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8026A - Optical Lens Unit Having Focus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for Optical Lens - Google Patents

Optical Lens Unit Having Focus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for Optical Le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8026A
KR20020008026A KR1020010042689A KR20010042689A KR20020008026A KR 20020008026 A KR20020008026 A KR 20020008026A KR 1020010042689 A KR1020010042689 A KR 1020010042689A KR 20010042689 A KR20010042689 A KR 20010042689A KR 20020008026 A KR20020008026 A KR 20020008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lens
optical
holder
lens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6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37855B1 (en
Inventor
오바에이지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20008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80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855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6Filter hold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PURPOSE: The optical lens unit having mechanism for adjusting the focal point of the optical lens are provided to realize an optical lens unit which has a simplified focal point adjusting mechanism and which therefore are made small. CONSTITUTION: The lens holder(30) is a hollow cylinder. It has an opening(31) in the bottom and a female screw(32)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cushion(40) has a refractive index similar to that of the optical lens(50). It is a black light-absorbing body that is elastic. The cushion(40) is shaped like a ring and functions as a seal. It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lens holder(30). Functioning as a seal, the cushion(40) remain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nge(33) of the lens holder(30). The optical lens(50) has a collar. The lens(50) is provided on the flange(33) of the lens holder(30), with its collar set in contact with the cushion(40). The optical lens(50) is arranged with its optical axis(3) aligned with the center of the opening(31) of the lens holder(30). Note that the cushion(40) contacts the collar of the optical lens(50). The lens fastener(60) is shaped like a hollow cylinder, opening at both the top and the bottom. It consists of a large-diameter section and a small-diameter section. The small-diameter section, or lower section, has an outer diameter that is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lens holder(30). The small-diameter section has a male screw(61)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male screw(61) meshes with the female screw(32) of the lens holder(30). The optical lens(50) has its collar held between the cushion(40) and the small-diameter section of the lens fastener(60). Thus, the optical lens(50) is held in the lens holder(30).

Description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 조정 기구를 갖는 광학 렌즈 유닛{Optical Lens Unit Having Focus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for Optical Lens}Optical Lens Unit Having Focus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for Optical Lens

본 발명은 광학 렌즈 유닛에 관한 것이다. 특히, 휴대 통신 기기에 탑재되는 광학 렌즈 유닛에 있어서의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 조정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lens unit. In particular, it is related with the focus position adjustment mechanism of the optical lens in the optical lens unit mounted 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최근의 휴대용 촬상 기기나 이동체 통신 기기의 진전은 현저해지고 있다. 그리고, 현재 이동체 통신 기기의 정보 전송 용량의 확대와 함께, 촬상 기기를 구비한 휴대 전화 등의 이동체 통신 기기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것은 휴대 전화를 음성 통신용 기기로서 뿐만 아니라, 촬상 기기 및 그 화상의 통신 기기로서 실현하는 것이다. 촬상 기기에 필요 불가결한 부품으로서 광학 렌즈 유닛이 있다. 종래의 광학 렌즈 유닛의 구성에 대하여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광학 렌즈 유닛의 단면 구성도이다.In recent years, the progress of portable imaging devices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has become remarkable. And with the expansio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capacity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a mobile telephone provided with an imaging device, is currently progressing. This realizes the mobile phone not only as a voice communication device but also as an imaging device and a communication device of the image thereof. An optical lens unit is an indispensable part of the imaging device.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optical lens un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ptical lens unit.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렌즈 유닛(10)은 렌즈 홀더(11)와, 광학 렌즈(12)와, 렌즈 경통(13)과, 광학 렌즈 부착링(14)을 구비하고 있다.As shown, the optical lens unit 10 includes a lens holder 11, an optical lens 12, a lens barrel 13, and an optical lens attachment ring 14.

렌즈 홀더(11)는 원통형 형상을 하고 있고, 이 내벽에는 나사홈(15)이 형성되어 있다.The lens holder 11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screw groove 15 is formed in this inner wall.

렌즈 경통(13)은 상기 렌즈 홀더(11)의 내주벽에 외주벽의 일부가 접촉하는 통 모양의 형상이며, 그 외벽에는 나사홈(16)이 형성되어 있고, 렌즈 홀더(11)의 나사홈(15)과 끼워 맞춰져 있다. 그리고, 렌즈 경통(13)은 나사홈(15, 16)의 나사식 회전에 의해, 렌즈 홀더(11) 내를 광축(1)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가동 기구로 되어 있다.The lens barrel 13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lens holder 11, and a screw groove 16 is formed on the outer wall thereof, and the screw groove of the lens holder 11 is formed. It is fitted with (15). And the lens barrel 13 is a movable mechanism which can move the inside of the lens holder 11 to the direction along the optical axis 1 by the screw type rotation of the screw grooves 15 and 16. As shown in FIG.

광학 렌즈(12)는 그 외주를 따라서 평탄형의 모서리부를 갖고 있고, 이 평탄형의 모서리부가 상기 렌즈 경통(13)과 광학 렌즈 부착링(14)에 의해 끼워 넣어짐으로써 보유 지지, 고정되어 있다.The optical lens 12 has a flat edge along its outer circumference, which is held and fixed by being fitted by the lens barrel 13 and the optical lens attachment ring 14. .

상기 구성에 있어서, 광원(2)으로부터 발하여진 빛은 광학 렌즈(12)에 의해 집광되어 결상면에 상을 맺는다. 또, 렌즈 경통(13)과 광학 렌즈 부착링(14)에 의해 고정 보유 지지된 광학 렌즈(12)를, 상기 가동 기구에 의해서 렌즈 홀더(11) 내를 광축(1)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광학 렌즈(12)의 초점 위치를 조정할수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2 is collected by the optical lens 12 to form an image on the image forming surface. The optical lens 12 fixedly held by the lens barrel 13 and the optical lens attachment ring 14 is moved by moving the inside of the lens holder 11 in the direction along the optical axis 1 by the movable mechanism. The focus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12 can be adjusted.

종래, 광학 렌즈 유닛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 조정 기구는 필수 부품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광학 렌즈에는 초점 거리의 편차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광학 렌즈는 금형 성형에 의해서 대량 생산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금형에 수지를 유입하여 가열함으로써 광학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인데, 하나의 금형으로 복수의 광학 렌즈를 제조하는 것이 통상이다. 또, 가열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광학 렌즈의 특성은 향상하지만, 생산 효율면으로부터 이 가열 시간은 짧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사정에 의해, 각각의 광학 렌즈마다 초점 거리를 비롯한 특성의 변동이 발생한다. 이 초점 거리의 변동을 보정하기 위해서, 상기와 같은 초점 위치 조정 기구가 필요해진다.Conventionally, in the optical lens unit, the focus position adjustment mechanism of the optical lens as described above is an essential component. This is because there is a variation in focal length in the optical lens. It is common for the optical lens to be mass-produced by mold molding. This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lens by injecting a resin into a mold and heating it, but it is common to manufacture a plurality of optical lenses with one mold. Moreover, although the characteristic of an optical lens improves by lengthening heating time, this heating time tends to become short from a production efficiency point of view. This situation causes variations in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focal length for each optical lens. In order to correct this fluctuation of the focal length, a focal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as described above is required.

그런데, 종래의 광학 렌즈 유닛은 초점 위치 조정 기구를 렌즈 경통(13)과 렌즈 홀더(11)의 사이에 형성한 나사홈(15, 16)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광학 렌즈(12)와 그 보유 지지 부재가 일체화되어 가동한다. 이로 인해, 광학 렌즈 유닛(10)의 소형화가 곤란했다. 또, 이러한 가동 기구를 구성하기 위한 부품 갯수의 증가에 수반하여, 조립 정밀도가 악화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광학 렌즈와 결상면을 잇는 공간인 렌즈 홀더(11)의 내부에 나사홈(15와 16)으로의 미끄럼 이동 부분이 존재한다. 이로 인해, 이 미끄럼 이동 부분에서 발생하는 마모 부스러기가 결상면에 있어서 맺어지는 상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었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optical lens unit comprises the focal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with the screw grooves 15 and 16 formed between the lens barrel 13 and the lens holder 11. Then, the optical lens 12 and its holding member are integrated to move. For this reason, miniaturization of the optical lens unit 10 was difficult.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parts for constituting such a movable mechanism increases, the assembly accuracy may deteriorate. Then, there is a sliding portion to the screw grooves 15 and 16 in the lens holder 11, which is a space connecting the optical lens and the imaging surface. For this reason, the wear debris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in this sliding part may have a bad influence on the phase which forms in an imaging surface.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렌즈 초점 위치 조정 기구를 간략화하고, 소형화가 가능한 광학 렌즈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the said situation, and the objective is to provide the optical lens unit which can simplify a lens focus position adjustment mechanism, and can be miniaturized.

도1은 종래의 광학 렌즈 유닛의 단면 구성도.1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optical lens unit.

도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렌즈 유닛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사시도.Fig. 2A is a perspective view of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optical lens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b, 도2c는 도2a에 도시한 광학 렌즈 유닛에 있어서, 각각 초점 위치를 멀리했을 때, 및 가까이했을 때의 광학 렌즈 유닛의 단면 구성도.2B and 2C ar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s of the optical lens unit when the focus position is far away and when the optical lens unit shown in FIG. 2A is close to each other.

도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렌즈 유닛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사시도.Fig. 3A is a perspective view of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optical lens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b, 도3c는 도3a에 도시한 광학 렌즈 유닛에 있어서, 각각 초점 위치를 멀리했을 때, 및 가까이했을 때의 광학 렌즈 유닛의 단면 구성도.3B and 3C ar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views of the optical lens unit when the focus position is far away and when the optical lens unit shown in FIG. 3A is close to each other.

도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렌즈 유닛의 일부 사시 단면도.4A is a partial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tical lens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b는 도4a에 도시한 광학 렌즈 유닛에 있어서의 렌즈 홀더의 상면도.Fig. 4B is a top view of the lens holder in the optical lens unit shown in Fig. 4A.

도4c, 도4d는 도4a에 도시한 광학 렌즈 유닛에 있어서, 각각 초점 위치를 멀리했을 때, 및 가까이했을 때의 광학 렌즈 유닛의 단면 구성도.4C and 4D ar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views of the optical lens unit when the focal position is far away and when the optical lens unit shown in FIG. 4A is close to each other.

도5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렌즈 유닛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사시도.Fig. 5A is a perspective view of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optical lens uni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b, 도5c는 도5a에 도시한 광학 렌즈 유닛에 있어서, 각각 초점 위치를 멀리했을 때, 및 가까이했을 때의 광학 렌즈 유닛의 단면 구성도.5B and 5C ar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views of the optical lens unit when the focus position is far away and when the optical lens unit shown in FIG. 5A is close to each other.

도5d는 제4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광학 렌즈 유닛의 단면도.5D is a sectional view of an optical lens unit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도6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렌즈 유닛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사시도.6A is a perspective view of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optical lens uni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b, 도6c는 도6a에 도시한 광학 렌즈 유닛에 있어서, 각각 초점 위치를 멀리했을 때, 및 가까이했을 때의 광학 렌즈 유닛의 단면 구성도.6B and 6C ar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views of the optical lens unit when the focal position is far away and when the optical lens unit shown in FIG. 6A is close to each other.

도6d는 제5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광학 렌즈 유닛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사시도.6D is a perspective view of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optical lens unit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ifth embodiment.

도7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렌즈 유닛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사시도.Fig. 7A is a perspective view of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optical lens uni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b, 도7c는 도7a에 도시한 광학 렌즈 유닛에 있어서, 각각 초점 위치를 멀리했을 때, 및 가까이했을 때의 광학 렌즈 유닛의 단면 구성도.7B and 7C ar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views of the optical lens unit when the focus position is far away and when the optical lens unit shown in FIG. 7A is close to each other.

도8a, 도8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렌즈 유닛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사시도.8A and 8B are perspective views of respective members constituting the optical lens unit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a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광학 렌즈 유닛의 단면도.9A is a sectional view of an optical lens unit according to a first modification of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b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따른 광학 렌즈 유닛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사시도.9B is a perspective view of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optical lens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of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c는 도9b에 도시한 광학 렌즈 유닛의 단면도.9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tical lens unit shown in FIG. 9B.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 : 광원4: light source

10, 20 : 광학 렌즈 유닛10, 20: optical lens unit

12, 50 : 광학 렌즈12, 50: optical lens

11, 30 : 렌즈 홀더11, 30: Lens Holder

13, 60 : 렌즈 경통13, 60: lens barrel

33 : 플랜지면33: flange face

36 : 칼라 필터36: color filter

40 : 쿠션재40: cushioning material

70 : 렌즈 덮개70: lens cover

73 : 초점 조정 슬라이드판73: focusing slide plate

상기 목적은, 빛을 집광하는 광학 렌즈와,The object is an optical lens for condensing light,

내주면에 상기 광학 렌즈의 한 쪽 표면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통형 렌즈 홀더와,A cylindrical lens holder having,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n outer circumference of one surface of the optical lens;

상기 지지부와 상기 광학 렌즈의 사이에 개재된 탄성 부재와,An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optical lens,

상기 광학 렌즈의 다른 쪽 표면의 외주부를 한 쪽 개구 단부에서 압박함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를 변형시켜 상기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렌즈 홀더 내에 상기 광학 렌즈의 광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렌즈 홀더와 함께 상기 광학 렌즈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광학 렌즈를 보유 지지하는 렌즈 경통으로 이루어지는 광학 렌즈 유닛에 의해서 달성된다.By pressing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other surface of the optical lens at one opening end, the elastic member is deformed to control the focus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and is installed in the lens holder to be movable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optical lens. And an optical lens unit comprising a lens barrel for holding the optical lens by inserting the optical lens together with the lens holder.

또, 상기 목적은, 빛을 집광하고 그 외주부에 원주 방향을 따른 제1 경사부를 갖는 광학 렌즈와,Moreover, the said objective is an optical lens which collects light and has a 1st inclination part in the circumference direction along the outer peripheral part,

내주면에 상기 광학 렌즈의 한 쪽 표면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그 지지부에 상기 제1 경사부에 대응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제2 경사부를 갖는 통형 렌즈 홀더와,A cylindrical lens holder having,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support for supporting an outer circumference of one surface of the optical lens, the support having a second inclined portion form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portion;

상기 광학 렌즈의 제1 경사부와 상기 렌즈 홀더의 제2 경사부를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광학 렌즈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렌즈 홀더 내에 상기 광학 렌즈의 광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광학 렌즈와 끼워 맞춰지는 렌즈 경통으로 이루어지는 광학렌즈 유닛에 의해서 달성된다.The focal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is controlled by rotating the optical len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le making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portion of the optical lens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of the lens holder, and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optical lens in the lens holder. The optical lens unit is movably installed along the optical lens unit, and is formed by a lens barrel fitted with the optical le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이 이하에서 설명되고, 부분적으로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히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시 및 조합에 의하여 실현되고 달성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partly clear from the description, and can be seen by practice of the invention.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in particular, by the embodiments and combinations set forth below.

본 명세서에 합치되어 그의 일부를 이루는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현재 양호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며, 위에서 주어진 개괄 설명 및 이하에서 주어지는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데 이용된다.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show present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used to illustrate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general description given above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given below.

도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 조정 기구를 갖는 광학 렌즈 유닛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2b, 도2c는 광학 렌즈 유닛의 단면도이다.2A is a perspective view of each member constituting an optical lens unit having a focus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of the optical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B and 2C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optical lens unit.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렌즈 유닛(20)은 렌즈 홀더(30)와, 쿠션재(40)와, 광학 렌즈(50)와, 렌즈 경통(60)을 구비하고 있다.As shown, the optical lens unit 20 includes a lens holder 30, a cushioning material 40, an optical lens 50, and a lens barrel 60.

렌즈 홀더(30)는 바닥면의 일부에 개구(31)를 갖는 원통형의 형상을 하고 있고, 내벽에는 나사홈(32)이 형성되어 있다.The lens holder 30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pening 31 in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and a screw groove 32 is formed in the inner wall.

쿠션재(40)는 광학 렌즈(50)와 유사한 굴절율을 갖고, 또한 밀봉성 및 탄성이 있는 흑색광 흡수체이며, 링 모양의 형상을 하고 있다. 이 쿠션재(40)는 상기 렌즈 홀더(30)의 바닥면[플랜지면(33)] 상에 배치되어 있고, 그 밀봉성에 의해 플랜지면(33)과 밀착되어 있다.The cushioning material 40 is a black light absorbing body having a refractive index similar to that of the optical lens 50 and having a sealing property and elasticity, and has a ring shape. This cushioning material 40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flange surface 33) of the said lens holder 30, and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flange surface 33 by the sealing property.

광학 렌즈(50)는 그 외주 부분의 평탄형 모서리 부분이 상기 쿠션재(40)에 접촉하도록 하고, 렌즈 홀더(30)의 플랜지면(33)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광학 렌즈(50)는 그 중앙부와 렌즈 홀더(30)의 개구(31)가 광축(3)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쿠션재(40)는 광학 렌즈(50)의 평탄형 모서리부와도 밀착되어 있다.The optical lens 50 is arranged on the flange face 33 of the lens holder 30 so that the flat edge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thereof contacts the cushioning material 40. This optical lens 50 is disposed such that its central portion and the opening 31 of the lens holder 30 are located on the optical axis 3. The cushioning material 40 is also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t edge of the optical lens 50.

렌즈 경통(60)은 상면 및 바닥면에 개구를 갖는 원통형 형상을 하고 있고, 그 일부의 외주는 상기 렌즈 홀더(30)의 내주와 동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 경통(60)의 외주벽에는 렌즈 홀더(30)의 나사홈(32)과 끼워 맞추는 나사홈(6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렌즈 경통(60)의 광학 렌즈(50)측 개구 단부와 쿠션재(40)로 상기 광학 렌즈(50)의 평탄형 모서리부를 끼워 넣음으로써, 광학 렌즈(50)를 고정, 보유 지지하고 있다.The lens barrel 60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openings i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thereof,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a part thereof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ens holder 30. The outer peripheral wall of the lens barrel 60 is provided with a screw groove 61 for fitting with the screw groove 32 of the lens holder 30. Then, the optical lens 50 is fixed and held by inserting the flat edge portion of the optical lens 50 into the optical lens 50 side opening end of the lens barrel 60 and the cushioning material 40. .

상기 구성에 있어서, 광원(4)으로부터 발하여진 빛은 광학 렌즈(50)에 의해 집광되고, 렌즈 홀더(30)의 개구(31)를 통해서 결상면(5)에 상을 맺는다. 또, 결상면(5)에는 도시하지 않은 광 센서가 위치하게 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4 is collected by the optical lens 50 and forms an image on the imaging surface 5 through the opening 31 of the lens holder 30. Moreover, the optical sensor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is located in the imaging surface 5.

다음에, 광학 렌즈(50)의 초점 위치의 조정 방법에 대하여 도2b 및 도2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2b는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를 멀리했을 때, 그리고 도2c는 가까이했을 때의 광학 렌즈 유닛의 단면도이다.Next, a method of adjusting the focus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B and 2C.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tical lens unit when the focal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is far away and FIG. 2C is close.

초점 위치를 조정하려면, 나사식 회전 기구에 의해 렌즈 경통(60)을 렌즈 홀더(30)에 대하여 광축(3)을 따른 방향(도2b, 도2c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경통(60)을 렌즈 홀더(30)에 대하여 압입하면, 쿠션재(40)가 그 탄성력에 의해 압축된다. 따라서, 광학 렌즈(50)가 렌즈 홀더(30)의 플랜지면(33)측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도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경통(60)을 렌즈 홀더(30)에 대하여 인출하면, 쿠션재(40)는 그 탄성력에 의해 팽창한다. 따라서, 광학 렌즈(50)가 렌즈 홀더(30)의 플랜지면(33)으로부터 렌즈 경통(60)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해서, 광학 렌즈(50)의 초점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To adjust the focus position, the lens barrel 60 is moved with respect to the lens holder 30 in the direction along the optical axis 3 (up and down in Fig. 2B and Fig. 2C) by a screw rotation mechanism. As shown in Fig. 2B, when the lens barrel 60 is press-fitted against the lens holder 30, the cushion member 40 is compressed by the elastic force. Thus, the optical lens 50 moves to the flange face 33 side of the lens holder 30. 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2C, when the lens barrel 60 is pulled out with respect to the lens holder 30, the cushion member 40 expands by its elastic force. Therefore, the optical lens 50 moves from the flange surface 33 of the lens holder 30 toward the lens barrel 60 side. In this way, the focus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50 can be adjusted.

상기와 같은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 조정 기구를 갖는 광학 렌즈 유닛이면, 렌즈 경통(60)은 단순히 광학 렌즈(50)를 압입할 수 있는 구성으로 충분하다. 그리고, 쿠션재(40)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광학 렌즈(50)의 초점 위치의 조정을 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초점 위치 조정 기구의 부품 갯수를 삭감할 수 있는 동시에, 구성을 간단화할 수 있으며, 광학 렌즈 유닛의 소형화 및 조립 공정을 간단화할 수 있다.As long as the optical lens unit having the focus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of the optical lens as described above, the lens barrel 60 is sufficient to simply press-in the optical lens 50. And the focus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50 is adjusted by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cushioning material 40. As a result, the number of parts of the focus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can be reduced, the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and the miniaturization and assembly process of the optical lens unit can be simplified.

또, 광학 렌즈(50)와 렌즈 홀더(30)의 플랜지면(33) 사이에 쿠션재(40)를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나사홈(32, 61)에서 발생하는 마모 부스러기가 광학 렌즈(50)와 결상면을 잇는 공간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쿠션재(40)를 광학 렌즈(50)와 굴절율이 유사한 재질로 구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모서리 부분으로 진입한 미광(迷光)은 광학 렌즈(50)와 쿠션재(40)의 계면에서 거의 반사되지 않고 쿠션재(40)로 입사된다. 그리고, 쿠션재(40)는 흑색광 흡수체이기도 하므로, 쿠션재(40)에 입사한 미광은 이 쿠션재(40)에 의해 흡수된다. 따라서, 결상면(5)으로의 불필요한 미광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플레어(flare) 등의 가짜 신호를 저감시킴으로써, 결상면(5)에서 맺어지는 상의 대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Moreover, the cushioning material 40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optical lens 50 and the flange surface 33 of the lens holder 30. As shown in FIG. Thereby, wear debris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in the screw grooves 32 and 61 can be prevented from invading into the space which connects the optical lens 50 and an imaging surface. The cushion member 4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similar to that of the optical lens 50. Therefore, stray light entering the corner portion is incident on the cushion member 40 without being substantially reflect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optical lens 50 and the cushion member 40. And since the cushion material 40 is also a black light absorber, stray light which entered the cushion material 40 is absorbed by this cushion material 40. Therefore, unnecessary entry of stray light to the imaging surface 5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by reducing a false signal such as a flare, the contrast of the image formed on the imaging surface 5 can be improved.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렌즈 유닛에 대하여 도3a 내지 도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a는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 조정 기구를 갖는 광학 렌즈 유닛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3b, 도3c는 각 부재의 조립후의 광학 렌즈 유닛의 단면 구성도이다.Next, an optical lens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C.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of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optical lens unit having a focus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of the optical lens, and Figs. 3B and 3C ar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s of the optical lens unit after assembling each member.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렌즈 유닛(20)은 렌즈 홀더(30)와, 쿠션재(40)와, 광학 렌즈(50)와, 렌즈 경통(60)과, 렌즈 덮개(70)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the optical lens unit 20 includes a lens holder 30, a cushioning material 40, an optical lens 50, a lens barrel 60, and a lens cover 70.

렌즈 홀더(30)는 바닥면의 일부에 개구(31)를 갖는 원통형의 형상을 하고 있고, 외주벽에는 돌기(34)가 형성되어 있다.The lens holder 30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pening 31 in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and a protrusion 34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쿠션재(40)는 광학 렌즈(50)와 유사한 굴절율을 갖고, 또한 밀봉성 및 탄성이 있는 흑색광 흡수체이며, 링 모양의 형상을 하고 있다. 이 쿠션재(40)는 상기 렌즈 홀더(30)의 바닥면[플랜지면(33)] 상에 배치되어 있고, 그 밀봉성에 의해 플랜지면(33)과 밀착되어 있다.The cushioning material 40 is a black light absorbing body having a refractive index similar to that of the optical lens 50 and having a sealing property and elasticity, and has a ring shape. This cushioning material 40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flange surface 33) of the said lens holder 30, and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flange surface 33 by the sealing property.

광학 렌즈(50)는 모서리 부분이 상기 쿠션재(40)에 접촉하도록 하고, 렌즈 홀더(30)의 플랜지면(33)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광학 렌즈(50)는 그 중앙부와 렌즈 홀더(30)의 개구(31)가 광축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쿠션재(40)는 광학 렌즈(50)의 모서리부와도 밀착되어 있다.The optical lens 50 allows the edge portion to contact the cushioning material 40 and is disposed on the flange surface 33 of the lens holder 30. This optical lens 50 is disposed such that its central portion and the opening 31 of the lens holder 30 are located on the optical axis. In addition, the cushioning material 40 is also in clos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optical lens 50.

렌즈 경통(60)은 원통형의 형상을 하고 있고, 그 내벽에는 상기 렌즈 홀더(30)를 끼워 넣기 위한 홈(64)이 형성되어 있다. 또, 렌즈 홀더(30)의 돌기(34)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공동(63)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 덮개(70)와 접촉하는 개구 단부에는 돌기(6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62)는 렌즈 경통(60)에 대한 렌즈 덮개(70)의 면방향을 결정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3개 이상 형성할 필요가 있다.The lens barrel 6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a groove 64 for fitting the lens holder 30 into the inner wall thereof is formed. In addition, the cavity 63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34 of the lens holder 30. And the protrusion 62 is formed in the opening edge part which contact | connects the lens cover 70. The projections 62 are formed in order to determine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lens cover 70 with respect to the lens barrel 60, and it is necessary to form at least three or more.

렌즈 덮개(70)는 예를 들어 광학 렌즈(50)를 보호하는 투명 덮개이며, 렌즈 경통(60)의 돌기(62)와 끼워 맞춰져 있다.The lens cover 70 is a transparent cover which protects the optical lens 50, for example, and is fitted with the protrusion 62 of the lens barrel 60.

상기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렌즈 유닛(20)은 렌즈 경통(60)과 렌즈 홀더(30)가 특별히 고정되어 있지 않다. 본 광학 렌즈 유닛(20)은 렌즈 경통(60)이 그 홈(64)에 렌즈 홀더(30)를 끼워 넣은 상태로 광축(3)을 따라서 자유롭게 가동할 수 있는 플로우팅(floating)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렌즈 경통(60)의 가동 범위는 돌기(34)가 공동(63) 내를 가동할 수 있는 범위로 한정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optical lens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ns barrel 60 and the lens holder 30 are not particularly fixed. The optical lens unit 20 has a floating structure in which the lens barrel 60 can move freely along the optical axis 3 with the lens holder 30 inserted in the groove 64. . In addition, the movable range of the lens barrel 60 is limited to the range in which the projection 34 can move the inside of the cavity 63.

상기 구성에 있어서, 광원(4)으로부터 발하여진 빛은 렌즈 덮개(70)를 거쳐서 광학 렌즈 유닛(20)에 입사되고, 광학 렌즈(50)에 의해 집광되며, 렌즈 홀더(30)의 개구부(31)를 통해서 결상면(5)에 상을 맺는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4 is incident on the optical lens unit 20 via the lens cover 70, is collected by the optical lens 50, and the opening 31 of the lens holder 30 is formed. ) To form an image on the image plane (5).

다음에, 광학 렌즈(50)의 초점 위치의 조정 방법에 대하여 도3b 및 도3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3b는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를 멀리했을 때, 그리고 도3c는 가까이했을 때의 광학 렌즈 유닛의 단면도이다.Next, a method of adjusting the focus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B and 3C. 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tical lens unit when the focal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is far away, and FIG. 3C is close.

초점 위치를 조정하려면, 렌즈 덮개(70)를 광축(3)을 따른 방향(도3b, 도3c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덮개(70)를 광학 렌즈(50)에 대하여 압입하면, 그에 따라서 렌즈 경통(60)이 광학 렌즈(50)를 렌즈 홀더(30)의 플랜지면(33)측으로 압박한다. 이 압박 압력에 의해, 쿠션재(40)가 그 탄성력으로 압축된다. 따라서, 광학 렌즈(50)가 플랜지면(33)측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도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덮개(70)를 광학 렌즈(50)로부터 멀리하면, 쿠션재(40)는 그 탄성력에 의해 팽창한다. 그 결과, 광학 렌즈(50)가 플랜지면(33)으로부터 렌즈 덮개(70)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해서, 광학 렌즈 유닛에 있어서의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To adjust the focus position, the lens cover 70 is moved in the direction along the optical axis 3 (up and down in Figs. 3B and 3C). As shown in Fig. 3B, when the lens cover 70 is press-fitted against the optical lens 50, the lens barrel 60 moves the optical lens 50 to the flange surface 33 side of the lens holder 30 accordingly. Pressure. By this pressing pressure, the cushioning material 40 is compressed by the elastic force. Thus, the optical lens 50 moves to the flange face 33 side. 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3C, when the lens cover 70 is moved away from the optical lens 50, the cushion member 40 expands by its elastic force. As a result, the optical lens 50 moves from the flange face 33 to the lens cover 70 side. In this way, the focus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in the optical lens unit can be adjusted.

상기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렌즈 유닛은 렌즈 덮개(70)에 압박 압력을 가함으로써, 렌즈 경통(60)의 광축 상에 있어서의 렌즈 홀더(30) 내의 위치를 조정하고 있다. 그리고, 렌즈 경통(60)을 렌즈 홀더(30)에 압입하거나, 또는 인출함으로써 쿠션재(40)의 탄성 변형량을 제어하고, 이에 의해서 광학 렌즈(50)의 초점 거리를 조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렌즈 홀더(30) 및 렌즈 경통(60)에 나사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 나사홈을 없앰으로써, 렌즈 홀더(30) 및 렌즈 경통(60)의 형상은 대폭 간단화되는 동시에, 광학 렌즈 유닛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부재의 제조 공정이 간략화되고, 제조 비용이 저감된다. 그 결과, 광학 렌즈 유닛으로서의 제조 비용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조립 공정이 간단화되므로, 조립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데다가, 나사홈이 마모됨으로써 발생하는 마모 부스러기의 문제도 해결된다. 또, 렌즈 경통(60)에 돌기(62)를 형성함으로써, 렌즈 덮개(70)에 가해지는 압박 압력은 이 돌기(62)에만 가해진다. 이에 따라, 렌즈 덮개(70)에 대한 렌즈 경통(60)의 횡방향으로 어긋나려고 하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ptical lens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djusts the position in the lens holder 30 on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barrel 60 by applying a pressing pressure to the lens cover 70. The amount of elastic deformation of the cushioning material 40 is controlled by pressing the lens barrel 60 into or out of the lens holder 30, thereby adjusting the focal length of the optical lens 50. Accordingly,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screw groove in the lens holder 30 and the lens barrel 60. By eliminating this screw groove, the shape of the lens holder 30 and the lens barrel 60 can be greatly simplified, and the optical lens unit can be miniaturized. Therefor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se members is simplified and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s a result, the manufacturing cost as an optical lens unit can also be greatly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assembly process is simplified, the assembly accuracy can be improved, and the problem of wear debris caused by wear of the screw groove is also solved. In addition, by forming the projection 62 in the lens barrel 60, the pressing pressure applied to the lens cover 70 is applied only to the projection 62. Thereby, the load which tries to shift | deviate to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lens barrel 60 with respect to the lens cover 70 can be reduced.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생산성 및 결상면에 있어서의 상의 신뢰성에 의해 우수한 광학 렌즈 유닛을 실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excellent optical lens unit can be realized by productivity and reliability of an image on an imaging surface.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렌즈 유닛에 대하여 도4a 내지 도4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쿠션재(40) 대신에 스프링을 사용한 것이다. 도4a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렌즈 유닛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4b는 도4a에 도시한 광학 렌즈 유닛에 있어서의 렌즈 홀더의 상면도, 도4c, 도4d는 광학 렌즈 유닛의 단면도이다.Next, an optical lens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D. This embodiment uses a spring instead of the cushioning material 40 in the said 2nd Embodiment. 4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mber constituting a part of the optical lens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4B is a top view of the lens holder in the optical lens unit shown in FIG. 4A, and FIGS. 4C and 4D are optical lens units. It is a cross section of.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렌즈 유닛(20)은 쿠션재(40) 대신에 렌즈 홀더(30)의 플랜지면(33) 상에 설치된 스프링(41)을 사용하고 있다. 이 스프링(41)은 플랜지면(33)의 일부이며, 상기 플랜지면(33)보다도 돌출한 형태의 플랩(flap)형 스프링이다. 이 스프링(41)의 상단부면은 광학 렌즈(50)의 모서리부에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렌즈 경통(60)에 가해지는 압박력을 조정함으로써, 스프링(41)에의 압박력을 증감시켜 광학 렌즈(50)의 초점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도4c, 도4d 참조).As shown, the optical lens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a spring 41 provided on the flange face 33 of the lens holder 30 instead of the cushioning material 40. This spring 41 is a part of the flange surface 33, and is a flap spring of the form which protruded more than the said flange surface 33. As shown in FIG. The upper end surface of this spring 41 is in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optical lens 50. Then, as describ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by adjusting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lens barrel 60, the pressing force to the spring 41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to adjust the focus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50 ( 4c, 4d).

상기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쿠션재(40)로서 렌즈 홀더(30)와 일체 성형한 스프링(41)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광학 렌즈 유닛의 조립 부품 갯수를 삭감할 수 있고, 조립 공정의 간단화 및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쿠션재(40)를 스프링(41)으로 치환한 구성이지만, 물론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에 적용해도 상관없다. 그러나, 나사식 회전 기구에서 발생하는 마모 부스러기의 문제를 고려하면,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구조(제2 실시 형태)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pring 41 integrally formed with the lens holder 30 is used as the cushioning material 40, the number of assembly parts of the optical lens unit can be reduced, and the assembly process is simplified. And cost can be reduced. In addition, although this embodiment is the structure which substituted the cushioning material 40 with the spring 41 in 2nd Embodiment, of course, you may apply to the structure of 1st Embodiment. However, in consideration of the problem of wear debris occurring in the screw-type rotating mechanism, it is preferable to apply to the structure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screw is not used.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렌즈 유닛에 대하여 도5a 내지 도5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나사식 회전을 채용하지 않는 초점 위치 조정 기구를 갖는 광학 렌즈 유닛에 있어서, 쿠션재(40)에 대한 압박력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5a는 광학 렌즈 유닛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5b, 도5c는 각 부재의 조립후의 광학 렌즈 유닛의 단면 구성도이다.Next, an optical lens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C. This embodiment is related with the structure for controlling the press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cushioning material 40 in the optical lens unit which has the focus position adjustment mechanism which does not employ | adopt the screw rotation demonstrated in the said 2nd Embodiment.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of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optical lens unit, and FIGS. 5B and 5C ar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s of the optical lens unit after assembling each member.

본 실시 형태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초점 조정 슬라이드판을 또한 설치하고, 렌즈 덮개와 초점 조정 슬라이드판을 렌즈 초점 위치 조정 기구로서 사용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in the second embodiment, a focus adjusting slide plate is further provided, and the lens cover and the focus adjusting slide plate are used as the lens focus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홀더(30)의 플랜지면(33) 상에 쿠션재(40)를 개재시켜 광학 렌즈(50)가 적재되어 있으며, 이 광학 렌즈(50)의 모서리부를 렌즈 홀더(30)의 플랜지면(33)과 함께 끼워 넣도록 하여, 렌즈 경통(60)이 설치되어 있다. 렌즈 경통(60)의 상방에는 렌즈 덮개(70)가 설치되고, 렌즈 덮개(70)와 렌즈 경통(60)은 돌기(62)에 의해서 끼워 맞춰져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optical lens 50 is mounted on the flange surface 33 of the lens holder 30 with the cushion member 4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edge portion of the optical lens 50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lens holder 30. A lens barrel 60 is provided so as to be fitted together with the flange face 33. The lens cover 70 is provided above the lens barrel 60, and the lens cover 70 and the lens barrel 60 are fitted by the projection 62.

렌즈 덮개(70)에 있어서, 렌즈 경통(60)에 접촉하는 면(71)은 그 수직선이 광학 렌즈(50)의 광축(3)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어 있다. 한편, 반대측 면(72)은 그 수직선이 광축(3)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경사져 있다.In the lens cover 70, the surface 71 which contacts the lens barrel 60 has the perpendicular line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3 of the optical lens 50.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the opposite side 72 is inclined such that its vertical line has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3.

이 렌즈 덮개(70) 상에는 렌즈 덮개(70)의 면(72)에 한 쪽 면이 접촉하는 초점 조정 슬라이드판(7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초점 조정 슬라이드판(73)의 렌즈 덮개(70)에 접촉하는 면(74)도 렌즈 덮개(70)의 면(72)과 동일한 경사가 형성되어 있다.On this lens cover 70, a focus adjusting slide plate 73 on which one surface contacts the surface 72 of the lens cover 70 is provided. The surface 74 in contact with the lens cover 70 of the focusing slide plate 73 is also formed with the same slope as the surface 72 of the lens cover 70.

상기 구성에 있어서, 광원(4)으로부터 발하여진 빛은 초점 조정슬라이드판(73) 및 렌즈 덮개(70)를 거쳐서 광학 렌즈 유닛(20)에 입사된다. 그리고, 이 입사광은 광학 렌즈(50)에 의해 집광되고, 렌즈 홀더(30)의 개구부(31)를 통해서 결상면(5)에 상을 맺는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4 is incident on the optical lens unit 20 via the focus adjusting slide plate 73 and the lens cover 70. The incident light is collected by the optical lens 50, and forms an image on the imaging surface 5 through the opening 31 of the lens holder 30.

다음에, 광학 렌즈(50)의 초점 위치의 조정 방법에 대하여 도5b 및 도5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5b는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를 멀리했을 때, 그리고 도5c는 가까이했을 때의 광학 렌즈 유닛의 단면도이다.Next, a method of adjusting the focus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B and 5C.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tical lens unit when the focal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is far away, and FIG. 5C is close.

초점 위치의 조정은 초점 조정 슬라이드판(73)을 광축(3)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도5b, 도5c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렌즈 덮개(70)에 접촉하는 면(74)에 경사를 갖는 초점 조정 슬라이드판(73)이 평행 이동함으로써, 초점 조정 슬라이드판(73)에 접촉하는 면(72)에 동일한 경사를 갖는 렌즈 덮개(70)에는 압박력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는, 도5a에 있어서 초점 조정 슬라이드판(73)을 우측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키면,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덮개(70)에는 하방향으로 압박되는 힘이 발생한다. 그 결과, 렌즈 경통(60)이 광학 렌즈(50)를 렌즈 홀더(30)의 플랜지면(33)에 압박한다. 이 압박 압력에 의해 쿠션재(40)가 그 탄성력으로 압축된다. 반대로 도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점 조정 슬라이드판(73)을 좌측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킨 경우에는 렌즈 덮개(70)에 가해지는 압박력은 경감되며, 렌즈 덮개(70)는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쿠션재(40)는 그 탄성력에 의해 팽창한다. 그 결과, 광학 렌즈(50)가 플랜지면(33)으로부터 렌즈 덮개(70)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해서, 렌즈 덮개(7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쿠션재(40)가 탄성 변형하며, 광학 렌즈(50)의 광축(3)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The adjustment of the focus position is performed by moving the focus adjustment slide plate 73 in parallel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ptical axis 3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Figs. 5B and 5C). The lens cover having the same inclination on the surface 72 in contact with the focusing slide plate 73 is moved by moving the focusing slide plate 73 inclined in parallel to the surface 74 in contact with the lens cover 70 ( 70) pressure is generated. Specifically, when the focus adjustment slide plate 73 is moved in parallel in the right direction in FIG. 5A, the force applied downward in the lens cover 70 is generated as shown in FIG. 5B. As a result, the lens barrel 60 presses the optical lens 50 on the flange face 33 of the lens holder 30. By this pressing pressure, the cushioning material 40 is compressed by the elastic force. 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5C, when the focus adjusting slide plate 73 is moved in the left direction in parallel,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lens cover 70 is reduced, and the lens cover 70 moves in the upward direction. Then, the cushioning material 40 expands by the elastic force. As a result, the optical lens 50 moves from the flange face 33 to the lens cover 70 side. In this way, the cushioning material 40 elastically deforms by the force applied to the lens cover 70, and the position in the direction along the optical axis 3 of the optical lens 50 can be adjusted.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초점 위치 조정 방법에 따르면, 초점 조정 슬라이드판(73)을 광축(3)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킴으로써 초점 위치를 조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면(72, 74)의 경사각을 작게 함으로써,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의 보다 미소한 조정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the focus position adjusting method, the focus position is adjusted by moving the focus adjusting slide plate 73 in parallel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ptical axis 3. Accordingly, by making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surfaces 72 and 74 small, finer adjustment of the focus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is possible.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초점 조정 슬라이드판(73)에 빛을 통과시키기 위한 창을 설치하고 있는데, 초점 조정 슬라이드판(73)이 빛에 대하여 투명한 재질이면 이 창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window for allowing light to pass through is provided in the focusing slide plate 73,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is window, if the focusing slide plate 73 is a material transparent to light.

또, 도5a 내지 도5c는 쿠션재(40)를 사용한 광학 렌즈 유닛의 구성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도5d의 광학 렌즈 유닛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스프링(41)을 사용한 구성의 경우에도 본 실시 형태는 적용 가능하다.5A to 5C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lens unit using the cushioning material 40. However,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tical lens unit of Fig. 5D, the present embodiment is also applicable to the case of the configuration using the spring 41 as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렌즈 유닛에 대하여 도6a 내지 도6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도 상기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나사식 회전을 채용하지 않는 초점 위치 조정 기구를 갖는 광학 렌즈에 있어서, 쿠션재(40)에 대한 압박력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6a는 광학 렌즈 유닛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6b, 도6c는 각 부재의 조립후의 광학 렌즈 유닛의 단면도이다.Next, an optical lens uni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6C. This embodiment also relates to the technique for controlling the press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cushioning material 40 in the optical lens which has a focal position adjustment mechanism which does not employ | adopt screw rotation similarly to the said 4th embodiment. 6A is a perspective view of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optical lens unit, and FIGS. 6B and 6C are sectional views of the optical lens unit after assembling each member.

본 실시 형태는 제4 실시 형태와 같이 횡방향의 동작을 압박력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회전 동작을 압박력으로 변환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horizontal motion is not changed to the pressing force, but the rotational motion is converted into the pressing force.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홀더(30)는 바닥면의 일부에 개구(31)를 갖는 원통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상면의 개구 단부의 3군데에는 그 원주 방향을 따른 경사부(34-1 내지 34-3)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lens holder 30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pening 31 in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Incidentally, the inclined portions 34-1 to 34-3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formed at three positions of the opening end of the upper surface.

쿠션재(40)는 광학 렌즈(50)와 유사한 굴절율을 갖고, 또한 밀봉성 및 탄성이 있는 흑색광 흡수체이며, 링 모양의 형상을 하고 있다. 이 쿠션재(40)는 상기 렌즈 홀더(30)의 바닥면[플랜지면(33)] 상에 배치되어 있고, 그 밀봉성에 의해 플랜지면(33)과 밀착되어 있다.The cushioning material 40 is a black light absorbing body having a refractive index similar to that of the optical lens 50 and having a sealing property and elasticity, and has a ring shape. This cushioning material 40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flange surface 33) of the said lens holder 30, and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flange surface 33 by the sealing property.

광학 렌즈(50)는 모서리 부분이 상기 쿠션재(40)에 접촉하도록 하고, 렌즈 홀더(30)의 플랜지면(33)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광학 렌즈(50)는 그 중앙부와 렌즈 홀더(30)의 개구(31)가 광축(3)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 쿠션재(40)는 광학 렌즈(50)의 모서리부와도 밀착되어 있다.The optical lens 50 allows the edge portion to contact the cushion member 40 and is provided on the flange face 33 of the lens holder 30. This optical lens 50 is disposed such that its central portion and the opening 31 of the lens holder 30 are located on the optical axis 3. The cushioning material 40 is also in clos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optical lens 50.

렌즈 경통(60)은 원통형의 형상을 갖고 있고, 적어도 2단계의 외주부[제1 외주부(65), 제2 외주부(66)]를 갖고 있다. 제1 외주부(65)는 그 하면 개구 단부가 광학 렌즈(50)의 모서리부에 접촉하고, 렌즈 홀더(30)의 내주와 동일한 외주를 갖고 있다. 또, 제2 외주부(66)는 그 하면이 렌즈 홀더(30)의 상면 개구 단부에 접촉한다. 이 제2 외주부(66)에 있어서의 렌즈 홀더(30)의 상면 개구 단부에 접촉하는 부분에는 원주 방향을 따른 3군데의 경사부(63-1 내지 63-3)[도6a에서는 도면의 사정상, 경사부(63-1, 63-2)만을 도시함]가 렌즈 홀더(30)의 경사부(34-1 내지 34-3)에 대응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렌즈 경통(60)에 뚫려 형성된 원형의 공동 내에 광축(3)이 존재한다. 이 렌즈 경통(60)과 렌즈 홀더(30)의 플랜지면(33) 상의 쿠션재(40)에 의해, 상기 광학 렌즈(50)의 주변부를 끼워 넣어 고정, 보유 지지하고 있다.The lens barrel 6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t least two stag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65 and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66).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65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edge thereof in contact with a corner portion of the optical lens 50 and has the same outer circumference as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ens holder 30. Moreover, the lower surface of the 2nd outer peripheral part 66 contacts the upper surface opening edge part of the lens holder 30. As shown in FIG. Three inclined portions 63-1 to 63-3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66 that contacts the upper surface opening end of the lens holder 30 (in FIG. Only the inclined portions 63-1 and 63-2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clined portions 34-1 to 34-3 of the lens holder 30. And the optical axis 3 exists in the circular cavity formed by this lens barrel 60. As shown in FIG. The lens barrel 60 and the cushioning material 40 on the flange surface 33 of the lens holder 30 sandwich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optical lens 50 to fix and hold it.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입사한 빛은 광학 렌즈(50)에 의해 집광되고, 렌즈 홀더(30)의 개구(31)를 통해서 결상면(5)에 상을 맺는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incident light is collected by the optical lens 50 and forms an image on the imaging surface 5 through the opening 31 of the lens holder 30.

다음에, 광학 렌즈(50)의 초점 위치의 조정 방법에 대하여 도6b 및 도6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6b는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를 멀리했을 때, 그리고 도6c는 가까이했을 때의 광학 렌즈 유닛의 단면도이다.Next, a method of adjusting the focus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B and 6C. 6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tical lens unit when the focal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is far away, and FIG. 6C is close.

초점 위치를 조정하려면, 렌즈 경통(60)을, 그 제2 외주부(66)를 렌즈 홀더(30)의 상면 개구 단부에 접촉시킨 상태로 원주 방향을 따라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서, 렌즈 경통(60)은 렌즈 홀더(30)에 대하여 광축(3)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6b는 광학 렌즈(50)의 초점 위치를 멀리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렌즈 홀더(30)의 경사부(34-1 내지 34-3)의 각각을 렌즈 경통(60)의 경사부(63-1 내지 63-3)의 전체면에 접촉시킨 것으로 한다. 그러면, 렌즈 경통(60)은 렌즈 홀더(30) 내에 압입되므로, 쿠션재(40)가 그 탄성력에 의해 압축된다. 따라서, 광학 렌즈(50)가 렌즈 홀더(30)의 플랜지면(33)측으로 이동한다. 이 도6b에 도시한 상태로 렌즈 경통(60)을 좌회전시킨 것으로 한다. 이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 도6c이다. 좌회전시킴으로써 렌즈 홀더(30)의 경사부(34-1 내지 34-3)와, 렌즈 홀더(60)의 경사부(63-1 내지 63-3)가 서로 접촉하는 영역이 작아져 가고, 렌즈 경통(60)은 렌즈 홀더(30)로부터 인출된다. 그 결과, 쿠션재(40)는 그 탄성력에 의해 팽창한다. 따라서, 광학 렌즈(50)가 렌즈 홀더(30)의 플랜지면(33)으로부터 렌즈 경통(60)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해서, 광학 렌즈 유닛에 있어서의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To adjust the focus position, the lens barrel 60 is rot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le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66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pening end of the lens holder 30. As a result, the lens barrel 60 is moved in the direction along the optical axis 3 with respect to the lens holder 30. 6B shows a state in which the focal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50 is farther away.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each of the inclined portions 34-1 to 34-3 of the lens holder 30 is in contact with the entire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s 63-1 to 63-3 of the lens barrel 60. Then, since the lens barrel 60 is press-fitted into the lens holder 30, the cushioning material 40 is compressed by the elastic force. Thus, the optical lens 50 moves to the flange face 33 side of the lens holder 30. It is assumed that the lens barrel 60 is turned left in the state shown in FIG. 6B. This state is shown in Fig. 6C. By turning left, the area where the inclined portions 34-1 to 34-3 of the lens holder 30 and the inclined portions 63-1 to 63-3 of the lens holder 6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ecomes small, and the lens barrel 60 is drawn out from the lens holder 30. As a result, the cushioning material 40 expands by the elastic force. Therefore, the optical lens 50 moves from the flange surface 33 of the lens holder 30 toward the lens barrel 60 side. In this way, the focus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in the optical lens unit can be adjusted.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도 쿠션재(40)에 대한 압박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도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쿠션재(40) 대신에 스프링(41)을 사용한 구성의 광학 렌즈 유닛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ressing force on the cushioning material 40 can also be controlled by the above method. 6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n optical lens unit having a structure using a spring 41 instead of the cushioning material 40. As shown in FIG.

다음에,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렌즈 유닛에 대하여 도7a 내지 도7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7a는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 조정 기구를 갖는 광학 렌즈 유닛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7b, 도7c는 각 부재의 조립후의 광학 렌즈 유닛의 단면 구성도이다.Next, an optical lens uni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7C. 7A is a perspective view of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optical lens unit having the focus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of the optical lens, and FIGS. 7B and 7C ar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s of the optical lens unit after assembling each member.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내지 제5 실시 형태와 같이 탄성 부재[쿠션재(40), 스프링(41) 등]를 사용하지 않고, 또한 나사식 회전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광학 렌즈 유닛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이다.This embodiment can adjust the focal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without using an elastic member (cushion member 40, spring 41, etc.) as in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and without using a screw rotation mechanism. The optical lens unit is described.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렌즈 유닛(20)은 렌즈 홀더(30)와, 광학 렌즈(50)와, 렌즈 경통(60)을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optical lens unit 20 includes a lens holder 30, an optical lens 50, and a lens barrel 60.

렌즈 홀더(30)는 바닥면(33)[플랜지면(33)]의 일부에 광축(3)이 통과하는 개구(31)를 갖는 원통부를 갖고 있다. 그리고, 바닥면에는 그 원주 방향을 따른 3군데의 경사부(35-1 내지 35-3)를 갖고 있다.The lens holder 30 has a cylindrical portion having an opening 31 through which the optical axis 3 passes on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33 (planar surface 33). The bottom surface has three inclined portions 35-1 to 35-3 along its circumferential direction.

광학 렌즈(50)는 모서리부를 갖고 있고, 상기 렌즈 홀더(30)의 원통 내의 플랜지면(33)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 광학 렌즈(50)에 있어서의 모서리부의 플랜지면(33)에 접촉하는 면에는 그 원주 방향을 따른 3군데의 경사부(51-1 내지 51-3)가렌즈 홀더(30)의 경사부(35-1 내지 35-3)에 대응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모서리부의 플랜지면(33)에 접촉하지 않는 면에는 3개의 돌기(52-1 내지 52-3)가 대략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광학 렌즈(50)의 경사부(51-1 내지 51-3)가 각각 렌즈 홀더(30)의 경사부(35-1 내지 35-3)에 접촉하도록 하고, 광학 렌즈(50)가 렌즈 홀더(30) 내에 적재된다.The optical lens 50 has a corner portion and is formed on the flange face 33 in the cylinder of the lens holder 30.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lange face 33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optical lens 50, three inclined portions 51-1 to 51-3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inclined portions of the lens holder 30 ( 35-1 to 35-3). Further, three projections 52-1 to 52-3 are formed to protrude at substantially equal intervals on the surface which does not contact the flange surface 33 of the corner portion. Then, the inclined portions 51-1 to 51-3 of the optical lens 50 are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portions 35-1 to 35-3 of the lens holder 30, respectively, and the optical lens 50 is in contact with the lens. It is loaded in the holder 30.

렌즈 경통(60)은 광축이 존재하는 영역에 뚫려 형성된 개구를 갖고 있고, 광학 렌즈(50)의 돌기(51-1 내지 51-3)에 끼워 맞춰져 있다.The lens barrel 60 has an opening formed in a region where the optical axis exists, and is fitted to the projections 51-1 to 51-3 of the optical lens 50. As shown in FIG.

상기 구성에 있어서, 광원(4)으로부터 발하여진 빛은 광학 렌즈(50)에 의해 집광되고, 렌즈 홀더(30)의 개구(31)를 통해서 결상면(5)에 상을 맺는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4 is collected by the optical lens 50 and forms an image on the imaging surface 5 through the opening 31 of the lens holder 30.

다음에, 광학 렌즈(50)의 초점 위치의 조정 방법에 대하여 도7b 및 도7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7b는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를 멀리했을 때, 그리고 도7c는 가까이했을 때의 광학 렌즈 유닛의 단면도이다.Next, a method of adjusting the focus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B and 7C.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tical lens unit when the focal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is far away, and FIG. 7C is close.

초점 위치를 조정하려면, 렌즈 경통(60)을 그 원주 방향을 따라서 회전시킴으로써 행한다. 렌즈 경통(60)을 회전시키면, 돌기(52-1 내지 52-3)에 끼워 맞춰져 있으므로, 광학 렌즈(50)도 렌즈 홀더(30) 내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종동한다. 이와 같이, 광학 렌즈(50)를 플랜지면(33)에 접촉시킨 상태로 원주 방향을 따라서 회전시킴으로써, 광학 렌즈(50)를 렌즈 홀더(30)에 대하여 광축(3)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7b는 초점 위치를 멀리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광학 렌즈(50)의 경사부(51-1 내지 51-3)의 각각을, 렌즈 홀더(30)의 경사부(35-1 내지 35-3)에 전체면이 접촉하도록 한 것으로 한다. 그러면, 광학 렌즈(50)는 렌즈 홀더(30) 내에 압입된다. 이 도7b에 도시한 상태로 렌즈 경통(60)을 우회전시킨 것으로 한다. 이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 도7c이다. 우회전시킴으로써 렌즈 홀더(30)의 경사부(35-1 내지 35-3)와, 광학 렌즈(50)의 경사부(51-1 내지 51-3)가 서로 접촉하는 영역이 작아져 가고, 광학 렌즈(50)는 렌즈 홀더(30)로부터 인출된다. 이와 같이 해서, 광학 렌즈 유닛에 있어서의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To adjust the focus position, the lens barrel 60 is rotated along its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n the lens barrel 60 is rotated, it is fitted to the projections 52-1 to 52-3, so that the optical lens 50 is also driven in the lens holder 30 in the same manner. In this way, the optical lens 50 is moved in the direction along the optical axis 3 with respect to the lens holder 30 by rotating the optical lens 5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le making the contact with the flange surface 33. Fig. 7B shows a state in which the focus position is far away. For example, each of the inclined portions 51-1 to 51-3 of the optical lens 5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portions 35-1 to 35-3 of the lens holder 30. do. Then, the optical lens 50 is pressed into the lens holder 30. It is assumed that the lens barrel 60 is rotated right in the state shown in FIG. 7B. This state is shown in Fig. 7C. By turning right, the area where the inclined portions 35-1 to 35-3 of the lens holder 30 and the inclined portions 51-1 to 51-3 of the optical lens 5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ecomes small, and the optical lens 50 is drawn out from the lens holder 30. In this way, the focus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in the optical lens unit can be adjusted.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방법에 따르면, 탄성 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한층 더 광학 렌즈 유닛의 구성을 간단화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렌즈 유닛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조립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and method, since the elastic member is not used, the structure of the optical lens unit can be further simplified. Therefore, manufacturing cost of an optical lens unit can be reduced and assembly precision can be improved.

다음에,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렌즈 유닛에 대하여 도8a, 도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8a는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 조정 기구를 갖는 광학 렌즈 유닛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8b는 도8a를 다른 각도에서 보았을 때의 광학 렌즈 유닛을 구성하는 부재의 일부 사시도이다.Next, an optical lens uni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A and 8B. FIG. 8A is a perspective view of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optical lens unit having the focus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of the optical lens, and FIG. 8B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member constituting the optical lens unit when FIG. 8A is viewed from another angle.

광학 렌즈 유닛에는 그 용도에 따라서는 일정한 파장 영역을 제거하거나, 또는, 통과시키는 칼라 필터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칼라 필터를 광학 렌즈 유닛 내에 수납한 것이다.In some cases, a color filter may be used for the optical lens unit to remove or pass a certain wavelength range. In the sixth embodiment, the present embodiment houses such a color filter in the optical lens unit.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홀더(30)는 바닥면(33)의 일부에 광축(3)이 통과하는 개구(도시 생략)를 갖는 원통부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개구를 피복하도록 하여 바닥면[플랜지면(33)] 상에 칼라 필터(3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면(33) 상에 칼라 필터(36)를 배치했을 때의 빈 영역이 되는 플랜지면(33)의4군데의 영역에 원주 방향을 따른 경사부(35-1 내지 35-4)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lens holder 30 has a cylindrical portion having an opening (not shown) through which the optical axis 3 passes through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33, and covers the opening so as to cover the bottom surface (planar surface). (33) is provided with a color filter 36. Incidentally, the inclined portions 35-1 to 35-4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provided in four regions of the flange surface 33, which become empty areas when the color filter 36 is disposed on the flange surface 33. Formed.

광학 렌즈(50)의 모서리부에는 렌즈 홀더(30)의 경사부(35-1 내지 35-4)에 대응하는 4개의 경사부[도8a, 도8b에서는 도면의 사정상, 3개의 경사부(51-1 내지 51-3)만을 도시함]가 형성되어 있다.Four inclined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portions 35-1 to 35-4 of the lens holder 30 are provided at the corners of the optical lens 50 (in FIGS. 8A and 8B, three inclined portions 51 are provided for convenience in the drawing). -1 to 51-3 only] is formed.

상기와 같이, 플랜지면(33)의 빈 영역에 4개의 경사부(35-1 내지 35-4)를 형성하는 것의 효과에 대하여 이하에 기술한다.As described above, the effect of forming the four inclined portions 35-1 to 35-4 in the empty region of the flange face 33 will be described below.

광학 렌즈 유닛에 칼라 필터를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일이기는 하지만, 통상의 칼라 필터는 정방형의 형상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비용면을 고려하면, 광학 렌즈 유닛에 있어서도 정방형의 형상의 칼라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렌즈 홀더(30)의 플랜지면(33)에 합치하는 원형 형상의 것을 사용하게 되면, 특별히 광학 렌즈용으로서 칼라 필터를 제조해야 하고, 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이다.The use of a color filter in an optical lens unit is generally done, but a conventional color filter is manufactured in a square shape.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cost, it is preferable to use a square color filter also in the optical lens unit. For example, when the circular shape which matches the flange surface 33 of the lens holder 30 is used, a color filter should be manufactured especially for an optical lens, and cost will become high.

또, 칼라 필터가 렌즈 홀더(30)와 결상면(5) 사이의 영역에 설치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칼라 필터의 단부면 부분은 먼지의 발생 부분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칼라 필터는 결상면이 존재하는, 환언하면 광 센서가 존재하는 공간 외측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it is not preferable that the color filter is provided in the region between the lens holder 30 and the imaging surface 5. This is because the end face portion of the color filter may be a dust generating por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stall the color filter outside the space in which the image surface exists, in other words, in which the optical sensor exists.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정방형의 칼라 필터(36)를 플랜지면(33) 상에 배치한다. 그리고, 칼라 필터(36)와 플랜지면(33)이 중합되지 않는 빈 영역에 경사부를 형성한다. 그러면, 필연적으로 경사부의 수는 4군데가 되는 것이다. 그 결과, 상기 두가지 요청을 만족시킬 수 있다.Thu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quare color filter 36 is first disposed on the flange face 33. Then, the inclined portion is formed in the empty region where the color filter 36 and the flange surface 33 are not polymerized. Inevitably, the number of inclined portions becomes four places. As a result, the two requests can be satisfied.

또, 본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칼라 필터의 형상에 맞추어 경사부를 형성하는 점에 요지가 있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정방형의 칼라 필터를 사용하여, 4군데의 빈 영역에 4개의 경사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실시 형태이기는 하지만, 이 경우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Moreover, this embodiment has the point that the inclination part is provided to the shape of a color filter to the last. Therefore, although four square parts are formed in four empty areas using a square color filter as mentioned above, although it is the most preferable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o this case.

상기 제1 내지 제7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초점 위치 조정 기구를 구성하는 부품 갯수를 삭감함으로써 조립 공정을 간략화 및 광학 렌즈 유닛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나사식 회전 기구를 채용하면서도, 쿠션재(40)의 압입 압력에 의해서 초점 위치를 조정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부품 갯수를 삭감할 수 있다. 그리고, 나사가 설치되어 있는 공간과 결상면이 존재하는 공간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상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플레어 등의 가짜 신호의 발생을 억제하여 상의 대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in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optical lens unit can be miniaturized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constituting the focus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That is,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by adopting a screw rotating mechanism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djusting the focus position by the press-in pressure of the cushioning material 40. And since the space in which the screw is installed and the space in which an imaging surface exists can be isolate | separated, reliability of an image can be improved. Moreover, the contrast of an image can be improved by suppressing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a fake signal, such as a flare.

또,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렌즈 덮개(70)에 의해서 렌즈 경통(60)을 압입함으로써, 나사식 회전 기구를 생략할 수 있다. 이 나사식 회전 기구를 생략 가능함으로써, 광학 렌즈 유닛의 제조 비용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왜냐하면, 금형 성형 등에 의해서 나사를 형성하는 것은 단순히 비용이 높은 데다가, 기술적으로도 곤란했기 때문이다. 또, 나사식 회전 기구를 생략할 수 있으면, 조립 공정을 간략화하고, 조립시에 발생하는 특성의 편차를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나사의 마모 부스러기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나사를 생략한 초점 위치 조정 기구를 실현함으로써, 광학 렌즈 유닛의 제조면 및 광학 렌즈 유닛 그 자체의 초점 위치 조정 능력면에 있어서 큰 이익을 얻게 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crew-type rotating mechanism can be omitted by, for example, pressing the lens barrel 60 with the lens cover 70. By omitting this screw rotation mechanism, the manufacturing cost of an optical lens unit can be greatly reduced. This is because it is simply expensive and technically difficult to form the screw by mold molding or the like. In addition, as long as the screw-type rotating mechanism can be omitted, the assembl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variation in characteristics generated during assembly can be suppressed. Moreover, the problem of abrasion debris of a screw can be eliminated. By realizing the focal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in which the screw is omitted in this way, a great advantage is obtained in terms of the manufacturing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unit and the focal position adjusting capability of the optical lens unit itself.

또, 제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쿠션재(40) 대신에 스프링(41)을 사용할 수도 있다. 스프링(41)을 플랜지(33)와 일체 성형하면, 부품 갯수를 한층 더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쿠션재(40)를 대신하는 것은 탄성을 갖는 것이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이 탄성 부재의 재질에 대하여 설명한다. 탄성 부재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광학 렌즈 유닛과 동일한 굴절율을 갖는 흑색광 흡수체인 탄성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결상면에 맺어지는 상에, 미광 등이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재질로서는, 구체적으로는 고무, 수지, 스프링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 탄성 부재의 렌즈 경통(60)에 대한 탄성 변형비가 1 : 10 내지 1 : 100 이상, 즉 탄성 변형율이 1/10 내지 1/100 이하인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초점 위치 조정을 위해서 렌즈 경통(60)을 이동시켰을 때, 실질적으로 탄성 부재만을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광학 렌즈(50)의 탄성 변형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광학 렌즈 유닛이 형성하는 상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As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the spring 41 may be used instead of the cushioning material 40. If the spring 4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ange 33,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number of parts. In addition, the cushion material 40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has elasticity. Here, the material of this elastic member is demonstrated. As the elastic member, it is preferable to use an elastic member which is a black light absorber having the same refractive index as the optical lens unit as described above. This can prevent the stray light or the like from adversely affecting the image formed on the image forming surface. As this material, rubber, resin, a spring, etc. can be mentioned specifically ,. Moreover, it is preferable to use the material whose elastic deformation ratio with respect to the lens barrel 60 of an elastic member is 1: 10-1: 100 or more, ie, elastic strain is 1 / 10-1 / 100 or less. In this case, when the lens barrel 60 is moved for the focal position adjustment, only the elastic member can be elastically deformed substantially. This is because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optical lens 50 can be suppressed to a minimum, and the reliability of the image formed by the optical lens unit can be improved.

또, 광학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기술로서는 광학 부품을 부착하는 면에 탄력성이 있는 스프링형의 링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링은 주로 그 고정 위치가 중요하지 않은 평면 필터 등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필터의 부착 부품에 대한 부착 압력의 완화 등이며,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의 조정을 문제로 하는 것은 아니었다.Moreover, as a technique for fixing an optical component, the spring type ring with elasticity may be used for the surface to which an optical component is affixed. Such a ring is mainly used for flat filters and the like whose fixing position is not important. However, the purpose is to reduce the pressure of the attachment to the attachment part of the filter, etc., and not to adjust the focal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쿠션재는 상기의 평면 필터에 사용하는 스프링형의 부착링과는 달리, 광학 렌즈와 결상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동시에 압박력이 광학 렌즈의 주변부에 균등하게 가해지고 있어, 광학 렌즈 유닛의 초점 조정 기능의 향상, 및 광학 렌즈 유닛이 맺는 상의 신뢰성의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Moreover, unlike the spring-type attachment ring used for the said flat filter, the cushion material in this embodiment serves to block the space enclosed by the optical lens and the imaging surface from the outside. At the same time, the pressing force is applied evenly to the periphery of the optical lens,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focus adjustment function of the optical lens unit and the reliability of the image formed by the optical lens unit.

또, 제4, 제5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렌즈 덮개(70)와 초점 조정 슬라이드판(73)에 형성한 경사부나, 렌즈 홀더(30)와 렌즈 경통(60)에 형성한 경사부에 의해서, 평행 동작이나 회전 동작을 렌즈 경통(60)의 렌즈 홀더(30) 내로의 압박력으로 변환함으로써, 초점 거리의 미소한 조정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as described in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the inclined portion formed on the lens cover 70 and the focus adjusting slide plate 73, or the inclined portion formed on the lens holder 30 and the lens barrel 60 is also provided. Thus, by adjusting the parallel operation and the rotation operation to the pressing force of the lens barrel 60 into the lens holder 30, minute adjustment of the focal length is possible.

휴대 전화 등의 휴대 기기에 사용되는 이미지 센서에 대한 촬상 직경은 매년 축소화되고 있다. 이러한 미소 광학계에 사용되는 광학 렌즈에 직접 부하를 부여하는 것은 광학 렌즈를 손상시키는 일로도 되기 쉬우므로,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상기 제4, 제5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학 렌즈(50)를 직접 압박하는 것이 아니라, 초점 조정 슬라이드판의 횡방향으로의 슬라이드나, 렌즈 경통(60)의 회전을 압박력으로 변환함으로써, 광학 렌즈에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 내에서 일컫는「초점 위치 조정」이라 함은, 광학 렌즈의 특성 편차를 보정하기 위한 조정에 불과하며, 핀트 조정 등에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사용되는 렌즈의 초점 거리 및 그 이동량이 짧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초점 위치 조정 범위는 탄성 부재[쿠션재(40), 스프링(41) 등]의 탄성 변형 범위로 충분히 만족하는 것이다. 이 조정 범위는 예를 들어 수 ㎛ 내지 수십 ㎛ 정도의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기기에서 사용되는미소 광학계에서는 복수의 렌즈군이 사용되는 일은 드물며, 싱글 렌즈가 사용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7 실시 형태에서는 광학 렌즈가 한 장인 광학 렌즈 유닛에 대하여 설명해 왔다. 그러나, 휴대 기기에 사용되는 이미지 센서라도, 복수의 광학 렌즈로 이루어지는 광학 렌즈군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광학 렌즈 유닛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본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는 것이 도9a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2장의 광학 렌즈(53, 54)가 보유 지지 부재(80)에 의해서 보유 지지되어 있고, 이 2장의 광학 렌즈(53, 54)는 일체적으로 동작한다. 또, 광학 렌즈에 착안하여 거듭 설명하면, 모서리부를 갖지 않은 광학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당연히 적용된다. 도9b는 모서리부를 갖지 않은 광학 렌즈를 사용한 광학 렌즈 유닛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9c는 각 부재의 조립후의 광학 렌즈 유닛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 부재(90)가 모서리부가 없는 광학 렌즈(50)의 주변부를 끼워 넣도록 하여 보유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 보유 지지 부재(90)가 쿠션재(40) 및 렌즈 경통(60)에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모서리부가 없는 렌즈이더라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며, 또한 광학 렌즈의 장수가 적은 광학 렌즈 유닛에 있어서, 본 발명의 효과는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이다.The imaging diameter of the image sensor used for portable devices, such as a mobile telephone, is reduced every year. Applying a direct load to the optical lens used in such a micro-optical system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is easy to damage the optical lens. However, as described in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the optical lens 50 is not directly pressed, but the slid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ocus adjusting slide plate and the rotation of the lens barrel 60 are converted into the pressing force. By doing so, the load on the optical lens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term "focal position adjustment" referred t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merely an adjustment for correcting a characteristic deviation of the optical lens, and is not used for focus adjustment or the like. In addition, the focal length and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lens used in the image sensor is characterized in that short. Therefore, the focus position adjusting range is sufficiently satisfied with the elastic deformation range of the elastic member (the cushion member 40, the spring 41, etc.). This adjustment range is about several micrometers-about several tens of micrometers,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in the micro-optical system used in the portable device, a plurality of lens groups are rarely used, and a single lens is generally used. Therefore, in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the optical lens unit having one optical lens has been described. However, even an image sensor used in a portable device may use an optical lens group composed of a plurality of optical lenses.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such an optical lens unit. This example is shown in Fig. 9A. As shown, two optical lenses 53 and 54 are held by the holding member 80, and these two optical lenses 53 and 54 operate integrally. In addition, when focusing on an optical lens and repeatedly demonstrating, this invention is naturally applied also when using the optical lens which does not have a corner part. Fig. 9B is a perspective view of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optical lens unit using the optical lens having no edge portion, and Fig. 9C is a 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optical lens unit after assembling each member. As shown in the drawing, the holding member 90 holds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optical lens 50 without the edge portion. The holding member 90 is in contact with the cushioning material 40 and the lens barrel 60.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lens having no corner, and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arkable in an optical lens unit having a small number of optical lenses.

그리고, 상기 제6, 제7 실시 형태에서는 제5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경사부를, 렌즈 홀더(30)의 플랜지면(33)과 광학 렌즈(50)에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플랜지면(33)과 광학 렌즈(50)의 회전에 의해서 직접 광학 렌즈(50)의 초점 위치 조정을 행하고 있다. 이로 인해, 탄성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광학 렌즈를구성하는 부품의 갯수를 한층 더 삭감할 수 있다. 또, 칼라 필터를 삽입하는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방형의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sixth and seventh embodiments, the inclined portion described in the fifth embodiment is formed on the flange surface 33 and the optical lens 50 of the lens holder 30. Then, the focal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50 is directly adjusted by the rotation of the flange face 33 and the optical lens 50. For this reason,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n elastic member, and the number of components which comprise an optical lens can be further reduced. Moreover, also when inserting a color filter, the thing of the square shape generally used can be us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는, 우선 탄성 부재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광학 렌즈의 위치 조정을 행하는 데 있다. 또, 렌즈 경통을 렌즈 홀더 내에 직접 압입함으로써 나사식 회전 기구를 생략하는 데 있다. 그리고, 탄성 부재의 탄성 변형이 아니라, 렌즈 경통과 광학 렌즈가 접촉하는 면에 형성한 경사부를 이용함으로써, 탄성 부재를 없애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광학 렌즈 유닛의 구성을 간략화함으로써, 광학 렌즈 유닛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rst adjust the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by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member. Moreover, the screw-type rotating mechanism is omitted by directly inserting the lens barrel into the lens holder. The elastic member is removed by using the inclined portion formed on the surface where the lens barrel and the optical lens contact, rather than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member. 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lens unit by the above method, miniaturization of the optical lens unit can be realized.

또, 탄성 부재를 압박하는 방법은 상기 제1 내지 제5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경사부(51-1 내지 51-3)는 광학 렌즈와 일체의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경사 부분을 다른 부재로 하여 광학 렌즈 유닛을 구성해도 문제없음은 물론이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ethod of pressing an elastic member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demonstrated by said 1st-5th embodiment. In addition, in 6th Embodiment, although the inclination parts 51-1 to 51-3 were demonstrated as being integral with an optical lens, even if an optical lens unit is comprised using the inclination part as another member, it is a matter of course,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다른 장점 및 변경들은 당업자에게 매우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그 넓은 태양에 있어서 본원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특정 요소 및 예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양한 변경들이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의 등가물에 의해 한정된 본 발명 개념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Other advantages and modifications are ver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lements and exemplary embodiments shown and described herein in its broadest aspect. Accordingly,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 초점 위치 조정 기구를 간략화하고, 소형화가 가능한 광학 렌즈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lens focus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and to provide an optical lens unit that can be miniaturized.

Claims (12)

빛을 집광하는 광학 렌즈와,With an optical lens to condense light, 내주면에 상기 광학 렌즈의 한 쪽 표면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통형 렌즈 홀더와,A cylindrical lens holder having,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n outer circumference of one surface of the optical lens; 상기 지지부와 상기 광학 렌즈 사이에 개재된 탄성 부재와,An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optical lens; 상기 렌즈 홀더 내에 상기 광학 렌즈의 광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렌즈 홀더와 함께 상기 광학 렌즈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광학 렌즈를 보유 지지하며, 상기 광학 렌즈의 다른 쪽 표면의 외주부를 한 쪽 개구 단부에서 압박함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를 변형시켜 상기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를 제어하는 렌즈 경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렌즈 유닛.It i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optical lens in the lens holder, holding the optical lens by inserting the optical lens with the lens holder,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optical lens And a lens barrel for deforming the elastic member by pressing at the opening end to control the focal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렌즈 경통과 접촉하는 내주면을 따라서 형성된 제1 나사홈을 갖고,The lens holder of claim 1, wherein the lens holder has a first screw groove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lens barrel. 상기 렌즈 경통은 상기 제1 나사홈에 끼워 맞춰지는 제2 나사홈을 갖고, 상기 제1, 제2 나사홈에 의한 나사식 회전에 의해 상기 렌즈 홀더 내를 광축을 따라서 이동하며, 이에 의해 상기 광학 렌즈에의 압박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렌즈 유닛.The lens barrel has a second screw groove fitted into the first screw groove, and moves along the optical axis within the lens holder by screw rotation by the first and second screw grooves, thereby providing the optical An optical lens unit for controlling the pressing force on the lens. 제1항에 있어서, 한 쪽 면이 상기 렌즈 경통의 다른 쪽 개구 단부에 접촉하고 상기 개구를 피복하는 렌즈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 덮개가 상기 렌즈 경통에 압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렌즈 경통은 상기 렌즈 홀더 내를 광축을 따라서 이동하며, 이에 의해 상기 광학 렌즈에의 압박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렌즈 유닛.The lens barrel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ens cap on one side of which contacts the other opening end of the lens barrel and covers the opening, wherein the lens cap exerts a pressing force on the lens barrel such that And move the lens holder along the optical axis, thereby controlling the pressing force on the optical len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덮개의 다른 쪽 면 상에 설치된, 상기 광축에 수직인 면에 대한 일정한 제1 경사부에 접촉하는 제2 경사부를 갖는 초점 조정 슬라이드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초점 조정 슬라이드판이 상기 광축에 수직인 면에 대하여 평행 이동함으로써, 상기 렌즈 덮개를 거쳐서 상기 레즈 경통에 압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렌즈 경통은 상기 렌즈 홀더 내를 광축을 따라서 이동하며, 이에 의해 상기 광학 렌즈에의 압박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렌즈 유닛.4. The focus adjusting slide plate according to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focus adjusting slide plat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ens cover, the focus adjusting slide plate having a second inclined portion in contact with a constant first inclined portion with respect to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By moving the slide plate in parallel with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by applying a pressing force to the red barrel through the lens cover, the lens barrel moves along the optical axis in the lens holder, thereby An optical lens unit for controlling the pressing fo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는 광원측의 한 쪽 개구 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일정한 제3 경사부를 갖고,The lens hold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ns holder has a constant third inclined portion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one opening end on the light source side, 상기 렌즈 경통은 상기 렌즈 홀더의 상기 한 쪽 개구 단부에 접촉하는 부분에, 원주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제3 경사부에 접촉하는 제4 경사부를 갖고,The lens barrel has a fourth inclined portion formed in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ne opening end of the lens hold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n contact with the third inclined portion, 상기 렌즈 경통을 상기 렌즈 홀더에 대하여 상기 제4 경사부에 상기 제3 경사부가 접촉하면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렌즈 경통에 압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렌즈 경통은 상기 렌즈 홀더 내를 광축을 따라서 이동하며, 이에 의해 상기 광학 렌즈에의 압박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렌즈 유닛.The lens barrel is moved along the optical axis by rotating the lens barre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le the third inclined portion contacts the fourth inclined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ens holder, and applies a pressing force to the lens barrel. And thereby controlling the pressing force on the optical le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굴절율이 상기 광학 렌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흑색광 흡수체이고, 상기 광학 렌즈 및 상기 지지부에 밀착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광학 렌즈의 일부에 입사한 미광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렌즈 유닛.2. The elastic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a black light absorber having a refractive index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optical lens, is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ptical lens and the support portion, and absorbs stray light incident on a part of the optical lens. An optical lens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고무, 스프링, 수지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주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렌즈 유닛.The optical lens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member mainly comprises one of rubber, spring, and resin gro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렌즈 홀더의 지지부의 상기 광학 렌즈의 지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플랩형의 스프링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렌즈 유닛.The optical lens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member has a flap spring structure that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urface of the optical lens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lens hold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형의 스프링 구조는 상기 렌즈 홀더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렌즈 유닛.The optical lens unit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lap spring structure is constituted by a part of the lens holder. 빛을 집광하고 그 외주부에 원주 방향을 따른 제1 경사부를 갖는 광학 렌즈와,An optical lens for collecting light and having a first inclined por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내주면에 상기 광학 렌즈의 한 쪽 표면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그 지지부에 상기 제1 경사부에 대응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제2 경사부를갖는 통형 렌즈 홀더와,A cylindrical lens holder having,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support for supporting an outer circumference of one surface of the optical lens, the support having a second inclined portion form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portion; 상기 렌즈 홀더 내에 상기 광학 렌즈의 광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광학 렌즈와 끼워 맞춰지며, 상기 광학 렌즈의 제1 경사부와 상기 렌즈 홀더의 제2 경사부를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광학 렌즈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광학 렌즈의 초점 위치를 제어하는 렌즈 경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렌즈 유닛.The optical lens is installed in the lens holder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fitted with the optical lens,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portion of the optical lens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of the lens holder. And a lens barrel for controlling the focal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by rota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렌즈와 상기 렌즈 홀더의 상기 지지부 사이에 개재하도록 하고 상기 광학 렌즈의 광축 상에 설치된 칼라 필터를 더 포함하고,11. The apparatus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color filter interposed between the optical lens and the support of the lens holder and installed on an optical axis of the optical lens. 상기 제1 경사부는 상기 칼라 필터와 중합되지 않는 영역의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렌즈 유닛.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is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in a region not polymerized with the color filt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필터는 정방형의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제1 경사부는 상기 지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정방형의 4개의 변에 인접하는 4군데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렌즈 유닛.The optical lens unit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color filter has a square shape,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is formed at four positions adjacent to four sides of the square in the support portion.
KR10-2001-0042689A 2000-07-17 2001-07-16 Optical Lens Unit Having Focus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for Optical Lens KR10043785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16406 2000-07-17
JPJP-P-2000-00216406 2000-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026A true KR20020008026A (en) 2002-01-29
KR100437855B1 KR100437855B1 (en) 2004-07-02

Family

ID=18711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689A KR100437855B1 (en) 2000-07-17 2001-07-16 Optical Lens Unit Having Focus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for Optical Len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37855B1 (en)
CN (1) CN1333473A (en)
TW (1) TWI221207B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5132A (en) * 2017-12-21 2019-06-28 广东南益光电技术有限公司 A kind of lens that can project arc hot spot
CN110261982A (en) * 2019-07-03 2019-09-20 福建福光天瞳光学有限公司 Infrared lens and its assembly method with detachable-type sealed structure
KR20220045618A (en) * 2020-10-06 2022-04-1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Screw-type varifocal glasses based on polymer g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86659C (en) * 2003-03-24 2008-05-07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Camera comprising means for retaining a lens at two different positions
US7480107B2 (en) * 2003-03-24 2009-01-20 Tpo Hong Kong Holding Limited Camera comprising means for accurately fixing the distance between a lens and an image sensor chip
JP4574233B2 (en) 2004-06-02 2010-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Lens fixing method
JP2005352132A (en) * 2004-06-10 2005-12-22 Alps Electric Co Ltd Camera unit
US7684689B2 (en) 2005-09-15 2010-03-23 Flextronics International Usa, Inc. External adjustment mechanism for a camera lens and electronic imager
US7469100B2 (en) 2005-10-03 2008-12-23 Flextronics Ap Llc Micro camera module with discrete manual focal positions
US7983556B2 (en) 2006-11-03 2011-07-19 Flextronics Ap Llc Camera module with contamination reduction feature
GB0702897D0 (en) 2007-02-15 2007-03-28 Johnson Electric Sa Voice coil motor
US8605208B2 (en) 2007-04-24 2013-12-10 Digitaloptics Corporation Small form factor modules using wafer level optics with bottom cavity and flip-chip assembly
JP4344761B2 (en) 2007-06-15 2009-10-14 シャープ株式会社 Solid-state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1604060B (en) * 2008-06-11 2012-01-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CN101738823B (en) * 2008-11-25 2011-11-30 华晶科技股份有限公司 Focal length regulating mechanism and photographic apparatus having same
JP2010224306A (en) * 2009-03-24 2010-10-07 Sony Corp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KR101018808B1 (en) * 2009-08-06 2011-03-03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JP2011158696A (en) * 2010-02-01 2011-08-18 Panasonic Corp Imaging device and mobile apparatus
US8545114B2 (en) 2011-03-11 2013-10-01 Digitaloptics Corporation Auto focus-zoom actuator or camera module contamination reduction feature with integrated protective membrane
JP2013041054A (en) * 2011-08-12 2013-02-28 Sony Corp Imaging device
CN103868872B (en) * 2012-12-12 2017-11-28 北京普源精仪科技有限责任公司 A kind of ultraviolet specrophotometer and its detecting system
CN105430238A (en) * 2014-09-17 2016-03-23 奇景光电股份有限公司 Image sensing module and method of adjusting focus length of image sensing module
CN106405780B (en) * 2016-11-03 2019-10-08 杭州延华多媒体科技有限公司 It looks as far as the eye can the eyeglass operating mechanism of training device for zoom
JP7025908B2 (en) * 2017-12-01 2022-02-25 株式会社ミツトヨ Lens holding mechanism and light emitting unit
CN110320627A (en) * 2018-03-30 2019-10-11 日本电产三协(东莞)工机有限公司 The manufacturing method of lens unit and the lens unit
TWI718507B (en) * 2019-03-25 2021-02-11 大陸商信泰光學(深圳)有限公司 Optical module
CN111736289B (en) 2019-03-25 2022-06-17 信泰光学(深圳)有限公司 Optical module
CN110941075B (en) * 2019-11-28 2022-07-05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Reflective optical system and installation and adjustment testing method thereof
CN111123468A (en) * 2019-12-30 2020-05-08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Three-axial adjustable prism mounting tabl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11372B1 (en) * 1969-03-06 1971-01-21 Balda Werke Photographische Adjustable lens
US4072396A (en) * 1975-07-10 1978-02-07 W. R. Weaver Focussing objective mechanism for telescopic rifle sights
JPS60198976A (en) * 1984-03-22 1985-10-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elevision camera
JPS6421408A (en) * 1987-07-17 1989-01-24 Seiko Epson Corp Adjusting structure for optical fiber lens array
JPH0387809A (en) * 1989-08-31 1991-04-12 Toshiba Corp Scanning type optical device
KR100272328B1 (en) * 1993-12-22 2001-02-01 이중구 Air gap adjusting apparatus for lens
JPH08271782A (en) * 1995-04-04 1996-10-18 Rhythm Watch Co Ltd Focusing device
JPH10243280A (en) * 1997-02-28 1998-09-11 Rhythm Watch Co Ltd Solid-state image-pickup device camera
KR200197614Y1 (en) * 1998-04-02 2000-10-02 박상유 Combination structure of lense for use with a ccd and cctv camera
JP3954332B2 (en) * 2000-07-17 2007-08-08 株式会社東芝 Optical lens unit and camera modu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5132A (en) * 2017-12-21 2019-06-28 广东南益光电技术有限公司 A kind of lens that can project arc hot spot
CN110261982A (en) * 2019-07-03 2019-09-20 福建福光天瞳光学有限公司 Infrared lens and its assembly method with detachable-type sealed structure
KR20220045618A (en) * 2020-10-06 2022-04-1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Screw-type varifocal glasses based on polymer g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7855B1 (en) 2004-07-02
TWI221207B (en) 2004-09-21
CN1333473A (en) 200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7855B1 (en) Optical Lens Unit Having Focus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for Optical Lens
EP1174748B1 (en) Optical lens having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focal point
US8233083B2 (en) Camera module
KR101709640B1 (en) Auto focus camera module
KR100880875B1 (en) Lens system optically coupled to an image-capture device
US7652836B2 (en) Lens module, camera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mera module
US20120162795A1 (en) Lens barrel, imag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device
US20050271375A1 (en) Imaging apparatus
US20090015945A1 (en) Lens unit provided with an engaging structure and a lens module incorporating the same
KR101503982B1 (en) Lens module
US7751131B2 (en) Lens module and lens barrel
CN113311641B (en) Imaging lens,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20100103542A1 (en) Focusing device and imaging device
KR20160115359A (en) Optical device with self aligning of optical axis
CN113325558B (en) Lens assembly,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070009151A (en) Apparatus for lens adjust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ens barrel used the same
KR20190129463A (en) Lens assembly
US20020001144A1 (en) Image pickup lens unit
US7417805B2 (en) Camera device
US11994736B2 (en) Imaging lens assembly, image captur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2007011409A (en) Optical lens unit
KR100703622B1 (en) Cap type camera module
JP2007041141A (en) Lens retainer mechanism, lens position adjusting method, and camera module
JP4695968B2 (en) The camera module
CN210323536U (en) Split type camera lens and camera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