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5212A - 연성이 우수한 열연 변태유기소성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성이 우수한 열연 변태유기소성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5212A
KR20020045212A KR1020000074583A KR20000074583A KR20020045212A KR 20020045212 A KR20020045212 A KR 20020045212A KR 1020000074583 A KR1020000074583 A KR 1020000074583A KR 20000074583 A KR20000074583 A KR 20000074583A KR 20020045212 A KR20020045212 A KR 20020045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hot rolled
strength
ductility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4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1366B1 (ko
Inventor
박성호
백승철
Original Assignee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2000-0074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1366B1/ko
Publication of KR20020045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5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1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13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등과 같은 가공용 고장력강에 적용되는 열연 변태유기소성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강 성분중 N을 첨가해 AlN의 석출에 의한 고강도 및 고연성을 확보함으로써, 제조공정 중 기타의 열처리공정없이도 인장강도 80kg/mm2이상이고 연신율 30% 이상인 열연 변태유기소성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량%로, C: 0.15~0.30%, Si: 1.5~2.5%, Mn: 1.4~1.8%, Al: 0.02~0.10%, N: 0.0080~0.0120%,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강을 재가열한 후 850~900℃의 온도범위에서 마무리압연한 다음, 670~710℃의 온도범위에서 수냉을 개시하여 420~540℃의 온도범위에서 종료한 후, 서냉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열연 변태유기소성강판의 제조방법, 및 상기와 같이 조성되고, 인장강도가 80kg/mm2이상이면서 연신율이 30%이상인 연성이 우수한 열연 변태유기소성 강판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연성이 우수한 열연 변태유기소성강판 및 그 제조방법{A HOT ROLLED TRIP STEEL SHEET WITH EXCELLENT DUCTILIT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IT}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등과 같은 가공용 고장력강에 적용되는 열연 변태유기소성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중 N을 첨가함으로써 고강도와 더불어 연성의 향상도 이룰 수 있는 열연 변태유기소성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변태유기소성강(TRIP강, 즉 TRansformation Induced Plasticity강의 약어임)은, 기본적으로 Si-Mn형 강재로서 스크랩재활용중 미량잔류원소(tramp element)의 영향이 없으므로 환경친화적이다. 또한, 일반적인 압연강재에 비해 훨씬 높은 범위의 고강도와 더불어 고연성을 보이므로, 가공용 고장력강의 용도로 많이 활용되고 있고, 차세대 강재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자동차의 배기가스에 대한환경오염 문제가 크게 대두되면서 연비향상은 자동차업계의 가장 중요한 기술개발 방향이 되었다. 이러한 연비향상을 위해서는 고강도 소재를 채용하여 자동차 경량화를 이루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와 같은 고강도 소재를 사용하여 경량 자동차 부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강도뿐만 아니라 부품의 가공을 성공적으로 행할 수 있는 소재가공성이 요구된다.
한편, 고강도 고연성 열연강판은 상당히 많은 종류의 제조방법이 개발되어 실제 제품화에 응용되어 왔다. 기존의 고강도 고연성강의 개발은, 80년대에 듀얼 페이즈(dual phase)강(페라이트와 마르텐사이트의 복합조직), 트리페이즈(triphase강)(페라이트, 베이나이트 및 마르텐사이트의 복합조직), 페라이트-베이나이트 복합조직강 등에 대하여 주로 행해졌다. 이러한 강재는 인장강도가 약 60kg/mm2에 이르고 있으며, 연신율이 약 30%로 고강도와 더불어 고연성을 보이는 특성이 있다. 90년대에 들어 TRIP강이 개발되어 현재에는 상용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인장강도가 약 80kg/mm2에 이르고 있으며, 고연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TRIP강에서 고강도와 고연성을 얻기 위한 관련기술로서, 일본특개평6-1458920호에서는, 06-0.22%C, 0.05-1.0%SI, 0.5-2.0%Mn과 0.25-1.5%Al을 함유한 강에 필요에 따라 0.03-0.30%Mo을 첨가하여 잔류오스테나이트를 3-20% 함유시킴에 따라 50kg/mm2이상의 고강도와 35%이상의 연신율을 갖는 프레스가공성과 심가공성 및 굽힘성이 우수한 강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일본특개평6-145788호에서는, Al양을 0.6%Si≤%Al ≤3-12.5x%C의 범위로 조정하고, 2상영역에서 열처리(650-900℃에서 10초 내지 3분간 유지후 350-600℃의 온도범위까지 4-200℃/sec로 냉각후 여기에서 5초 내지 10분간 유지한 다음 5℃/sec이상의 냉각속도로 250℃이하의 온도로 냉각하는 방법)함으로써 가공성이 우수한 강재를 생산하는 제조법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일본특개평5-179396호에서는, 0.18%이하의 C, 0.5-2.5%Si, 0.5-2.5%Mn, 0.05%이하의 P, 0.02%이하의 S, 0.01-0.1%Al의 강에 0.02-0.5%Ti과 0.03-1.0%Nb를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첨가하며 (이때 C, Nb와 Ti의 첨가량은 %C>(%Ti/4)+(%Nb/8)의 범위내로 조정함), 사상압연온도를 820℃이상에서 마친 다음 820-720℃의 온도구간에서 10초이상을 유지하고 이후 10℃/sec이상의 냉각속도로 냉각하여 500℃이하의 온도에서 권취하는 방법을 제출한 바 있다. 상기 기술에 의하면 70kg/mm2이상의 인장강도, 우수한 스팟용접성 및 피로특성 등을 제공할 수 있고 프레스가공후 스프링 백이 많아 생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우수한 연신 플랜지성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일본특개평5-112846호에서는, 0.05-0.25%C, 0.05-1.0%Si, 0.8-2.5%Mn, 0.8-2.5%Al을 함유하는 강에 Nb, Ti 및 V 등의 석출강화 원소를 첨가한 강을 780-840℃의 온도범위에서 압연을 종료한 다음 10℃/sec이상의 냉각속도로 600-700℃의 온도까지 냉각한후 2-10초의 공냉을 거친후 220℃/sec의 냉각속도로 300-450℃의 온도에서 가속냉각을 마침으로서 5%이상의 잔류오스테나이트를 함유시킨 강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특허도 제출하였다. 이 기술은, Si양이 많은 경우 경질의 마르텐사이트의 양이 늘어나 연신 플랜지성이 나빠지므로, 석출한 폴리고날 페라이트내 고용강화하는데 필요한 양인 1.0%이하로 Si을 제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들은, 특정 합금원소를 첨가하거나 공정의 제어가 수반되어야 하며, 또한 인장강도를 80kg/mm2이상으로 하면서 연신율도 30%이상으로 확보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종래 방법들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연구 및 실험을 행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으로, 본 발명은 강 성분중 N을 첨가해 AlN의 석출에 의한 고강도 및 고연성을 확보함으로써, 제조공정 중 기타의 열처리공정없이도 인장강도 80kg/mm2이상이고 연신율 30% 이상인 열연 변태유기소성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b),(c)는 N첨가량에 따른 항복강도, 인장강도 및 연신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량%로, C: 0.15~0.30%, Si: 1.5~2.5%, Mn: 1.4~1.8%, Al: 0.02~0.10%, N: 0.0080~0.0120%,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강을 재가열한 후850~900℃의 온도범위에서 마무리압연한 다음, 670~710℃의 온도범위에서 수냉을 개시하여 420~540℃의 온도범위에서 종료한 후, 서냉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성이 우수한 열연 변태유기소성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조성되고, 인장강도가 80kg/mm2이상이면서 연신율이 3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이 우수한 열연 변태유기소성 강판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TRIP강에서 고강도 및 고연성을 동시에 얻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새로운 관점에서 연구하던 중, N첨가에 의한 AlN 석출물을 이용하면 인장강도 80kg/mm2이상을 확보하면서, 연신율도 30%이상으로 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킨 것이다.
이하, 강 성분 및 제조조건에 대하여 설명한다.
C는 강의 소입성을 증가시키는 원소로서, 그 함량이 0.15% 미만이면 냉각중 잔류오스테나이트내 C의 농축을 충분히 이룰 수가 없으므로 잔류오스테나이트의 안정화를 이룰 수 없다. 또한, 0.30%이상 첨가되면 강도의 향상은 두드러지나 연성의저하가 매우 크므로, 그 함량범위는 0.15~0.30%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은 탈산에 주로 사용되는 원소로서, C의 활성도를 높이므로 고온에서 페라이트의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고온에서 페라이트형성시 남아 있는 오스테나이트로 C의 농축을 조장하므로 변태유기소성강에서는 Si의 첨가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상기 Si가 과잉 첨가되면 표면에 붉은형 스케일(scale)을 생성하여 표면을 열화시킬 뿐만 아니라 용접중 산화물의 생성이 쉬워 용접부의 결함이 (penetration등) 발생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상기 Si의 함량은, 잔류오스테나이트를 충분히 형성시키는데 필요한 양인 1.5~2.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n은 강의 강도 및 인성을 증가시키고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켜서 Ms온도(마르텐사이트 개시온도)를 낮추며 강의 소입성을 증가시키는 원소로서, 그 함량이 많은 경우에는 저온변태 생성물의 양을 증가시키므로 강도에는 유리하나 연성의 확보가 어렵다. 또한, 비금속개재물의 양을 증가시키고 편석도를 증가시켜 불리하다. 그러나, 그 함량이 낮은 경우, 페라이트 변태후 남아 있는 미변태 오스테나이트가 유효하게 베이나이트를 형성하기가 어려우므로 잔류오스테나이트를 형성하기 어렵고, 고온에서 펄라이트의 생성이 쉽게 하므로 강도-연성이 저하되기 쉽다. 본 발명에서는 잔류오스테나이트를 효과적으로 형성시키기 위해, 그 함량을 1.4~1.8%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은 페라이트의 형성을 조장하는 원소로서, 강의 강도를 해치지 않고 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강재의 제조시 편석이 극심한 원소로서 중심편석의 형성등으로 재질을 열화시키므로, 그 함량은 0.025% 이하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는 MnS로 대표되는 비금속 개재물을 형성하여 강의 가공성을 크게 열화시키는데, 이러한 비금속 개재물은 압연중 길게 연신되어 가공중 크랙발생 등의 치명적인 결함을 발생시키기 쉽다. 따라서, S는 0.01% 이하로 가능한 한 낮게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강중 20~40ppm의 Ca을 추가로 첨가하여 S를 낮게 관리함으로써, 가공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Al은 탈산을 위하여 첨가되는 원소로서, 페라이트의 형성을 도우므로 가공성 향상측면에서 유리하지만 인장강도가 저하하므로, 목표로 하는 재질을 얻기 위해서는 Al의 함량을 적절히 제어해야 한다. 즉, 탈산을 위해서는 최소 0.02%이상 첨가해야 하지만, 과잉 첨가되면 강도를 낮추고 구조재에 있어서 용접시 산화물을 형성하여 용접결함을 생성시키므로, 그 상한은 0.1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원소로서, AlN의 석출을 활성화시켜 열간변형중 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을 미세화하고, 또한 이어서 페라이트의 생성을 촉진시켜 잔류오스테나이트의 형성에 도움이 된다. 이로 인하여, 잔류오스테나이트를 함유시키는 열연 변태유기소성강의 제조에 적극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의 적절한 첨가는 강도와 더불어 연성의 향상에도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08% 이상 첨가되어야 하지만, 과잉 첨가되면 AlN의 석출물을 크게 하므로 결정립의 미세화 효과보다는 개재물로서의 작용이 조장되어 석출물의 긍정적인 효과를 저감시키게 된다. 즉, 일반적인 석출물은 석출원소의 조성비가 1:1로 되는데 반하여, AlN의 석출에 있어서 조성비가 1:1까지 증가되면 석출물량이 증가되는 긍정적인 영향에 비해 석출물의 크기가 커지므로 석출물의 효과를 떨어뜨리게 된다. 특히, AlN과 같은 비정형의 석출물의 경우는 특히 그 크기가 증가됨에 따라 결정립 미세화나 석출강화의 효과가 크게 저하되므로 석출상의 엄밀한 제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N의 함량을 0.0080~0.012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강을 재가열한 후 열간압연하고, 이어서 냉각한 다음 권취 및 소둔하는데, 열간압연재의 우수한 강도 및 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미세조직의 제어가 필수적이며, 따라서 압연 마무리온도, 수냉각개시 및 수냉각 종료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압연 마무리온도가 너무 높으면 압연후 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이 증대되어 소입성이 증가되고, 압연후 마르텐사이트나 베이나이트 등의 저온 변태조직의양이 크게 증가되므로, 결과적으로 압연후 강의 재질을 강화시키고 연성이 떨어뜨린다. 반면에, 상기 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에는 국부적으로 소재의 온도편차가 발생하여 미세조직 및 재질편차가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압연 마무리온도를 850~90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수냉각 후 서냉하는데, 상기 수냉각은 페라이트를 충분히 형성시킨 다음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개시온도는 670~71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온도가 670℃ 미만이면 펄라이트가 생성되고 710℃ 이상으로 수냉각개시 온도가 너무 높으면 충분한 페라이트가 형성되지 않아 냉각후 제2상의 분율이 크게 증가되어 강도는 증가되나 연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한, 수냉각 정지온도는 재질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이후 서냉에 의해서도 세멘타이트가 생성되지 않고 강도가 크게 저하되지 않도록 그 상한은 베이나이트가 형성될 수 있는 온도를 고려하여 54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하한은 연성의 큰 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42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 표1과 같이 조성되는 강 슬라브를 1200℃에서 재가열한 후 열간압연을 행하여 최종두께가 3.0mm인 열연강판으로 제조하고, 열간압연종료 후 롤 소입(rollquenching)에 의해 급냉한 후 일정시간 동안 수냉각 개시온도까지 공냉각시켰다. 다음 수냉각 시뮬레이터로 이송시켜 수냉각 정지온도까지 수냉각한 후, 이후 노냉을 실시함에 의해 열연권취 코일로 제조하였다. 이 때, 열간압연 마무리온도(FRT), 수냉각 개시온도(CS), 및 수냉각 종료온도(CF, 열간압연시의 권취온도에 해당됨)는 하기 표 2와 같이 변화시켰다.
이후,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열연강판의 인장특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강종 C Si Mn P S Al N
비교강1 0.39 1.98 1.47 0.014 0.004 0.051 0.0032
종래강 0.19 2.01 1.53 0.017 0.004 0.040 0.0029
비교강2 0.20 1.43 1.45 0.017 0.004 0.020 0.0029
비교강3 0.20 1.96 1.97 0.016 0.004 0.040 0.0036
발명강 0.19 1.56 1.59 0.012 0.005 0.047 0.0096
비교강4 0.20 1.61 1.49 0.015 0.003 0.037 0.0140
비교강5 0.14 2.01 1.50 0.015 0.005 0.040 0.0035
사용강종 구분 제조조건(℃) 인장특성
FRT CS CF 항복강도(kg/㎟) 인장강도(kg/㎟) 연신율(%)
비교강1 비교재1 862 692 356 108.7 153.0 3.6
비교재2 807 676 307 93.3 135.0 5.0
종래강 종래재1 866 726 563 61.4 76.1 24.9
종래재2 859 718 447 55.6 82.5 29.8
비교강2 비교재3 860 714 420 62.7 74.3 22.7
비교재4 857 712 450 58.9 74.5 27.3
비교강3 비교재5 901 739 305 89.7 111.8 6.0
비교재6 867 721 376 71.7 105.4 19.7
발명강 발명재 870 680 450 56.2 80.2 32.0
비교재7 895 690 405 66.2 84.0 25.3
비교강4 비교재8 800 670 440 58.1 75.8 27.4
비교재9 830 660 450 57.3 74.6 28.6
비교강5 비교재10 862 717 420 61.1 75.9 23.9
비교재11 870 719 395 59.4 86.7 21.0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C가 다량 함유된 비교강(1)로 제조된 비교재(1),(2)는 인장강도는 130kg/mm2이상으로 매우 높으나, 연신율이 5%이하가 되어 가공용 강재로서는 충분한 가공성을 확보하기 어려움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변태유기소성강의 성분계를 가지고 있는 종래강을 이용한 종래재(2)는 인장강도는 우수하나 연신율이 본 발명의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하였고, 수냉각정지 온도가 높게 제조된 종래재(2)은 펄라이트가 혼재하여 인장강도도 76.1kg/mm2로 낮아지고 연신율도 24.9%로 저하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다.
Si양을 감소시킨 비교강(2)를 이용하여 제조된 비교재(3),(4)는 강도 및 연신율이 약간씩 저하된 경향을 보이고 있다.
Mn양을 증량시킨 비교강(3)강으로 제조된 비교재(5),(6)의 경우, 강도는 100kg/mm2를 넘어서는 고강도를 보이고 있으나, 연성의 저하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어 가공용강재로 활용되기 어려운 특성을 보이고 있다.
N양을 더욱 증가시킨 비교강(4)를 이용한 비교재(8),(9)의 경우에는 강도와 연성이 모두 약간씩 저하되는 경향이 관찰되고 있고, C양을 감소시킨 비교강(5)로 제조된 비교재(10),(11)의 경우에도 강도와 연성이 발명강에 비해 떨어지는 결과를 관찰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강으로 제조된 발명재의 경우는, 인장강도 80kg/mm2이상, 그리고 연신율도 30%를 넘어서 고강도와 더불어 고연성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강을 이용하였으나, 재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수냉각 종료온도(CF)가 낮게 제조된 비교재(7)은,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어 고강도는 얻어졌으나 연성의 확보가 매우 어려웠다. ,
한편, 도 1(a),(b),(c)에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원소인 N 첨가량에 따른 인장특성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도 1(b),(c)에 나타난 바와 같이, N의 함량이 본 발명범위인 0.008~0.012%인 경우에는 인장강도 및 연신율이 최대가 되는 경향을 알 수 있다. 이 때, 도 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복강도는 약간 저하되는데, 이러한 경향은 TRIP강에서 자주 관찰되는 현상으로, 잔류오스테나이트를 적정량 함유하는 경우 항목강도는 낮지만 가공중 잔류오스테나이트가 마르텐사이트로 가공유기변태를 하면서 가공경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균일연신율과 총연신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인장강도가 80kg/mm2이상이면서 연신율이 30%이상이 되는 강도-연성의 조합이 우수한 강재를 제조할 수 있어 가공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중량%로, C: 0.15~0.30%, Si: 1.5~2.5%, Mn: 1.4~1.8%, Al: 0.02~0.10%, N: 0.0080~0.0120%,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강을 재가열한 후 850~900℃의 온도범위에서 마무리압연한 다음, 670~710℃의 온도범위에서 수냉을 개시하여 420~540℃의 온도범위에서 종료한 후, 서냉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성이 우수한 열연 변태유기소성강판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이 20~40ppm의 Ca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이 우수한 열연 변태유기소성 강판의 제조방법
  3. 중량%로, C: 0.15~0.30%, Si: 1.5~2.5%, Mn: 1.4~1.8%, Al: 0.02~0.10%, N: 0.0080~0.0120%,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고, 인장강도가 80kg/mm2이상이면서 연신율이 3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이 우수한 열연 변태유기소성 강판
  4. 제 3항에 있어서, Ca이 20~40ppm 추가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이 우수한 열연 변태유기소성 강판
KR10-2000-0074583A 2000-12-08 2000-12-08 연성이 우수한 열연 변태유기소성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481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583A KR100481366B1 (ko) 2000-12-08 2000-12-08 연성이 우수한 열연 변태유기소성강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583A KR100481366B1 (ko) 2000-12-08 2000-12-08 연성이 우수한 열연 변태유기소성강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212A true KR20020045212A (ko) 2002-06-19
KR100481366B1 KR100481366B1 (ko) 2005-04-07

Family

ID=2768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4583A KR100481366B1 (ko) 2000-12-08 2000-12-08 연성이 우수한 열연 변태유기소성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13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12760A2 (en) * 2003-08-29 2005-03-09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High tensile strength steel sheet excellent in processibility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09145562A2 (ko) * 2008-05-29 2009-12-03 주식회사 포스코 연성이 우수하고 에지부 균열이 없는 고강도 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71866A (ko)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성 및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7625A (ja) * 1984-12-29 1986-07-17 Nippon Steel Corp 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JPS62182224A (ja) * 1986-02-05 1987-08-10 Nippon Steel Corp 延性の良好な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JP3350945B2 (ja) * 1992-01-18 2002-11-2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延性,耐食性に優る高張力熱延鋼板と製造法
JPH05311323A (ja) * 1992-05-13 1993-11-22 Sumitomo Metal Ind Ltd 高強度高加工性複合組織鋼板、その製造法
JP2660644B2 (ja) * 1992-11-02 1997-10-0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プレス成形性の良好な高強度鋼板
JP2704350B2 (ja) * 1992-11-02 1998-01-2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プレス成形性の良好な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KR100368241B1 (ko) * 1998-12-26 2003-04-21 주식회사 포스코 플랜지 가공성이 우수한 열연변태유기 소성강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12760A2 (en) * 2003-08-29 2005-03-09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High tensile strength steel sheet excellent in processibility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1512760A3 (en) * 2003-08-29 2005-10-12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High tensile strength steel sheet excellent in processibility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455736B2 (en) 2003-08-29 2008-11-25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High tensile strength steel sheet excellent in processibility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09145562A2 (ko) * 2008-05-29 2009-12-03 주식회사 포스코 연성이 우수하고 에지부 균열이 없는 고강도 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09145562A3 (ko) * 2008-05-29 2010-01-21 주식회사 포스코 연성이 우수하고 에지부 균열이 없는 고강도 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08099B1 (ko) * 2008-05-29 2011-01-13 주식회사 포스코 연성이 우수하고 에지부 균열이 없는 고강도 강판,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71866A (ko)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성 및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117539A1 (ko)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성 및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1366B1 (ko) 200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240B1 (ko) 높은 기계적 강도, 연성 및 성형성 특성들을 갖는 강판, 이 강판들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1222724B1 (ko)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트
KR20090070150A (ko) 열간성형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및 이를 이용한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51500A (ko) 딥드로잉성 및 신장 플랜지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AU2019271821A1 (en) High-strength double-sided stainless steel clad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40044938A (ko) 딥드로잉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722394B1 (ko) 우수한 구상화 소둔 특성을 가지는 고탄소강판 및 그제조방법
JP3879440B2 (ja) 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KR20030055524A (ko) 성형성 및 용접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과 그 제조방법
KR100481366B1 (ko) 연성이 우수한 열연 변태유기소성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985322B1 (ko)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과 그 제조방법
CN115491593A (zh) 采用TSR产线生产的抗拉强度≥1800MPa级热轧薄带钢及方法
JP2002363685A (ja) 低降伏比高強度冷延鋼板
KR20100047001A (ko) 초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4178940B2 (ja) 耐二次加工脆性に優れた高強度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71177A (ko) 냉각 및 권취시 크랙발생이 저감된 고강도 열간성형용열연강판 및 제조방법
KR100435467B1 (ko) 연속소둔에 의한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20190107585A (ko) 마르텐사이트계 석출 경화형 경량철강 및 그 제조방법
KR100368241B1 (ko) 플랜지 가공성이 우수한 열연변태유기 소성강 제조방법
KR100470652B1 (ko)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1009839B1 (ko) 고강도 고성형 강판의 제조방법
KR100273948B1 (ko) 항복강도가 우수한 고강도 고연성 열연변태 유기소성강 제조방법
JPH04276024A (ja) 伸びフランジ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の製造方法
KR100530057B1 (ko) 가공성 및 내2차가공취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제조방법
KR102209556B1 (ko) 구멍확장성이 우수한 강판, 부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