020046231 A KR20020046231 A KR 20020046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ln
thread
needle
driver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0672B1 (ko
Inventor
후지나가나오지
호시나노조미
니시자와요시후미
시미즈히로미츠
츠쿠다젠고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덴기 가부시키가이샤
히로세 토쿠죠
히로세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덴기 가부시키가이샤, 히로세 토쿠죠, 히로세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덴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46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6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6Shuttles with bobbin casings guided in track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6Bobbin holders or casings; Bobbin holder or case guards; Bobbin discharge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30Driving-gear for loop takers
    • D05B57/36Driving-gear for loop takers in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38Shuttle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3/00Devices associated with the loop-taker thread, e.g. for tens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회전가마에 관한 기술로서 실을 삽입하기 위해 바늘코(10)를 가지고 있는 중가마(3)는, 대가마(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드라이버(4)에 의해서 압축되고, 바늘(8)의 상하운동에 동기하여 회전방향(B)에 연속적으로 회전한다. 이 중가마(3)에는, 보빈스레드(bobbin thread)(12)이 보빈(6)에 감겨져서 수납되는 보빈케이스(bobbin case)가 장착된다. 보빈케이스(5)에서 보빈스레드(12)가 인출된 상태에서, 중가마(3)가 회전되고, 바늘코(10)에 의해서 실이 삽입되고, 이 실(9)의 루프(loop)를 중가마(3)의 외표면을 따라 확대하고, 실(9)의 루프내를 중가마(3) 및 보빈케이스(5)가 통과하도록, 실(9)의 루프에 중가마(3) 및 보빈케이스(5)를 실로 통과시켜서, 실(9)을 보빈스레드(12)에 감아서, 바늘땀을 형성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회전가마{FULL ROTARY HOOK}
전형적인 종래의 기술의 수직전회전가마는, 상하로 왕복구동되는 바늘의 이동경로의 축선에 수직적인 회전축선주위에 회전구동되는 외부가마와, 외부가마내에 장착되는 내부가마와, 내부가마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보빈케이스와, 보빈스레드가 감겨서 보빈케이스내에 장착되는 보빈을 갖는다.
외부가마는, 바늘에 통과된 실을 삽입하기 위해 바늘코를 가지고, 내주변부에 트랙홈(track groove)이 형성되는 주변벽과, 주변벽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연결되는 저변벽(bottom wall)과, 저변벽에서 상기 주변벽과는 반대측으로 돌출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재봉틀의 하부축에 주변방향으로 위치고정되는 보스(boss)부를 갖는다. 외부가마의 주변벽은, 바늘이 삽입하여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눈금(notch)이 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분리되어, 상기 바늘코는, 외부가마의 회전방향하류측의 단부로 이루어진 원주방향 일단부에 형성된다.
외부가마는, 외주변부에 트랙돌출부(track projection)이 형성되는 주변벽과, 주변벽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저변부와, 주변벽의 축선방향타단부에서 반경방향 외부방향으로 돌출하여 연결되는 플랜지(flange)와, 저변부의 중앙에 개구단측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터드(stud)를 갖는다. 트랙돌출부(track projection)는, 바늘이 삽입되는 영역에서, 후술하는 실이 통과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위해서, 원주방향으로 분리되어 있다. 플랜지(flange)에는 가마정지홈(holder stop recess)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내부가마는, 저변부가 외부가마의 저변벽측에 배치되는 상태로 외부가마에 장착되고, 트랙돌출부가 외부가마의 트랙홈에 끼워져서, 외부가마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가마정지홈에 재봉틀의 기체(body)에 고정되는 가마정지부재의 돌출부가 끼워지며, 외부가마의 회전에 따라서 내부가마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한다.
보빈케이스는, 보빈스레드 조절스프링(bobbin thread tension spring)가 설치되는 주변벽과, 주변벽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래치기구(latch mechanism)가 설치되는 단벽(end wall)을 갖는다. 이 보빈케이스는, 보빈스레드가 감겨진 보빈이 수납된 상태에서, 내부가마의 스터드에 래치기구에 의해 감겨져서 장착된다. 보빈케이스에 수납된 보빈스레드는, 보빈에서 인출되며, 보빈케이스의 주변벽과, 보빈스레드조절스프링과의 사이를 통과하여, 내부가마의 개방단측을 통해서 윗쪽으로 이끌려 간다.
수직전회전가마는, 외부가마가 상기 회전축선주위에 회전구동되어, 외부가마의 회전에 동기하여 왕복구동되는 바늘에 의해 주어진 실을 바늘코에 의해서 삽입하여, 이 실의 루프를 내부가마의 외표면을 따라 확대하면서 주위를 통과시켜서, 실의 루프내를 외부가마가 통과하도록 실로 통과시켜서, 실을 보빈에서 인출된 보빈스레드에 감아서, 이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스레드레버(thread lever)의 상승동작에 의해서 실이 올려짐으로써 바늘판(needle plate)의 피봉제물을 봉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전형적인 종래의 기술의 반회전가마는, 재봉틀의 기체에 고정되는 대가마와, 대가마내에 장착되는 중가마와, 상하로 왕복구동되는 바늘의 축선에 수직인 회전축선주위에 유동구동되는 드라이버와, 중가마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보빈케이스와, 보빈스레드가 감겨져서 보빈케이스내에 장착되는 보빈을 갖는다.
대가마는, 내주변부에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트랙홈(track groove)이 형성되어 있다. 중가마는, 반원호를 따라 연장하는 주변벽과, 주변벽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연결하는 저변벽과, 저변벽에 주변벽의 축선방향 타단부을 향해 설치되는 스터드(stud)를 갖는다. 이 중가마는, 트랙 돌출부(track projection)가 대가마의 트랙홈에 끼워져서, 대가마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드라이버는, 반원호를 따라 연장하는 드라이버 본체와, 드라이버 본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재봉틀의 하부축에 원주방향으로 위치적으로 고정되는 보스부(boss)를 갖는다.
이 드라이버는, 드라이버 본체가 대가마내의 중가마와 약 180도 이동한 위치에 배치되어, 드라이버 본체의 원주방향 양단부가, 중가마의 주변벽의 원주방향 양단부를 각각 압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빈케이스는, 보빈스레드 조절스프링이 설치되는 주변벽과, 주변벽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래치기구가 설치되는 단벽을 갖는다. 이 보빈케이스는, 보빈스레드가 감겨진 보빈이 수납된 상태에서, 중가마의 스터드(stud)에 래치기구에 의해서 맞물려서, 중가마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보빈케이스는, 대가마에 의해서 중가마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이 저지되고 있다. 보빈케이스에 수납된 보빈스레드는, 보빈에서 인출되어, 보빈케이스의 주변벽과, 보빈스레드 조절스프링과의 사이를 통과하여, 중가마의 축선방향 타단부측을 통하여 윗쪽으로 인도되어 간다.
반회전가마는, 드라이버가 상기 회전축선주위에 반회전하도록, 유동구동되며, 중가마가 드라이버에 의해서 압축되어, 바늘코가 윗쪽으로 배치되는 위치와 바늘코가 아랫쪽으로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서, 유동구동되어, 이 중가마의 유동에 동기하여 왕복구동되는 바늘에 의해서 주어진 실을 바늘코에 삽입하여, 이 실의 루프를 중가마의 외표면을 따라서 확대하면서 중가마의 주위를 통과시켜, 이것에 의해서 실의 루프를 보빈케이스의 주위를 실로 통과시켜서,실을 보빈에서 인출된 실에 감아서, 이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스레드레버의 상승동작에 의해서 실이 올려짐으로써 바늘판의 피봉제물을 봉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수직전회전가마는, 바늘코가 외부가마에 의해서, 실의 루프가, 보빈케이스가 장착되는 내부가마의 주위를 통과하도록, 내부가마를 실로 통과시키고 있다. 실을 삽입하여 그 실의 루프를 이동시키는 외부가마는, 재봉틀의 하부축에 고정되어 있기때문에, 실의 루프내를 통과할 수 없다. 실의 루프는 트랙 돌출부의 외부가마 회전방향상류측의 단부로 이루어지는 스레드분리부(thread separating portion)에 감겨지고, 실의 루프의 상하로 연장하는 2개의 스레드 부분을 내부가마의 저변부측과 개방단측으로 각각 나누어지고, 내부가마를 실로 통과한다.
실의 루프의 최하단부가 내부가마의 최하단부를 통과할 때, 바늘코에 의해서 삽입된 직후에 바늘코가 형성되는 바늘코 형성부의 외부가마 개방단측에서 윗쪽으로 연장하는 실의 루프의 스레드부분은, 내부가마의 저변부측에 연장하여, 또한 바늘코에 의해서 삽입된 직후에 바늘코형성부의 외부가마의 저변부측에서 윗쪽으로 연장하는 실의 루프의 스레드부분은, 내부가마의 개방단측에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실의 루프는, 내부가마의 윗쪽에서 교차한 상태로, 내부가마를 실로 통과한다. 이와 같이, 실을 이동시키는 외부가마가 실의 루프내를 통과할 수 없는 수직전회전가마에서는, 내부가마를 실로 통과시킬 때에, 실의 루프가 내부가마의 윗쪽에서 교차되어, 실에 뒤틀림이 쉽게 발생한다
종래 기술의 반회전가마는, 바눌코가 형성되는 중가마에 의해서, 실의 루프에 보빈케이스를 실로 통과시키고 있다. 실을 삽입하여 그 실의 루프를 이동시키는 중가마는, 재봉틀의 하부축에 고정되는 드라이버와는 별개로 분리되어 형성되므로, 실의 루프내를 통과시킬 수 있다. 실의 루프는, 실의 루프의 상하로 연장하는 2개의 스레드부분을 중가마의 저변부측과 개방단축으로 각각 분리하여, 중가마가 실의 루프내를 통과하여, 이것에 따라 보빈케이스가 실의 루프내를 통과하도록 실로 통과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반회전가마에서는, 실의 루프의 최하단부가 보빈케이스의 최하단부를 통과할 때, 바늘코에 의해서 삽입된 직후에 바늘코가 형성되는 바늘코 형성부의 중가마 개방단측에서 윗쪽으로 연장하는 실의 루프의 스레드부분은, 중가마의 개방단측에 연장하여, 또한 바늘코에 의해서 삽입된 직후에 바늘코 형성부의 중가마의 저변부측에서 윗쪽으로 연장하는 실의 루프의 스레드부분은, 중가마의 개방단측에 연장되고 있다. 따라서 실의 루프는, 중간부분에서 교차하지 않고, 대략 U자형으로 확대되어, 중가마 및 보빈케이스를 실로 통과한다. 이와 같이 실을 통과시키는 중가마가 실의 루프내를 통과할 수 있는 반회전가마는 상술의 수직전회전가마와 같이 실의 루프가 교차하지 않기때문에, 실에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수직전회전가마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반회전가마에서는, 중가마를 압축하는 드라이버가 반회전구동되어 있기때문에, 드라이버는, 1사이클의 동작중에, 2번 정지해야 하며, 운전 속도의 고속화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이 뒤틀리지 않고, 보빈스레드에 감겨서, 또한 운전속도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전회전가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정용재봉틀 및 공업용재봉틀 등에 구비되는 전회전가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과 그 이외의 목적과, 특색과 이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서 한측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인 전회전가마(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전회전가마(1)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중가마(3)의 정면도이다.
도 4 는 중가마(3)의 측면도이다.
도 5 는 중가마(3)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중가마(3)의 배면도이다.
도 7 은 대가마(2) 및 중가마(3)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다.
도 8 은 드라어버(4)와 스프링부재(35)의 접합 및 분리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 는 도 7의 섹션(IX)를 확대하여 나태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의 다른 형태의 전회전가마(1a)의 대가마(2a) 및 중가마(3a)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청구항 1기재의 본 발명은, 재봉틀의 기체에 고정되어, 내주변부에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트랙홈(track groove)가 형성되는 대가마와,
상하로 왕복구동되는 바늘에 의해 주어진 실을 삽입하기 위해서 바늘코를 가지고, 외주변부에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트랙 돌출부(track projection)가 형성되어, 이 트랙돌출부가 상기 트랙홈에 끼워져서 대가마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중가마와, 바늘의 상하운동으로 동기하여 소정의 회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구동되어, 이 회전에 의해서 상기 중가마를 압축하여 회전시키는 드라이버와, 보빈스레드가 수납되어, 중가마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보빈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회전가마이다.
본발명에 따르면, 실을 삽입하는 바늘코를 갖는 중가마는, 대가마에 장착되어 회전가능하고, 드라이버에 의해서 압축되어, 바늘의 상하운동으로 동기하여 소정의 회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하여, 이 중가마에는, 보빈스레드가 수납되는 보빈케이스가 장착된다. 보빈케이스에서 보빈스레드가 인출된 상태에서, 중가마가 회전되어, 바늘코에 의해서 실이 삽입되고, 이 실의 루프를 중가마의 외표면을 따라 확대하여, 실의 루프내를 보빈케이스가 통과하도록, 실의 루프에 보빈케이스를 실로 통과시켜서, 실을 보빈스레드에 감아서, 바늘땀을 형성할 수 있다. 실을 삽입하여, 이 실의 루프를 확대하면서 이동시키는 중가마는, 별개로 형성되는 드라이버에 의해서 회전되기때문에, 실은 보빈케이스를 실로 통과시킬때, 중가마를 실로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실의 루프는, 중간부분에서 교차하지 않고, 대략 U자형으로 확대된 형태로 실통과가 가능하며, 실은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고, 보빈스레드에 감겨진다. 또한, 드라이버는, 소정의 회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구동되어, 이것을 따라 중가마는 연속적으로 회전되며, 드라이버 및 중가마는, 1사이클의 동작중에 정지하지 않기때문에, 전회전가마를 고속으로 운전할 있다.
청구항 2기재의 본 발명은,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중가마는, 기반단부 부근에서 고정되는 스프링부재를 가지며,
드라이버는, 스프링부재의 자유단(free end) 또는 자유단 부근을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라이버는, 중가마의 스프링부재의 자유단 또는 자유단 부근을 압축하여, 드라이버의 회전력은, 스프링부재에서 중가마에 전달되어, 중가마가 회전된다. 이것에 의해서 드라이버가 연속적으로 회전구동될 때, 스프링부재는, 탄성변형동작 및 이 탄성변형의 왕복동작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이것에 의해서 드라이버와 스프링부재의 자유단 또는 자유단 부근과는, 주기적으로 접합 또는 분리한다. 실의 루프는, 중가마를 실이 통과함에 따라서, 드라이버와 스프링부재의 자유단 또는 자유단 부근이 분리했을 때에, 드라이버와 스프링부재의 자유단 또는 자유단 부근과의 간격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실의 루프가 실로 통과할 때, 실이 중가마와 드라이버에 끼여서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실의 루프는, 원활하게 실로 통과 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실이 중가마와 드라이버에 의해서 끼여질 때, 실은 스프링부재를 탄력적으로 변형시켜서, 드라이버와 스프링부재와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바늘에 관통된 실이 끊어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청구항 3기재의 본 발명은 청구항 1기재의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드라이버의 회전축선은, 중가마의 회전축선에 대해서 편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라이버와 중가마와의 회전축선의 편심에 의해서 드라이버가 중가마를 압축하는 위치가 중가마의 반경방향으로 변화하여, 드라이버에서 중가마에 전달되는 토오크가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이것에 의해서 토오크의 낮은 시점에서, 드라이버와 중가마와의 사이를 실 루프에 통과시킬수 있다.
청구항 4기재의 본 발명은,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대가마에는, 트랙홈을 대향해서 대가마의 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중가마의 트랙돌출부에는, 중가마의 축선방향으로 돌출하고, 대가마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중가마의 반경방향 외부향측에서 맞물리는 돌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한다.
또한 대가마의 트랙홈을 대향해서 형성되는 돌추부와, 중가마의 트랙돌출부에 형성되는 돌출부가 맞물려서, 중가마가 원주방향으로 안내된다. 이것에 의해서 중가마는, 회전시에 반경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청구항 5기재의 본 발명은, 청구항 1∼4의 어느 하나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중가마는, 트랙돌출부가 형성되는 주변벽을 가지고, 이 주변벽에는, 바늘이 삽입되는 영역에 바늘낙하홀(needle drop hol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중가마는, 트랙돌출부가 형성되는 주변벽을 가지고, 바늘코에 의해서 삽입되는 실의 루프는, 주변벽에 안내되어 확대되면서 중가마의 주위를 이동하여, 이것에 의해서 중가마 및 보빈케이스를 용이하게 실로 통과할 수 있다. 이 주변벽에는, 바늘이 삽입되는 바늘낙하홀이 형성되어, 바늘과 중가마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적당한 실시의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의 전회전가마(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좌측에서 보았을 때 나타내는 전회전가마(1)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전회전가마(1)은, 대가마(2)와, 중가마(3)와, 드라이버(4)와, 보빈케이스(5)와, 보빈(6)을 가지고, 이 전회전가마(1)는, 도시하지 않은 재봉틀베드에 설치되는 바늘판의 하부방향으로 배치된다.
대가마(2)는, 재봉틀의 기체에 고정되어, 내주변부에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트랙홈(7)이 형성된다. 중가마(3)는 상하로 왕복구동되는 바늘(8)에 의해서 주어지는 실(9)을 삽입하는 바늘코(10)을 가지고, 외주변부에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트랙돌추부(11)가 형성되어, 이 트랙돌출부(11)가 상기 트랙홈(7)에 끼워져서 대가마(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드라이버(4)는, 바늘(8)의 상하운동으로 동기하여 소정의 회전방향(A)으로 연속적으로 회전구동되어, 이 회전에 의해서 중가마(3)를 압축하여 회전시킨다. 보빈케이스(5)는 중가마(3)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보빈(6)은, 보빈스레드(12)가 감겨서, 보비케이스(5)에 장착되어, 이것에 의해서 보빈케이스(5)에 보빈스레드(12)가 수납된다.
대가마(2)는, 그 축선(L1)가, 수직인 바늘(8)의 이동경로의 축선L2에 대해서 수직이 되도록,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되고, 트랙홈(7)은, 축선(L1)주위에 원주방향으로 연장하여, 반경방향 내부방향으로 개방하고 있다. 대가마(2)는, 대가마 본체(14)와, 대가마 본체(14)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중가마 누름기(15)를 가지고, 중가마누름기(15)를 대가마 본체(14)에서 분리하는 것에 의해서, 트랙홈(7)으 축선방향의 한 방향으로 개방한다.
도 3은 중가마(3)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 우측에서 보았을 때 중가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상부측에서 보았을 때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뒷쪽에서 보았을 때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중가마(3)는, 그 축선을 대가마(2)의 축선(L1) 과 일치시켜서(이하, 중가마(3)의 축선도 부호(L1)로 표시한다), 대가마(2)에 장착되어, 트랙돌출부(11)는, 축선(L1)주위에 원주방향으로 연장하여, 반경방향 외부방향으로 돌추하고 있다. 중가마(3)는, 외주변부에 트랙돌출부(11)가 형성되는 주변벽(17)과, 이 주변벽(17)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연결되어, 축선(L1)에 수직인 가상평면을 따라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저변벽(18)과, 저변벽(18)의 중앙부에서 축선(L1)을 따라서 주변벽(17)의 축선방향 타단부를 향해서 설치되는 스터드(19)를 가지고, 저변벽(18)과 본체측의 축선방향 타단부에서 개방한다.
주변벽(17)은, 원주방향 전주부(全周部)에 연장되고 있으며, 축선방향의 중앙에서 저변벽(18)측의 주변벽부(20)와, 축선방향의 중앙에서 개방단측의 주변벽부(21)를 가진다. 저변벽측 주변벽부(20)는, 저변벽(18)에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저변벽측 주변벽부(20)의 원주방향에 관해서 바늘코(10)가 형성되는 부근의 영역(S1, S2)에서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원주방향에 관해서 각 영역(S1, S2)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는, 축선방향으로 저변벽측(18)에서 멀어져서 개방단을 향해 직경이 확대되는 원추대형으로 형성된다.
저변벽측 주변벽부(20)의 바늘코(10)가 형성되는 위치의 원주방향 양측에 연장되는 영역(S1)에서는, 저변벽(18)근처 부분의 외주면은, 각 영역(S1, S2)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원추대형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태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영역(S1)의 중가마(3)를 배면측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주위(B)방향 상류측에, 저변벽측 주변벽부(20)의 영역(S1)에 연결되는 저변벽측 주변벽부(20)의 영역(S2)에서는, 영역(S1)과 동일한 형태로 저변벽(18) 근처의 부분의 외주면이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과 함께, 중가마 개방단 주위 부분의 외주면은, 상기 화살표(B)에서 나타내는 방향 상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각 영역(S1, S2)를 제외하는 나머지 영역의 원추대형의 외주면부에 접근하도록 형성된다. 원통형에 형성되는 영역(S1, S2)는, 원주방향에 관해서 바늘코(10)이 형성되는 위치에서 화살표(B) 방향 상류측에 이동한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 약 60도의 주위이다. 이와 같은 저변벽측 주변벽부(20)의 적어도 저변벽(18) 근처의 부분은, 원주방향 전체에 원활하게 연장하고, 그 외주면은, 개방단에서 저변벽(18)을 향함에 따라서 직경이 축소되는 원추대형으로 형성된다.
개방단측 주변벽부(21)는, 저변벽측 주변벽부(20)의 저변벽(18)에 연결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축선방향으로 저변벽(18)에서 멀어져서 개방단을 향함에 따라서 축소직경 원추형상으로 형성되어, 원주방향에 관해서, 바늘코(10)가 형성되는 위치의 원주방향측의 영역(S3)에서 저변벽측 주변벽부(20) 근처의 부분에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바늘낙하홀(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바늘낙하홀(22)이 형성되는 영역(S3)는, 원주방향에 관해서 바늘코(10)가 형성되는 위치에서 중가마(3)를 정면측에서 볼 때 시계주위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화살표(B)방향 하류측에 이동한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 약 220도의 주위이다. 이와 같은 개방단측 주변벽부(21)의 적어도 개방단부위의 부분은, 원주방향 전체에 원할하게 연장하고, 그 외주면은, 저변벽(18)에서 개방단을 향함에 따라서 직경이 축소되는 원추대형으로 형성된다.
주변벽(17)은, 이와 같은 각 주변벽 부분(20, 21)을 가지고, 축선방향 중앙부가 반경방향 외부방향으로 팽창하는 형상을 갖는다. 트랙돌출부(11)는, 이와 같은 주변벽(17)의 축선방향 중앙부에, 반경방향 외부방향에 돌출하여 형성된다. 이트랙돌출부(11)는, 원주방향에 관해서 바늘코(10)가 형성되는 위치부근의 영역(S4)에서 눈금이 새겨져 분리되어 있으며, 나머지 영역(S5∼S7)에서는, 원주방향에 연결되어 연장하고 있다. 트랙돌출부(11)가 눈금이 새겨지는 영역(S4)는, 원주방향에 관해서 바늘코(10)가 형성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약 30도의 범위이다.
트랙돌출부(11)는, 축선(L1)을 포함하는 가상평면에서 절단한 단면의 형상이 대략 장방형상이고, 내주변측 부분(28)과, 외주변측 부분(29)을 가지고, 외주변측 부분(29)은, 내주변 부분(28)보다도 내부가마 개방단측에 돌출하여 있다. 외주변 부분(29)의 축선방향의 폭은, 원주방향 양단부 근처의 각 영역(S5, S6)의 폭이, 이들 각 영역(S5, S6)간의 원주방향 중간부의 영역(S7)의 폭보다도 작고, 따라서 각 영역(S5, S6)은 내주변부분(28)에 대한 돌출량이, 영역(S7)의 돌출량에 비해서 작다. 트랙 돌출부가 눈금이 새겨지는 영역(S4)와, 외주변부분(29)의 폭이 작은 각 영역(S5, S6)을 합한 영역은, 원주방향에 관해서 바늘낙하홀(22)이 형성되는 영역(S3) 과 대략 일치하고 있다.
이 트랙돌출부(11)의 외주면으로 이루어지는 외주변부분(29)의 외주면은, 원통면에 형성되고, 트랙돌출부(11)의 저변벽(18)측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각 부분(28, 29)의 저변벽측의 단면은, 일면의 축선(L1)에 수직인 평면에 형성된다. 또한 트랙돌출부(11)의 내부가마 개방단측의 단면을 구성하는 내주변부분(28)의 내부가마 개방단측의 단면은, 축선(L1)에 수직인 평면에 형성되어, 트랙돌출부(11)의 내부가마 개방단측의 단면을 구성하는 외주변부분(29)의 내부가마 개방단측의 단면은, 각 영역(S5, S6)의 영역(S7)부근의 단면에서는 경사를 가지고 형성되며, 이 단부 이외의 나머지 영역에서는, 축선(L1)에 수직인 평면에 형성된다.
개방단측주변벽부(21)의 바늘낙하홀(22)에 저변벽(18)측에서 대향하는 부분의 단면은, 트랙돌출부(11)의 외주변부분(29)의 각 영역(S5, S6)의 중가마 개방단측의 단면과 동일면에 형성된다. 또한 트랙돌출부(11)가 눈금이 새겨진 영역(S4)에서는, 개방단측 주변벽부(21)의 저변벽(18)측의 부분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따라서 트랙돌출부(11)가 눈금이 새겨지는 영역(S4)에서는 축선 방향 양단부간의 중간부에서의 각 주변벽부(20, 21)의 외주면이 축선(L1)주위의 동일의 원통면에 형성된다.
주변벽(17)에는, 화살표(B) 방향 하류측의 단부로 이루어지는 트랙돌출부(11)의 원주방향 일단부(25)에서, 또한 화살표(B)방향으로 돌출하여, 바늘코 형성부(26)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이 바늘코 형성부(26)에 바늘코(10)가 형성된다. 이 바늘코 형성부(26)는, 트랙돌출부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이 바늘코 형성부(26)는, 화살표(B)방향 및 중가마(3)의 축선방향으로 저변벽(18)에서 중가마 개방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앞이 점점 가늘어지게 형성된다. 바늘코 형성부(26)의 외주면은, 트랙돌출부(11)의 외주면과 동일한 원통면에 형성되어, 중가마 개방단측의 단면은, 내주변부분이 트랙돌출부(11)의 내주변부분(28)과 동일한 평면에 형성되어, 외주변부분이 기반단부측에서 트랙돌출부(11)의 외주변부분의 (29) 영역(S5, S6)과 동일한 평면에 형성되어, 첨단부측에서 트랙돌출부(11)의 외주변부분(29)의 영역(S7)과 동일한 평면에 형셩되어, 저변부측의 단면은, 기반단부측에서 트랙돌출부(11)의 저변벽측의 단면과 동일한 평면에 형성되어, 첨단부측에서 화살표(B)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저변벽(18)에서 중가마 개방단을 향하도록 경사를 가지고 형성된다. 이 바늘코 형성부(26)의 첨단에 바늘코(10)이 형성되어, 바늘코(10)는, 트랙돌출부(11)의 외주변부분(29)의 영역(S7)에서의 중가마 개방단측의 단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트랙돌출부(11)의 외주면을 포함하는 원통면이 교차하는 원통위에 위치한다.
또한 중가마(3)는, 스프링부재(35)를 가지고, 이 스프링부재(35)는, 원주방향으로 분리되는 트랙돌출부(11)의 원주방향 양단부(25, 38)간에 형성되는 오목부(40)에 설치된다.
스프링부재(35)는, 대략 L자형이고, 기반단부측의 부분(36)이 원주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트랙돌출부(11)가 눈금이 새겨지는 영역(S4)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주변벽(17)의 외주변부에, 나사 등에 의해서 고정되고, 이 형태로, 자유단측의 부분(37)이, 반경방향 외부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자유단측의 부분(37)은, 트랙 돌출부(11)의 원주방향 타단부(38)를 포함하는 주변벽의 오목부(40)에 화살표(B)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대향하는 화살표(B) 방향 상류측의 단부와의 사이에 간격T1을 두고 배치되고, 이것에 의해서 스프리부재(35)는, 화살표(B)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변형할 수 있다. 이 스프링부재(35)는, 중가마(3)를 축선(L1)주위에 회전시켰을 때의 트랙돌출부(11)의 이동경로에서 축선방향 및 반경방향 외부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저변벽(18)은, 원판상이고, 원주방향전체에 걸쳐서 주변벽(17)의 저변벽측주변벽부(20)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스터드(19)는, 저변벽(18)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저변벽(18)에 대해서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 스터드(19)는, 대략 원주형이, 첨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감기홈(engaging groov)(3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중가마(3)는, 주변벽(17), 저변벽(18), 및 스터드(19)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스프링부재(35)는, 스프링강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7은, 대가마(2) 및 중가마(3)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다. 대가마(2)의 대가마 본체(14)는, 주변벽(60)과, 주변벽(60)의 축선방향 일단부를 연결하는 저변부(61)을 갖는다. 저변부(61)에는, 축선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62)이 형성되어 있다.
중가마누름기(15)는, 고리모양이고, 나사 등에 의해서 대가마 본체(15)의 주변벽(6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대가마(2)는, 저변부(61)와는 반대측이 개방되어 있다.
중가마(3)는, 대가마 본체(14)에서 중가마누름기(15)를 떼어내어 트랙홈(7)의 대가마 개방단을 축선방향으로 개방하고, 이 상태에서, 트랙돌출부(11)를 트랙홈(7)에 끼워 맞춰서, 중가마누름기(15)를 대가마 본체(14)에 장착하여, 잠겨진 상태에서 대가마(2)에 장착된다. 중가마(3)는, 저변벽(18)을 대가마 본체(14)의 저변부(61)근처에 배치하여 장착되고 있으며, 대가마(2)에 장착된 상태에서, 트랙돌출부(11)가 트랙홈(7)에 대향하는 부분에 안내되어, 축선(L1)주위에 회전가능하다.
도 1, 도 2 및 도 7을 참조하여, 드라이버(4)는, 중가마(3)를 압축하는 압축부(42)를 갖는 드라이버 본체(43)와, 드라이버 본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재봉틀의 하부축(44)에 원주방향으로 위치하여 고정되는 원통형의 보스부(45)를 가지고, 대가마(2)내에 설치된다. 보스부(45)는, 중가마(3)의 배후측에 배치되어, 대가마 본체(14)의 관통공(62)을 통과하여 중가마(3) 부근까지 연장하고 있는 하부축(44)에 고정되어 있다. 드라이버 본체(43)는, 대략 L자형이고, 보스부(45)의 중가마(3) 근처의 단부에서 반경방향 외부방향으로, 중가마(3)의 저변벽(18)을 따라 연장하는 기반부(46)과, 기반부(46)의 반경방향 외부방향의 단부에서 중가마의 개방단부측을 향해서 굴곡하고, 중가마(3)의 개방단에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는 압축부(42)를 갖는다. 압축부(42)는, 첨단부분이 중가마(3)의 오목부(40)에 끼워져 있있다. 드라이버 본체(43)의 압축부(42)와 중가마(3)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주변벽(17)과의 사이, 기반부(43)과 중가마(3)의 저변벽(18)과의 사이, 및 보스부(45)와 중가마(3)의 저변벽(18)과의 사이에는, 실(9)의 두께(외경)보다도 큰 간격(T2, T3)를 각각 갖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드라이버(4)는, 재봉틀의 하부축(45)이 그 축선(L3) 주위에 화살표(A)로 표시하는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 시계주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구동됨으로써, 동일한 축선(L3)주위에 동일 방향(A)으로 연속적으로 회전구동된다. 드라이버(4)가 회전구동되면, 드라이버 본체(43)의 압축부(42)의 첨단 부분이, 중가마(3)의 스프링부재(35) 하살표(A) 방향으로 압축하여, 이것에 의해서 중가마(3)이 드라이버(4)의 회전방향(A)과 대략 동일한 화살표(B)방향으로 회전구동한다.
보빈케이스(5)는, 도시하지 않은 보빈스레드조절스프링이 설치되는 주변벽(47)과, 주변벽(47)의 축선방향 일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래치 기구(48)가 설치되는 단벽(49)를 가지고, 단벽(49)과 반대측이 개방되어 있다. 래치 트랙홈(48)은, 하나의 직경선 방향으로 변위가능하고, 또한 이 하나의 직경선을 따라 한쪽으로 스프링 탄성력이 부여되고, 또한 조작편(51)에 의해서 스프링타성력에 대항하여 변위시킬 수 있는 래치(50)를 가지고, 래치(50)의 일부를 스터드(19)의 감기홈(32)에 끼워 맞춰서, 래치(50)를 스터드(19)에 맞물릴 수 있다. 보빈케이스(5)는, 그 축선을 중가마(3)의 축선(L1)과 일치시켜서, 단벽(49)을 중가마개방단측에 배치하여, 중가마(3)에 대해서 축선(L1)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중가마(3)에 장착된다.
또한 보빈케이스(5)는, 단벽(39)에서 단벽(39)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라 연장하며, 첨단측부분(52)이 중가마(3)의 주변벽(17)의 외부방향측에서, 보빈케이스(5)의 개방단측에 굴곡하는 각부(53)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보빈케이스(5)가 중가마(3)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각부(53)가 대가마(2)의 중가마누름기(15)에 형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정지홈에 끼워져서, 중가마(3)의 회전에 따르는 축선(L1)주위의 회전이 저지되며, 각부(53)가 윗쪽으로 연장하는 상태에서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 보빈케이스(5)에는, 보빈(6)을 장착하여 보빈(6)에 감겨지는 보빈스레드(12)를 수납할 수 있고, 보빈케이스(5)는, 보빈(6)이 장착되어 보빈스레드(12)를 수납한 상태에서, 중가마(3)에 장착된다. 보빈케이스(5)에 수납된 보빈 스레드(12)는, 보빈(6)에서 인출되어, 보빈케이스의 주변벽(47)과, 보빈스레드조절스프링과의 사이를 통과하여, 중가마의 축선방향 타단부측을 통하여, 또한각부(53)의 첨단측부분(52)에 형성되는 스루홀(through hole)(55)을 통과하여, 바늘판에 형성되는 바늘구멍을 통하여 윗쪽으로 인도되어 간다.
봉제동작이 개시되면, 하부축(44)의 회전구동에 의해 드라이버(4)가 축선L3주위에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구동되어, 중가마(3)가 축선(L1)주위에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과 함께, 하부축(44)과 연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상부축의 회전구동에 의해서, 바늘(8)이 중가마(3)의 회전구동과 동기하여, 축선L2을 따라 상하로 왕복구동된다. 바늘(8)에는, 스루홀(through hole)(66)이 형성되어 있으며, 실(9)이 관통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실(9)이 하부방향으로 욍복구동되는 것에 의해서, 실(9)이 최하위치부근에 배치될 때, 실(9)이 바늘코(10)의 이동경로에 제공된다. 중가마(3)과 바늘(8)과는, 바늘(8)이 최하위치를 통과하여 약간 윗쪽으로 변위할 때에, 바늘코(10)의 이동경로부근을 통과하도록, 위치가 설정되며, 바늘(8)에 의해서 주어진 실(9)은, 바늘코(10)에 의해서 삽입된다.
바늘코(10)에 의해서 삽입된 실(9)은, 바늘코 형성부(26)에 의해서 중가마(3)의 회전방향(B)으로 인출되어 실의 루프가 형성되며, 더 나아가 이 실의 루프의 상하로 연장하는 2개의 스레드부분이, 중가마(3)의 저변벽측 및 중가마 개방단측을 각각 통과하도록, 실(9)의 루프가, 중가마(3)의 주변벽(17)에 안내되어 넓혀지면서, 중가마(3)의 주위를 이동한다. 이와 같이 실(9)은, 바늘코(10)가 최하점부근에 도달하기까지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각 축선(L1), L2를 포함하는 수직인 가상평면보다도 우측을 통해서, 중가마(3)의 외표면을 미끄러져가면서 바늘코 형성부(26)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인출된다. 바늘코(10)가 최하점부근에 도달했을때, 실(9)은, 도시하지 않은 스레드레버에 의해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각 축선(L1), L2를 포함하는 수직인 가상평면보다도 좌측을 통해서, 윗쪽으로 올려진다. 이와 같이 하여 실(9)의 루프는, 중가마(3)를 실로 통과하는 것에 의해서 중가마(3)내에 장착되는 보빈케이스(5)를 실로 통과하여, 실(9)이 보빈케이스(5)에서 인출된 보빈스레드(12)에 감겨져서, 바늘땀이 형성된다. 더 나아가 중가마(3)가 회전되어 바늘(8)의 이동경로부근에 도달했을 때에는, 바늘(8)에 의해서 실(9)이 다시 제공되고, 상술의 동작이 반복되어, 연속적으로 바늘땀이 형성되며, 바늘판상의 피봉제물을 봉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회전가마(1)에서는, 실(9)을 삽입하여, 이 실(9)의 루프를 확대하면서 이동시키는 중가마(3)는, 별도로 형성되는 드라이버(4)에 의해서 회전되기 때문에, 실(9)은, 보빈케이스(5)를 실로 통과시킬시 때, 중가마(3)를 실로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실의 루프(loop)는, 중간부분에서 교차하지 않고, 대략U자형으로 확대된 상태에서 보빈케이스(5)를 실로 통과시킬 수 있으며, 실(9)은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으며, 보빈스레드(12)에 감겨진다. 또한, 드라이버(4)는, 소정의 회전방향(A)로 연속적으로 회전구동되어, 이것에 의해서 중가마(3)는 연속적으로 회전되며, 드라이버(4) 및 중가마(3)는, 1사이클의 동작중에 정지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전회전가마(1)는, 고속으로 운전할 수 있고, 봉제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전회전가마(1)는, 주변벽(17)의 개방단측 주변벽부(21)에 바늘낙하홀 (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실(9)을 바늘코(10)의 이동경로부근에 제공하기 위해서, 바늘(8)이 하부방향으로 변위되었을 때에, 바늘(8)과 중가마(3)의 주변벽(17)이 물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중가마(3)와 바늘(8)과는, 바늘(8)이 최하점을 통과하여 약간 위쪽으로 변위했을 때, 바늘코(10)가 바늘(8)의 이동경로부근을 통과하도록, 동기시켜 설치되어 있으며, 바늘(8)의 첨단(8)이, 중가마(3)에 대해서 도 2에 가상선에서 나타내는 이동경로(70)를 통과하기 때문에, 이 이동경로(70)가 주변벽(21)과 교차하지 않도록, 상술의 바와 같은 영역(S3)에 바늘낙하홀(22)이 형성되고 있으며, 중가마(3)와 바늘(8)과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늘(8)은, 트랙돌출부(11)의 근처을 상하로 이동하기 때문에, 바늘낙하홀(22)이 형성되는 영역(S3)과 대략 일치하는 영역(S4∼S6)에서, 트랙돌출부(11)가 눈금이 새겨지든지, 또는 트랙돌출부(11)의 외주변부분(29)의 폭이 작게 선택되어, 이것에 의해서도 중가마(3)와 바늘(8)과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바늘코 형성부(26)의 외주변 부분의 첨단부의 부분은, 중가마 개방단부측의 단면이 영역(S7)과 동일한 형태로 중가마 개방단측에 돌출하고 있지만, 이 바늘코 형성부(26)는, 바늘(8)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통과하기 때문에, 바늘(8)과 걸리는 일은 없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중가마(3)의 주변벽(17)은, 축선방향 중앙부가 나머지 부분보다도 반경방향 외부방향으로 팽창하고 있으며, 이 축선방향 중앙부분에서 축선방향 양단부로 향함에 따라서 직경이 축소되는 원추대형으로 형성되는 각 주변벽부(20, 21)를 가지고 있으며, 축선방향 양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직경이 축소되는 원추대형의 외주면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바늘(9)을 삽입하는 바늘코(10)가 형성되는 바늘코 형성부(26)는, 반경방향 외부방향으로 팽창한 축선방향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바늘코(10)에 의해서 삽입된 바늘(9)의 루프는, 상하로 연장하는 2개의 스레드부분이 주변벽(17)의 외주면에 의해서 저변벽(18)측 및 중가마 개방단측에 각각 원활하게 안내되어 확대된다. 따라서 실(9)의 루프는, 중가마(3)를 원활하게 실로 통과할 수 있다. 더욱이, 각 주변벽부(20, 21)는, 적어도 주변벽(17)의 축선방향 양단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원주방향 전체에 연속적으로 연장하고, 그 외주면이 상술한 바와 같은 원추대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실(9)의 루프가 중가마(3)를 실로 통과할 때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각 주변벽부(20, 21)의 원추대형으로 형성되는 외주면의 축선(L1)에 대해서 각각 이루어지는 각도 θ1, θ2는, 예를들면 약 45도∼약48도의 동일한 각도이고, 각 주변벽부(20, 21)에 의해서 안내되는 실(9)의 루프의 각 스레드부분은, 중가마(3)의 축선방향에 대응하고 있는 저변부측의 위치와 중가마 개반단측의 위치를 대략 동일한 시간에서 실로 통과 할 수 있다.
또한 전회전가마(1)는, 드라이버(4)가 중가마(3)의 스프링부재(35)의 자유단부측의 부분(37)을 압축하여, 중가마(3)가 회전된다. 이것에 의해서 드라이버(4)가 연속적으로 회전구동되어 중가마(3)가 회전될 때, 스프링부재(35)는, 탄성변형동작 및 이 탄성변형의 회전동작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이것에 의해서 드라이버(4)와 스프링부재(35)의 자유단부측의 부분(37)과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회전가마(1)의 동작의 1사이클(t1)중에, 분리하고 있는 시간과 접합하고 있는 시간(t2)을 가지고, 주기적으로 접합 및 분리한다. 실(9)의 루프는, 중가마(3)를 실로 통과함에 따라서, 드라이버(4)와 스프링부재(35)의 자유단측의 부분(37)이 분리했을 때에, 드라이버(4)와 스프링부재(35)의 자유단측의 부분(37)과의 사이의 간격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실(9)의 루프가 중가마(3)를 실로 통과할 때, 실(9)이 중가마(3)와 드라이버(4)에 삽입되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실(9)의 루프는, 원활하게 실로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실(9)이 중가마(3)와 드라이버(4)에 의해서 삽입되었을 때, 실(9)은, 스프링부재(35)를 탄력적으로 변위시켜, 드라이버(4)와 스프링부재(35)과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실(9)의 끊어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스프링부재(35)의 스프링 상수를 선택함으로써, 드라이버(4)의 압축부(42)의 첨단부분이, 스프링부재(35)의 자유단측의 부분(37)에 접합하고 있는 시간(t2)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전회전가마(1)는, 드라이버(4)의 회전축선(L3)은, 중가마(3)의 회전축선(L1)에 대해서 편심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축선(L3)은, 축선(L1)에 대해서,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오른쪽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약간 이동하도록, 편심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 축선(L1, L3)를 편심시킴으로서, 드라이버(4)가 중가마(3)를 압축하는 위치가 중가마(3)의 반경방향으로 변화하여, 드라이버(4)에서 중가마(3)에 전달되는 토오크가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이것에 의해서 토오크의 낮은 시점에서, 드라이버와 중가마의 사이를 실루프로 통과시킬 수 있다.
더욱이, 각 축선(L1 ,L3)의 편심방향 및 편심량을 선택함으로서, 전회전가마(1)의 동작의 1사이클에서의 드라이버(4)의 압축부(42)와스프링부재(35)의 자유단측의 부분(37)이 분리하는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9)이 스레드레버(9)에 의해서 윗쪽으로 올려져서, 드라이버(4)와 스프링부재(35)의 사이를 실이 통과할 때, 드라이버(4)의 압축부(42)와 스프링부재(35)의 자유단측의 부분(37)과의 사이가 확실히 분리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회전가마(1)는, 중가마(3)가, 트랙돌출부가 형성되는 주변벽을 가지고, 바늘코에 의해서 삽입된 실의 로프는, 주변벽에 안내되어 확대되면서 중가마의 주위를 이동하여, 이것에 의해서 중가마 및 보빈케이스를 용이하게 실로 통과할 수 있다. 이 주변벽에는, 바늘이 삽입되는 바늘낙하홀이 형성되어, 바늘과 중가마가 물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섹션(IX)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전회전가마(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가마(3)가 별개의 드라이버(4)에 의해서 회전되는 구성이고, 중가마(3)는, 재봉틀의 하부측 등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대가마(2)내에서 축선(L1)에 수직인 반경방향으로 변위하기 쉽다. 이것에 의해서 중가마(3)는, 드라이버(4)에 의해서 회전될 때, 반경방향으로 진동한다. 또한 트랙돌출부(11)에 바늘낙하를 위한 분리된 부분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진동이 발생하기 쉽다. 이 진동을 막기 위해서, 전회전가마(1)는, 대가마(2) 및 중가마(3)에, 돌출부(72, 73)를 각각 형성한다.
대가마(3)에는, 중가마누름기(15)에, 돌출부(72)가 형성된다. 이 돌출부(72)는, 트랙홈(9)의 반경방향 내부방향측의 부분에, 축선방향으로 대가마 본체(14)의저변부(61)측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돌출부(72)는, 원주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으며, 따라서 트랙홈(7)은,이 돌출부(72)의 반경방향 외부방향측에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오목부(74)를 가진다. 이와 같이 대가마(2)의 트랙홈(7)에 대가마 개방단측에서 대향하는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중가마누름기(15)의 트랙홈(7)에 대향하는 단면은, 반경방향 내부방향측이 반경방향 외부방향측보다 대가마(2)의 저변부(61) 근처에 돌출하여, 또한 축선(L1)주위의 원통면에 형성된다. 돌출부(72)의 반경방향 외부방향측의 외주면(75)은, 축선(L1)주위의 원통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트랙홈(7)에 반경방향 외부방향에서 대향하는 대가마 본체(14)의 내주면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트랙홈(7)에 대가마(2)의 저변부(61)에서 대향하는 단면은, 축선(L1)에 수직인 평면에 형성된다.
또한 중가마(3)의 트랙돌출부(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주변부분(28)과 외주변부분(29)을 가지고, 외주변부분(29)은, 내주변부분(28)보다도 중가마 개방단측에 돌출하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중가마(3)의 트랙돌출부(11)에는, 반경방향 외부방향측에 돌출부(73)가 형성된다. 돌출부(73)는, 중가마(3)의 축선방향에 중가마 개방단측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이 돌출부(73)는, 원주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으며, 따라서 트랙돌출부(11)에는, 돌출부(73)의 반경방향 내방향측에 원주방향으로 오목부(76)가 형성된다. 돌출부(73)의 반경방향 내방향측의 내주면(77)은, 축선(L1)주위의 원통면에서 형성된다.
트랙돌출부(11)는, 돌출부(73)가 오목부(74)에 끼워져서, 돌출부(72)가 오목부(76)에 끼워진 상태로, 트랙홈(7)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트랙돌출부(11)가 트랙홈(7)에 끼워져서, 중가마(3)가 대가마(2)에 장착되고, 중가마(3)가 드라이버(4)에 의해서 회전될 때, 중가마(3)의 돌출부(73)의 내주면(77)이 대가마(2)의 돌출부(72)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중가마(3)의 돌출부(73)는, 대가마(2)의 돌출부(72)에 중가마(3)의 반경방향 외부방향측에서 맞물린다. 돌출부(72)의 외주면(75)의 외경은, 돌출부(73)의 내주면(77)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게 선택되어 있고, 중가마(3)가 대가마(2)에 장착된 상태에서, 각 면(75, 77)간의 간격은, 100분의 2∼100분의 3mm정도로 작고, 이것에 의해서 중가마(3)는, 반경방향의 변위가 저지된 상태에서, 원주방향으로 원활하게 안내된다. 따라서 중가마(3)는, 회전시에 반경방향의 진동이 방지되며, 축선(L1)주위에 안정적으로 회전되어, 큰 가마의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실(9)이 전회전가마(1)의 각 사이클에서 일정한 동작을 나타내어, 균질적인 바늘땀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전회전가마(1a)의 대가(2a) 및 중가마(3a)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의 전회전가마(1a)는, 도 1∼1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전회전가마(1)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 전회전가마(1)와 동일한 형태의 구성을 갖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시하여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전회전가마(1)에서는, 대가마(2)에 돌출부(72)가 형성되고, 중가마(3)에 돌출부(73)가 형성되었지만, 전회전가마(1a)에서는, 대가마(2a)의 트랙홈(7a)은, 축선(L1)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절단한 단면형상이 장방형이고, 중가마(3a) 트랙돌출부(11a)는, 축선(L1)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절단한 단면형상이 장방형이다.
바꿔말하면, 전회전가마(1a)는, 전회전가마(1)에 형성된 각 돌출부(72, 73)를 가지고 있지 않다. 이 전회전가마(1a)는, 전회전가마(1)에서 각 돌출부(72, 73)에 의해서 달성된 효과를 제외한 나머지 효과를 동일한 형태로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회전가마(1)는, 종래 기술의 항에서 서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반회전가마 및 그것이 구비되는 재봉틀을 조금 변경하는 것만으로 실현가능하다.
전회전가마(1)에서는, 기존의 대가마의 중가마누름기에 돌출부(72)를 형성하는 것, 기존의 중가마 및 드라이버를, 상술한 바와 같은 중가마(3) 및 드라이버(4)로 교환하는 것, 및 기존의 재봉틀의 하부측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계에서 회전을 반회전으로 교환하기 위한 기구를 제거하는 일을 하면 충분하며, 재봉틀을 크게 개조할 필요는 없다.
상술의 각 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른 구성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들면 바늘(8)의 이동경로의 축선L2와 중가마(3)의 회전축선(L1)과는, 직교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스프링부재(35)는, 상술한 바와 같은 판스프링을 대신하여, 압축코일스프링, 인장코일스프링 및 평면스프링 등의 다른 스프링을 이용하여도 좋으며, 또한 단일 스프링이 아닌 스프링을 유지하기 위한 부재 등의 다른 부품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스프링수단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동일한 형태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대가마(2) 및 중가마(3)에 형성되는 각 돌출부(72, 73)는, 대가마(2)의 저변부측으로 이루어지는 중가마(3)의 저변벽(18)측에 형성되어도 좋으며, 축선방향 양측에 형성되어도 좋으며, 동일한 형태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중가마(3)의 회전축선(L1)과 드라이버(4)의 회전축선(L3)과는 동일하게 위치되어도 좋다.
더욱이, 중가마(3)의 각 주변벽부(20, 21)의 축선(L1)에 대한 경사각도(θ1,θ2)를 다르도록 선택하는 등, 주변벽(17)을 축선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는 트랙돌출부(11)에 관해서 비대칭으로 형성하여, 실(9)의 로프의 상하로 연장하는 각 실부분의 통과시간을, 저변벽(18)과 중가마(3) 개방단측에서 다르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중가마(3)의 저변벽(17)을 도 4에 가상선(8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으로 하여, 축선방향 양단부를 둥글게 한 형상으로 하여, 중가마(3) 전체의 외경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장착가능한 보빈케이스(5)의 외경을 크게하여, 보빈스레드(12)의 수납량을 많게 하여도 좋다. 주변벽(17)을 이와 같이 대략 원통형으로 하여도, 축선반향 양단부가 원형을 가지고 있으므로, 실(9)은, 저변벽(18)및 중가마 개방단부측에 원활하게 안내되어, 쉽게 실로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회전가마(1, 1a)의 세부의 구성은, 적당한 변경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취지 또는 주요한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의 실시의 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청구 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 및 변경은, 모두 본 발명 범위내의 것이다.
청구항 1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실을 삽입하여, 이 실의 루프를 확대하면서 이동시키는 중가마는, 별개로 형성되는 드라이버에 의해 회전되기 때문에, 실은, 보빈케이스를 실로 통과할 때, 중가마를 실로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실의 루프는, 중간부분에서 교차하지 않고, 대략 U자형으로 확대된 형태에서 실로 통과할 수 있고, 실은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으며, 보빈스레드에 감겨진다. 더욱이 드라이버는, 소정의 회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구동되어, 이것에 따라 중가마는 연속적으로 회전되어, 드라이버 및 중가마는, 1사이클의 동작중에 정지하지 않기 때문에, 전회전가마를 고속으로 운전할 수 있다.
청구항 2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드라이버가 연속적으로 회전구동될 때, 스프링부재는, 탄성변형동작 및 이 탄성변형의 회전동작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이것에 의해서 드라이버와 스프링부재의 자유단 또는 자유단 부근과는, 주기적으로 접합 및 분리한다. 실의 루프는, 중가마를 실로 통과할 때에, 드라이버와 스프링부재의 자유단 또는 자유단 부근이 분리했을 때, 드라이버와 스프링부재의 자유단 또는 자유단부근과의 사이의 간격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실의 루프가 실로 통과할 때, 실이 중가마와 드라이버에 삽입되어 걸리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실의 루프는, 원활하게 실로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실이 중가마와 드라이버에 의해서 삽입되었을 때, 실은 스프링부재를 탄력적으로 변형시켜서, 드라이버와 스프링부재와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실이 끊어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청구항 3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드라이버가 중가마를 압축하는 위치가 중가마의 반경방향으로 변화하여, 드라이버에서 중가마에 전달되는 토오크가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이것에 의해서 중가마의 회전속도를 주기적으로 주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원주방향에 관한 바늘코의 통과시간을 변화시킬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대가마의 트랙홈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돌출부와, 중가마의 트랙돌출부에 형성되는 돌출부가 맞물려서, 중가마가 원주방향으로 안내된다.
이것에 의해서 중가마는, 회전시에 반경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중가마는, 트랙돌출부가 형성되는 주변벽을 가지고, 바늘코에 의해서 삽입된 실의 루프는, 주변벽에 안내되어 확대되면서 중가마의 주위를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서 중가마 및 보빈케이스를 용이하게 실로 통과할 수 있다. 이 주변벽에는, 바늘이 삽입되는 바늘낙하홀이 형성되며, 바늘과 중가마가 걸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Claims (5)

  1. 재봉틀의 기체에 고정되어, 내주변부에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트랙홈이 형성되는 대가마와, 상하로 왕복구동되는 바늘에 의해서 주어지는 실을 삽입하는 바늘코를 가지고, 외주변부에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트랙돌출부가 형성되어, 이 트랙돌출부가 상기 트랙홈에 끼워져서 대가마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중가마와,
    바늘의 상하운동으로 동기하여 소정의 회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구동되어, 이 회전에 의해서 상기 중가마를 압축하여 회전시키는 드라이버와,
    보빈스레드가 수납되어, 중가마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보빈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회전가마.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중가마는 기반단부부근에서 고정되는 스프링부재를 가지고, 드라이버는 스프링부재의 자유단 또는 자유단부근을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회전가마.
  3. 청구항 1 기재에 있어서, 드라이버의 회전축선은 중가마의 회전축선에 대해서 편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회전가마.
  4. 청구항 1 기재에 있어서, 대가마에는 트랙홈에 대향하는 대가마의 축선방향에 돌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중가마의 트랙돌출부에는, 중가마의 축선방향에돌출하여, 대가마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중가마의 반경방향 외부방향측에서 맞물리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회전가마.
  5. 청구항 1 내지 4의 어느 하나의 기재에 있어서, 중가마는, 트랙돌출부가 형성되는 주변벽을 가지고, 이 주변벽에는, 바늘이 삽입되는 영역에 바늘낙하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회전가마.
KR10-2001-7015257A 1999-05-28 1999-05-28 전회전가마 KR100420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9/002867 WO2000073566A1 (fr) 1999-05-28 1999-05-28 Navette entièrement pivotan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231A true KR20020046231A (ko) 2002-06-20
KR100420672B1 KR100420672B1 (ko) 2004-03-02

Family

ID=14235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257A KR100420672B1 (ko) 1999-05-28 1999-05-28 전회전가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45712B1 (ko)
JP (1) JP4176991B2 (ko)
KR (1) KR100420672B1 (ko)
CN (1) CN1153863C (ko)
DE (2) DE19983955B8 (ko)
HK (1) HK1047777B (ko)
WO (1) WO20000735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1249A1 (ko) * 2022-04-29 2023-11-02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편심타입의 수직전회전가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22096C2 (sv) * 2002-12-02 2004-01-13 Vsm Group Ab Gripare med spolkorg, samt metod att skydda spolkorgen från att träffas av nålen
JP3929458B2 (ja) * 2004-01-26 2007-06-13 株式会社鈴木製作所 ミシンのパッカリング防止釜装置
KR100819908B1 (ko) * 2007-02-21 2008-04-08 코베스트 주식회사 확경보빈의 장착이 용이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101909650B1 (ko) * 2015-01-13 2018-10-18 가부시키가이샤히로세세이사쿠쇼 수직 전회전 북집
KR101962264B1 (ko) * 2015-02-13 2019-03-26 가부시키가이샤히로세세이사쿠쇼 수직 전회전 북집
CN108229031A (zh) * 2018-01-05 2018-06-29 武汉大学 考虑两端固定弹簧铰约束影响的轴压杆计算长度系数实用计算方法
CN108035082B (zh) * 2018-01-22 2023-06-23 无锡市兴达缝纫机配件有限公司 一种自动换梭芯装置及自动换梭芯方法
US11525199B2 (en) * 2019-12-17 2022-12-13 Singer Sourcing Limited Llc Accessory for sewing machin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12921534B (zh) * 2021-01-20 2022-05-20 雷岳均 一种包带花纹缝制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04240A (en) * 1916-12-13 1924-08-12 Hohmann Sewing Machine Company Stitch-forming mechanism
US2348718A (en) * 1942-03-21 1944-05-16 Samuel A Bethune Shuttle case bearing
JPS4919427B1 (ko) 1968-05-09 1974-05-17
JPS4846861U (ko) 1971-10-06 1973-06-19
US4393798A (en) * 1980-09-29 1983-07-19 Cheng Haw Lin Rotary shuttle for a sewing machine
JPS5949824B2 (ja) 1981-04-16 1984-12-05 保 加藤 ミシンの上糸脱出機構
JPS6043997B2 (ja) * 1983-09-06 1985-10-01 株式会社廣瀬製作所 本縫いミシンの全回転かま
US4700643A (en) * 1985-02-21 1987-10-20 Hirose Manufacturing Company, Ltd. Rotary hook
DE3911134A1 (de) * 1989-04-06 1990-10-11 Kochs Adler Ag Umlaufender greifer fuer doppelsteppstich-naehmaschinen, in dem ein kernloser fadenwickel oder eine mit einem faden bewickelte spule einlagerbar ist
KR930003517B1 (ko) * 1990-05-15 1993-05-01 가부시끼가이샤 히로세세이사꾸쇼 전회전북
US5188046A (en) * 1991-01-29 1993-02-23 Bakron Corp. Plastic bobbin basket with damage resistant members
CN1042155C (zh) * 1994-02-24 1999-02-17 广濑制作所 缝纫机的旋转棱子
JP2960370B2 (ja) 1997-04-17 1999-10-06 株式会社廣瀬製作所 垂直全回転かま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1249A1 (ko) * 2022-04-29 2023-11-02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편심타입의 수직전회전가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45712B1 (en) 2004-06-08
CN1357065A (zh) 2002-07-03
HK1047777A1 (en) 2003-03-07
KR100420672B1 (ko) 2004-03-02
DE19983955T1 (de) 2002-09-19
CN1153863C (zh) 2004-06-16
DE19983955B8 (de) 2009-12-10
HK1047777B (zh) 2005-04-01
JP4176991B2 (ja) 2008-11-05
WO2000073566A1 (fr) 2000-12-07
DE19983955B4 (de) 200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0672B1 (ko) 전회전가마
US5029544A (en) Oscillating loop taker for a sewing machine
US2866425A (en) Lockstitch sewing machines
US4357887A (en) Loop catching device for lock stitching sewing machines
JP2005296612A (ja) ミシンのパッカリング防止釜装置
US2990794A (en) Bobbin thread case opener mechanism
JP2005296612A5 (ko)
KR880002464B1 (ko) 재봉틀의 파지장치
US3074367A (en) Rotary hook for sewing machines
US3379150A (en) Loop takers for sewing machines
US3373707A (en) Loop taker for sewing machines
JP2960370B2 (ja) 垂直全回転かま
US3779187A (en) Sewing machine with hook timing and skip stitch mechanisms
US4142475A (en) Bobbin thread case opener
JP4471831B2 (ja) ミシンのオープナー機構
JPH0654975A (ja) ミシンの水平がま
CN1095006C (zh) 旋梭装置
US3447499A (en) Rotary loop forming device for sewing machines
US111129A (en) Improvement in sewing-machines
JPH10118376A (ja) 垂直全回転かま
US447306A (en) Sewing-machine
US7069868B2 (en) Central bobbin shuttle
JPH0346159B2 (ko)
US196210A (en) Improvement in take-up mechanisms for sewing-machines
US336456A (en) Jaspee vannet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