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1357A - Novel feedsutff pellet comprising powdered coconut - Google Patents

Novel feedsutff pellet comprising powdered coconu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1357A
KR20020011357A KR1020010077792A KR20010077792A KR20020011357A KR 20020011357 A KR20020011357 A KR 20020011357A KR 1020010077792 A KR1020010077792 A KR 1020010077792A KR 20010077792 A KR20010077792 A KR 20010077792A KR 20020011357 A KR20020011357 A KR 20020011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conut
feed
fat
pellet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7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은호
Original Assignee
유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은호 filed Critical 유은호
Priority to KR1020010077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1357A/en
Publication of KR20020011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357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30/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eservation of materials in order to produce animal feeding-stuffs
    • A23K30/20Dehyd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2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moulding, e.g. making cakes or briquet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PURPOSE: Provided is a process of preparing a feed pellet by using vegetable fat material having good palatability and adhesion and sparingly soluble in water during the pellet forming process at a high temperature as a fat source and a fat pellet binder, thereby reducing difficulties of fat adhesion to increase a fat content of feed and simultaneously improving palatability of feed. CONSTITUTION: Coconut meat from which the pericarp has been removed is washed, ground, heat treated under high pressure and dried at 60 to 120deg.C for 5 to 10 min at 20 to 60psi to a moisture content of 3% or less. The dried and sterilized coconut powder is ground to a particle size of 0.25 to 3mm in the second stage and uniformly mixed with gelatin particles.

Description

코코넛 건조 분말을 포함하는 사료 펠렛{Novel feedsutff pellet comprising powdered coconut}Novel feedsutff pellet comprising powdered coconut

본 발명은 가축용 펠렛 사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가축용 사료 펠렛의 성형 공정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사료의 질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코코넛 건조 분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가축용 사료 펠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llet feed for livestock,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dry coconut powder that can facilitate the molding process of feed pellets for livestock and improve the quality of feed at the same time, and includ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eed pellets for livestock.

종래의 가축 사료는 주로 가루로 된 형태의 사료가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가루 사료는 운반 및 취급 과정에서 가루가 날리는 등 취급이 불편했을 뿐만 아니라, 사료의 손실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위 부피 당 사료 밀도가 낮으므로, 실제적인 사료 섭취량이 줄어들어 사료 효율이 낮고, 따라서 증체량도 낮은 수준에 머문다는 단점이 있었다.Conventional livestock feed is usually a powdered feed. Such powdered feed is not only inconvenient to handle, such as flying powder during transport and handling, but also causes a loss of feed. In addition, since the feed density per unit volume is low, the actual feed intake is reduced, the feed efficiency is low, and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weight gain stays at a low level.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장한 것이 펠렛형 사료이다. 펠렛형 사료는 분말화된 사료 원료들을 결착력을 지닌 바인더와 혼합하여 압출 성형의 방법으로 펠렛 형태로 제조한 것을 말한다. 펠렛 사료의 급여는 가루사료 급여에 비하여 사료 밀도를 높임으로써 가축에서 사료 섭취량을 증가시키고 사료효율을 개선하며 증체량을 향상시킨다고 보고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실제 사료 산업에서는 사료의 운송비까지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Pellets feed appeared to solve this problem. Pellet-type feed refers to a powder produced by pelletizing by mixing the powdered feed material with a binder having a binding force. Feeding pellets has been reported to increase feed intake, improve feed efficiency and increase weight gain in livestock by increasing feed density compared to feed. In addition, the actual feed industry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transportation cost of feed.

이러한 펠렛형 사료는 상기와 같은 장점이 있는 반면, 지방 함량이 높은 사료 원료들의 특성상 펠렛 형태로 성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While such a pellet-type feed has the advantages as described above, it is pointed out that it is not easy to mold into pellet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feed materials having a high fat content.

즉, 펠렛형 사료는, 고온, 고압의 조건에서 성형 결착함으로써 적당한 크기의 펠렛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핵심인데, 사료 원료에 포함된 지방 성분은 사료 원료들과 잘 혼합되지 않아 기계적으로 잘 결착되지 않고 고온에서 녹아버리므로 펠렛 성형이 힘들고, 또한 성형된 펠렛은 내구성이 떨어지게 된다.In other words, the pellet feed, it is the key to manufacture in the form of pellets of a suitable size by molding and binding under conditions of high temperature, high pressure, the fat component contained in the feed material is not mixed well with the feed ingredients and do not bind mechanically well It melts at a high temperature, making pellet molding difficult, and the formed pellets are less durable.

일반적인 고에너지 사료의 지방 함량은 5 내지 8% 정도가 되는데, 이와 같이 펠렛 성형 과정에 있어서 액상 지방이 2%을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에는 성형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성형되지 못한 사료는 재투입되어 다시 만들어야하는 번거로움은 물론, 그와 같은 사료가 제품화되어 운반되는 경우에는 이동 과정에서 많은 가루가 발생하여 사료의 효율을 현저히 떨어뜨리고 가축의 급여시 많은 문제를 일으킨다.In general, high-energy feeds have a fat content of about 5 to 8%. If liquid fat is mixed in excess of 2% in the pellet forming process, the molding is not performed well, and the feed that is not formed is re-injected. In addition to the hassle of remaking, when such feed is commercialized and transported, a lot of powder is generated during the movement, which significantly reduces the feed efficiency and causes a lot of problems when feeding livestock.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는 사료의 지방 함량을 낮추어 펠렛 사료를 제조할 수 밖에 없으므로, 펠렛형 사료에 있어서의 지방 함량은 상당히 제한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사료를 만드는데 지방(fat)은 에너지를 올리기 위해 필수적인 원료이고, 지방 함량이 얼마나 높으냐에 따라 사료의 질이 결정되며 가축의 증체량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지방 함량을 줄이는 것은 가축용 사료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since the fat content of the feed can only be manufactured to produce pellet feed, the fat content in the pellet-type feed is inevitably limited. However, in making feed, fat is an essential ingredient to boost energy, and how high the fat content determines the quality of the feed and has a profound effect on the weight gain of livestock. Not desirable

또한 지방 함량이 높은 펠렛을 제조하고자, 상당한 고압으로 성형을 행할 수 있는 기계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기계는 매우 고가여서, 결국 사료의 비용을 높이게 되는 결과를 낳는다.In addition, to produce pellets with a high fat content, a machine that can be molded at a significant pressure is used, which is very expensive, resulting in higher feed costs.

따라서, 펠렛 중 지방 함량을 5% 이상으로 높이기 위하여 다음의 방법 등이 도입되고 있다.Therefore, the following methods and the like have been introduced to increase the fat content of the pellets to 5% or more.

첫째, 지방의 함량이 낮은 성형 펠렛을 제조한 후, 여기에 지방을 분무 코팅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지방의 함량이 높은 펠렛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지방의 함량을 어느 정도까지 높일 수는 있으나, 정확한 함량비율을 정량적으로 맞추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분무 코팅시 낭비되는 지방의 양이 적지 않으며, 지방이 펠렛의 외표면에 형성됨으로써 쉽게 산패된다는 단점이 있다.First, a method of producing pellets having a high fat content by preparing molded pellets having a low fat content, followed by spray coating and drying the fat therein.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content of fat can be increased to some extent, but it is not easy to quantitatively adjust the exact content ratio, the amount of fat that is wasted during spray coating is not small, and the fat is easi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ellet. The disadvantage is rancidity.

둘째, 건조 지방(dry fat)을 이용하여 펠렛을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건조 지방이란, 순수한 액상 지방만을 추출한 것을 단일 또는 복합적으로 혼합하여 드럼 건조(drum dry) 또는 분무 건조(spray dry) 하는 방식으로 제조된 것이다. 이러한 분말 형태의 건조 지방은 일반 액상 지방을 그대로 사용하여 펠렛을 제조하는 경우에 비해, 펠렛 중 지방 함량을 약 1% 정도 더 높일 수 있지만, 그 이상으로 상승시키기는 쉽지 않다. 이는 모든 분말 지방 역시 50~60도가 되면 녹아버리기 때문에일반적인 펠렛 가공 온도인 65~90도에서도 역시 지방이 녹기 때문이며, 이러한 건조 지방은 또한 다량 첨가할 경우 냄새가 좋지 않아 기호성에 나쁜 영향을 주는 것도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Second, there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pellets using dry fat. Dry fats are produced by drum-drying or spray-drying a single or complex mixture of only pure liquid fats. The dry fat in powder form can increase the fat content of the pellet by about 1%, compared to the case of preparing pellets using the normal liquid fat as it is, but it is not easy to raise it further. This is because all the powdered fats also melt at 50 to 60 degrees, so the fats are also melted at the general pellet processing temperature of 65 to 90 degrees. Appearin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사료 펠렛의 제조시 결착력을 높여 펠렛화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펠렛 바인더로서 종래에 사용되던 것은, 주로 리그닌설폰산염과 같은 목재 아황산 펄프화 후의 폐액으로부터 얻어지는 리그닌계통, 그리고 셀룰로오스 혹은 헤미셀룰로오스 계통, 점성을 갖는 소맥 등의 곡류 베이스, 연골 조직을 이용한 단백질 베이스인 콜라겐 등이 있다. 그러나 저렴한 사료용 바인더로서 지금까지 대량으로 사용되어 왔던 리그닌설폰산염은 그 첨가량이 1% 이상이 되어야 비로소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황산염펄프공장의 수가 급감하면서 그 생산량은 오히려 감소되고 있다. 따라서 대체품으로 결착력이 있는 소맥을 약 10 내지 20% 첨가하거나, 콜라겐 계통 또는 셀룰로오스 계통의 바인더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onventionally used as a pellet binder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in the manufacture of feed pellets to facilitate pelletization, mainly lignin system obtained from the waste liquid after wood sulfite pulping such as lignin sulfonate, and cellulose Or a hemicellulose system, cereal bases such as viscous wheat, or collagen, which is a protein base using cartilage tissue. However, lignin sulfonate, which has been used in large quantities as an inexpensive feed binder, is not only effective when the addition amount is 1% or more, but also decreases as the number of sulfite pulp plants decreases sharply. Therefore, as a substitute, about 10 to 20% of binding wheat is added, or a collagen-based or cellulose-based binder is generally used.

또한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 94-8585 호에 의하면, 펠렛 바인더로서 아교 및 젤란틴을 사용하는 것도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94-8585 also discloses the use of glue and gelatin as a pellet binder.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사료 바인더의 사용은 배합사료 제조원가를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지방 함량이 5%를 초과할 경우에는 여전히 펠렛 형성에 어려움이 발생하므로, 지방 함량이 5%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펠렛 성형을 할 수 있는 저렴하고 효과적인 바인더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the use of such conventional feed binders not only increases the cost of manufacturing the formulated feed, but also causes difficulty in forming pellets when the fat content exceeds 5%, so that the fat content exceeds 5% effective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inexpensive and effective binder capable of pellet moldin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존 지방 원료들과는 달리 기호성과 결착력이 뛰어나며, 고온의 펠렛 성형 공정 중에도 잘 녹지 않는 식물성 지방 원료를, 지방원으로서, 그리고 동시에 펠렛 바인더로 사용함으로써, 지방 결착의 어려움을 해소하여 사료의 지방 함량을 높이고, 동시에 사료의 기호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는 사료 펠렛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existing fat raw materials, by using a vegetable fat raw material that is excellent in palatability and binding strength, which does not melt well even during high temperature pellet forming process, as a fat source and at the same time as a pellet binder,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feed pellets that can improve the fat content of feeds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the palatability of the feeds by eliminating the difficulty of fat bind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코넛 건조 분말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1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a coconut dry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technical problem,

코코넛 건조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코코넛 건조물은 분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Provided is a feed additive comprising a coconut dry matter. At this time, the coconut dried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powd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코코넛 건조물은, 코코넛 열매의 과피를 제거한 후, 과육 부분만을 분리, 세척하여 준비하는 단계; 상기 분리, 세척된 코코넛 과육을 1차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코코넛을 고압으로 열처리하여, 과육의 수분 함량이 3% 이하가 되도록 건조 및 살균하는 단계; 상기 건조 및 살균된 코코넛 분쇄물을 펠렛화하기에 알맞은 입자크기로 2차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 크기로 선별된 건조 코코넛 분말에 젤라틴 입자를 고르게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통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건조 및 살균 단계는, 20 내지 60 psi의 압력과 60 내지 120℃의 온도에서 5분 내지 10분 동안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2차 분쇄 및 분말화 단계에서, 코코넛 분말의 입자 크기는 0.25 내지 3mm인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conut dried, after removing the skin of the coconut fruit, separating and washing only the flesh portion to prepare; Primary grinding of the separated, washed coconut pulp; Heat-treating the pulverized coconut at high pressure, drying and sterilizing the water content of the pulp to 3% or less; Secondly pulverizing the dried and sterilized coconut ground powder into a particle size suitable for pelletizing; And mixing the gelatin particles evenly with the dried coconut powder selected to the predetermined size. At this time, the drying and sterilization step, it is preferable to treat for 5 to 10 minutes at a pressure of 20 to 60 psi and a temperature of 60 to 120 ℃, in the second grinding and powdering step, particles of coconut powder The size is preferably 0.25 to 3 mm.

또한, 상기 젤라틴 입자는 고속분쇄기로 미분화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그 크기는 60 내지 120mesh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elatin particles are preferably in the form of finely divided into a high-speed grinding machine, the size is preferably about 60 to 120 mesh.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의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펠렛형 사료를 제공한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llet-type feed comprising the feed additiv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사료에 있어서 지방은 단순한 에너지원으로만 이용되기 때문에 고에너지원이라는 장점 외에는 여러가지 단점이 많아 제품으로의 제조가 불편하고 그 이용성의 효율이 떨어지는 성분이었다.In the feed, fat is used only as a simple energy source, so there are many disadvantages besides the advantage of being a high energy source.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방 함량이 높은 코코넛을 지방원으로 이용함과 동시에 펠렛 바인더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특수하게 제조하여 분말화함으로써, 지방함량이 높으면서 펠렛 내구성이 뛰어나고 기호성이 좋은 고영양의 펠렛 사료를 제조할 수 있게 하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by using a coconut fat having a high fat content as a fat source and at the same time by specially prepared and powdered to act as a pellet binder, high fat content and excellent pellet durability and high palatability It makes it possible to produce nutritious pellet feeds.

코코넛은 열대 지방에서 서식하는, 높이 20-30m의 나무의 열매로 일년에 평균 80-200개의 열매가 열리므로 중요한 식량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어린 열매는 껍질의 색이 녹색이며 껍질 내부의 주스는 약간 달면서 신맛이 나는 음료로 마실 수 있으며, 숙취 효과가 있다. 꽃꼭지의 액즙은 음료수로, 열매의 씨앗에 함유된 코코넛 오일은 비누 원료나 각종 식품의 지방원료 및 의약품의 부형제로 사용되며, 코코넛 오일로부터 정제 분리하여 얻은 팔미르산 함량이 많은 팜유 등 역시 식품 원료로 이용되고 있다.Coconut is a 20-30 m tall tree in the tropics, with an average of 80-200 berries a year, making it an important food source. The young fruit is green in color and the juice inside the bark is a bit sweet and sour drink. It has a hangover effect. The juice of the faucet is a beverage, and the coconut oil contained in the seeds of the fruit is used as an excipient for soap raw materials, fat raw materials of various foods and medicines, and palm oil with high palmiric acid content obtained by refining and separating from coconut oil. It is used.

코코넛 오일은 실온에서는 반고체형 기름으로서 요오드 값이 8-10이고, 식물유로서는 불포화지방산이 극히 적으며, 산패하지 않기 때문에 장기 보존이 가능한지방 식품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코코넛 오일은 식품의 용도 이외에도 유화 분무 건조한 분말 커피 크림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건강 보조 식품으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미국 워싱턴 주립대 폴 실베스터 박사팀의 연구 발표에 의하면, 비정제 야자유 속에 고농축되어 있는 특정 비타민 E가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Coconut oil is a semi-solid oil at room temperature and has an iodine value of 8-10. It is considered as one of the fatty foods that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because it is extremely low in unsaturated fatty acids and does not become rancid. Coconut oil is widely used as an emulsified spray-dried powder coffee cream in addition to the use of food, and has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as a dietary supplement. In particular, a study by Dr. Paul Sylvester's team at Washington State University reported that certain vitamin E, which is highly concentrated in unrefined palm oil, has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proliferation of cancer cells.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코코넛을, 펠렛 바인더와 동시에 지방원으로서 이용가능하도록 특수한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기존의 건조 지방 분말은 식물성 지방 원료에서 기름을 추출 또는 착즙하는 방식으로 채취하여 건조, 가공하는 방식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펠렛 성형 가공시 물리적인 변화에 잘 견딜 수 없었지만, 본 발명의 코코넛 건조 분말은 코코넛 과육을 그대로 사용하여 특수하게 제조함으로써 고온에서도 안정한 형태의 과육 분말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코코넛 건조 분말은, 지방 성분을 다량 함유하면서도 펠렛 성형 공정 중 녹지 않고 안정한 형태로 존재하며, 결착력 또한 뛰어나 그 자체가 바인더의 역할을 함으로써 따로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coconut is produced by a special method so that it can be used as a fat source simultaneously with the pellet binder. Conventional dry fat powder was made by extracting or extracting oil from vegetable fat raw materials and drying and processing, so that the dry fat powder could not withstand physical changes in pellet molding processing, but the coconut dry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conut By using the pulp as it is specially manufactured to produce a pulp powder in a stable form even at high temperatures. Coconut dry powder produc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 in a stable form,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fat, but not melted during the pellet forming process, it is excellent in binding strength itself, it is remarkable that the binder does not need to be used separately The effect was shown.

또한 코코넛 열매는 액체 기름만을 추출할 경우 코코넛의 독특한 향미가 없어지는 특징을 보였는데, 본 발명의 코코넛 건조 분말은 코코넛 과육을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그 향미가 매우 좋게 유지되고 방향성이 강하여 본 발명의 펠렛 사료를 가축에게 급여했을 때 그 반응이 상당히 좋았다.In addition, the coconut fruit showed a characteristic that the unique flavor of the coconut is lost when only liquid oil is extracted, the coconut dry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coconut pulp as it is, the flavor is very good and the fragrance is strong, the pe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ponse was quite good when feed was given to livestock.

본 발명의 코코넛 건조 분말의 제조 방법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conut dry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의 코코넛 건조 분말의 제조 공정 흐름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제조 공정은 과육분리, 세척, 1차 분쇄, 살균 및 건조, 2차 분쇄, 선별, 혼합 및 포장의 단계를 거쳐서 제조된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conut dry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seen from FIG. 1, the present manufacturing process is prepared through the steps of pulp separation, washing, primary grinding, sterilization and drying, secondary grinding, sorting, mixing and packaging.

상기 1차 분쇄 과정은, 건조 및 2차 분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공정으로써, 분쇄기를 이용하여 적당한 크기로 분쇄한다.The primary grinding process is a process for facilitating drying and secondary grinding, Grind to a suitable size using a grinder.

상기 살균 및 건조 과정은 60℃ 이상의 온도 및 20psi 이상의 압력에서 5분 이상 행하되 과육 내 수분 함량이 3% 이하가 되도록 함으로써, 2차 분쇄를 용이하게 하고, 박테리아 및 기타 세균의 생장을 방지한다. 주목할 만한 점은, 코코넛 과육이 상기와 같은 고온, 고압에서 살균 및 건조하는 과정을 거치면서도 그 지방 성분이 녹아나지 않고, 코코넛 과육 내에서 그대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코코넛 과육의 특성을 발견하여 본 발명의 펠렛 사료 제조에 이용하게 된 것이다. 코코넛 과육의 지방이 기타의동.식물성 지방과 다른 특성을 보이는 이유에 대하여는, 코코넛에 포함된 탄수화물 성분이 지방 성분과 교착된 형태로 존재함으로 해서 지방이 탄수화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The sterilization and drying process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60 ° C. or higher and a pressure of 20 psi or more for 5 minutes or more, so tha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ulp is 3% or less, thereby facilitating secondary grinding and preventing the growth of bacteria and other bacteria. It is noteworthy that, while the coconut flesh is sterilized and dried at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s described above, the fat component does not melt and remains stable in the coconut flesh. The inventors have discovered the properties of such coconut pulp and have been used to produce the pellet fee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t of coconut pulp is the other copper. The reason for show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vegetable fats is that the carbohydrates contained in the coconut are intermingled with the fats, so it is assumed that the fats are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carbohydrates.

이렇게 건조 및 살균된 코코넛 과육 분말을 펠렛 사료에 배합하기 위한 효과적인 입자 크기로 2차 분쇄를 행한다. 펠렛 사료 원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입자 크기는 0.25 내지 3mm인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러한 일정한 크기로 입자를 선별한다.The secondary grinding is effected to an effective particle size for blending the dried and sterilized coconut pulp powder into pellet feed. Particle sizes suitable for use as pellet feed materials are preferably 0.25 to 3 mm, so particles are screened to this constant size.

이렇게 선별된 코코넛 분말에, 펠렛 바인딩 계수를 높여주기 위하여 젤라틴 입자를 고르게 분산하여 혼합한다. 여기서 젤라틴은 동물성 젤라틴인 것이 바람직하고, 공업용 아교, 피교, 골교, 명교 등 어떠한 종류의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 때 사용되는 젤라틴은 점도가 높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반 고급 젤라틴은 가격이 너무 비싸 사용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고급 젤라틴을 이용한 연질 의약용 캡슐 부산물을 녹여 재 가공된 상태의 젤라틴을 고속분쇄기를 이용하여 미분화한 것, 특히 60 내지 120mesh 정도의 입자를 만든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elected coconut powder, the gelatin particles are evenly dispersed and mixed in order to increase the pellet binding coefficient. It is preferable that gelatin is an animal gelatin here, and any kind, such as industrial glue, a pier, a bone bridge, a light bridge, is possibl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thing with high viscosity as the gelatin used at this time. Therefore, the general high-grade gelatin is difficult to use because the price is too expensive to dissolve the soft medicinal capsule by-product using the high-grade gelatin micronized in the reprocessed state using a high-speed grinding machine, especially particles of about 60 to 120 mesh It is preferable to use one.

이렇게 미분화된 젤라틴 입자를 상기 코코넛 분말과 혼합하면, 결착성 물질인 젤라틴이 코코넛 입자의 표면 탄수화물에 붙어서, 이후 사료를 가공할 때 다른 원료들과 잘 혼합되고, 펠렛 다이에서 압축될 때 더욱 단단한 펠렛을 만들 수 있다.When the finely divided gelatin particles are mixed with the coconut powder, the binder gelatin adheres to the surface carbohydrates of the coconut particles, which are then mixed well with other raw materials when processing the feed, and harder pellets when compressed in a pellet die. You can make

이렇게 제조된 코코넛 건조 분말을 통상의 펠렛 사료 제조시 첨가하는데, 그 첨가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사료의 기타 성분과 사용 목적에 따라서 조절하여 첨가한다. 통상은 사료 펠렛 제조시 1 내지 20% 양으로 첨가하여 고지방, 고 영양의 사료 펠렛을 제조한다.The coconut dry powder thus prepared is added in the manufacture of a conventional pellet feed, and the amount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other ingredients of the feed and the purpose of use. In general, feed pellets are added in an amount of 1 to 20% to prepare high-fat, high-nutrition feed pellets.

본 발명에서와 같이, 코코넛 오일을 탄수화물에 포함된 상태로 제조하고 젤라틴으로 코팅하여 펠렛 사료의 지방원 및 바인더로 사용함으로써, 펠렛 성형시 70~90도의 온도에서도 지방성분이 녹지 않도록 하고, 코코넛 천연의 향미를 유지시켜서 기호성 문제를 해결하고, 지방의 산패를 방지함으로써 사료품질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여 펠렛 사료의 품질과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conut oil is prepared in a state containing carbohydrate and coated with gelatin to be used as a fat source and binder of pellet feed, so that the fat component does not melt even at a temperature of 70 to 90 degrees during pellet molding, and coconut natural Maintaining the flavor of nutrients can solve palatability problems and prevent rancidity of fat, thereby simultaneously improving feed quality problems and significantly improving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pellet feeds.

본 발명의 코코넛 건조 분말의 영양 성분은 지방 60% 이상, 단백질 10% 이상, 탄수화물 20% 이상, 및 수분 3% 이하이며, 지방성분 중 생리 활성 성분으로 알려진 라우르산이 30% 이상, 카프르산이 1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칼로리는 코코넛 건조 분말 1kg 당 5,500~6,000kcal로 나타났다.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the coconut dry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t least 60% fat, at least 10% protein, at least 20% carbohydrate, and at most 3% moisture, and at least 30% lauric acid, which is known as a physiologically active ingredient, is at least 30% capric acid. It was found to be more than 10% and the calorie was 5,500 ~ 6,000kcal per 1kg of coconut dry powder.

본 발명의 코코넛 건조 분말의 특성을 기타의 지방 원료들과 개략적으로 비교하여 하기하는 표 1에 나타내었다.The characteristics of the coconut dry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Table 1 below, which compares roughly with other fat raw materials.

본 발명의 코코넛 건조 분말Coconut dry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반 건조지방General dry fat 액상지방Liquid fat 에너지가(ME kcal/kg)Energy value (ME kcal / kg) 5,700 ~ 6,0005,700-6,000 6,000 ~ 82006,000 to 8200 7,000 ~ 8,5007,000 to 8,500 기호성Palatability 양호(향미제 첨가 불필요)Good (no flavor added) 불량(향미제 필요)Poor (flavor required) 약간 불량(향미제 필요)Slightly bad (flavor required) 산패도Rancidity 상온에서 산패하지 않음Not rancid at room temperature 여름철에는 녹아서 굳으며 산패함Melted, hardened and rancid in summer 여름철에는 항산화제 첨가 필요.In summer, antioxidants need to be added. 펠렛 성형시 제한 사용량Limited amount used for pellet molding 제한없이 사용 가능Available without restrictions 사용 제한 있음Has usage restrictions 사용 제한 있음(2% 미만)Limited usage (less than 2%) 사료 가공에 영향을 주는 펠렛 계수Pellet Factor Affects Feed Processing +

상기 표를 보면 기호성, 산패문제, 사용제한, 펠렛 계수 등에 있어서, 코코넛건조 분말이 확실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다만, 주목할 점은, 에너지원으로서만 비교할 경우 일반적인 지방 95% 이상 제품들의 에너지가는 상기 표에서와 같이 최고 8500kcal정도의 수치를 보이므로, 본 발명의 코코넛 건조분말과의 에너지가 차이가 3000kcal정도이기 때문에, 일견 원료적 가치가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여지지만, 실제적인 코코넛 원료의 효율은 그렇지가 않다는 점이다.Looking at the table, it can be seen that coconut dry powder is definitely excellent in palatability, rancidity problem, restriction of use, pellet count, and the lik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nergy value of products of more than 95% of the general fat when compared only as an energy source shows a value of up to 8500 kcal as shown in the above table, so that the energy difference from the coconut dry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bout 3000 kcal. As a result, the raw material value seems to be much lower, but the actual efficiency of the coconut raw material is not.

즉, 예를 들어, 사료 완제품을 만들기 위한 사료공장의 설비를 통해 현재 생산되고 있는 펠렛 사료 제품이, 일반 지방 원료의 사용으로 인한 성형의 곤란함으로 인해 10 내지 20%의 가루가 발생되며, 그 가루는 재생산되기 위해 메인믹서로 재투입되게 공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료공장에서는 10%의 생산성 감소 또는 10% 정도의 가루발생율을 내포한 제품을 출고하게 되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바인더를 사용하고 있다.That is, for example, the pellet feed products currently produced through the facilities of the feed mill for making the finished feed products, 10 to 20% of the powder is generated due to the difficulty of molding due to the use of general fat raw materials, the powder The process requires a process to be reintroduced into the main mixer for reproduction. Therefore, the feed mill is going to ship a product containing a 10% productivity reduction or a powder generation rate of about 10%, using a binder as described above to solve this problem.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원인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배합비에 사용되던 일반 지방 1%를 본 발명의 코코넛 지방 분말로 대체 하였을 경우에 전체 에너지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기존 지방원료의 최고 에너지가는 8,500kcal이고 본 발명의 코코넛 건조 지방 분말의 최소 에너지가는 5,500kcal 이므로, 차이는 3,000kcal이고, 총 에너지가의 1%를 대체한 것이기 때문에 전체 사료에 미치는 영향은 3,000kcal의 1%인 30kcal 만큼의 부족이 있을 수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사료 가공시 전체적인 사료원가 측면에서 보면 사료 성형에 어려움에 따라 오는 손실에 비하면 아주 미미하고 결과적으로는 10%로의 가루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 되어, 품질 향상과 생산성 10% 향상 그리고 10%의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는 결과에 이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eneral fat 1% used in the existing compounding ratio to replace the coconut fat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aus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n the total energy value, the best of the existing fat raw materials Since the energy value is 8,500kcal and the minimum energy value of the coconut dry fat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5,500kcal, the difference is 3,000kcal, and since it replaces 1% of the total energy value, the effect on the total feed is 30kcal, which is 1% of 3,000kcal. It may seem that there can be as many shortfalls. However, in terms of overall feed cost in feed processing, this is a very small method compared to the loss due to difficulties in feed molding, and consequently, a method of blocking powder to 10%, improving quality, increasing productivity by 10% and This can result in cost savings.

또한, 상기 표 1의 펠렛 계수는, 펠렛 성형이 잘 되는 정도를 나타내느 수치로서, 일반적으로 밀가루 같이 사료 성형에 도움이 되는 곡물은 +7 정도이고, 옥수수는 +5 정도로 + 요인의 원료이지만, 미네랄 계통은 -5, 액상 지방의 경우 -10, 분말 지방의 경우 -7~8 로 계산된다. 그런데, 객관적인 실험 결과를 보면 코코넛 건조 지방은 +2로 나타나서, 일반적인 분말 지방에 비해서 결착력이 매우 우수함을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pellet coefficient of Table 1 is a numerical value indicating the degree of good pellet molding, generally grains such as wheat flour, which is useful for feed molding, are about +7, and corn is about +5. The mineral system is calculated to be -5, -10 for liquid fats, and -7 to 8 for powdered fats. However, from the objective test results, the coconut dry fat was found to be +2, which shows that the binding strength is very excellent compared to the general powdered fat.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코넛 건조 분말은 천연의 침투성이 강력한 코코넛 고유의 향과 맛이 보존되어 기호성이 뛰어나므로 별도의 향미제가 필요하지 않고, 그 자체가 결착력이 뛰어나 별도의 바인더의 첨가가 불필요하며, 상온에서 산패하지 않으므로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고, 펠렛 가공시 열에 안정하고 결착력이 뛰어나므로, 그 사용량에 제한이 없이 첨가가 가능하다.As shown in Table 1, the coconut dry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palatability by preserving the inherent flavor and taste of coconut, which has strong natural permeability,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flavoring agent, and is a separate binder because of its excellent binding power. It is not necessary to add, and it is easy to store and handle because it does not disperse at room temperature, and it is stable to heat during pellet processing and has excellent binding power, so that the amount can be added without limitation.

본 발명의 코코넛 지방 분말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는 소, 돼지, 가금류, 어류 등 모든 가축의 사료에 사용이 가능하며, 어떠한 형태의 사료에도 첨가할 수 있다.Feed additives comprising the coconut fat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feed of all livestock such as cattle, pigs, poultry, fish, and can be added to any type of feed.

이하, 하기하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The following exampl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실시예Example

실시예 1Example 1

코코넛 건조 분말의 제조Preparation of Coconut Dry Powder

코코넛 열매의 과피를 제거한 후, 과육 부분만을 분리, 세척하였다. 세척된 코코넛 과육을 미세 분쇄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잘게 부술 수 있도록 회전식 칼날이 달린 분쇄기로 1차 분쇄하고, 건조를 위해 가로 2m, 세로 2m, 높이 2m에 총길이 15M의 관로를 컨베이어에 얇게 깔아 통과시키는 동안 스팀압 40psi 그리고 온도는 80도를 유지시켜 6분정도를 유지해서 3% 미만의 수분 함량을 관리해서 2차 분쇄기로 분쇄하여 가루를 만들었다.After removing the peel of the coconut fruit, only the flesh part was separated and washed. With a swivel blade grinder to crush the washed coconut pulp for fine grinding Steam pressure is 40 psi and the temperature is maintained at 80 ° C for 6 minutes at less than 3% while thinly passing the first 15m long pipe through a 2m long, 2m long and 2m high dry line for drying. The moisture content was controlled and pulverized with a second grinder to make powder.

이와 같이 제조한 코코넛 건조 분말에 대하여 성분을 조사한 결과 다음 표 2과 같았다.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omponents for the coconut dry powder thus prepared, it was as Table 2 below.

항목Item 분석 결과 (%)Analysis (%) 수분moisture 2.712.71 조단백질Crude protein 10.9210.92 조지방Crude fat 62.5462.54 조섬유Crude fiber 1.131.13 조회분View minutes 2.102.10 탄수화물carbohydrate 21.7321.73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코넛은 지방 함량이 매우 높고, 필수 영양 성분인 탄수화물과 단백질도 다량 함유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in Table 1, coconut has a very high fat content, and it can be seen that carbohydrates and proteins, which are essential nutritional ingredients, are also contained in a large amount.

또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코코넛 건조 분말에 대하여 아미노산 분석을 행한 결과, 다음 표 3과 같았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performing an amino acid analysis on the coconut dry powder prepared in Example 1, it was as shown in Table 3.

성분ingredient 분석결과(g/100g)Analysis result (g / 100g)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0.890.89 트레오닌Threonine 0.350.35 세린Serine 0.510.51 글루탐산Glutamic acid 2.092.09 프롤린Proline 0.380.38 글리신Glycine 0.450.45 알라닌Alanine 0.450.45 발린Valine 0.540.54 이소류신Isoleucine 0.330.33 류신Leucine 0.700.70 티로신Tyrosine 0.250.25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0.480.48 히스티딘Histidine 0.310.31 리신Lee Sin 0.490.49 아르기닌Arginine 10371037

상기 표 2로부터 코코넛 건조 분말에는 각종 아미노산도 골고루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It can be seen from Table 2 that the coconut dry powder contains various amino acids evenly.

또한 실시예 1의 코코넛 건조 분말의 지방 성분 중의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여, 종래에 펠렛 사료의 원료로 사용되던 건조 지방 분말인 Fat pak 80(milk specialties사), Bergafat(berg&schmidt asia pte.ltd사), Magnapac(provimi사) 및 액상 지방의 지방산 조성과 비교한 것을 다음 표 4에 기타의 특성과 함께 나타내었다.In additi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fat component of the coconut dry powder of Example 1 was investigated, and Fat pak 80 (milk specialties), Bergafat (berg & schmidt asia pte.ltd), Magnapac, which was a dry fat powder, which was conventionally used as a raw material for pellet feed (provimi) an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liquid fat is shown in Table 4 together with other properties.

종류와형태Type and form 지방산 조성Fatty acid composition 녹는점(℃)Melting Point (℃) 대사에너지ME(GE) kcal/kgMetabolic Energy ME (GE) kcal / kg 제조공법Manufacturing method 활용가치Utilization value c-8c-8 c-10c-10 c-12c-12 c-14c-14 c-16c-16 c-18:0c-18: 0 c-18:1c-18: 1 c-18:2c-18: 2 카프릴산Caprylic acid 카프르산Capric acid 라우르산Laur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올레산Ole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건조지방분말Dry Fat Powder 실시예 1Example 1 7.557.55 6.256.25 49.0749.07 18.5518.55 8.538.53 3.013.01 5.425.42 0.990.99 펠렛성형시녹지 않음Pellet molding does not melt 5,2405,240 분쇄식 건조지방Ground dry fat 결착, 기호성,에너지 공급원Binding, palatability, energy source Fat pak 80Fat pak 80 33 3030 4848 10.010.0 5.85.8 52~5452-54 6,7526,752 분무건조식건조지방Spray Dried Dry Fat 에너지 공급원Energy source BergafatBergafat 22 4646 4444 66 22 53~5553-55 8,1008,100 에너지 공급원Energy source MagnapacMagnapac 1.51.5 4444 55 4040 9.59.5 54~5654-56 (6,650)(6,650) 에너지 공급원Energy source 액상지방Liquid fat 코코넛오일Coconut oil 14.114.1 44.644.6 16.816.8 8.28.2 2.82.8 5.85.8 1.81.8 액상Liquid 8,0708,070 압출식액상지방Extruded Liquid Fat 에너지 공급원Energy source 콩기름Soybean oil 0.10.1 10.310.3 3.83.8 22.822.8 5151 8,4008,400 에너지 공급원Energy source 우지Uji 0.90.9 2.72.7 24.924.9 18.918.9 3636 3.13.1 7,6807,680 에너지 공급원Energy source 종자유Seed oil 3.83.8 26.626.6 3.33.3 33.733.7 18.818.8 -- 에너지 공급원Energy source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코넛 건조 지방 분말은 제조 안정성을 지니면서도 각종 지방산이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타지방원료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카프르산과 라우르산은 항균성, 항바이러스성 역할을 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면역 강화에 기여하는 물질로도 주목을 받고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table, the coconut dry fat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found to be rich in various fatty acids while having manufacturing stability. In particular, capric acid and lauric acid, which are not included in other fats, are known as antimicrobial and antiviral substances, and are also attracting attention as substances that contribute to strengthening immunity.

이와 같은 코코넛 건조 분말을 펠렛 사료 원료로 사용할 경우, 그 영양적인 활용가치 또한 매우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When the dried coconut powder is used as a feed material for pellets, its nutritional value is also excellent.

실시예 2Example 2

코코넛 건조 분말을 이용한 펠렛 사료의 제조Preparation of Pellet Feed Using Coconut Dry Powder

통상의 사료 원료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코코넛 건조 분말을 5 중량% 첨가하여, 메인 믹서에서 뱃치(batch)별로 다른 원료와 골고루 섞일 수 있도록 3분 정도 배합한 다음 배합된 원료는 라인을 따라 이송한 후 호퍼로 임시 저장된 상태에서 펠렛 밀(pellet mill)에 원료를 일정하게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 공급구(feeder)를 거쳐 원료가 펠렛 밀에 들어가기 전에 스팀을 사용하여 주 원료에 알맞는 온도를 올려주고 스팀에 의해 수분을 3~5% 정도 첨가하여, 다른 곡물 원료와 코코넛 건조 분말을 최대한 알파화시켜줌으로서 서로 결착이 잘될 수 있도록 하였다.Add 5% by weight of the coconut dry powder prepared in Example 1 to the conventional feed ingredients, mix them for 3 minutes in a batch so that they can be mixed evenly with other raw materials in batches in the main mixer, and the blended raw materials are transferred along the line. After the raw material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hopper, the feeder is installed to supply the raw material to the pellet mill in a constant manner. Before the raw material enters the pellet mill, the steam is used to raise the temperature suitable for the main raw material. Moisture was added by 3 to 5% by steam, so that other grain raw materials and coconut dry powder were alpha-maximized so that they could be easily bound together.

이렇게 알파화된 것을 온도에 의해 팽창시켜 코코넛 향을 더욱 강화시키고, 다른 원료들과도 잘 섞일 수 있게 믹서에서 충분히 배합하고, 이렇게 배합된 것을 펠렛 밀에 부착된 제품 규격에 알맞는 다이를 통해 나오도록 하였다. 이 때 코코넛 표면에 묻어있는 소량의 지방 성분이 윤활 작용을 하게 되어 마찰이 줄어 다이의 수명 연장에 도움을 주고 생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였다.The alpha is expanded by temperature to enhance the coconut aroma, blended well in a mixer to blend well with other ingredients, and the blend comes out through a die that meets the product specifications attached to the pellet mill. It was made. At this time, a small amount of fat on the surface of the coconut lubricates, thus reducing friction and helping to extend die life and increasing productivity.

이렇게 다이를 빠져나온 펠렛 사료는 뜨거운 상태에서 일정한 길이로 자른 후, 냉각기로 들어가 약 15분 정도 체류하면서 수분과 열을 방출하여 건조된 사료의 완성품을 만들어 25kg 지대에 포장하였다.The pellet feed that exited the die was cut to a constant length in a hot state, and then entered a cooler and stayed for about 15 minutes while releasing moisture and heat to make a finished product of dried feed and packaged in a 25 kg zone.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기존의 지방 원료로 펠렛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본 발명의 코코넛 건조 지방을 비율을 달리하여 기존 지방 원료 대신 첨가하여 펠렛을 제조하여 내구성과 기호성을 평가하였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pellets from existing fat raw materials, the coconut dry fa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added at different ratios to prepare pellets to evaluate durability and palatability.

즉, 본 실험은 양돈 고에너지 사료 펠렛으로서 지방 함량이 5% 이상인 사료들을 그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 방법은, 기존 펠렛 사료에 첨가되는 액상 우지와 분말지방을 본 코코넛 건조 분말로 1~4% 대체 투입하여 펠렛 사료를 생산한 후 내구성과 기호성을 측정하였다.In other word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pigs with high-energy feed pellets containing more than 5% fat, and the experimental method replaced 1-4% of liquid tallow and powdered fat added to the existing pellet feed with coconut powder. After the pellet feed was produced, the durability and palatability were measured.

내구성은 내구성 지수 테스트, 즉 PDI(Pellet Durability Index) 테스트로서 판단하였는데, 각각 대체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가루를 없앤 펠렛 500g 씩을 PDI 테스터(TUMBLING CAN, ASAE사)에 넣고 50RPM의 속도에서 10 분간 처리한 후 발생되는 가루를 제거하고 남은 펠렛의 중량을 측정하여, 이 중량을 최초의 펠렛 투입량에 대한 백분율로서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의 사료에 대하여 내구성 시험을 10회씩 행하여 그 평균 수치를 내어 하기하는 표 5에 나타내었다.The durability was judged as a durability index test, that is, a PDI (Pellet Durability Index) test, in which 500 g of pellets each made with different amounts of replacement were put into a PDI tester (TUMBLING CAN, ASAE). The powder generated after the treatment for 10 minutes at the rate of 50 RPM was removed and the weight of the remaining pellets was measured, and this weight was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original pellet input. In this manner, each feed was subjected to ten durability tests, and the average value is shown in Table 5 below.

또한 기호성은 관능 검사를 통하여 하였는데, 코코넛 건조 분말을 넣은 사료와 넣지 않은 것을 동일 조건에서 돼지나 소에게 급여하여, 정해진 사료양에 대하여 급여 개시 후 일정 시간 후에 잔량을 계산하여 섭취량을 계산한 결과와, 최초급여시 동물의 반응과 일정량을 섭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결과를 종합하여 평가하엿으며, 이를 여러 개체군에 반복하여 판단하여 개선 여부를 평가하였다.In addition, palatability was tested through the sensory test, and the feed with and without coconut dry powder was fed to pigs or cows under the same conditions. In addition, we evaluated the results of the animal response and the time taken to consume a certain amount at the time of the first salary.

TEST 장소TEST place 실험 조건(동일 조건에 지방첨가변화)Experimental condition (change of fat in same condition) 펠렛 가루 발생율(내구성)( PDI : PELLET DURABILITY INDEX )Pellet Powder Generation Rate (Durability) (PDI: PELLET DURABILITY INDEX) 기호성 결과Palatability result 첨가전Before addition 첨가량(1:1 대체)Added amount (1: 1 substitute) 무첨가구No furniture 첨가구Addition 개선율Improvement 관능검사Sensory evaluation 사양시험Specification test T 사T company 액상 우지 2.5%Liquid Uji 2.5% 2.5%2.5% 97.197.1 98.498.4 1.3%1.3% 개선Improving 양호Good D 사D company 건조 지방 1%Dry fat 1% 1%One% 96.596.5 98.198.1 1.6%1.6% 개선Improving 양호Good M 사M company 건조 지방 4%Dry fat 4% 4%4% 96.396.3 97.597.5 1.2%1.2% 개선Improving 양호Good A 사A company 액상 우지 2%Liquid Uji 2% 2%2% 97.297.2 98.698.6 1.4%1.4% 개선Improving 양호Good P 사P company 액상 코코넛오일 1.5%Liquid Coconut Oil 1.5% 1.5%1.5% 95.595.5 97.397.3 1.8%1.8% 개선Improving 양호Good

그 결과, 본 발명의 코코넛 건조 분말을 1% 이상 사용했을 때 사료의 기호성 개선이 매우 뚜렷하였으며, PDI는 약 15% 정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사료 펠렛 품질 향상 효과가 매우 뚜렷함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When the coconut dry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more than 1%, the palatability improvement of the feed is very obvious, PDI was about 15% higher, it can be seen that the feed pellet quality improvement effect is very obvious.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코넛 건조 분말로 제조한 사료는, 식물성 지방 원료인 코코넛을 그대로 가공함으로써 천연 코코넛의 냄새와 풍미를 유지시켜 사료의 기호성을 높이 수 있고, 펠렛 성형시 온도에 완전히 녹지 않아 가공에 따른 어려움을 해소시켜줌은 물론 결착성 문제를 해결하여 가공 사료품질의 획기적 개선과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eed prepared from the coconut dry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cessing the raw coconut fat as it is to maintain the smell and flavor of the natural coconut can increase the palatability of the feed, completely at the temperature during pellet molding As it does not melt, it solves the difficulties of processing and solves the problem of binding, which greatly contributes to the dramatic improvement of the feed quality and productivity.

본 발명에 의하면, 가공 사료 특히 펠렛 사료에 고에너지원인 지방을 충분히 첨가하고자 할 때 나타나는 사료의 허실과 가축 호흡기 질병의 주 요인인 가루발생문제와 펠렛 성형시 성형이 잘 되지 않아 나타나는 재투입 해야하는 가루의 양으로인한 생산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어린 가축에서 예민하게 나타나는 일반 지방들에 대한 기호성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때문에, 어떠한 환경에서도 높고 안정된 사료 섭취량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기존 사료에 비해 영양소 이용효율이 증가하고, 따라서 증체 속도가 빨라서, 사료산업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der generation problem, which is a major factor of feed loss and the respiratory disease of the livestock respiratory disease, which occurs when a sufficient amount of high-energy fat is added to the processed feed, particularly pellet feed, and the powder to be re-injected due to poor molding during pellet molding The amount of productivity can be solved. At the same time, it effectively solves the palatability problem of common fats that are sensitive to young livestock, thus enabling high and stable feed intake in any environment, thereby increasing nutrient utilization efficiency compared to conventional feeds, thus increasing the rate of increase. It is fast and can be widely used in the feed industry.

Claims (7)

코코넛 건조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Feed additives containing coconut dry mat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코넛 건조물은 분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2. The feed additive of claim 1 wherein the coconut dry is in powder for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코넛 건조물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conut dried, 코코넛 열매의 과피를 제거한 후, 과육 부분만을 분리, 세척하여 준비하는 단계;After removing the peel of the coconut fruit, separating and washing only the flesh part to prepare; 상기 분리, 세척된 코코넛 과육을 1차 분쇄하는 단계;Primary grinding of the separated, washed coconut pulp; 상기 분쇄된 코코넛을 고압으로 열처리하여, 과육의 수분 함량이 3% 이하가 되도록 건조 및 살균하는 단계;Heat-treating the pulverized coconut at high pressure, drying and sterilizing the water content of the pulp to 3% or less; 상기 건조 및 살균된 코코넛 분쇄물을 펠렛화하기에 알맞은 입자크기로 2차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및Secondly pulverizing the dried and sterilized coconut ground powder into a particle size suitable for pelletizing; And 상기 일정 크기로 선별된 건조 코코넛 분말에 젤라틴 입자를 고르게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통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Feed additiv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epared through a method comprising; evenly mixing the gelatin particles in the dried coconut powder selected to a predetermined siz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및 살균 단계는, 20 내지 60psi의 압력과 60 내지 120℃의 온도에서 5분 내지 10분 동안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The feed additive of claim 3, wherein the drying and sterilizing is performed for 5 to 10 minutes at a pressure of 20 to 60 psi and a temperature of 60 to 120 ° C.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분쇄 및 분말화 단계에서, 코코넛 분말의 입자 크기는 0.25 내지 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4. The feed additive of claim 3 wherein in the second milling and powdering step, the particle size of the coconut powder is 0.25 to 3 mm.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젤라틴 입자는 젤라틴을 고속분쇄기로 미분화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4. The feed additive of claim 3, wherein the gelatin particles are micronized using a high speed mill.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형 사료.A pellet-type feed comprising the feed additive of any one of claims 1 to 6.
KR1020010077792A 2001-12-10 2001-12-10 Novel feedsutff pellet comprising powdered coconut KR2002001135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792A KR20020011357A (en) 2001-12-10 2001-12-10 Novel feedsutff pellet comprising powdered cocon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792A KR20020011357A (en) 2001-12-10 2001-12-10 Novel feedsutff pellet comprising powdered coconu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357A true KR20020011357A (en) 2002-02-08

Family

ID=19716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792A KR20020011357A (en) 2001-12-10 2001-12-10 Novel feedsutff pellet comprising powdered coconu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1357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647B1 (en) * 2018-09-05 2019-02-20 임진강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conut power for feed additives
KR20210079112A (en) 2019-12-19 2021-06-29 씨제이제일제당 (주) Feed binder composition and animal fee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20220098971A (en) * 2021-01-05 2022-07-12 강양화 Premixtype feed additive for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tress and immunity of useful animals using waisting coffee powd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WO2024091091A1 (en) * 2022-10-28 2024-05-02 올케어플러스 주식회사 Nutritional feed composition for animal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848A (en) * 1990-04-19 1992-01-09 Itochu Shiryo Kk Feed for swinery and hog-raising method
JPH09205998A (en) * 1995-11-27 1997-08-12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Feed for poultry
JPH104888A (en) * 1996-06-25 1998-01-13 Norin Suisansyo Kokusai Norin Suisangyo Kenkyu Center Shocho Gel-state supplemental feed for livestock and production thereof
KR0162513B1 (en) * 1994-12-30 1998-11-16 박용부 Additive for assorted feed
KR20000068745A (en) * 1997-08-15 2000-11-25 다구찌 게이따 Mannose-containing feed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848A (en) * 1990-04-19 1992-01-09 Itochu Shiryo Kk Feed for swinery and hog-raising method
KR0162513B1 (en) * 1994-12-30 1998-11-16 박용부 Additive for assorted feed
JPH09205998A (en) * 1995-11-27 1997-08-12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Feed for poultry
JPH104888A (en) * 1996-06-25 1998-01-13 Norin Suisansyo Kokusai Norin Suisangyo Kenkyu Center Shocho Gel-state supplemental feed for livestock and production thereof
KR20000068745A (en) * 1997-08-15 2000-11-25 다구찌 게이따 Mannose-containing feed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647B1 (en) * 2018-09-05 2019-02-20 임진강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conut power for feed additives
KR20210079112A (en) 2019-12-19 2021-06-29 씨제이제일제당 (주) Feed binder composition and animal fee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20220098971A (en) * 2021-01-05 2022-07-12 강양화 Premixtype feed additive for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tress and immunity of useful animals using waisting coffee powd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WO2024091091A1 (en) * 2022-10-28 2024-05-02 올케어플러스 주식회사 Nutritional feed composition for animal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958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microwave feed using the sweet potato and meat or fish for pet animal and the microwave feed from prepared therefrom
CN111631320A (en) Pet cat and dog food without cereal raw material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3222575A (en) Kudzu root rice and processing method
CN108271941A (en) A kind of cat food preparation method slowing down cat tear stains
CN105533214A (en) Mixed pet-cat foo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4585540A (en) Feed capable of prompting pig appeti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2774670A (en) Cereal food and method
KR20160090655A (en) Abeliophyllum distichum livestock fe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20011357A (en) Novel feedsutff pellet comprising powdered coconut
KR20050119634A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feed containing garlic powder and the feed added garlic powder, for pig
KR102322749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oft type functional pet food for cancer
CN104543569A (en) Feed capable of enhancing immune capacity of pig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2524652A (en) Formula of natural nourishing artificial black rice and processing method
CN104585504A (en) Feed capable of improving early weanling syndrome and preparation method of feed
CN103976166A (en) Forage of pigs for chafing dish
CN106993748A (en) A kind of rice nutrition powder
CN104543397A (en) Feed for enhancing disease resistance of pig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6387407A (en) Digestive-capacity-improving black pig feed with comprehensive utilization of kelp
KR20120064895A (en) Clamshell feed for domestic animal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12605B1 (e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expanding feed
JPH03240445A (en) Pet food containing vegetable and grass and preparation thereof
KR101864840B1 (en) Feed additive containing abeliophyllum distichum and method of producing feed using the feed additive
CN109997986A (en) One breeding hen feed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373782B1 (en) Dried Feed for Companion Animal Added Nutritional Micro Capsule and Method Threreof
JP7185967B1 (en) Granu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