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6766A - 뜸재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뜸재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6766A
KR20020006766A KR1020000040148A KR20000040148A KR20020006766A KR 20020006766 A KR20020006766 A KR 20020006766A KR 1020000040148 A KR1020000040148 A KR 1020000040148A KR 20000040148 A KR20000040148 A KR 20000040148A KR 20020006766 A KR20020006766 A KR 20020006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moxibustion
cotton
extract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훈
Original Assignee
이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훈 filed Critical 이주훈
Priority to KR1020000040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6766A/ko
Publication of KR20020006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76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8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suppositories or st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뜸 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누구나 용이하게 뜸재료를 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마귀, 물사마귀, 검버섯(지루각화증 및 노인성 흑자를 포함) 및 한관종과 같은 작은 피부성질환의 뜸을 용이하게 뜰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쑥을 채취하여 세척한 후 알맞은 크기로 세절하는 단계, 세절한 쑥을 적정한 양의 물에 투입한 후 소정시간 가열하여 쑥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소정시간 가열하여 쑥성분을 추출한 상태의 쑥을 제거한 후 추출된 쑥성분이 끈기를 갖을 수 있도록 하는 적정량의 첨가물을 투입하여 끈기가 있을 정도의 시간동안 재가열하는 단계, 첨가물을 투입하여 끈기가 있을 정도의 시간동안 재가열한 후 천연섬유인 면이나 마를 소정의 굵기로 일정길이의 면봉을 만들어 재가열한 쑥성분 추출물에 투입한 상태에서 추출된 쑥성분이 투입된 면봉에 함침되도록 재가열하는 단계, 재가열을 통해 쑥성분의 추출물을 면봉에 함침시킨 후 쑥성분이 함침된 면봉을 꺼내어 길게 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건조시키는 단계 및 건조된 면봉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뜸재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뜸재료 제조방법{Cautery material manufacture method}
본 고안은 뜸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쑥의 추출성분을 함침시켜 건조시킨 뜸봉 형태의 뜸재료를 제조하여 쑥 자체의 섬유질을 이용한 뜸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한 뜸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뜸이란 인간의 몸 겉면에 흐르고 있는 경락과 혈자리 또는 아픈 부분을 떠(일정량의 작극을 주어) 경락에 따뜻한 기운을 불어 넣음으로써 기운을 원활하게 조절하여 질병의 예방 및 치료의 목적을 달성하는 전통요법이다.
한의학에서는 인간의 몸은 기(氣)와 혈(穴)의 흐름으로 꾸며져 있기 때문에 기(氣)와 혈(穴)이 원활하게 순환한다면 건강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만약 그 기(氣)와 혈(穴)이 어떠한 원에 의해 장애를 일으킨다면 그것이 바로 질병으로 연결되어 경락과 수혈에 반응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한다.
따라서, 뜸 요법은 특별히 준비된 쑥을 활용하여 특정한 경락과 수혈을 선택하여 일정량의 자극을 주고, 그에 따라서 조화가 깨어진 기(氣)와 혈(穴)의 순환을 정상으로 되돌려 건강을 유지하게 하는 매우 탁월한 요법으로, 이러한 뜸의 역사는 수천년에 걸쳐 이미 확인되어 왔다.
한편, 뜸의 재료인 쑥{학명;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ilis (Pamp.) Hara}은 식물학상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30여 종이 있으며, 줄기는 50∼100cm 정도로 꽃은 연한 노란색으로 화경이 거의 없고, 원줄기 끝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린다.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적으로 오랜 옛날부터 식용과 약용으로 많이 쓰여 왔다.
전술한 쑥의 성분으로는 엽록소와 식물성 섬유소, 양질의 미네랄, 비타민, 칼슘, 카로틴 등이 있다. 쑥의 생잎 100g 중에는 단백질 7.7g, 섬유질 3.3g, 회분 2.0g, 칼슘 140mg, 인 70mg, 미량의 비타민 A, B1, B2, C 및 미량의 카로틴 등이 함유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쑥의 활용법으로는 건조한 쑥 100∼200g 정도에 물을 3컵 정도 붓고 약한 불로 30분 정도 달여서 쑥차로 음용하기도 한다. 이때, 식용으로 사용되는 쑥은 참쑥을 사용하나 약쑥도 무방하다. 이러한 쑥차는 만성피로, 비만, 냉체질, 빈혈, 위장질환, 복통, 설사, 변비, 고혈압, 월경불순, 시력감퇴, 신경통 및 요통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의학계에 보고되고 있다.
또한, 쑥은 식용은 물론 뜸(온열자극)이나 연기, 증기 등을 인체에 쏘여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활용되기도 한다. 이때, 인체에 뜸(온열자극)이나 연기, 증기 등을 인체에 쏘이는 쑥은 약쑥을 이용하게 된다.
전술한 뜸이 인체에 미치는 임상학적 영향이 현대의학에 의하여 밝혀진 바에 의하면 첫 째, 쑥뜸은 면역학적으로 생체의 항체면역기능을 증진케 하는 작용에 의하여 각종 세균성질환에 멸균·소염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현대의학으로 특효약이 발견되지 않은 감기 등의 바이러스성 질환에 대하여 탁월한 효과가 비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둘 째, 쑥뜸은 신경성 질환에 대하여 항마비 효과가 있고, 경련성 질환에 대하여 진정효과가 있으며, 자율신경 계통에도 조정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셋 째, 쑥뜸은 심장맥 관계의 혈관운동을 조정하는 효과가 있고, 혈액성분의 조성 및 개선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넷 째, 쑥뜸은 내분비 이상질환 및 체액대사에도 상당한 개선효과가 인정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쑥뜸은 과학적으로도 인체 내의 모든 기능에 대하여 분명한 근거를 가지고 있다 할 것입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쑥뜸의 재료인 쑥은 우리의 주변에 널리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채취하는데는 별 어려움이 없다고는 하나 뜸을 뜨기 위한 쑥뜸 재료를 구하기는 그리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쑥뜸 재료인 쑥은 통상 뜸을 뜰 때 쑥의 섬유질만을 사용하여 뜨기 때문에 이를 세우기 위해서는 아래쪽이 면적이 큰 삼각형 형태의 쑥 뭉치를 만들어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마귀, 물사마귀, 검버섯(지루각화증 및 노인성 흑자를 포함) 및 한관종과 같은 작은 피부성질환에 뜸을 뜨기란 어려움이 많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누구나 용이하게 뜸재료를 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마귀, 물사마귀, 검버섯(지루각화증 및 노인성 흑자를 포함) 및 한관종과 같은 작은 피부성질환의 뜸을 용이하게 뜰 수 있도록 한 쑥의 섬유질을 이용한 뜸을 대체하는 뜸재료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뜸재료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뜸재료의 제조공정을 보인 흐름도.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쑥의 섬유질을 이용한 뜸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 뜸재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쑥을 채취하여 세척한 후 알맞은 크기로 세절하는 단계, 세절한 쑥을 적정한 양의 물에 투입한 후 소정시간 가열하여 쑥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소정시간 가열하여 쑥성분을 추출한 상태의 쑥을 제거한 후 추출된 쑥성분이 끈기를 갖을 수 있도록 하는 적정량의 첨가물을 투입하여 끈기가 있을 정도의 시간동안 재가열하는 단계, 첨가물을 투입하여 끈기가 있을 정도의 시간동안 재가열한 후 천연섬유인 면이나 마를 소정의 굵기로 일정길이의 면봉을 만들어 재가열한 쑥성분 추출물에 투입한 상태에서 추출된 쑥성분이 투입된 면봉에 함침되도록 재가열하는 단계, 재가열을 통해 쑥성분의 추출물을 면봉에 함침시킨 후 쑥성분이 함침된 면봉을 꺼내어 길게 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건조시키는 단계 및 건조된 면봉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뜸재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첨가물은 쌀가루, 찹쌀가루, 밀가루 및 녹말가루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쑥은 모든 쑥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그 중에서도 약쑥을 채집하여 사용함이 양호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예에 따른 뜸재료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뜸재료의 제조공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뜸재료 제조방법은 쑥을 세절하는 단계(S100), 쑥성분을 추출하는 단계(S110), 추출된 쑥성분이 끈기를 갖을 수 있도록 하는 적정량의 첨가물을 투입하여 재가열하는 단계(S120), 천연섬유인 면이나 마로 소정의 굵기로 만든 일정길이의 면봉에 끈기있는 쑥성분이 함침되도록 하는 단계(S130), 쑥성분이 함침된 면봉을 건조시키는 단계(S140) 및 건조된 면봉을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단계(S150)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을 통해 제조된 뜸재료는 용이하게 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마귀, 물사마귀, 검버섯(지루각화증 및 노인성 흑자를 포함) 및 한관종과 같은 작은 피부성질환에 뜸을 용이하게 뜰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뜸재료 제조방법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쑥을 세절하는 단계(S100)는 쑥성분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쑥을 일정길이로 세절하는 단계로, 이 단계(S100)에서는 채취한 쑥을 선별하여 세척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한 상태에서 쑥을 일정길이로 세절하게 된다.
쑥성분을 추출하는 단계(S110)는 쑥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들을 우려내는 단계로, 이 단계(S110)에서는 일정길이로 세절한 쑥을 소정량의 물이 담긴 가열용기에 투입한 후 가열용기를 소정시간 동안 가열을 통해 쑥을 중탕시킴으로써 쑥에 함유된 성분을 추출하게 된다. 이때, 가열시간을 가열용기에 담긴 물이 3분의 2 정도가 될 때까지 가열을 한다.
추출된 쑥성분이 끈기를 갖을 수 있도록 하는 적정량의 첨가물을 투입하여 재가열하는 단계(S120)는 제조된 뜸재료를 이용하여 인체에 뜸을 뜰 때 인체의 뜸을 뜨는 부위에 뜸재료를 부착시켜 세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즉, 뜸재료가 뜸뜨는 부위에 부착되어 세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조된 뜸재료의 일단에 물이나 입속의 타액을 묻힐시 끈끈해지도록 함을 부여하기 위한 단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S120)에서는 가열을 통해 추출된 쑥성분이 끈기를 갖을 수 있도록 적정량의 첨가물을 첨가하여 재가열하게 된다. 이때, 추출된 쑥성분이 끈기를 갖을 수 있도록 첨가되는 첨가물은 쌀가루, 찹쌀가루, 밀가루 및 녹말가루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첨가하게 된다.
천연섬유인 면이나 마로 소정의 굵기로 만든 일정길이의 면봉에 끈기있는 쑥성분이 함침되도록 하는 단계(S130)는 천연섬유인 면이나 마를 소정의 굵기로 말은 상태의 면봉에 끈기가 있는 쑥성분의 추출물을 함침시키는 단계이다.
전술한 단계(S13)에서는 먼저, 천연섬유 소재의 면이나 마 뭉치를 소정의 굵기로 하여 두손으로 비비면서 말아 일정길이의 면봉을 만든 후, 이 면봉을 어느 정도 끈기가 형성된 쑥성분 추출물에 투임하여 면봉 깊숙히 까지 쑥성분 추출물이 함침되도록 재가열을 한다.
한편, 전술한 면봉의 굵기는 임의대로 그 굵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천연섬유로는 면이나 마 둘 다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면이 마에 비해 뜸을 뜰 때 불의 꺼짐이 없이 잘 타들어 간다. 따라서, 면봉의 소재로는 면을 사용함이 양호하다.
쑥성분이 함침된 면봉을 건조시키는 단계(S140)는 뜸재료를 제조하기 위해 쑥성분의 추출물을 충분히 면봉에 함침시킨 후 쑥성분이 함침된 면봉을 가열용기로부터 꺼내어 딱딱하게 굳히기 위한 단계이다.
전술한 단계(S140)에서는 쑥성분이 함침된 면봉을 가열용기로부터 꺼내어 면봉을 길게 늘어지도록 하여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쑥성분이 함침된 면봉을 건조시킬 때의 양호한 건조 조건은 통풍이 잘되는 서늘한 그늘진 곳이 양호하다. 이처럼 그늘진 곳에서 쑥성분이 함침된 면봉을 길게 늘어뜨린 상태에서 건조시키게 되면 직선 형태로 굳어진 면봉을 얻을 수 있다.
건조된 면봉을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단계(S150)는 전술한 단계(S140)에서 얻은 긴 직선 형태의 굳은 면봉을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로, 이 단계(S150)에서는 긴 면봉을 절단할 때 1cm 정도의 길이로 절단하여 뜸재료를 제조하게 된다. 따라서, 1m 정도 길이의 굳은 면봉을 절단하게 되면 약 100개 정도의 뜸재료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면봉에 쑥성분을 함침시키고 남은 쑥성분 추출물은 소정 형상의 틀에 부어 건조시킨 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쑥성분 추출물과 첨가물로만 이루어진 뜸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뜸재료의 제조과정에 있어 가열에 의한 쑥성분의 추출시 가열시간은 3∼4시간 정도가 적당하며, 이때의 물의 양은 본래의 양의 3분의 2정도에 해당된다. 그리고, 쌀가루, 찹쌀가루, 밀가루 및 녹말가루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된 첨가물과 면봉을 넣은 상태에서 재가열 시간은 본래 물의 양이 절반정도까지 될 때까지 가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뜸재료는 그 굵기를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어 사용시 사마귀, 물사마귀, 검버섯(지루각화증 및 노인성 흑자를 포함) 및 한관종과 같은 작은 피부성질환에 알맞은 굵기의 뜸재료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뜸재료는 사용시 뜸재료의 일단에 물이나 입속의 타액을 묻히게 되면 쌀가루, 찹쌀가루, 밀가루 및 녹말가루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첨가물의 끈적임이 물이나 입속의 타액에 의해 있게 되어 뜸을 뜨고자하는 인체의 부위에 붙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뜸재료 제조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 이외에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먼저, 쑥을 채취하여 세척 후 소정의 크기로 세절을 한 상태에서 일정용량의 물이 저수된 가열용기에 넣고 소정 시간동안 가열하여 쑥성분을 추출한다.
소정 시간동안 가열을 통해 쑥성분을 추출한 상태에서 쑥성분의 추출물이 끈기를 갖을 수 있도록 쌀가루, 찹쌀가루, 밀가루 및 녹말가루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첨가물을 혼합하여 쑥성분 추출물의 농도가 진하게 될때까지 재가열을 한다.
재가열을 통해 농도가 진하게 된 쑥성분 추출물을 소정 형상의 틀에 부어 건조시킨 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뜸재료를 제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쑥성분 추출물과 첨가물로만 제조된 뜸재료 역시 그 굵기를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사용시(뜸뜰 때) 사마귀, 물사마귀, 검버섯(지루각화증 및 노인성 흑자를 포함) 및 한관종과 같은 작은 피부성질환에 알맞은 굵기의 뜸재료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험예 1]
먼저, 일정크기로 세절한 쑥 500g을 3ℓ의 물에 투입한 상태에서 물의 양이 2ℓ 정도가 될 때까지 가열을 하여 쑥성분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쑥성분에 50g 정도의 녹말가루를 투입하여 재가열을 통해 쑥성분 추출물에 끈기가 있도록 한 상태에서 1m 길이의 면봉을 넣고 물의 양이 1.5ℓ 정도가 될 때까지 재가열 한 후 쑥성분 추출물이 함침된 면봉을 그늘진 곳에서 건조시키고, 건조된 면봉을 1cm의 길이로 절단하여 뜸재료를 제조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험예 1에서 제조된 뜸재료의 일단에 물이나 입속의 타액을 묻혀 일단이 끈적이도록 한 상태에서 이를 사마귀, 물사마귀, 검버섯(지루각화증 및 노인성 흑자를 포함), 한관종 및 점 등의 인체 부위에 붙여 놓고 뜸재료의 상단에 점화를 하면 서서히 하향으로 타들어가게 된다. 이처럼 쑥성분이 함침된 뜸재료가 타들어가게 되면 뜸 부위에 물집이 생기면서 사마귀, 물사마귀, 검버섯(지루각화증 및 노인성 흑자를 포함), 한관종 및 점 등이 떨어져 제거된다.
한편, 검버섯이나 점 등의 부위가 클 경우에는 검버섯이나 점의 주위로 다수의 뜸재료를 둘러싼 후 점화를 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뜸재료는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함은 물론, 누구나 쉽게 뜸재료를 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누구나 용이하게 뜸재료를 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마귀, 물사마귀, 검버섯(지루각화증 및 노인성 흑자를 포함) 및 한관종과 같은 작은 피부성질환의 뜸을 용이하게 뜰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뜸재료는 사용자에게 뜸재료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쑥을 채취하여 세척한 후 알맞은 크기로 세절하는 단계;
    상기 세절한 쑥을 적정한 양의 물에 투입한 후 소정시간 가열하여 쑥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소정시간 가열하여 쑥성분을 추출한 상태의 쑥을 제거한 후 추출된 쑥성분이 끈기를 갖을 수 있도록 하는 적정량의 첨가물을 투입하여 끈기가 있을 정도의 시간동안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첨가물을 투입하여 끈기가 있을 정도의 시간동안 재가열한 후 천연섬유인 면이나 마를 소정의 굵기로 일정길이의 면봉을 만들어 재가열한 쑥성분 추출물에 투입한 상태에서 추출된 쑥성분이 투입된 면봉에 함침되도록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을 통해 쑥성분의 추출물을 면봉에 함침시킨 후 쑥성분이 함침된 면봉을 꺼내어 길게 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면봉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뜸재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뜸재료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은 쌀가루, 찹쌀가루, 밀가루 및 녹말가루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뜸재료 제조방법.
KR1020000040148A 2000-07-13 2000-07-13 뜸재료 제조방법 KR20020006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148A KR20020006766A (ko) 2000-07-13 2000-07-13 뜸재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148A KR20020006766A (ko) 2000-07-13 2000-07-13 뜸재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766A true KR20020006766A (ko) 2002-01-26

Family

ID=19677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148A KR20020006766A (ko) 2000-07-13 2000-07-13 뜸재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67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280B1 (ko) * 2005-08-24 2007-02-02 이춘형 약쑥의 발효방법
KR20190040391A (ko) * 2017-10-10 2019-04-18 배삼훈 약초 추출액이 함침된 정제와 표백된 펄프솜 뜸봉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1767A (ja) * 1988-09-07 1990-03-12 Kamaya Shoten:Kk 遠赤外線放射固形温灸体
KR910019588A (ko) * 1990-05-08 1991-12-19 김금성 쑥찜지 제조방법
KR950016682A (ko) * 1993-12-08 1995-07-20 유태우 뜸쑥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1767A (ja) * 1988-09-07 1990-03-12 Kamaya Shoten:Kk 遠赤外線放射固形温灸体
KR910019588A (ko) * 1990-05-08 1991-12-19 김금성 쑥찜지 제조방법
KR950016682A (ko) * 1993-12-08 1995-07-20 유태우 뜸쑥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280B1 (ko) * 2005-08-24 2007-02-02 이춘형 약쑥의 발효방법
KR20190040391A (ko) * 2017-10-10 2019-04-18 배삼훈 약초 추출액이 함침된 정제와 표백된 펄프솜 뜸봉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12938B (zh) 一种艾条、艾条制作方法及艾灸装置
CN103340255B (zh) 一种茶饮
JP2006280896A (ja) 漢方温灸剤
CN103141681B (zh) 一种含中草药的复合型鸡饲料
CN104957298A (zh) 养生茉莉花茶
CN106071822A (zh) 一种凉粽的制作方法
CN103933415A (zh) 治疗足癣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385550B (zh) 竹盐咸蛋及其加工方法
CN101385535A (zh) 一种猪肚鸭药膳及其备制方法
KR20020006766A (ko) 뜸재료 제조방법
CN100553502C (zh) 一种健康香烟
KR101057898B1 (ko) 쑥뜸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260436A (zh) 一种用于治疗宠物猫消化功能紊乱的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
CN106819929A (zh) 具有补气养血功效的五华三黄鸡盐焗鸡即食食品制备方法
KR100426583B1 (ko) 숯을 이용한 쑥찜질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09860A (ko) 연잎 부각 제조방법
CN105795475A (zh) 一种用于烧烤的中药配方及其使用方法
KR102478258B1 (ko) 뜸쑥의 제조 방법
CN102613361A (zh) 一种葎草茶及其制备工艺
CN102258736B (zh) 一种治疗局部循环障碍的蒙药
CN104886644A (zh) 一种利用老鹰茶制作的杀菌抗炎皮蛋
CN106551074A (zh) 一种甘甜风味蛇皮果蜜饯
KR200235446Y1 (ko) 구강 필터 궐련 쑥뜸구
CN104663987A (zh) 一种改善睡眠的袋泡花茶
CN104000981B (zh) 棕榈灸丸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